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배은정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1 No.-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일본어 경어관련 교과목 수강자 53명(2021년과 2022년 합계)을 대상으로, 해당교과목의 효율적 운영방법 및 수업내용 전반에 관련된 니즈파악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수업은 2021년의 경우 ZOOM2차시+녹화강의1차시의 형태, 2022년의 경우 대면강의 2차시+녹화강의 1차시의 형태로 진행되었는데, 조사결과를 보면, ①‘문법적 측면에서의 경어체계 중에서 난해하다고 판단한 수업내용’ 과, ②‘조별발표’의 실효성, ③‘추가되었으면 하는 수업내용’의 경우, 연도별로 큰 차이 없이 일치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④‘경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느낀 상세항목의 내용’, ⑤‘본 교과목 운영에 있어 효율적 / 비효율적 운영방법’ 을 묻는 설문항목 등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차이를 보였던 이들 항목은 모두<해당 연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업을 운영했는지>에 긴밀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needs analysis of 53 students (total of 2021 and 2022) related to business Japanese honorific language courses, including a survey of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ubject and class conten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for some items the results were the same for each year, but for o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in the cases where differences were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all items were greatly influenced by <how classes were taught in the relevant year>.
일본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녹화강의콘텐츠수업의 인식조사 및 운영 현황 분석
배은정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2 No.-
최근 비대면수업에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나,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이미 기술된 바 있는 비대면수업 관련 장단점에 대한 지적이 일률적으로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몇몇 선행연구를 통해, 비대면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역시 전공별, 학년별, 레벨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던 바,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전공자로 대상을 한정하여 녹화강의콘텐츠수업에 대해 어떠한 니즈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다 면밀히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녹화강의콘텐츠수업 운영현황에 대한 항목> 조사결과, 대다수의 녹화강의콘텐츠수업이, 오프라인 수업 대비 판서의 사용이 적고, 동영상콘텐츠를 활용하는 정도도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촬영된 강의콘텐츠는, 음성과 PPT화면만을 구성된 형태보다는 교수자의 강의영상과 PPT화면을 동시에 띄우는 형태가 많았으며, 인트로 삽입, 동영상 활용 등의 흥미로운 편집이 시도된 콘텐츠의 수는 상당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필자(2021)에서 조사된 실시간 zoom수업의 운영현황과 비교하였을 때, 녹화강의콘텐츠수업이 zoom수업 대비, 판서를 하는 비율과 동영상을 활용하는 빈도도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녹화강의콘텐츠수업 인식에 대한 항목> [1] 학년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던 항목① 학습자들은 녹화강의콘텐츠수업에서의 판서가 집중도와 이해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음② 녹화강의콘텐츠수업의 ‘실시간 소통의 어려움’이란 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LMS 메시지 및 이메일을 통한 질문방법이 가장 선호됨③ 수강중인 녹화강의콘텐츠의 완성도는 ‘어느 정도 만족’이 가장 많음④ 강의콘텐츠의 화면배분 선호도는 ‘교수자의 강의영상은 작게, PPT화면은 크게’ 가 가장 높음⑤ 강의콘텐츠의 시간배분 선호도는 1차시 기준, ‘25분분량의 동영상2개+과제 없음’이 가장 선호되고 있음⑥ 전공교과목 중, 녹화강의콘텐츠 적합 교과목으로 ‘일본지역사정’‘일본역사와문화’ 등 일본어가 아닌, 일본관련 콘텐츠교과목을 꼽고 있음[2] 학년별 차이가 다소 나타난 항목① 선호하는 콘텐츠의 촬영방식의 경우, 저학년은 ‘교수자의 음성+PPT’의 형태와 ‘교수자의 강의영상+PPT’ 어느 쪽도 상관없다고 답하였으나, 고학년의 경우, 후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② 강의콘텐츠에서 중점을 두는 항목의 경우, 저/고학년 모두 ‘음질/음량’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나, 저학년은 다음으로 ‘화질’을, 고학년은 ‘강의영상의 분량’을 꼽아 차이를 보임③ 전년도 및 직전학기 대비 강의콘텐츠의 완성도의 변화를 묻는 항목의 경우, 고학년은 ‘완성도가 높아졌다’라 답한 비율이 높았으나, 저학년의 경우‘ 이전 대비 변화 없다’로 답하여 다소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확인
배은정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07 일본연구 Vol.7 No.0
本稿では、複合助詞「として」を考察對象とし、本動詞「~とする」の意味合いをどのくらい持っているのかを中心に、その類型を下位分類した。從來、複合助詞「として」と、本動詞の「~とする」の連用形である「として」は區別されるものであるという認識が强かったが、實際、この兩方の「として」は、用法及び解釋の側面からみて區別が曖昧な場合も多い。そこで本稿では、複合助詞「として」であっても、本動詞に近い場合とそうでない場合があり、類型別に分けられることを考察した。考察の結果をまとめると、複合助詞「として」には、本動詞としての屬性を强く持っているタイプからそうでないタイプまで大きく三つのタイプとして下位分類できた。さらに、複合助詞「として」に、本動詞の意味合いを强める要素には次のようなものが考えられるということを提示した。 <「として」句の本動詞としての意味合いを强める要素> ① 見なし、反定などの意味合いを表す出來事であるほど、本動詞の意味合いに近づく。 ② 共起する動詞の違いによって、本動詞としての意味合いに變化が生じる。 ③「~として~を+V」の語順に比べ、「~を~として+V」の語順をとるほど、本動詞としての意味合いに近づく。 ④「~として」と「V」の間に他の要素が介在している場合、本動詞としての意味合いが强くなる。
일본어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수업 인식조사 및 운영 현황 분석 - 실시간 zoom수업을 중심으로 -
裵銀貞 한국일본어문학회 2021 日本語文學 Vol.91 No.-
In this paper, we divided Japanese learners into major and non-major group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Japanese learners regarding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mmar for communication” did not sympathize not only with Japanese majors but also with non-Japanese majors. This means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beginner level learners is not positively evaluated even by beginner level learner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proving that the assertion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that is not based on the needs of actual learners has many problems.
