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주권의 규범적 성격과 사이버안보

        박주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0 국가안보와 전략 Vol.20 No.1

        There is no issue in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 on cyberspace which is as difficult to address as sovereignty. The third and fourth UNGGE have reached a consensus in that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 — specifically, state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norms and principles stemming from sovereignty — applies to the use of ICTs by States. However, many issues surrounding sovereignty, such as the normative status of sovereignty or setting the threshold of a violation of sovereignty, remain unresolved. Recently, there have been notable statements of the UK and the US regarding the normative status of sovereignty in the application to cyberspace. The normative status of sovereignty sets a baseline for determining the legality of activities carried out in or through cyberspace. If sovereignty is not a binding rule under international law, it is legally allowed to carry out malicious cyber operations below the level of an unlawful intervention or prohibited use of force. Accordingly, at the national level, we need to discuss the permitted level of malicious cyber operations and set our own standard in light of the jurisprudence on sovereignty under international law.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positions of states which have stated sovereignty over cyberspace and offer suggestions for the cyber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사이버공간에 대한 기존 국제법 적용에 있어서 주권만큼 적용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규범도 없을 것이다. 비록 제3차 및 제4차 UNGGE에서 사이버공간의 이용에 대하여 기존 국제법이 적용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권및 주권으로부터 파생되는 규범 및 원칙이 적용됨에 국가들의 총의가 이루어졌으나, 주권 자체의 규범성에서부터, 주권 침해의 임계치, 주권과 인권의 관계 등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주권을 둘러싸고 여러 쟁점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특히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주권의 국제법상 규범적 지위에 관하여 최근 주목할 만한 입장이 영국과 미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주권의 규범성은사이버공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활동의 국제법적 합법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선을 설정하는 문제와도 관련된다. 주권의 규범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즉, 주권이 국제법상 구속력 있는 규칙이 아니라면, 불간섭 원칙 및무력 사용의 수준에 이르지 않는 사이버공간의 이용의 대부분은 국제법적으로 합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오늘날 발생하고 있는 국가에 의한 악의적인 사이버공간의 이용이 무력사용 수준에 이르지 않는 저강도(low-intensity) 수준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주권의 규범성에 관하여 국가적 차원의 숙고가 필요하다. 이에 본연구는 사이버공간에 적용되는 주권의 규범성에 대한 국가들의 입장을 평가해보고 한국의 사이버안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권의 행위규범성 연구

