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90년대 대학 반성폭력 운동의 여성주의 정치학

        김보명(Kim Bo-Myung)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1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 대학 반성폭력 운동의 형성과정과 대학 여성주의자 집단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서 대학 반성폭력 운동이 갖는 여성주의적 함의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대학 반성폭력 운동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이 시기 대학가에서 공론화된 대표적인 성폭력 사건들과 이에 대한 학생사회 주체들의 대응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서, 이 과정 속에 등장한 대학 여성주의자 집단의 활동이 대학 반성폭력 운동에 미친 영향을 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 찾아보고 있다. 대학 여성주의자 집단은 ‘성폭력’이라는 문제 영역에 개입함으로서 자신들의 정치성을 가시화하는 한편, 대학 간 연결망을 형성함으로서 반성폭력 연대틀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성적 자율권을 성별화된 주체인 여성들의 사회적 권리인 ‘여성권’의 맥락에서 주장함으로서 성폭력의 개념을 여성 경험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반(反)성폭력학칙제정운동 및 자치규약제정운동에서 나타나는 ‘공동체’로서의 대학공간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은, 대학 반성폭력 운동이 제도적 규범의 제정을 넘어 대학문화와 구성원들의 성적 윤리 자체를 재사유하는 자율적 실천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학 반성폭력 운동의 특징은 폭력의 피해를 발화함으로서 공동체의 경계를 새롭게 긋는 여성들의 언어적 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This article pursu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group and feminist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in 1990's Korean campuses through analyzing the history and features of their practices and discourse. First of all, it outlines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campus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which is initiated by several cases of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 These cases evoked much attention in campuses enough to form the students'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Campus feminist themselves are one of the agency who acted out for the sake of the victim and for themselves. They developed their collective identity as women, womanist, and feminist with the serial experiences of protesting and fighting back with sexual violence,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discrimination in campuses. On the other hand, they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to the campus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by reinterpreting and broadening the meaning of sexual violence in terms of gender-based violence and violence against women. Their strong sense of womanhood made it possible to look through the gender hierarchy as the fundamental structure producing sexual violence. Lastly, it focuses on the concept of campus as 'community' in campus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which justified their autonomous practices of mediating between the victim and the offender even though there was no legal possibility to accuse the alleged criminal acts. It means that feminist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was founded on the autonomy and ethical responsibility between college members. Women, who speak for herself demonstrated and reconstituted the boundary of 'community' itself with their enunciation of their bodily experiences. In conclusion, the historical meaning of women's activism against sexual violence in campus has been forged by and with the women's acts of speaking out their lived experiences as sexed body, until to open the new area of women's subjectivity.

      • KCI등재

        촛불광장 이후의 젠더민주주의를 향한 실천

        김보명 ( Kim Bo-myung ) 영미문학연구회 2019 안과 밖 Vol.0 No.46

        In post-candlelight Korean society, three forms of feminist activism emerged: the Me Too campaign, young women’s protests against spy cam porn industry, and the reproductive rights movement. All three cases of activism proved that women’s rights are still an urgent issue in Korean society, despite the society’s seemingly democratic evolution. First, the Me Too campaign brought to public attention the numerous cases of sexual harassment prevalent in various fields of law, popular culture, education and sports. As the campaign proceeded and expanded, a critical legal debate ensued on a woma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Second, women’s protests against the spy cam porn industry made it clear that women needed both public safety and equal access 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During these protests, thousands of female citizens gathered together to communicate their discontent to the government. Third, a feminist reproductive justice movement which formed in 2016 continued to fight for reproductive rights and justice, and finally won the verdict that rendered the penalization of abortion unconstitutional.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d woman’s right to make a personal decision regarding her pregnancy and her own health, signaling a new era for the feminist reproductive justice movement. All three cases of feminist activism that unfolded in post-candlelight Korean society raised a question about women’s citizenship. In these practices of feminist protest, women not only argued for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but also proved that women are the subject of rights as they enacted and executed political rights to self-determination via direct actions. The politics of rights, as these cases of Korean feminist activism show, cannot be fixed in abstract terms, but are only actualized in and through political praxis.

