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쓰기 교과목 연계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및 인식 조사를 통한 개선안 연구

        김지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oth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tutors and 95 tute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an English writing course. They answer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and additionally tutors were interviewed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utors evaluated the program and their tutoring performances positively, except when it came to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qualifications. Likewis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which tutors gave direct feedback on their essay assignments, and this in turn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in the English writing course. However, the tutors perceived that the tutoring program needed more organized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In addition, both tutors and tutees reported that the absence metric of the latter should be increased and enforced with the help of school polic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program were also added: the importance of limiting the number of tutees, the need to obtain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and finally the provision of tutor training sessions.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 글쓰기 교과목과 연계된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7명의 튜터 교수자와 95명의 튜티 학습자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만족도, 문제점, 개선점에 관한 설문에 답변하였으며, 튜터 교수자는 추가로 면담에도참여하였다. 그 결과, 튜터 교수자는 영어 쓰기 교사 자질에는 부족함을 느끼지만 프로그램에 대해전반적으로 만족하였는데, 과제 첨삭과 교수 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자신의 영어 쓰기 학습역량이향상된 것에 큰 성취감을 드러냈다. 튜티 학습자의 경우,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영어 쓰기 과목의주요 활동인 작문을 직접 첨삭 받을 수 있고 해당 과목의 복습을 통해 교과 성적이 향상된 것과 튜터의성실성에 큰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해 제안할 점으로 튜터 교수자는 행정적, 교육적인지원을 절실히 요구하였고, 튜티 학습자의 낮은 출석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침이 보완되기를희망하였다. 튜티 학습자 역시 출석, 수업시간 및 튜터링 기간에 관한 제도적인 뒷받침을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에 따른 교수자 교육 및 행정적, 제도적 개선방안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만족도와 효과를 중심으로 -

        이민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언어와 문화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peer tutoring program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the Korean peer-tutoring program between foreign post-graduate students and Korean post-graduate tuto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were high in both the tutor and the tutee, and both group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showing that Korean language tutoring programs were helpful to both groups. Second, the effect of the program affecting the satisfaction varied from group to group.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tended to be higher in the tutee who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improve Korean skills needed for studies and school life’ and tutors who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ird, continuous review and development are needed in areas of tutoring team study period tutor training and managing compensation for tutors. More consideration on how the role of the Korean tutors are different when tutoring foreign students is needed and support in providing assistance to these tutors in performing their role well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ed a model of peer-tutoring program during a period where there is an increase of foreign post-graduate enrollees and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peer tutoring programs for foreign post-graduat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튜터링 프로그램에서의 지도튜터 운영사례 연구

        안수현(Ahn, Su-Hyun),김현철(Kim, Hyun-Chul)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nd review the guidance tutor system in S-university.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3 guidance tutors attending a tutoring program at S-Universit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13. Results show that, first, most of the guidance tutors chose study and training opportunities as their purpose of applying to the tutoring program(51.52%), followed by cultivating other human relationships(24.24%). This implies that they focused more on social capital than economic support. Second, 75.76% of the guidance tutors have already recognized the tutoring program. This recognition was higher than that for any other program in S-University. The main difficulties with the tutoring program were time management and an insincere attitude and lack of commitment of some tutors and tutees. In fact, guidance tu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university program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fforts compare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other programs. Furthermore, 54.55% of the guidance tutors express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uidance tutor system may improve the tutoring programs.

      • KCI등재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과 개선 방안

        유경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a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conducted by a local private university in Korea for the past three years has been operated and what improvements it has. In order for the program to be operated successfully, the following basic learning components were needed: learning materials, tutors and tutees, tutoring spaces, a program operation manual and assessment tools. Each semester the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has been progressed for 8 weeks. The professor developed the learning materials, selected qualified senior students as tutors and conducted a workshop with tutuors for instructing how to teach tutees and how to deal with them. The tutors should keep a tutoring log and report it to the professor ever week. In order to check how well each tutor followed a tutoring procedure, there was a meeting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At the end of semester, tutors should select the best tutees whose achievement was very high, and there was a final briefing session for awarding them. All tutees should take pre-and post- English tests to examine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 on their English abilities and the results shown every semester revealed a significant mean improvement. As for the tutoring program improvements, more tutoring rooms should be provided, practical tips should be developed for recruiting tutees who really need basic English abilities and for tutors, there should be encouragement for materials development and use in order to have their active tutoring. 이 연구는 지방의 한 사립 대학교에서 2014-2학기부터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시행된 기초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 되었으며, 효과가 있었는지, 또한 개선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콘텐츠, 튜터와 튜티, 튜터링 공간,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과 평가도구 같은 기본적인 학습 구성요소가 필요하였다. 기초영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은 매학기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담당교수가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일정한 절차를 통해 실력 있는 선배학생을 튜터로 선정한 후 워크숍 실시, 이 후 튜터링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튜터는 학습일지를 작성하여 매주 담당교수에게 보고하고, 중간 튜터 회의를 통해 튜터링 학습 상태를 점검, 학기 말에는 우수 튜티를 선정, 최종 보고회를 통해 우수 튜티들을 시상하여 튜터링 활성화에 힘쓰도록 하였다. 또한 튜터링 학습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튜티들에게 사전, 사후 영어시험을 실시한 결과 매 학기 튜티들의 영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했으며 튜터링 만족도 설문지 설문 결과 튜티들이 튜터링 프로그램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튜터링 공간 확보, 기초학습이 필요한 튜티 학습자 모집을 위한 방안 간구, 튜터들의 적극적 학습자료 개발 및 사용 독려등이 있다.