        엄순영 한국법철학회 2014 법철학연구 Vol.17 No.3

        We are already familiar with consumer sovereignty, food sovereignty, educational sovereignty and so on. So people are clamoring out their sovereignty in the street. I have defined this new phenomenon as ‘the nature of action norm in sovereignty’. This article explores all sorts of concepts involved in ‘the nature of action norm in sovereignty’. First when we accept the nature of action norm in sovereignty, the abstraction of sovereignty can’t assure the justification of legal order. It needs the concrete justification by the nature of sovereignty action once again. In that sense, the abstraction of sovereignty is realized through the nature of sovereignty action and the latter comes out of the former. This relation between abstraction of sovereignty and action refers to be the potential interaction. Also in sovereignty, the nature of action is different from the exercise method. The sovereign action, the act exerting sovereign power and right, means the public act which exercises the concrete and individual sovereign power and right to ingenerate the legal effect or the transcendental legal effect. And the legal act differs from sovereign ac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sovereign action, that is, inside or outside law and in the boundary space of. Also in sovereign action the decision action and the supervision are. Today in the modern state which shakes the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and links the global networks, sovereign action is very important in mutual checks and balances of state powers in or inter-state. And sovereignty has everyday character and of norm that always carry power and right working daily and lasting. The distinct feature of sovereignty represents both power and right. The power of sovereignty is derived from Being and the right not from a legal standpoint or moral university but is connected by the way of the independent existence. So we can classify individual sovereign action or solidary according to the exercise method of sovereignty, and to take legal effect or not according by occurring legal effect or not. Also there is something distinct from sovereign action, political action and civil act. In the end, I expect that sovereignty doesn’t affect the abstract and false justification of legal order but to be the magnifying glass illuminating the inner parts of legal order with the nature of action norm in sovereignty. 소비자주권, 식량주권, 교육주권 등등 주권은 어느새 우리 생활 속에서 친근한 언어로 사용되고 있고, 사람들은 주권을 거리에서 외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주권의 새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주권의 행위규범성’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본고에서 ‘주권의 행위규범성’을 탐구하였다. 우선 주권의 행위규범성을 인정할 때 주권의 추상성으로 법질서의 지속성과 정당성을 설명할 수 있지만 개개 법과 제도에 대한 정당성까지 설명할 수 없다. 법의 정당성은 주권의 행위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다시 정당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주권의 추상성은 주권의 행위성을 통해서 실현되며, 주권의 행위성은 주권의 추상성에서 나오는 것으로 주권의 추상성과 행위성은 주권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 잠재적 관계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주권의 행위규범성이 실현되는 행위를 주권행위라고 하고, 주권행위가 무엇인가를 정의하였다. 이를 정의하기 위하여 주권의 행위성과 주권의 행사방법은 구분하였다. 그리고 다시 법률행위와 주권행위를 구분하고, 주권행위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세 가지는 법 내·외 경계공간에 놓인 행위, 법 내적 행위, 법 외적 행위이다. 더 나아가 주권행위를 결정행위와 감독행위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권의 행위규범성을 인정할 때 나타나는 주권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주권은 일상적으로 작동하고 지속하는 항상적 권력이면서 권리라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일상성과 규범성을 갖고 있으므로 주권은 권력이면서 권리라는 것이다. 또한 주권은 존재의 고유성에서 나오는 권력이며, 주권의 권리성은 법적 관점이나 보편적 도덕원리에서가 아니라 주체의 실존적 존재방식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주권의 행사방법에 따라 개인적 주권행위와 연대적 주권행위, 법적 효과에 따라 법적 효과가 발생하는 주권행위와 그렇지 않는 주권행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주권행위가 정치행위나 시민행동과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필자는 ‘주권의 행위규범성’ 연구를 통해서 주권이 법질서를 정당화는 추상적이고 허구적인 프리즘이 아니라 법질서 전체와 함께 법질서 속 안까지 환하게 비추는 법의 돋보기로 작용하기를 희망하였다.

      • 주권(sovereignty)에 대한 소고

        김성진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연구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iscussion of sovereignty in the various fields of politics or political science and to explore the changing feature of sovereignty in the period of globalisation. After the Treaty of Westphalia of 1648, the world order had changed as divine and secular authorities separat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opular sovereignty,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nation-state, constituted a world order based on 'Westphalian sovereignty.' Democratisastion and globalisation after the cold war, however, are placing a strong challenge on the concept of 'Westphalian sovereignty.' Sovereignty as a supreme power in a polity consists of autonomy, control, and legitimacy. Globalisation process ignites the vehement debates of the future of nation-state and state sovereignty. Democratisation and pressures-from-below such as civic movement also encroach upon the control power of state sovereignty. However, more tangible challenges come from the conflicting feature of popular and state sovereignty. In fact, the 'Westphalian sovereignty' itself failed to solve a 'Hobbesian dilemma': popular sovereignty that brings end to a 'state of nature' in a country supports a 'state of nature' in an international setting. Furthermore, the efforts to apply the 'Westphalian sovereignty' in the real world politics often appear to fuel the debates only to reveal the gap between the theory of sovereignty and real politics. For instance, 'failed states' in which popular sovereignty collapsed while state sovereignty remains and deters foreign intervention, claiming thousands of lives of own people. By contrast, 'humanitarian intervention' often claims lives, sometimes more numbers of lives that proposed to be saved. Whether a 'hypocrisy' according to Stephan D. Krasner, or 'social constructs' as in constructivists' view creates such contradictions, a post-Westphalian concept of sovereignty is demand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reality.

