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한 지원자에서 두 경혈(신맥, 조해)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무작위, 단일 맹검, 자기 대조군 임상시험

        이지혜 ( Ji Hye Lee ),최영준 ( Young Joon Choi ),신병철 ( Byung Chul Shin ),구성태 ( Sung Tae Koo ) 경락경혈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7 No.4

        목적: 이 연구는 서로 다른 두 경혈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3명의 지원자가 3개의 세션에 균등하게 무작위 배정되었다. 각 세션에서 지원자들은 신맥(BL62), 조해(KI6), 또는 비경혈에 각각 침처치를 받았다. 10분간 휴식을 한 후에 자침 전, 유침기간, 발침 후 기간에 5분동안 심박변이도 측정을 하였다. 유침기간에는 2분 간격을 두고 2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신맥에 자침한 군에서는 자침후 기간에 total power(TP)와 standard deviation N-N interval(SDN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침기간 중 첫 5분 동안의 TP와 SDNN은 자침전 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유침기간 중 마지막 5분 동안에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에 조해와 비경혈에 자침한 군에서는 TP와 SDNN에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침 후에 신맥자침군에서는 조해와 비경혈 자극군과 비교해서 TP가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SDNN은 발침 후에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 실험 결과는 조해와 비교했을 때 신맥에 자침한 경우 심장 기능 및 자율신경계와 관련이 있는 대체적인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신맥 자침이 자율신경계와 관계되어 있는 심장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서 경혈의 특이성을 관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대맥(帶脈) 및 그 유주상(流注上) 회합(會合)하는 경혈(經穴)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양승정 ( Seung Joung Yang ),진천식 ( Cheon Sik Jin ),조명래 ( Myung Rae Cho ) 경락경혈학회 200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8 No.1

        We examined and referred to some literatures on the meaning, Dai meridian and Meridian points of joining with circulation of Dai meridian through literatures of every generation. And then we came to get a few conclusions as follows. 1. Dai meridian starts below the hypochondriac region. Running obliquely downward, it runs transversely around the waist like a belt. Its function is to bind up all the meridians to circulate in a proper way. 2. The coalescent points of dai meridian are Daimai(帶脈), Wushu(五樞) and Weidao(維道). 3. Location of Daimai(帶脈)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1.8 cun below Zhangmen(章門), at the crossing point of vertical line through the free end of the 11th rib and a horizontal line through the umbilicus. Location of Wushu(五樞)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anterior to the anterosuperior iliac spine, 3 cun below the level of the umbilicus. Location of Weidao(維道)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anterior and inferior to the anterosuperior iliac spine, 0.5 cun anterior and inferior to Wushu(五樞). 4. Indication of Daimai(帶脈) is irregular menstruation,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hernia, pain in the lumbar and hypochondriac region. Indication of Wushu(五樞) is prolapse of the uterus,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irregular menstruation, hernia, pain in the lower abdomen, constipation and lumbosacral pain. Indication of Weidao(維道) is edema, pain in the side of the lower abdomen, prolapse of the uterus, hernia and morbid leukorrhea. 5. The Dai meridian binds all meridians, produces pregnancy, grasps lumbar and abdomen region and controls leukorrhea. 6. Diseases of the Dai meridian manifested as distention and fullness in the lumbar region and abdomen,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pain the navel, lumbar and spinal regions, flaccidity and hypoactivity of the lower limbs, etc.

      • KCI등재

        침 자극의 씨클로포스파미드로 유발한 백서 방광염 모델에서 방광의 과활동성에 대한 억제효과

        채윤병 ( Youn Byoun Chae ),노현 ( Hyun Rho ),박히준 ( Hi Joon Park ),이혜정 ( Hye Jung Lee ),이선주 ( Sun Ju Lee ) 경락경혈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3 No.3