      • KCI등재

        ‘여성공간’과 페미니즘 - 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배제를 중심으로 -

        김보명 ( Kim Bo-myu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1

        이 글에서는 트랜스젠더 여성들에 대한 배제와 혐오를 페미니즘의 이름으로 수행하는 분리주의 페미니즘과 그것이 표방하는 ‘여성 공간’의 정치학의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분리주의 및 ‘여성 공간’의 정치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대한 부인 혹은 왜곡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지난 1월 한국사회에서 있었던 숙명여자대학교 예비신입생 A씨에 대한 ‘래디컬’ 페미니즘의 대응에서 나타난 ‘여성 공간’과 여성안전, 그리고 여성의 권리에 대한 주장, 그리고 그에 근거한 트랜스젠더 혐오의 정치학의 사례는 페미니즘에서 ‘여성’이 언제나 해석과 논쟁의 영역이자 갈등과 경합의 대상임을 보여준다. 성별 분리된 여성의 공간, 문화, 공동체, 실천으로부터 형성되는 페미니즘의 실천은 여성공동체가 갖는(다고 상상되는) 생물학적 동질성이나 그에 기반(한다고 주장되는) 공통의 경험 자체로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정체성과 경험을 재현하고 조직하는 정치적 선택과 실천의 효과로서 나타난다. 페미니즘의 이름으로 실천되는 트랜스젠더 여성들에 대한 배제와 혐오의 사례는 페미니즘과 성소수자 운동 간의 관계 뿐 아니라 페미니즘과 ‘여성’의 관계, 페미니즘 정치학의 개념이자 실천의 축으로서의 ‘젠더’와 ‘섹스’, 그리고 페미니즘의 과제로서의 평등하고 정의로운 성적 시민권에 대한 대안적 상상과 실천이 필요하고 긴급함을 보여준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the practice of ‘women’s place’ in feminist history has shaped the conflicting relation between separatist feminism and transgender politics. In the time of suffragist movement, the ideology of women’s sphere and innate sexual difference were commonly deployed to justify women’s exclusion from the public sphere and citizenship. By the 1970s, and with the emergence of radical, cultural, and lesbian separatist feminist politics, ‘women’s place’ gained a new cultural meaning and political significance. As it became the central ground of women’s identity and feminist resistance against outer world of male violence and sexism, defining ‘who or what woman is’ became a critical and controversial question. The recent cas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self-claimed ‘radical’ feminist groups’ rally against transgender student’s admission proves that transphobic feminism is a critical issue to contemporary Korean young feminism. As we examine the past and present conflicts between separatist feminism and trans women, w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category of ‘women’ is neither fixed or stable, but rather in incessant movement of reformulation and reconstitution through which feminist politics is refashioned. Accordingly, the case of transphobic feminism offers us a critical pedagogic moment in which we come to question the futurity of feminism in relation to queer and transgender politics, the category of women, the relation between sex and gender, and the possibility of equal and just sexual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김보명(Bo-Myung Kim)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1

        이 논문에서는 <일간베스트>에서 <메갈리아>와 <워마드>로 이어지는 흐름을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의 정동경제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신자유주의적 재편과 더불어 일어나는 삶의 위기들과 불안정성은 여성, 퀴어, 이주민, 복지 수혜자 등과 같은 타자들이 초래하는 위협, 위험, 혹은 부담으로 오인 및 전치되며 이러한 과정속에서 혐오의 정동경제학은 확산된다. <일간 베스트>의 여성혐오는 남성 특권의 ‘약탈자’로서의 여성과 페미니즘에 대한 비난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저항하여 등장한 <메갈리아>는 혐오의 문법을 패러디하고 반사함으로서 여성들의 문화적 역량을 조직하고 입증하였다. 그러나 해체되기보다는 전유된 혐오의 문법은 본질주의와 분리주의를 지향하는 <워마드>의 등장과 더불어 퀴어 및 트랜스 혐오로 나타나고 있다. 성적 피해와 상처의 기억을 페미니스트 저항의 정동적 원천으로 하여 조직되는 <워마드>의 성 정치학은 그 표면적 전투성과 반대로 자신이 대항하는 성적 억압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무비판적으로 반복하는 모순을 보인다. 우리 시대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은 혐오의 문법이 생산되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다층적인 구조들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약자들 간의 경쟁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소수자들 간의 연대를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his paper attends to the recent emergence of misogyny in late-modern, neo-liberal Korean society by retracing the affective mobilization of hate among the Ilbe, Megalia and Womad. While Ilbe, a far right male conservative group that blamed feminism and women for their “loss” of male privilege, and in so doing proliferated digital misogyny, Megalia, a spontaneous and voluntary digital feminist activism stood against Ilbe with their parodic resistance called “mirroring” The practice of “mirroring”, I argue, though, fails to radically deconstruct the affective grammar of hate but only culturally appropriates it. Womad, which split from Megalia over the controversy of online gay bashing, soon established itself as a site of separatist and essentialist feminist politics. Keeping men, gays, and trans women out of their own version of gynotopia and ‘radical’ feminist activism, they produced an essentialist brand of cultural feminism. In conclusion, I argue that feminist politics needs to carefully understand its own historical conditions of speech and acts so as not to reproduce the larger structures of neoliberal violence against minority subjects.