      • KCI등재

        개항기 조선에서의 근대 주권(sovereignty) 개념의 전래

        왕신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80

        This paper considered the meaning and use of the word jookwon (主權) in Joseon and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western sovereignty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late 19th Century.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overeignty, the word jookwon had been used in China and Joseon. According to the Joseonwangjo sillok(朝鮮王朝實錄), jookwon has two meanings. Since the 1870s and into the 1980s, the concept of sovereignty has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legal books such as the Wanguogongfa(萬國公法).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modern sovereignty not only flows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legal books, but was also introduced into Joseon through newspapers and other writings. The Hansung sunbo and the Hansung jubo used words such as jookwon and jajookwon(自主權)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reporting on foreign news. In addition, the book of Seoyu gyeonmun(西遊見聞), which was published in Japan in 1895, introduced the concept of modern sovereignty. Therefor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jookwon was weakened while the concept of sovereignty was simultaneously in the process of being understood and accepted.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western concept of sovereignty can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merg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with the word jookwon. 본고는 근대 이전 조선에서의 ‘主權’ 용어의 사용 양상과 개항기 서양에서 잉태되어형성된 주권(sovereignty) 개념이 조선으로 전래된 경로를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고고찰하였다. 조선과 중국에서 주권 용어는 서양에서 ‘sovereignty’가 전래되기 전에 이미 전통적 의미로 사용하던 용어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주권의 뜻은 대체로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人主之大權/人主權柄’이고, 다른 하나는 ‘宗社廟制’에관한 것이다. 근대 주권(sovereignty) 개념은 1870~1880년대부터 『만국공법』, 『공법회통』 등의 국제법 서적을 통해 조선으로 전래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근대의주권(sovereignty) 개념은 『만국공법』 등 서적을 통해 한반도로 유입된 경로 외에 신문과 저술 등을 통해 전래되기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성순보』와 『한성주보』는 외보를 번역하여 보도하는 과정에서 직접 ‘주권’ 용어로 표하거나 ‘치국지권’, ‘자주권’ 등 용어로 해석하였다. 또한 1895년 일본에서 발간된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근대주권(sovereignty)의 개념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개항기 주권 개념(sovereignty)은 국제법 서적, 신문, 저술 등 여러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에서 ‘주권’ 용어가 원래의 뜻이 퇴색하고 근대 서양 ‘sovereignty’ 개념이 주입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 조선에서의 근대 주권(sovereignty) 개념의 전래 및 정착 과정은 주권(sovereignty) 개념과 ‘주권’ 용어가 융합되는 과정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픽션(fiction)」으로서 국민주권 ― 헌법상의 「국민주권」원리에 대한 단상 ―