        목적: 씨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CP)는 많은 종양 질환에서 단독 혹은 다른 화학요법과 함께 사용되는 항암제이다. CP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출혈성 방광염이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CP로 유도된 방광염 모델은 하부요로의 통증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내장성 통증의 주요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암컷 백서에서 CP로 유도된 방광의 과활동성에 대한 침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요류역학검사를 수행하였다. 방법: CP (200 mg/kg) 투여 18시간 후에, 지속적 생리식염수 관류 (분당 0.04 ml)로 방광내압 측정을 통해 방광기능을 평가하였다. 관류 2시간 이후부터, 위중/곤륜 100 Hz, 위중/곤륜 2 Hz, 족삼리/삼음교 100 Hz, 족삼리/삼음교 2 Hz 전침 자극을 하여 자침 전후의 방광수축간격(intercontraction interval, ICI)을 비교하였다. 결과: 방광내압 측정하는 동안, 방광수축간격은 CP로 유도된 방광염 모델에서 정상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짧았다. CP로 유도된 방광염 모델에서, 위중/곤륜100Hz 전침 자극은 자침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40.6±10.9 % 증가시켰고, 2Hz 전침 자극은 자침 전보다 현저하게 22.1±13.7% 증가시켰다. 반면에, 족삼리/삼음교 전침 자극은 100Hz, 2Hz 전침 자극 각각 13.7±8.1 %, 8.7±4.5% 약간 증가시켰다. 결론: 족태양방광경의 경혈에 100Hz 전침 자극을 하여 CP로 유도된 방광의 과활동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침 자극으로 CP로 유도된 혹은 다른 종류의 방광염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특정 경락의 경혈과 해당 장부의 질환의 치료에 연관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수소양 삼초경근의 해부학적 연구

        박경식 ( Kyoung Sik Park ) 경락경혈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4 No.1

        목적: 본 硏究는 手少陽三焦經筋의 理論的根據를 解剖學的으로 提供하고 臨床에 經筋의 正確한 適用을 위함이다. 방법: Cadaver에 經筋을 表示하고 各各의 經穴部位에 標識와 pore 작업을 수행하고 각 經穴部를 皮膚, 筋膜, 그리고 筋肉의 淺層, 中間層, 그리고 深層部를 順序的으로 解剖하여 筋肉, 神經, 血管 등을 觀察한다. 결과 및 결론: 手少陽三焦經筋의 解剖學的考察結果는 다음과 같다. 1) 筋肉: 천층에 근막(TE1), 근막확장대(TE2), 근막과 근간결합(TE3), 근막과 신근지대(TE4), 근막과 총지신근건(TE5), 근막 및 총지신근과 소지신근간(TE6), 근막과 소지신근(TE7), 총지신근(TE8), 척측수근신근과 소지신근간(TE9), 상완삼두근건(TE10, 11), 상완삼두근(TE12), 삼각근(TE13), 삼각근및 극하근과 극상근간(TE14), 승모근(TE15), 흉쇄유돌근(TE-16, 17, 18), 후이개근(TE19, 22), 상이개근(TE20), 전이개근 및 이하선근막(TE21), 안륜근(TE23), 중층에 소지신근건과 총지신근건간(TE4), 측두근막과 측두근(TE20, 22, 23), 심층에 배측골간근(TE3), 시지신근과 골간막(TE5) 장모지신근(TE6), 시지신근(TE7), 장지신근과 장모지 외전근간(TE8, 9), 상완삼두근(TE13), 견갑거근(TE15), 두판상근(TE16), 경상설골근과 하악이복근간TE17), 이복근(TE18). 2) 神經: 천층에 척골신경의 배측지(TE1, 2, 3), 후전완피신경(TE4, 5, 6, 8, 9, 10, 11), 내측전완피신경(TE5, 6, 7, 8, 9, 10, 11), 후상완피신경(TE12, 13), 상외측상완피신경(TE13), 외측쇄골상신경(TE14, 15), 대이개신경(TE16, 17, 18, 19), 소후두신경(TE19, 20), 이개측두신경(TE20, 21, 22), 안면신경측두지(TE22, 23), 관골측두신경(TE23), 중층에 견갑상신경(TE15), 견갑배신경(TE15), 경상설골근신경(TE17), 후이개신경(TE18, 19, 20), 안면신경측두지(TE20, 21, 22), 심층에 후골간신경(TE5, 6, 7), 요골신경심지(TE8, 9, 12, 13), 견갑상신경(TE14), 액와신경가지(TE14), 부신경(TE16), 안면신경과 부신경가지(TE17), 설인신경 (TE17), 설하신경(TE17), 경신경고리(TE17), 미주신경(TE17), 안면신경 (TE18). 3) 血管: 천층에 척측정맥배측지(TE1, 2), 고유수장지동맥배측지(TE1), 배측중수골동맥배측지(TE2), 배 중수골정맥(TE3), 척측피정맥(TE4, 5, 6, 7, 8, 9, 10, 11), 배측정맥궁(TE4), 부요측피정맥(TE6, 8, 9),요측피정맥(TE10, 11), 후견봉정맥가지(TE13, 14), 후이개동·정맥(TE16, 17, 18, 19, 20), 전이개동·정맥(TE20), 천측두동·정맥(TE22, 23), 중층에 후상완회선동맥(TE14), 견갑배동맥(TE15), 견갑상동맥(TE15), 천측두동·정맥(TE21), 관골측두동·정맥(TE23), 심층에 배측중수골동맥(TE3), 배측수근동맥궁(TE4), 후골간동맥(TE4, 5, 6, 7, 8, 9), 전골간동맥(TE6, 7, 9), 심상완동맥(TE10, 11), 상완동맥측부지(TE10, 11), 중간 측부동맥(TE12), 요측측부동맥(TE12), 심상완동맥가지(TE13), 후상완회선동맥(TE13), 견갑상동맥(TE14), 후두동·정맥(TE16, 17), 내경정맥(TE17). 결론: 1. 手少陽三焦經筋은 筋肉, 그리고 關聯神經, 血管으로 구성된다. 2. 본 硏究는 經筋에 관한 旣存의 硏究와 比較하여 볼 때에 經筋의 構成要素에 있어서 若干의 差異를 보여준다. 3. 解剖學的 硏究結果, 經筋筋肉을 支配하는 神經·血管의 槪念과 經筋을 스쳐 지나가는 神經·血管의 槪念은 區分된다.