      • KCI우수등재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역사적 평가들에 대한 소고

        김보명 ( Kim Bo-myung ) 한국서양사학회 2018 西洋史論 Vol.0 No.138

        이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와 페미니스트 역사 간의 친연성에 대한 낸시 프레이저의 질문을 중심으로 하여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의 역사 및 그에 대한 평가를 되짚어본다. 여성들의 개인으로서의 선택과 성공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포스트 페미니즘 정치학의 부상은 제2물결 페미니즘의 역사적 유산이 놓인 현재적 상황을 보여준다. 제2물결 페미니즘과 신자유주의 질서 간의 겹침과 공모의 관계는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 페미니즘, 그리고 유색인종 여성 페미니즘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급진 페미니즘이 중산층 백인 여성들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되면서 인종과 계층의 정치학을 간과했다면 유색인종 여성 페미니즘은 다양한 억압의 기제들이 중층적으로 작용하는 교차성의 정치학을 실천하면서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의 역사적 성패에 대한 평가는 1960년대에 등장한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내용과 그 이후의 행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들과 함께 계속되어야 한다. In this short essay, I explore recent criticism about the history of the U.S. Second Wave Feminism, namely its convergence with neoliberalism. Nancy Fraser, among other feminist scholars, raised this speculative yet critical question about postwar U.S. feminism and its complicit relation to neoliberal reordering of the late modern Western society. To explore Fraser’s question further, I look into scholarly discussion on histories of liberal feminism and radical feminism, and compare them to intersectional politics of Black and Chicana feminism. While liberal and radical feminism failed to critically address roles of capitalism, racism, and imperialism in their theories and practices of women’s liberation, Black and Chicana feminist politics devoted close attention on the intersectional and multiple composition of women’s oppression.

      • KCI등재

        힐러리 로댐 클린턴과 (포스트) 페미니즘

        김보명(Bo-Myung Kim)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지난 2016년에 치러진 미국 대선 결과는 미국은 물론 세계를 놀라게 하였으며, 향후 도래할 혐오와 폭력의 시대에 대한 긴장과 우려를 낳았다. 이어진 워싱턴 여성행진은 페미니즘 정치학이 현재적 위치와 미래의 방향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졌다. 힐러리 클린턴이 ‘여성’정치인으로서 담지하는 페미니즘적 의미는 복합적이다. 베이비붐 세대로 태어나 미국 역사상 최초로 주류 정당의 여성 대통령 후보가 된 클린턴의 생애사적 궤적은 제2물결 페미니즘, 특히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역사적 승리를 약속하는 듯 보였다. 이를 반영 혹은 활용하듯, 지난 대선과 이후의 행보에서 클린턴은 스스로를 ‘유리천장을 깨는 사람’이라 부르며 자신의 정치적 성공을 페미니즘의 역사적 소명으로 제시하였다. 클린턴은 또한 자신의 1995년 베이징 여성대회에서의 연설을 상기시키며 여성인권 옹호자로서의 자신의 면모를 부각하였다. 힐러리 클린턴의 이러한 ‘페미니즘’적 면모는 동시에 그녀가 월-스트리트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국무장관으로서 미국의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패권을 유지 및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과 모순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자유주의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여성’이 페미니즘의 역사적 소명으로 동일시되는 이러한 현상은 포스트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풍경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맥락에서 이 논문에서는‘힐러리 로댐 클린턴’이라는 공적 인물을 통해 나타난 다층적인 미국 페미니즘 정치학의 역사성을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백인 중산층 중심성, 국제 여성인권 담론이 미국의 군사주의적 패권과 맺는 관계, 그리고 지난 대선에서 나타난 포스트 페미니즘 정치학의 풍경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살펴본다. In this essay, I explore the relevance of Clinton’s loss in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U.S. feminist politics. As I explore the feminist meaning and relevance of Clinton’s election loss, I look closely into three particular aspects of Clinton’s political career. First, Clinton makes an iconic figure of liberal feminism as she was born in the time of explicit sexism but eventually rose to the top-rank political career. That she presents herself to the public as “a glass-ceiling braker” also tells of the particular liberal kind of feminism to which she binds her political persona. Second, Clinton played both an important and troubling role in the scene of international feminism. As a First Lady, she delivered a charged and moving speech on women’s human rights at the 1995 Beijing Women’s Conference, making herself a champion of women’s rights. As a Secretary of State during Obama’s first term, she successfully protected and managed the economic and military interests of U.S. while also speaking for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in the non-western world. Third, during the election, she presented herself as feminist cause by conjuring up the historical legacies of feminist politics such as the Suffrage Movement, and reminding the public of her gender. In my analysis and critiques, I point to the rather ambiguous and yet ultimately white and middle class liberal feminist politics of Clinton that suggests her election los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defeat of feminism or women. Rather, it urges us to move forward a coalitional and intersectional politics across the races, classes, genders, sexualities, and nations.