        강희원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2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Principle of the Nation’s Sovereignty guaranteed by our Co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metaphor, namely “a legal fiction(AS-IF)”. Our constitution is declaring, “The Republic of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The sovereignty of the Republic of Korea lies with the Nation and all power comes from “the Nation”. What is the Constitution for us and what i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Nation’s Sovereignty? The answer is just a constitutional fiction for U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state”? Is the state an institution of the Nation, or a representative of the Nation, an institution of the stat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Nation is neither the subject nor the institution of the state. The Nation, whom the Constitution would speaks of, who do not exist in reality. The Nation is nothing but an abstract idea. In fac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ost human thinking processes are formed by metaphores, regardless of reality. The Metaphor has two functions in an accident. One is positive and the other is negative. The former i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some things through others, and the latter negative function is to close your eyes to reality. I think the constitutional sovereignty of the people is in the latter function. It identifies as if national sovereignty exists, and puts an imaginary meaning in its words. The public may go out to the polls for the upcoming parliamentary elections with relief as if the First Amendment is guaranteeing their sovereignty. So, after briefly summing up the concept of fiction, briefly examining how our Constitution expresses national sovereignty and how our constitutional textbooks interpret it, we took a brief look at what the content of the “national democracy” theory originally came up with in modern Europe, and what it claimed to be, going back to the so-called Civil Revolution period in France, where it originated, and looking back at the Korean reality of the Nation’s Sovereignty” as stipulated in our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Christian doctrine, the Creator God created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and operates it according to his will, but the reality of the church is that priests interpret God’s will as he pleases and operate the church as he pleases. The Creator God is omnipotent, and the priest is his agent. The clergy are in the church and are serious about the church. Isn’t this logic working in countries with the Principle of the Nation’s Sovereignty”? Just as Christianity is the theory behind the omnipotence of a priest in a church, it is the theory that makes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Nation’s Sovereignty” theory a de facto sovereign. The “Nation” only have the “Spring” of state power, and they cannot drink or let the spring water flow directly. The theory of Nation’s Sovereignty is “the doctrine of A Sovereignty of the representatives, by the representatives and for representatives.” Then, under our Constitu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clude that “Nation’s Sovereignty” is fiction!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실정치와 헌법상의 ?국민주권?과 그 이론의 허구성을 비판적으로 음미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치개혁을 위한 이른바 연동비례대표제의 도입에 관한 국회의원선거법의 개정과 관련해서, 야당에서는 여당 주도의 일방적인 선거법개정에 저항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개정선거법의 무력화를 위해서 자기당 소속의 국회의원을 파견(?)해서 자가당착적인 위성정당을 만들었고, 그 자가당착적인 야당의 위성정당을 응징한다는 명목으로 여당도 마찬가지로 국회의원을 파견해서 자가당착적인 꼼수로 그들의 위성정당을 급조해서 마치 정치적 가치를 공유하는 자매정당인 양, 국회의원의 선거에 나섰다. 이들의 작태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에게 있어 헌법이란 무엇이고, ?국민주권?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그래서 픽션의 개념을 간단히 정리하고, 우리 헌법은 국민주권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우리 헌법 교과서는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에, 근대유럽에서 발상한 ?국민주권?론의 내용이 본래 무엇이었으며, 그것이 어떠한 의도로 주장되었는지를 그것이 발원했던 프랑스의 이른바 시민혁명기까지 거슬러 올라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리고 우리 헌법에 규정된 ?국민주권?의 한국적 현실을 보면서, 과연 ?국민?에게 ?주권?이 있다고 하는 국민주권의 실체가 무엇인가를 돌아보았다. 사실, 인간의 사고과정은 대부분 현실과 관계없이 언어적 메타퍼(linguistic metaphor)에 의해 성립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고에 있어 메타퍼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하나는 긍정적인 기능이고, 또 하나는 부정적 기능이다. 전자는 어떤 사항을 다른 사항을 통해서 이해하고, 경험하게 한다는 것에 있고, 후자의 부정적 기능은 현실에 대해서 눈을 감게 하는 것이다. 헌법상의 ?국민주권?은 바로 후자의 기능에 있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마치 ?국민주권?이라는 말에 해당하는 실체가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파악하면서, 그 말에 상상적인 의미를 넣고 있는 것이다. 민중은, 마치 헌법 제1조가 자신들의 주권을 보장하고 있는 것처럼 안심하고 이번 국회의원선출을 위한 투표장으로 나갈지도 모른다. 헌법에서 말하는 국민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국민이다. 그러면 국가권력과 국민은 어떠한 관계에 있는 ?국민?과 ?국가?는 동일한가? 국가는 민국의 기관인가, 국민의 대표자는 국민의 기관인가, 국가의 기관인가? 헌법에 의하면, 국민은 국가의 주체도 기관도 아니지 않는가? 국민은 하나의 추상적인 관념에 불과하다. 헌법상의 ?국민?개념도 ?픽션(fiction, “as-if”, “Als-Ob”)이고, ?국민주권?개념도 ?픽션?이다. ?픽션?으로서 헌법이라 할 때, 헌법을 만든 자와 헌법 속의 국민이 불일치한다는 사태를 어떻게 이해야 하나? 헌법제정자가 진정으로 국민인가? 헌법상의 ?국민?은 헌법을 만들 수 없다. 현재 우리 헌법에 전제하고 있는 국민주권원리는 권력자의 지배를 은폐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지도 모른다.

