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급성 루푸스 폐렴으로 발현된 전신성 홍반성 낭창

        용한 ( Yong Han Sun ),황선태 ( Seon Tae Hwang ),은병욱 ( Byung Wook Eun ),김지은 ( Jee Eun Kim ),심소연 ( So Yeon Sim ),조강호 ( Kang Ho Cho ),류일 ( Eell Ryoo ),최덕영 ( Deok Young Choi ),손동우 ( Dong Woo SoN ),차한 ( Hann T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2

        전신성 홍반성 낭창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대표적인 결체 조직 질환으로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지만 15-20%는 소아에서 시작되고 자가 항체에 의해 급성으로 발생하는 폐병변으로 급성 루푸스 폐렴이 드물게 발생한다. 본 저자들은 늑막 삼출, 림프구 감소, 항 핵항제와 항 항체 양성으로 진단된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서 조직검사를 통해 병리소견을 확진한 급성 루푸스 폐렴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case of a 14-year-old girl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acute lupus pneumonitis. She had a 4-week history of exertion for the past 4 weeks, and was transferred from a regional hospital due to abnormality on chest radiographs. Chest radiographs revealed bilateral infiltration and pleural effusion on both lower lung fields. We assumed her to be infected and prescribed antibiotics. The response to antibiotics was ineffective, and viral, bacterial, and mycobacterial cultures were negative. Antinuclear and anti-dsDNA antibodies in serum were positive. The open lung biopsy revealed diffuse alveolar damage. She was diagnosed as having acute lupus pneumoniti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recovered gradually after receiving corticosteroids. Acute lupus pneumonitis may be considered even though interstitial lung involvement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s relatively rare in pediatric practice and its diagnosis is difficult.

      • KCI등재
      • 급성 천식 발작시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 ( ECP ) 치와 기관지 확장제에 대한 반응도의 상관 관계

        고영률(Young Yull Koh),이명현(Myung Hyun Lee),이준호(Joon Ho Lee),박찬후(Chan Hoo Park),용한(Yong Han Sun)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기관지 천식에서 혈청 ECP치는 기도염증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천식 발작에서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은데, 이는 이론적으로 기도폐쇄(airway obstruction)가 기관지근육수축 혹은 기도염증의 두가지 요소중 주로 어떤 요소에 의해 이루어지는가에 따른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발작시에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이 기도염증상태의 정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 48명의 급성 천식 발작 상태의 환아에서 폐기능(FEV_1)과 혈청 ECP치를 측정하고, 기관지확장제에 의찬 페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임상적 완해시에 또한 폐기능과 혈청 ECP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 전체 환아에서 급성 발작시에 혈청 ECP치는 임상적 완해시의 혈청 ECP치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급성 발작시의 혈청 ECP치는 급성 발작의 심한 정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급성 발작시의 혈청 ECP치는 기관지확장제후 FEV_1이 75%예상치 이하인 군(n=18)에서 기관지화장제후 FEV_1이 75%예상치 이상인 군(n=30)에 비하여 의미있게 상승되어 있었으며 전체 환아에서 급성 발작시 혈청 ECP치는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기관지확장제 흡입 전후의 FEV_1차이)과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급성 천식발작시 혈청 ECP치는 기관지확장제 치료에 대한 반웅이 낮을수록,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소견은 기도염증상태가 현저하면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이 저하됨을 암시하며, 이는 급성발작시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은 기관지근육수축 혹은 기도염증의 상대적인 중요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Serum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are an indirect measure of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It is proposed that the extent to which bronchoco-nstriction or airway inflammation contributes to airflow obstruction of acute asthma may determine the responsiveness to bronchodilator therapy.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with acute attack(AA) who respond poorly to inhaled bronchodilator may have more marked airway inflammation, compared tothose who respond well to identical therapy. Forty-eight asthmatic children who visited ER due to AA were studied. Serum levels of ECP were measured at the times of AA and clinical remission(CR). At AA, FEV_1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erosolized salbutamol. The mean serum level of ECP at AA (41.1±12.8 ㎍/L)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at CR (30.0±8.5 ㎍/L) in the study population. The AA level was even higher in group A(n=18: post-bronchodilator FEV_1(75%predicted) than in group B(n=30: post-bronchodilator FEV_1≥75 %predicted), whereas the two groups were similar for the CR level. The AA level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everity of exacerbation (r=0.47, p<0.01) and negatively with the bronchodilator responses (r=-0.56, p<0.01). This negative correlation was valid among the subjects with the similar degree of exacerbation. In the higher ECP level at AA wa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more severe exacerbation but also with the less degree of bronchodilator responsiveness. This suggests that the degree of airway inflammation may be one determinant of the degree of responsiveness to the initial bronchodilator therapy at AA.