      • KCI등재

        경락경혈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주요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윤다은,이인선,채윤병 경락경혈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9 No.1

        Objectives : The study’s goal was to look at the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Methods : The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s website yielded a total of 882 articles. The VOSviewer application was used to visualize research trends from keywords. Results : A total of 87 keywords were found and visualized based on the average year of publicatio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basic acupunctur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were determined by a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co-occurrences and publication year of keywords. Acupuncture, acupoint, herbal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moxibustion, and meridia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Conclusions : This bibliometric study will give you a broad picture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These data may help to establish a timeline for the advancement of acupuncture basic research.

      • KCI등재

        경락 연구의 새로운 방향 탐색 - 경락 연구의 로드맵 작성을 중심으로 -

        최환수,Choi, Hwan-Soo 경락경혈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1 No.2

        Objective : Today, a study about the meridian is at a standstill because there is no any fundamental study to verify an essence of meridian or to take advantage of meridain. It searched the direction of new meridain study by making out road-map about meridain study to overcome the standstill. Method : It has had a th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meridian study through analysis of papers for degrees and academy journals of study in connection with meridian published till now. It has made out road-map of Meridian study under a principle establishing road-map because of these problems. Results : The major problems of former studies about meridain are as follows. One is not to have any cooperation with other medical fields. The other is not to have any practical study. It searched the direction of new meridian study by road-map detailed as well as overall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onclusions : The new direction of meridian study is to build ideal methodical frame and modern meridian model through studying of among school systems. It will interpret newly and modernize traditional meridian theory with being connected with science technology.

      • KCI등재

        소염방 약침이 흰쥐 시상하부 면역 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태후 ( Tae Hoo Yi ),박히준 ( Hi Joon Park ),임사비나 ( Sa Bi Na Lim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0 No.2