      • KCI등재

        근대 주권의 진화와 유럽연합의 형성:새로운 ‘공유주권’을 중심으로

        나용우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future role of modern states and sovereignty, focusing on the changing concept of sovereignty. This paper argues that state is not the fixed and unchanged political structure but the changeable political entity from the view point of the particular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Sovereignty, which connotes the dominant attribute of the modern state, acquires different meanings as to the concept of state in changes. As the world faces the new political environment, Globalization challenges the role of states. In this respect, States and sovereignty have transformed into the new shape in order to overcome the these challenges. Focusing on the role of states in the western Europe, this paper explores new direction of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near future, as well as the reconstruction of sovereignty accordingly. Now we have to reconceptualize the new sovereignty in EU. Core of the new sovereignty is that the power or authority transfers into the EU from the member states. This transferring process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pooling sovereignty” in that EU and the member states share sovereignt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westphalian sovereignty is transforming into the pooling sovereignty. On a basis of the pooling sovereignty, European Integration is a “polity-creating process” in which authority and policy-making influence are shared across multiple levels of government-subnational, national, and supranational. 근대국가를 탄생시키고 세계적으로 확산시킨 유럽에서 가장 먼저 근대국가의 존재성을 훼손하는 역설적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연합은 회원국들이 배타적이고 독점적으로 권한을 보유하지 않고, EU의 초국적 기구들에게 양도하거나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 근대국가체제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전통적 국가와 주권의 개념에서 본다면, 유럽연합의 탄생은 국가들이 스스로 자신의 존재성을 포기하기로 결정하는 의미심장한 사건인 것이다. 그러나 주권의 가변성을 인정한다면, 유럽에서의 변화는 곧 새로운 주권으로의 재구성 과정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개별 국가에서 유럽연합으로의 주권 양도 또는 공유는 전통적인 주권개념이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근대주권의 진화 방향 중에서 그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럽연합에 대한 연구는 유의미하다고 하겠다. 더 나아가 근대주권의 변화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나아가 다른 지역의 국가와 주권의 변화 방향을 예측해볼 수 있게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사이버 공간의 안보화와 ‘사이버 주권’ 논쟁: 중국과 EU의 사이버 주권 담론 비교를 중심으로

        차정미(Jungmi Cha) 한국국제정치학회 2024 國際政治論叢 Vol.64 No.1

        Cyberspace is the primary space for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geopolitical conflict today, but it is also a key space for future leadership competition, normative competition, and governance competition. These conflicts and competitions in cyberspace are closely linked to the cyber sovereignty debate. The question of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sovereignty concepts to cyberspace, and the debate between China and the West over it, is a key factor in shaping international order and norms in the digital age. The divergent perceptions and competition between the West and China on cyber sovereignty can be a major constraint to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al norms for global internet governance and cybersecurity cooperation.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vereignty concept and discourses in cyberspace, a key element of global norms and governance in the digital age, focusing on EU and Chinese discourse. It examines how long-standing political controversies linked to the concept of sovereignty are nowadays linked to competing discourses on cyberspace, and compares the EU and China’s concept of sovereignty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ization of cyberspace. China advocates for a “Chinese Characteristic of Internet governance” (中国特色治网之道) and frames cyber sovereignty in terms of anti-hegemony and non-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The EU criticizes China and Russia’s sovereignty discourses for pursuing a diplomatic agenda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information flows and regime maintenance under the guise of cyber sovereignty, and emphasizes that the EU’s concept of sovereignty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authoritarian states’ cyber sovereignty discussions, emphasizing cyber sovereignty in terms of data sovereignty and technological sovereignty. In it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se Chinese and Western cyber sovereignty debates are likely to continue amidst the U.S.-China great power rivalry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특집 :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주권 개념 모색: 결단과 토론 사이에 선 주권 개념