      • KCI우수등재

        지하유류비축공동(地下油類備蓄空洞)의 수밀성(水密性)에 관한 연구(硏究)

        정형식,,김운영,Chung, Hyung Sik,Sun, Yong,Kim, Oon Young 대한토목학회 198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2 No.4

        지하류비축동굴의 성패는 지하수에 의하여 공동(空洞) 주위에 유지되는 수밀성(水密性)에 있다. 수밀성(水密性)이 보장되면 동굴에 저장된 유류의 gas가 유출되지 않으며 인접공동(空洞)이 비어 있을 시 이곳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상사모형실험(電氣相似模型實驗)을 통하여 동굴형태가 gas누출에 미치는 영향과 여러 가지 형태에서 유류이동을 방지하는 지하수위, 동굴내의 유류수준, 동굴간격 등이 검토되었다. 연구결과 동굴의 천정이 큰 곡율을 갖고 있으면 gas누출이 방지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고 유류이동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자연지하수위, 공동내의 유류수준 및 공동간격이 도표로 주어졌다. A successful operation of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depends on water-tightness around cavern by groundwater. If water-tightness is not secured, gas bubbles would leak out and oil would migrate to an adjacent empty cavern. In this research an electrical analogy method was employed to study the influence of shape of cavern on gas leakage and the required natural groundwater level, relative oil level in two neighboring caverns and cavern spacing to prevent oil migration. The results show that gas leakage is prevented from a cavern with a ceiling of large curvature. The required values of factors to curtail the migration of oil are given on a graph.

      • KCI등재

        인천 지역 소아에서 기도 내 이물 흡인의 임상적 고찰

        ( Sun Kim ),오경진 ( Kyung Jin Oh ),김정희 ( Jeong Hee Kim ),용한 ( Young Han Sun ),임대현 ( Dae Hyun Lim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8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6 No.6

        Purpose: Foreign body aspiration in children is emergent and can cause serious com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body aspiration and to analyze the clinical cases of delayed diagnosis to predict and prevent complicat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3 children (48 in Inha University Hospital and 15 in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who were diagnosed with foreign body aspiration through bronchoscopy from 1996 to 2017 in Incheon City, and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ose were diagnosed within 24 hours, delayed after 24 hours, or delayed more than 7 days according to time elapse from the time of foreign body aspira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Results: Aspiration occurred in 58.7% at 1 year and 15.9% at 2 years. Cough (65.1%) and coarse breathing sound (41.3%) were most common, and radiologic findings were commonly presented as emphysema on the affected side (41.3%). Nuts were most common (42.9%),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between the right and left main bronchi. The documented history of foreign body aspiration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early diagnosed group; however, sputum, fever, and complications were more frequent in the delayed diagnosed group. Conclusion: If a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has persistent fever or sputum, foreign body aspiration should be suspected.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6:303-309)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 대장 림프결절증식의 임상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