      • KCI등재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김보명 ( Kim Bo-my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6 No.-

        페미니즘의 가시화 및 대중화와 더불어 젠더 갈등에 대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페미니즘을 일상적으로 접하면서 보다 직접적으로 그 영향을 경험하는 청년 세대에 있어서 젠더 평등은 세대 및 계층간 재분배의 문제와 맞물리면서 치열한 논쟁과 갈등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디지털 공간과 언론보도 등에서 부각된 젠더 갈등의 사례들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의 (반)페미니즘 담론과 실천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성평등 (채용)정책의 (불)공정성에 대한 문제제기, 남성 피해자 서사와 역차별 주장, 그리고 유사-페미니즘으로 부상하는 ‘젠더 이퀄리즘’ 현상 등은 반페미니즘(antifeminism)의 새로운 문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반페미니즘 담론은 탈맥락화된 공정성 주장과 만나거나(양)성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재활용한다. 우리 시대의 ‘젠더 갈등’은 신자유주의 시대의 삶의 불안과 경쟁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하지만 단순히 ‘헬조선’과‘삼포세대’의 부산물로만 취급될 수는 없다. ‘젠더 갈등’은 변화하는 젠더 질서가 한국사회의 계층적ㆍ세대적 불평등의 중층적 구조와 맞물리면서 일어나는 현상이자 이러한 중층적 불평등 구조 위에 더해지는 신자유주의적 개인화 과정의 단면을 보여준다. As feminist activism has regained prominenc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re have been recent increases in emotional tension and social conflict between young women and young men. In this paper, I consider cases of antifeminism discourse that view feminist activism as unfair and a selfish abuse of state power. It appears that such antifeminist discourse does not simply reject feminism, but additionally places it in an oppositional and contradictory relation to other categories of social justice, such as fairness. In so doing, antifeminist discourse not only undercuts the political radicality of feminism but also deprives the notion of fairness of its sociohistorical significance. Further, antifeminist discourse also replaces gender as a sociocultural structure of oppression and replaces the critical lens of social analysis with a naturalized and essentialized notion of biological differences.

      • KCI등재

        홍화자(紅花子) 약침요법(藥鍼療法)을 가미한 한방치료로 호전된 마미증후군(馬尾症候群) 환자(患者) 1례(例)

        보명,이윤경,성웅,이세연,임성철,정태영,안희덕,한상원,서정철,Seo, Bo-Myung,Lee, Yoon-Kyoung,Kim, Sung-Woong,Lee, Sea-Youn,Lim, Seong-Chul,Jung, Tae-Young,An, Hee-Duk,Han, Sang-Won,Seo, Jung-Chul 경락경혈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2 No.1

        갑작스러운 요통과 양측하지통, 하지의 근력 감소, 대소변 장애 및 운동, 감각장애로 양방병원에서 마미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추궁판 절제술과 감압술을 시행 후 임상적인 호전을 보이지 않은 환자 1례에 대해 홍화자(紅花子) 약침요법(藥鍼療法)을 중심으로 복합적인 한방치료를 시행한 결과 요통에 대한 VAS와 요통점수표, ODI 항목에서는 각 항목 모두에서 현저한 호전 양상을 나타내었다. 운동기능 및 보행에 있어서 입원 당시에 보행기에 의지하여 보행하였는데 치료 후에는 안독으로 보행이 가능하고 일상적인 가벼운 생활도 가능해지게 되었다. 배뇨기능에 있어서도 자발적인 배뇨가 가능할 정도로 완전회복 되었다. 하지만 배변의 상태는 입원 당시와 치료 후에는 변의가 느껴지는 것 이외에 자발적인 배변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감각 기능의 회복에 있어서도 온통각, 압촉각과 하지 냉감은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안장 감각과 괄약근의 기능은 거의 회복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수술이나 양방적인 치료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의 관리에 있어서 홍화자(紅花子) 약침(藥鍼)에 대한 더욱 심도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arthami Semen Herbal acupuncture therapy on a Cauda equina syndrome patient who has a complex of low back pain, bilateral sciatica, saddle anesthesia and motor weakness in the lower extremity and paraplegia with bladder and bowel incontinence. Methods : Oriental Medical Therapy was performed on the Cauda equina syndrome patient from July 15th 2004 to July 29th 2004.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Carthami Semen Herbal acupuncture at BL22, BL23, BL25, BL28 and GV3 in combination with herbal medicine and conventional body acupuncture. We evaluated The Visual Analog Scale(VAS), Improvement index, The Oswestry Diability Index(ODI), gaiting, dyschezia, bladder incontinence, duration of urination and area of anesthesia,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DITI)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1. After treatment, VAS, Improvement index, ODI were improved each from 10 to 2, from 21 to 73, from 333 to 166. 2. After treatment, gaiting, bladder incontinence, duration of urination and area of anesthesia and DITI were improved well, but dyschezia was remained. Conclusions : From this case it is thought Carthami Semen herbal acupuncture therapy is very effective to Cauda Equina Syndrome and further study is needed for the confirmation of the effect of Carthami Semen Herbal acupuncture.