        양천수 ( Chun Soo Yang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6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다룬다.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주권 개념은 무엇인가? 이 글은 현재 우리의 민주주의가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는 진단 아래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주권 개념이 무엇인지 모색한다. 먼저 주권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검토하였다(II). 여기서는 주권 개념이 개인적 권력에서 집단적 권력으로 변화되어 갔다는 점을 그리고 전체 사회가 분화되어 가면서 주권의 의미 역시 약화되어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적 주권 개념을 살펴보았다(III). 이 글이 슈미트의 주권 개념을 집중적으로 살펴본 이유는 오늘날 우리의 정치적 상황이 슈미트의 주권 개념을 연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왜 칼 슈미트가 결단주의적 주권 개념을 제시한 것인지, 이에 따르면 주권이란 무엇이고, 여기에는 어떤 한계가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슈미트의 주권 개념과 유신헌법의 연관성을 추적해 보았다. 이어서 오늘날 전통적인 주권이론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주권이론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다(IV). 이 글에서는 크게 세 가지 주권이론을 검토하였다. 의사소통적 주권이론, 다원화된 사회적 주권이론 그리고 개인적·보편적 주권이론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주권 개념에 관한 필자의 생각을 제시하였다(V). 여기서 필자는 크게 네 가지 테제를 주장하였다. 첫째, 주권과 인권은 구별해야 한다. 둘째, 주권은 의사소통적 권력으로 파악해야 한다. 셋째, 오늘날 주권은 다원적으로 분화되고 있다. 넷째, 정치적 주권은 여전히 다른 주권권력에 비해 우선적인 지위를 갖는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question: What concept of sovereignty we need today? As of the diagnosis that the democracy of our society is now meeting crisis, this article is explor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we need today. First of all, this article deals with a historical review of how the concept of sovereignty has changed (II). It shows two changes: First is that the concept of sovereignty has transformed from individual into collective power. Second is that the power and meaning of sovereignty are today continuously weakening because of the differentiating of modern society. After that, this article explores the sovereignty concept of Carl Schmitt (III). This article is focusing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of Carl Schmitt because today`s political situation of our society reminds us of his sovereignty concept. The author is trying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y Carl Schmitt proposed the sovereignty concept of decisionism, what is the sovereignty according to his decisionism, and whether there are any limits of his decisionism. In particular, the author is searching a relevance between the sovereignty concept of Carl Schmitt and the “Yousin Constitution”. Then, this article explores the question of what sovereignty theory is there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sovereignty (IV). This article examines three theories of sovereignty: Theory of communicative sovereignty of Habermas, theory of differentiated social sovereignty of Teubner, and theory of individual universal sovereignty. Finally, the author proposes his opinion about the concept of sovereignty we need today (V). The author argues here four major thesis: First, w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Second, sovereignty should be identified as a communicative power. Third, the concept of sovereignty is today being differentiated. Fourth, political sovereignty is still a preferred position compared to other sovereignty.

      • KCI등재

        한말 근대 주권 개념의 수용 양상 -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왕신(Wang, Che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8