        남유니,이승현,정동해,심소연,은병욱,최덕영,용한,조강호,류일,손동우,전인상,차한,Nam, Yoo-Nee,Lee, Seung-Hyeon,Chung, Dong-Hae,Sim, So-Yeon,Eun, Byung-Wook,Choi, Deok-Young,Sun, Yong-Han,Cho, Kang-Ho,Ryoo, Eell,Son, Dong-Woo,Jeon, In-S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목 적: 소아에서 대장의 림프 결절 증식은 비교적 드물다고 알려져 있으며 몇 예의 증례 또는 소규모 그룹에 대한 연구만 보고 되어 왔고 임상적인 의의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에 림프 결절증식 소견을 보였던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검사 소견 및 조직학적 소견 등을 분석하여 이 소견에 대한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하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은 환아들 중 검사 당시 육안적으로 대장의 림프결절 증식 소견을 보였던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시경 검사를 받을 당시 성별, 연령, 출생력, 과거력 및 가족력을 조사하였으며 주 호소와 동반 증상, 식이 방법과 주요 신체 진찰 소견을 확인하였다. 혈액 검사, 대변 검사,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내시경 검사시 모든 환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내시경 검사 후 단기 및 장기 추적을 통해 증상의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총 38명의 환아 중 남아가 24명(63.1%), 여아가 14명(36.9%)이었고 내원 당시 나이는 평균 12.5${\pm}$14.4개월이었으며 12개월 이하의 영아가 28명(73.6%), 13개월 이상의 소아는 10명(26.4%)이었다. 38명 모두 혈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체 환아 중 설사가 17명 (44.3%)으로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점액성 변, 구토, 복통, 경구 섭취 부족, 발열, 변비 등의 동반 증상을 보였다. 모든 환아는 신체 진찰 상 비교적 건강해 보였다. 혈액 검사 상 헤모글로빈, 혈청 알부민, 혈액 응고 검사수치 등은 1예를 제외하고 모두 정상 범위였다. 대변세균 배양 검사, 영상학적 검사상 다른 출혈의 원인은 찾을 수 없었다. 조직검사 상 36예(94.7%)에서 림프 소절이 확인되었으며 34예(84.5%)에서 알레르기성 대장염의 조직학적 기준을 만족하였다. 단기 경과 추적이 가능했던 25명 중 20명에서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장기경과 추적이 가능했던 33명 모두에서 증상이 호전되고 재발하지 않았다. 결 론: 대장의 림프 결절 증식 소견은 알레르기성 대장염과 관련하여 영아에서 더 흔하지만 소아 전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건강한 소아에서 다른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을 찾을 수 없고 내시경상 LNHC를 보이면 이를 하나의 진단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증상은 식이 변경과 상관 없이 소실되었고 장기간 추적 관찰에서 재발하지 않아 양성 질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Lymphonodular hyperplasia of the colon (LNHC) is a rare finding in children and its significance as a pathologic finding is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NHC by analyzing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in children with LNHC.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38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LNHC by colonoscopy. We checked age, birth history, past history, family history, and clinical symptoms. A hematologic exam, stool exam, and image studies were performed and biopsy specimens were examined by a pathologist. All patients were asked to have short- and long-term follow-up.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2.5${\pm}$14.4 months. All patients presented with complaints of bloody stool. They appeared healthy and the hematologic findings were within a normal range, with the exception of one case. There was no other identified source of bleeding. On histologic exam, 36 patients (94.7%) had lymphoid follicles and 34 patients (84.5%) fulfilled the criteria of allergic colitis. Regardless of diet modification and presence of residual symptom, there was no recurrence of bloody stool through long-term follow-up in all patients. Conclusion: LNHC is more common in infants who are affected by allergic colitis, but it can appear even after infancy. LNHC should be regarded as the etiology when there are any other causes of rectal bleeding, especially in healthy children. We suggest that LNHC has a benign course regardless of diet modification and it might not require excessive concerns.