準備·効力を表す「テアル」構文と パーフェクトの「テイル」構文との 比較分析 - 置き換えの自然さに影響する要因を中心に--
裵銀貞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5 N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aturalness of Japanese native speakers when they replace the tearu sentence, which indicates preparation and efficacy, with a perfect teiru senten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ollowing tendencies were observed in the replacement problem with both syntaxes. [1] When the subject noun takes the ‘wo’ case, the replacement of the perfect with the teiru syntax is more natural when it takes the wa case. [2] When accompanied by an adverb that clearly indicates the meaning of preparation and the point of movement, the tearu sentence is often easily replaced by the perfect teiru syntax. [3] When the tearu syntax of preparation and effect is replaced by the perfect teiru syntax. the highest degree of naturalness is when the above factors [1] and [2] appear at the same time. This suggests that the meaning of the perfect that teiru syntax has is more unstable than that of tearu syntax.
부인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활동정도, 정서상태가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배은정,이소연,정향미 한국모자보건학회 2019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23 No.1
Purpose: To determine impacts of symptom clusters, performance and emotional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ethods: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ur measurements: symptom cluster, performance and emotional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A total of 104 completed data se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Fatigue was identified as the most prevalent symptom (77.9%) and sweating (2.08) as the most severe and uncomfortable symptom (1.80). Six symptom clusters, performance statu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Four symptom clust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status, and six symptom clust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were abdominal discomfort cluster (β=-0.23, p=0.005), performance status (β=-0.20, p=0.020), and depression (β=-0.42, p<0.001).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ining 42.5% of variance (F=26.369, p<0.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ed that symptom clusters and depression negatively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and need to be addressed as we are caring for patients and promoting quality of life.
일본어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일본어교육문법」의 효율성 비교 분석
裵銀貞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7 No.-
In this paper, we divided Japanese learners into major and non-major groups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Japanese learners regarding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grammar for communication did not sympathize not only with Japanese majors but also with non-Japanese majors. This means that the claim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beginner level learners is not positively evaluated even by beginner level learners.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proving that the assertion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grammar for communication that is not based on the needs of actual learners has many problems.
結果及び狀態を表す「AガVテアル』文と「AガVラレテイル』文の比較分析
배은정 한국일본어문학회 2008 日本語文學 Vol.39 No.-
從來、結果及び狀態を表す「AガVテアル」文と「AガVラレテイル」文に關する考察は、主に「テアル」文の特徵分析に重点が置かれ、兩構文に關する同等な立場からの考察は殆んど行われこなかった。本稿では兩構文の實例分析を通し、①「行爲の結果」を表す場合における使い分け、②「非行爲狀態」を表す場合における使い分け、③眼前描寫を表す事態における使い分け、④前後文脈に見られる特徵などの究明を試み、次のような結果を得た。まず、行爲の結果を表す場合と非行爲狀態を表す場合、そして、眼前描寫文を表す場合とそうでない場合を問わず、より幅廣い範圍で用いられるのは「AガVラレテイル」文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AガVテアル」文の場合は、幾つかの動詞のみに限られ選擇されている傾向を見せており、かつ、眼前描寫文ではない事態を表すのに限界を見せていた。また、「AガVラレテイル」文には「行爲の結果」を表す特徵と「非行爲狀態」を表す特徵が均等に動いているのに對し、「AガVテアル」文の場合、「行爲の結果」を表す機能が主に動い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一方、「AガVテアル」文と「AガVラレテイル」文の選擇における、前後文脈からの影響はあるのかについても調べてみたが、兩構文はいずれも同類の構文が前後に配置される場合、使用率も高まる傾向を見せてい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