        근대 서양의 주권 개념(sovereignty)은 1870~1880년대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선의 주권이 심각한 위협을 받기 시작함에 따라 당시 한반도에서 근대 주권 개념의 형성과 정착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같은 때에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여러 신문은 주권 관련 글을 실으면서 근대 주권 개념을 소개하며 주권 개념의 이미지를 주조하였다. 본고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된 주권과 관련된 400여 편의 글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 주권, 주권자, 주권국 등 근대 주권 관련 용어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주권 용어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서 주로 대외적 시각으로 국가 주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황성신문》에서 주권과 국권 용어는 중합(重合)되거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던 현상이 발견된다. 이와 달리 《대한매일신보》에는 국권 용어가 주권의 동의어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권과 구별하며 병행되어 사용된 경우도 존재한다. 다음으로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주권 용어가 모두 군주 주권의 뜻으로 사용된 기사가 있으며 주로 대내적 시각이다. 관련 글의 논자가 서양 지식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맹자를 비롯한 유교사상을 기본으로 삼았고, 이는 근대 주권 개념의 모습과 전통 사상의 잔여가 공존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며, 근대 주권 개념이 한반도에서 정착되는 단계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국가 주권을 대신하여 한민족의 주권이라는 선포는 민족적 주권 인식의 맹아로 볼 수 있는 대목일 것이다. 민족적 주권 인식은 대외적으로 민족의 주권을 주장하는 동시에 대내적으로 군주 주권에서 인민 주권으로 전환하기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round the 1870s, the concept of sovereignt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it varied depending on class and time period. However, in the 1900s, as Joseon"s sovereignty began to be seriously threatened, the formation and settlement of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at that time emerged as an important task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Meanwhile, several newspapers, including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published articles on sovereignty, introduced the concept of modern sovereignty, and cast images regard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erms related to modern sovereignty based on 400 articles about sovereignty published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of all, the term sovereignty was used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with the meaning of national sovereignty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In the Hwangseong Shinmun, a phenomenon in which the terms of sovereignty and national authority being used as synonyms is found. On the contrary, in the Daehan Maeil Shinbo, the term of national authority is not only used as a synonym for sovereignty,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as distinct from each other. Next,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both forms of sovereignty were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monarchical sovereignty, mainly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knowledge, the author of the related article used Confucian thoughts including Mencius as a basis. This appears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and the remnants of traditional ideas coexist and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being settled upon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Lastly, the declaration of the sovereignty of the Korean people on behalf of the sovereignty of the state may be seen as the sprout of recognition of national sovereignty.

      • KCI등재

        독도주권과 국제법적 권원의 계보에 관한 연구-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권원을 중심으로-