      • KCI등재후보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에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 궤양 및 위 상피화생에 대한 전향적 연구

        이정복,임혜라,정동해,류일,전인상,조강호,용한,홍희주,차한,Lee, Jung Bok,Im, Hae Ra,Jung, Dong Hae,Ryoo, Eell,Jeon, In-Sang,Cho, Kang Ho,Sun, Young Han,Hong, Hee-Joo,Tchah, Han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2

        목적: H. pylori에 대해서는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성인과 소아에서 위염과 강한 관련성이 있으며 위 점막은 물론 십이지장 점막에서 위 상피화생이 발생하면 미란과 궤양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소아에서의 H. pylori 감염과 관련된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에 감염된 소아에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 궤양 및 위 상피화생에 대한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위 전정부와 위 체부 및 십이지장 점막에서 생검을 동시에 시행한 17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H. pylori 감염 여부 및 병리학적 소견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H. pylori 양성은 조직의 Giemsa stain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을 때와 H. pylori IgG, urease breath test (UBT), rapid urease test (CLO) 중 2가지 이상에서 양성일 때로 정의하였다. 십이지장염은 hematoxylin 및 eosin 염색에서 간질의 세포 침윤 정도에 따라 제 0도에서 제 3도까지로 분류하였으며, 위 상피화생은 제 0도에서 제 4도까지로 구별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컴퓨터 프로그램 SAS (version 8.1)를 이용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아 177명 중 H. pylori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는 97명(54%)으로 남녀 비는 1.36 : 1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9.66세였다. 2) 십이지장염은 163명에서 확인되었는데 94명에서 제 1도 소견을 보였고 이 중 H. pylori 감염은 47명이었다. 제 2도는 62명으로 이 중 H. pylori 감염은 36명이었으며, 제 3도는 7명으로 이 중 H. pylori 감염은 4명이었다.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염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십이지장 궤양은 11명으로 평균 나이는 7.18세였으며 남녀 비는 4.5 : 1이었다. 이 중 H. pylori 감염 양성은 4명, H. pylori 감염 음성은 7명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4) 위 상피화생은 전체 환자 중 5명으로 이 중 H. pylori 양성은 2명이었으며 십이지장 궤양은 3명이었는데, 십이지장 궤양과 H. pylori 양성이 동반된 경우는 1명이었다. H. pylori 감염과 위 상피화생 발생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십이지장 궤양이 있는 군에서 위 상피화생의 발생률이 더 높았다(p=0.032). 5) 십이지장 궤양은 십이지장염 제 1도 94명 중 1명, 제 2도 62명 중 5명, 제 3도 7명 중 5명에서 각각 발생하여 십이장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001). 6) 위 상피화생은 십이지장염 제 1도 94명 중 2명, 제 2도 62명 중 1명, 제 3도 7명 중 2명에서 각각 발생하여 십이지장염이 심할수록 위 상피화생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365). 결론: 기존의 문헌들에서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염,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및 H. pylori 감염과 위 상피화생 간에는 연관성이 없었으며, 십이지장염과 십이지장 궤양 간에는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위 상피화생과 십이지장 궤양 및 십이지장염과 위 상피화생 간에는 기존의 보고들처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has been known to be vital in the pathogenesis of duodenal ulcer disease in children as well as in adult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duodenum has not been explained obviously in children yet.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uodenitis and/or gastric metaplasia in the duodenum increases the risk of duodenal ulcer disease in children infected by H. pylori. Methods: From October 2001 to April 2004 gastric and duodenal biopsies were performed in 177 children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Hospital, Gachon Medical School. Biopsy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also with Giemsa for identification of H. pylori. The grades of duodenitis and gastric metaplasia were classified from 0 to 3 and from 0 to 4, respectively. Results: The incid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54% in total patients. Amongst 163 children with duodenitis there was a lack of correlation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the grade of duodenitis. Amongst 11 patients with duodenal ucler, only 4 children were infected by H. pylori. And amongst 5 patients with gastric metaplasia, H. pylori and duodenal ulcer were detected in 2 and 3 children,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duodenal ulcer and gastric metaplasi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grade of duodenitis (p<0.0001 and p=0.0365, respectively). Conclusion: As opposed to the results of previously reported articles, there were lacks of correlation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duodenitis, duodenal ulcer, and gastric metaplasia. So further study hould be done to clarify the effect of H. pylori on the duodenal histopathology in children infected by H. pyl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