      • KCI등재후보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개발

        이정아,서상범,하병주,변기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utoring program and apply it to actual site by analyzing the literatures and the cases of tutoring programs which are operating in university in order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 operating effective tutoring program and investigating the need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 who is participating in tutoring. In this study, the tutoring program which resolves the time-space constraint, forms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utors, shares information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join together by SNS i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e tutoring activity, the tutor activity and the manager activity. The tutoring activity is formed as step of organization of tutoring team, orientation, selection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ctivity, issuing of interim report and its sharing, discussion with their adviser teacher, learning activity, final report and introspection. The tutor activity and the manager activity are conducted by both on-line and off-line ways. On-line way is conducted by Facebook and e-class and offline way is utilized in study room. The developed tutoring program which was utilized by SNS was applied to 53 teams which were consisted of 53 tutor and 232 tutee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hat firstly, tutor ’s activity was activated by spreading the tutoring program activity through social network environment. Secondly, opportunity which cultivates a problem-solving-ability by sharing and encoura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utors by using SNS was provided. Thirdly, activation of program by forming an organic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utor and manager was promo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높이고 효율적인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고, 튜터링 참여 학생의 요구와 실태를 분석한 후,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고자 함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튜터들 간 협력적 관계 형성, 정보의 공유, 함께 하는 기회가 제공되는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의 구성은 크게 튜터링 활동, 튜터 활동, 관리자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튜터링 활동은 튜터링 팀 조직, 오리엔테이션, 학습환경 선정, 학습 활동, 중간보고 및 공유, 지도교수 면담, 학습활동, 최종보고 및 성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튜터 활동과 관리자 활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함께 이루어진다. 온라인은 페이스북과 e-class를 활용했으며 오프라인은 스터디룸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은 B대학교 2012년 1학기 글로벌튜터링에 참여한 튜터 53명, 튜티 23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소셜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튜터링 프로그램 활동을 확산시켜 튜터들의 활동을 활성화하였고, 둘째, SNS를 활용하여 튜터간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격려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셋째, 튜터와 관리자와의 유기적이고 역동적 관계를 형성하여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경영학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연우진,양명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2 언어와 문화 Vol.18 No.3

        This study focuses on introducing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cases of academic writing tutoring programs conducted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of master's courses at a domestic university. This case consisted of two tutoring programs.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were fro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rofessional tutors were se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expertise and teaching experienc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utoring programs, satisfactio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utoring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tutoring programs help improve academic writing ability. Additionally, the regressive revision method implemented in the tutoring program helps the students realize their academic writing problems and prevent them from repeating the same mistakes. Moreover, the tutoring programs play a positive role in the structure, content, grammar and expression of their academic writing. This work offers meaningful insight into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writing tutoring programs and provides a direction of operation. .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배성아(Bae, Sung Ah),노수림(Noh, Soo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튜터들의 경험을 토대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튜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조사를 병행하였 으며, 설문에 참여한 117명 중 19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튜터들의 인식조사결과, 튜터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튜터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튜터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나, 학교 측의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튜터링 과정에서 튜터들이 경험한 난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튜터들이 학업지도의 어려움과 튜티 와 학습시간 맞추기 및 튜터링을 위한 학습공간 확보하기에서 어려움을 직면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심층면담 결과, 튜터들은 ‘튜티의 참여의지 부족’으로인하여 많은 난관에 봉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 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한 튜터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튜티와 시간 맞추기’와 ‘학습공간 확보하기’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확대, 튜터교육의 개선, 그리고 튜티의 참여의지 제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향후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개선의 방향을 제안한 자료로써 대학의 학습공동체 발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tudent tutors who were part of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 tutors (N=117)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ub-sample (n=19)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thre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ut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n their tutoring performance and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ion,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of program management. Second, tutors perceived that a lack of teaching skills and logistical difficulties (i.e., scheduling, finding available space) were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in tutoring.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utors perceived a “lack of motivation” of tutees as the biggest obstacles in tutoring. Lastly, tutors believed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hould support programs by providing protected tutoring hours and space for this service, improved training for all tutors. Finally, tutors felt that the administration shoul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utees. The current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utor training support, of improving training programs for tutors, and of encouraging tutees’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대학의 피어튜터링에서 튜터의 감성리더십, 튜티의 자기결정성동기, 만족도, 튜터링 성과의 관계 연구