        도시환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올해는 대한제국이 칙령 제41호로 독도 영토주권을 천명한 지 120주년이자, 일본에 의한 을사늑약 115년과 한국강제병합 110년이 중첩되는 역사적인 해이다. 을사늑약 100년이던 2005년 일본은 시마네현을 통해 ‘죽도의 날’을 선포하여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침탈의 역사를 기념하고 계승한 이래, 2020년 재개관한 영토주권전시관에서는 1905년 이후 일본의 국제법상 합법적 지배와 한국의 불법점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게 된다. 그것은 일본 제국주의 침략노선의 근간인 일제식민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지속적인 독도주권 침탈의 역사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에서 오늘 우리에게 부여된 역사적 과제에 대해 다시 검토해 보게 된다. 독도는 한국 영토주권의 상징이자 명백한 우리의 고유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독도주권에 대한 일본의 도발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일본정부가 한국의 독도주권을 인정한 1696년 에도막부의 도해금지령과 이를 승계한 1877년 메이지 정부의 태정관지령을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국제법적 권원을 강화하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존재한다. 국제법상 권원(title)이란 영토주권과 관련하여, 문서상의 증거에 국한되지 않고 권리의 존재를 확립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증거와 권리의 현실적 연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당하고 적법한 권원이 결여된 권리는 성립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자체가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불법적인 침탈도발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전제에서 일제식민주의에 입각한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정책적 토대로서 국제법적 권원 법리의 계보를 추적하고 주장의 법리적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일본 국제법학계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권원 주장의 계보는 미나가와 다케시(皆川洸)의 역사적 권원론, 우에다 도시오(植田捷雄)의 본원적 권원론, 다이쥬도 가나에(太壽堂鼎)의 대체적 권원론, 세리타 겐타로(芹田健太郎)의 공유적 권원론으로 이어지며, 권원 계보의 정점에 히로세 요시오(広瀬善男)의 국제법사관을 전제로 한 독도영유론이 존재한다. 일본의 국제법 권원 계보의 귀결점인 히로세 요시오의 국제법사관은 제1차 세계대전을 경계로 ‘식민지화’와 ‘비식민지화’로 개념을 구분하여 식민지배와 독도영유권 문제를 분석한다. 비식민지화란, 국제연맹기 법질서의 성립을 계기로 새로운 식민지 형성의 행동이나 강제적인 타국의 보호국화 혹은 영역편입행위는 완전히 위법하다는 것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을사늑약과 한일병합의 국제법상 합법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독도영유권 문제를 분리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일본이 대한제국의 독도주권 선포 이후 1905년 독도 편입조치를 했으나, 국가활동의 지속적인 전개에 따른 영유권 주장의 유효성 결정에는 양자간 군사적 지배력 등 상대적인 권력관계가 당시 국제법에서 일반적으로 승인, 둘째, ‘실효적 점유’라는 것은 토지의 현실적 사용이나 정주라는 물리적 점유보다도 해당 지역에 대한 지배권의 확립이라는 사회적 점유로서 일본의 점유 상황이 국력을 배경으로 최종적인 법적 효과를 귀속, 셋째, 일본이 영역편입조치를 취한 1904년~05년의 시기에 소규모 일본인의 어업이 실시되었고, 조선 측으로부터의 유효한 항의나 배제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던 점은 독도에 대한 일본정부의 실효적 관리가 있었다 ... This year marks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Empire’s declara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on Dokdo under Edict No. 41, and is a historic year that overlaps the 115 years of the forced protectorate Treaty of Korea by Japan and 110 years of the forced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Since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Dakeshima Day through Shimane Prefecture in 2005 and commemorated the history of the invasion of Dokdo sovereignty in Korea, the territorial sovereignty exhibition hall, which was reopened in 2020, is notable, in that it emphasizes legal control of Japan and illegal occupation of Korea under international law since 1905. It should be reviewed again on the historical task given to us today, since the history of Japan's continued invasion of Dokdo sovereignty based on Japanese colonialism which is the basis of the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line is still ongoing. Despite Dokdo being a symbol of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is inherent territory, Japan’s provocations against Dokdo continue. In particular, the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d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through the Edo Shogunate’s Prohibition on the crossing the seas of 1696 and the Dajokan Directive of State in 1877. Nevertheless, there is a seriousness of the problem in that it not only intentionally conceals it but also converts it into a polic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legal titles. The title under international law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forms of evidence and sources of rights that can establish the existence of rights beyond documentary evidence in relation to territorial sovereignty. Japan's claim to Dokdo itself is an illegal invasion of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because it cannot be established a title lacking legitimate and legitimate rights. In this premise, as a policy basis for Japan's claim to Dokdo based on Japanese colonialism, I traced the genealogy of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legal titles and examined the legal problems behind her claims. The genealogy of claim of title to Dokdo in Japanese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is ‘the theory of historical title’ by Takeshi Minagawa, ‘the theory of original title’ by Toshio Ueda, ‘the theory of substitutional title’ by Kanae Daijudo, ‘the theory of common occupancy title’ by Gentaro Serita and at the peak of the genealogy of the title of Dokdo's sovereignty, there is ‘the theory of effective territorial title’ based on the view of history on International Law by Yoshio Hirose. Yoshio Hirose, the epitome of Japan’s genealogy of legal scholars based on international law on Dokdo, analyzes the issue of colonial rule and Dokdo sovereignty by differentiating of ‘colonization’ and ‘non-colonization’ with the context of World War I. Noncolonialization is the formation a new colony or the forced protection of foreign country or an illigal incorporation of territory is completely illegal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League Law. However, the essence of, concerning Noncolonialization is a claim of legality concerning Japan’s formation of a Protection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prior to World War I under international law and segregate the issue of Dokdo sovereignty to secure Japan’s title as follows. First, Japan took measures to incorporate Dokdo in 1905 after the declaration of Dokdo sovereignty of the Korean Empire. Japan’s validity of the claim of sovereignty follow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national activities, power relations based on comparative military strengths of the two were generally approved by international law contemporary, Second, ‘effective occupancy' refers to the social occupation or control over the area rather than the actual use of land or physical occupation of a territory, and the situation of Japanese occupation attributable to the final legal effect against the background of national power. Third, the small-scale Japanese fishing was carried out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