      • KCI우수등재

        ‘진보’ 정치학 이후와 사회적 재생산의 문제에 대한 소고

        김보명(Bo-Myung Kim)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2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 사회의 쟁점들로 나타난 젠더 갈등과 세대 갈등 현상 및 그에 대한 논의들을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경제적 지형과 그것이 초래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인국공(인천국제공항)’ 사태와 ‘조국 대전’등을 통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 세대 갈등과 ‘공정성’ 논쟁, 20대 보수 남성들의 반-페미니즘과 ‘젠더 갈등’으로 명명되는 일련의 현상들은 신자유주의적 재편 아래 심화되는 삶의 위기를 보여준다. 고착화된 불평등과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는 그에 대한 정치경제적 대안의 부재와 맞물리면서 세대 간, 계층 간, 성별 간 갈등의 표출로 이어진다. 1987년 이후 나타난 민주화와 신자유주의의 모순, 경합적 공존은 불평등의 심화와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를 초래했으며, 이는 ‘진보’의 서사로 상상되는 1987년 이후의 정치경제적 이행에 대한 비판적 질문을 제기하는 지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87체제 혹은 97체제로 명명되는 정치경제적 전환과 그 과정의 현재적 풍경 중 하나로서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에 주목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iscursive landscapes of conflicts and crises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 including gender conflict, generational tension, youth struggle, and equity debate - in relation to the historic post-1987 transition to democracy and neoliberal capitalism. First, we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he 86 generation’s progressive politics based on minjung politics and the rather conservative youth generation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dirt spoons’ (representing a deprived, dispossessed, and precariat-like status). As the 1987 democratization movement successfully mobilized people into dispensing with the long-term military dictatorship and restored constitutionalism, it nevertheless was forced to concede concessions to the old ruling class. The post-1987 regime also inadvertently enabled the transition from developmental dictatorship to democratic neoliberalism, leading South Korean society into a social reproductive crisis still encountered today. Recent controversies over those prominent 86 generation politicians and activists, such as Cho Kuk, illustrate the contrast between the 86 generation’s progressive politics and the younger generation’s rather conservative ‘fairness’ discourse. As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e democratic progress was forced to adopt (and adapt to) unfolding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throughout the 1990s, minjung politics gradually transformed into more middle-class friendly and often institutionalized civil activism. Ultimately, contemporary scenes of social conflicts and crisis in progressive politics in South Korean society invite further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democracy and justice.

      • KCI등재

        요통(腰痛) 환자(患者)의 한방단독치료와 한양방협진치료의 효과 비교

        보명,윤종석,성웅,이세연,이경민,배은정,서정철,임성철,정태영,한상원,Seo, Bo-myung,Yun, Jong-seok,Kim, Sung-woong,Lee, Sea-youn,Lee, Kyung-min,Bae, Eun-jeong,Seo, Jung-chul,Lim, Seong-chul,Jung, Tae-young,Han, Sang-won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6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reatment effect between Oriental Medicine theraphy and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theraphy on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We divided 40 low back pain patients into 2 groups. The Group I was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theraphy and the Group II was treated wi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theraphy. We evaluated 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 before and after 3, 5, 7 days of each treatment. Results: The VAS score of Group I and Group II after 3, 5, 7 days of each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treat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fter 3, 5, 7 days of each treatm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3, 5, 7 days of each treatment on low back pain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comparison of Oriental Medicine theraphy and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the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