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공동체의 재봉건화와 규제

        양천수(Yang Chun Soo) 한국부패학회 2007 한국부패학회보 Vol.12 No.2

        Die vorliegende Arbeit möchte die folgende These aufstellen, dass das Phänomen der Refeudalisierung von Internetgesellschaften und damit die Problematik einer neuen sozialen Korruption in “Cyberspace” sichtbar sind. Um die These zu begründen, möchte der Autor das Thema der Refeudalisierung der Internetgesellschaften als soziale Korruption im Folgenden untersuchen. Zunächst stellt die vorliegende Arbeit die Konzeption der “Zivilverfassung ohne Staat” von Gunther Teubner vor, in der er die positive Bedeutung von Internetgesellschaften sehr betont, um das kritische Potenzial der Internetgesellschaften festzustellen (II). Um das Phänomen der Refeudalisierung von Internetgesellschaften, die von Haus aus das kritische Potenzial haben sollten, theoretisch zu erklären, will sich die vorliegende Arbeit auf die These des “Strukturwandels der Öffentlichkeit” von Habermas berufen (III). Danach geht die vorliegende Arbeit kurz darauf ein, wie unsere Internetgesellschaften einen Strukutrwandel erfahren hat (IV). Letztendlich wird die Frage beantwortet, ob ein solcher Strukturwandel von unseren Internetgesellschaften als eine soziale Korruption begriffen werden kann, und zugleich die Problematik der juridischen Regulierungen der Refeudalisierung der Internetgesellschaften behandelt (V).

      • KCI등재
      • KCI등재

        탈인간중심적 법학의 가능성

        양천수(Chun-Soo Y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6

        현대사회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은 법학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말할 수 있다. 첫째,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규제영역이 등장한다. 둘째, 과학기술은 기존의 법학이나 법체계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고방식을 던져준다.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은 한편으로는 기존의 법체계와 충돌해 규제갈등을 야기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법체계에 수용되어 법체계가 새롭게 진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 글은 이러한 새로운 사고방식으로서 ‘탈인간중심적 사상’에 주목한다. 이러한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아직까지 우리 법체계가 바탕으로 삼는 ‘인간중심적 법사상’과는 다른 사고방식을 추구한다. 인간중심적 법사상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법체계를 설계한다. 이 글은 이러한 인간중심적 법사상이 <주체-객체 모델>, 자유의지, 행위중심적 사상, 인간중심적 생명 개념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달리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주체를 확장하여 인간적 주체 대신 체계를 법체계의 중심으로 이해하고, 행위 대신 소통으로 법체계를 설계한다. 또한 자유의지는 허상이라고 비판하고, 인간중심적 생명 개념을 해체한다. 그러면 이러한 탈인간중심적 사상은 법학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 글은 행정법학을 예로 하여 이러한 탈인간 중심적 사상이 행정법학에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런데 이 글에 따르면, 우리 행정법학은 이미 탈인간중심적 사상을 상당 부분 수용하고 있다. 이 글은 행정법학이 체계 관념과 소통관념을 상당 부분 수용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국가로 대변되는 법인 개념과 행정계획, 권력적 사실행위의 처분성이 이를 잘 예증한다. 물론 여전히 미흡한 부분도 있는데, 이 글은 그 예로서 집단적 권리를 언급한다. 또한 법정책적인 측면에서 체계이론이 강조하는 ‘기능적 분화’를 행정법학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Science technology that has developed greatly in a modern society has become a serious challenge to the law. This can be said in two respects. First, new regulatory region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emerge as scientific technology advances. Second, scientific technology gives us new ways of thinking that the existing law and legal system did not recognize. These new ways of thinking conflict with the exiting legal system, leading to restrictions and conflict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are accommodated by the existing legal system,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of the legal system. This article addresses post-anthropocentric thought which is one of the new ways of thinking. Thes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pursues the ways of thinking that are different from ‘anthropocentric thought’ on which our legal system is still based. Anthropocentric legal thought designs the legal system based on huma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is anthropocentric legal thought is composed of <subject-object model>, actions-centered thought and anthropocentric life concept. On the contrary, post-anthropocentric thought regards the system, not the human subject, as the center of the legal system, by expanding the human subject. Furthermore, it criticizes that free will is just an illusion, deconstructing anthropocentric life concept. What significances does th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have for administrative law?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ddress how post-anthropocentric thought can be accepted by the administrative law. However, according to this article, our administrative law has already accepted a large portion of the post-anthropocentric thought.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administrative law accommodates itself to the systems and communications concept. The judicial person concept represented by a state, administrative plans and authoritative factual actions illustrate this well. Of course, there are still inadequate parts, so this article makes a reference to the collective right as an example. In addi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administrative law needs to accept the thesis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emphasized by the systems theo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범위의 법정책

        양천수(Yang, Chun-Soo)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 공법학연구 Vol.17 No.4