        목적: 본 연구는 염증유발 내독소인 LPS 자극을 통한 면역 스트레스에 대한 약침의 치료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LPS를 통한 염증반응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특히, 산화질소 (NO)를 생성하는 효소인 iNOS의 활성은 시상하부에서 NO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약침이 LPS로 인해 활성화된 iNOS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흰쥐에 LPS를 투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약침 (소염방, 대한약침학회)을 경혈 (합곡, 족삼리)에 좌,우 각각 0.2cc 씩 피하 투여하고 RT-PCR 방법을 통하여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상하부에서의 iNOS의 mRNA 발현을 알아 보았다. 실험결과: LPS 투여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iNOS mRNA가 약침치료를 통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비경혈점 (미추부위 임의혈)에 약침을 투여한 군과 경혈점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에서는 iNOS mRNA 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약침이 LPS를 투여한 흰쥐의 시상하부에서 iNOS의 mRNA 발현에 조절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약침이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면역 스트레스에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 본 연구는 약침치료가 면역반응의 중추기관인 시상하부에서 면역반응의 중요한 조절인자인 NO의 생성을 조절하는 기전을 통해 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혔고 더 나아가 약침에 대한 현대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전침 자극이 쥐의 심박 변이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정대 ( Jung Dae Kim ),김연진 ( Yun Jin Kim ),소광섭 ( Kwang Sup Soh ) 경락경혈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4 No.2

        목적: 전침 자극은 최근에 임상연구와 더불어 기초연구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경락이론에 의거하여 신체에 분포되어 있는 경락상의 각종경혈부위에 인위적인 전기 자극을 통하여 질병을 치료, 예방 혹은 완화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적인 쥐의 상태에서 일정한 전침 자극을 주었을 때, 심박변이도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방법: 쥐의 정상적인 마취상태에서 태충혈에 4 Hz와 80 Hz의 5 V 크기로 10mA 강도의 사각파 파형으로 자극을 주었으며 대조조로 비경혈 부위에 4 Hz의 동일한 파형으로 자극을 주어 심박 변이도의 변화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본 실험에서 RR Interval의 경우 태충혈 4 Hz 보다 80 Hz일때 RR Interval의 파형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PSD의 분석에서도 자극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1~3 Hz 사이에 높은 피크가 보였으며 4Hz의 비경혈 부위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번 실험연구를 통하여 정상적인 쥐의 상태에서 일정한 전침 자극을 주었을 때, 심박 변이도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번 실험을 통해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효과와 심박 변이도를 측정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전침자극의 기전 연구에 있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경락경혈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통계적 오류에 관한 고찰(2007~2011년)

        이민희 ( Min Hee Lee ),강경원 ( Kyung Won Kang ),김정은 ( Jung Eun Kim ),최선미 ( Sun Mi Choi ),이상훈 ( Sang Hun Lee ) 경락경혈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9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tistical validities and trends of previously reported papers that used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To analyze the statistical procedures, 54 original articles using those statistical method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published from 2007 to 2011. Result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in 23(25.27%), and 18 papers(19.78%) out of 54 papers, respectively. Seven articles(12.96%) did not report alpha values and 26(48.15%) out of 54 studies were not tested for normal distribution. One paper(1.85%) misused t-test and 7 papers(38.89%) did not carry out the multiple comparison. Conclus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KJA, statistician involvement in research design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errors in statistical method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The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on Immuno-regulatory Action of the Hypothalamus in Rats

        이태후,박히준,임사비나,Lee Tae-Hoo,Park Hi-Joon,Lim Sabina 경락경혈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0 No.2

        목적 : 본 연구는 염증유발 내독소인 LPS 자극을 통한 면역 스트레스에 대한 약침의 치료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LPS를 통한 염증반응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특히, 산화질소(NO)를 생성하는 효소인 iNOS의 활성은 시상하부에서 NO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약침이 LPS로 인해 활성화된 iNOS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흰쥐에 LPS를 투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약침 (소염방, 대한약침학회)을 경혈 (합곡, 족삼리)에 좌,우 각각 0.2cc 씩 피하 투여하고 RT-PCR 방법을 통하여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상하부에서의 iNOS의 mRNA 발현을 알아 보았다. 실험결과 : LPS 투여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iNOS mRNA가 약침치료를 통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비경혈점 (미추부위 임의혈)에 약침을 투여한 군 경혈점에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군에서는 iNOS mRNA 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약침이 LPS를 투여한 흰쥐의 시상하부에서 iNOS의 mRNA 발현에 조절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약침이 면역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면역 스트레스에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 : 본 연구는 약침치료가 면역반응의 중추기관인 시상하부에서 면역반응의 중요한 조절인자인 NO의 생성을 조절하는 기전을 통해 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혔고 더 나아가 약침에 대한 현대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