        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utor’s emotional leadership, tutee’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in college peer tutor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data of 241 tutees who participated in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each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utor s emotional leadership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 2) tutee’s self-determinated motivation directly affected satisfaction and tutoring performance, and indirectly affected tutoring performance through satisfaction. 3) satisfaction was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on tutoring performance , in addition, mediating effect of tutee’s satisfaction was greater in the process of tutor’s emotional leadership affecting tutoring performance .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self-determinated motivation that had been neglec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lso, this study suggested some strategies and methods to enhance emotional leadership of tutors and self-determinated motivation of tutees for the effective peer tutoring. 본 연구는 대학의 피어튜터링에서 튜터의 감성리더십, 튜티의 자기결정성동기, 만족도, 튜터링 성과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9학년도 1학기에 경기도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실시된 피어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 241명의 자료가 수집 및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튜터의 감성리더십은 만족도와 튜터링 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며, 튜티의 자기결정성동기 또한 만족도와 튜터링 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튜터링 성과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부분적 매개효과는 튜터의 감성리더십이 튜터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피어튜터링 상황에서 그간 간과되어 왔던 감성리더십과 자기결정성동기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효과적인 피어튜터링 운영을 위한 감성리더십 및 자기결정성동기 증진 전략과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손예지,이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탐색하고, 튜터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성형AI 챗봇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료 다각화(data-triangul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 소재의 A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튜터9인을 대상으로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시기별로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튜터링 녹화 영상을수집하고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reswell이 제시한 질적연구 분석을기반으로 인터뷰 자료를 범주화하였고, 이를 튜터링 녹화 영상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결과 튜터들은 튜터링 시작,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의 시기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은 튜터링 준비-튜터링 활동-튜터링 성찰의 시기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첫째, 튜터링을 시작하는 시기에 튜터의 교수적 역할 중 특히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튜터링 준비 과정에서 튜터들은 교수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셋째로 튜터링 활동의 과정에서는 교수적 역할 중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사회적 역할과 관리적 역할의학습 관리자로서 난점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튜터링 성찰의 과정에서 튜터들은 조직 관리자로서의 관리적 역할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튜터 지원을 위한 챗봇을 설계할 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튜터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튜터링 프로그램의 시기와 튜터의 역할에 따라 구분한 결과를 바탕으로. 튜터의 어려움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챗봇 설계를 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faced by tutors in a tutoring program and provid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hatbots intended to assist tuto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the data-triangulation method. 9 tutors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about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t various stages of the tutoring program. In addition, video recordings of tutoring sessions an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llenges tutors fa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using Creswell's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nd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 analysis of the tutoring videos and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utors encountered various challenges both when at the beginning and during the tutoring program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paration, activity, and reflection. Initially, tutors faced challeng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particularly as learning process guides. Sencond, tutors also encountered difficulti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during preparation. Third, during activity procession tutors also experienced challenges in instructional role. Furthermore, they have problem with social role and administrative role as learning manager. Finally, during reflection, tutors encountered difficulty in their administrative role as organizational manager.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utor support chatbot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utors based on the time process of the tutoring program and role of the tut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chatbot to assis tutors in resolving their challenges.

      • KCI등재

        중학생을 위한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교과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금택,조용개 대한사고개발학회 2017 사고개발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인구 60만 도시인 J시의 중학교 1~3학년 18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90명과 통제집단 90명을 선정하였다. 튜터링 프로그램은 3개월간 매주 월, 수, 목, 금요일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1~2학년은 12시30분부터 13시까지, 그리고 3학년은 13시부터 13시30분까지 수행하였다. 담임교사와 수학동아리 교사에 의해 선정된 튜터는 튜티를 지도할 때 수학 문제 풀이 중심의 지식 전달보다는 자신이 수학 문제를 해결하면서 얻은 경험을 나누라고 하였다. 구체적인 지도방법은 중재학습경험의 의도성, 초월성, 의미성의 중재 원리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검증을 위한 통계 분석은 t검증과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튜터링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학년, 2학년, 3학년의 수학교과 사전-사후 평균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간 수학교과의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통계결과에서는 학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튜터, 튜티의 수학교과 사전-사후 평균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튜터‧튜티의 수학교과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통계결과에서는 튜터․튜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90 experimental and 90 control groups as a study subject from grade 1 to 3 among 180 middle school students in J city with a population of 600,000 in Jeollabuk-do. We proceeded the tutoring program at lunch time on Monday, Wednesday, Thursday and Friday each week during the three-month period. First and second grader conducted from 12:30 to 13:00 and third graders conducted from 13:00 to 13:30. The tutors selected by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mathematical club teacher were instructed tutee to share his experience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rather than transferring knowledge centered on mathematics. We instructed to use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applying the intervention principle of intentionality, transcendence and meanig of the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As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effect validation of this study, we used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utoring program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tutoring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in the statistical results that controlled pre-scoring score of the mathematics subject between grades by ANCOV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tutor and tutee participating in tutoring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utor and tutee in the statistical results that controlled the pre-scoring scores of the mathematics subject of the tutor and tutee by ANCO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