        “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이 글은 기초법학, 특히 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한다.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정착하면서, 무엇보다도 실질적 법치주의가 등장하고 행정법에 대한 헌법적 통제가 강화되면서 사법적 통제대상이 되는 행정작용의 영역은 점차 확대되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행정법 이론들도 속속 만들어졌다. 이는 크게 세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행정처분의 개념이 확장되었고, 둘째는 원고적격이 확대되었으며, 셋째는 재량행위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다. 그렇지만 최근 들어서는 행정작용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억제하고자 하는 이론적 주장이 제시되고 있다. 판례 역시 이를 반영하듯 행정작용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자제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 확장론과 축소론이 여전히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사법적 통제 확장론은 특히 비례성원칙을 무기로 하여 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적극 옹호한다. 이와 달리 사법적 통제 축소론은 사법의 정치화 그리고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원용하여 이에 반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은 체계이론의 ‘기능적 분화 테제’를 활용하여 이 문제에 접근한다. 이 글은 행정과 법은 각각 독자적인 사회적 체계이고, 이로 인해 각각 다른 프로그램과 코드, 매체를 사용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 결과 행정과 법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행정적 판단과 법적판단은 서로 대체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근거에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낸다. 적법성의 측면에서 행정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내용적인 측면, 특히 행정청의 재량행위에 대한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기능적 분화 테제에 합치하지 않기에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What will be the desirable setting of judicial control range for administration?” This study seeks to resolve this problem. To elucidate this, this study invokes the perspectives of jurisprudence, especially of the systems theory. As the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took roots, especially the substantial constitutionalism emerged, the constitutional control over the administrative law has been strengthened. Furthermore, the theories of administrative law supporting this are made one after another, especially in three domains. First,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has expanded; second, the standing to sue has expanded, and the control over discretionary acts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in recent years, the theoretical claims to suppress the judici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actions have been proposed. The judicial precedents also show the attempts to refrain the judicial control over the administrative actions as if they reflect this trend.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is a tense conflict between the theory of judicial control expansion and the theory of judicial control retrenchment. The theory of judicial control expansion, in particular, enthusiastically embraces the judicial control over administration using the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as a weapon, whereas the theory of judicial control retrenchment opposes to it invoking the politicization of the judiciary and the political economy analysi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pproaches this problem utilizing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esis of the systems theory. This study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administration and the law are independent social system, so these use different programs, code and media. Therefore, they perform different roles, which indicates the administrative judgement cannot be substituted for the legal judgment. Based on this grounds, this study derives the conclusions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ity, it is desirable to strength the judicial control over the administration. However, the strengthening of the judicial control over the contextual aspects, especially the discretionary acts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must be avoided because it does not agree to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esis.

      • KCI등재

        환경문제와 법철학 -구조,시각,법적 쟁점 및 대응-

        양천수 ( Chun Soo Yang ) 한국환경법학회 2010 環境法 硏究 Vol.32 No.1

        이 글은 환경문제를 법철학적 시각에서 전체적으로 다루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개별적인 문제를 상세하게 다루기보다는, 환경문제의 구조, 환경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환경과 관련해 등장하는 법적 쟁점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법철학의 차원에서 조감하고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먼저 논의의 전제로서 환경문제가 지닌 구조적 특성을 다룬다(II). 여기서는 `환경 개념의 다원성`, `환경문제에 대한 상이한 시각`, `환경문제의 복잡성`을 살펴본다. 이어서 환경에 대한 기본시각에는 무엇이 있는지 검토한다(III). 여기서는 법철학의 토대 위에서 주로 `인간중심주의`와 `환경중심주의`를 시야에 넣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법철학의 시각에서 볼 때 환경문제에는 어떤 법적 쟁점이 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한다(IV). 우선 법적 쟁점으로서 `법적 주체 범위의 확장`, `환경이익 개념의 확장`, `경제화`를 다루고, 이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의 기초로서 `환경법의 절차주의화`, `환경법의 전문법화`, `환경소송의 공익소송화`를 제안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sich mit den okologischen Problemen uberhaupt aus rechtsphilosophischer Sicht zu beschaftigen. Zunachst behandelt sie als Ausgangsargument strukturelle Charakter der okologischen Probleme(II). Dabei kommen `Pluralitat des Umweltbegriffs`, `verschiedene Perspektiven gegenuber den okologischen Problemen` und `Komplexitat der okologischen Probleme` in Betracht. Danach unt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zwei Perspektiven uber das Verhaltnis zwischen Menschen und Umwelt. Dabei treten hauptsachlich der `Anthropozentrismus` sowie `okologismus` in den Vordergrund. Letztendlich geht die vorliegende Arbeit auf sowohl rechtphilosophische Probleme als auch Richtungen und Methoden der juristischen Einstellungen gegenuber den okologischen Problemen ein(IV). Hierbei widmet sich die vorliegende Arbeit den Problemen von `Erweiterung des Rechtsubjekts in dem Umweltrecht`, `Ausweitung der okologischen Interessen` und `okonomisierung im Umweltrecht`. Danach stellt der Autor als Grundlagen der juristischen Einstellungen `Prozeduralisierung des Umweltrechts`, `Konzeptualisierung des Umweltrechts als Sonderbereichsrecht` und `Konzeptualisierung des Umweltprozesses als Public Interest Litigation` auf.

      • KCI등재
      • KCI등재

        사법심사로서 법률에 반하는 법형성 ―홍진기의 주장을 예로 하여―

        양천수 ( Chun-soo Yang ) 안암법학회 2021 안암 법학 Vol.- No.63

        미군정 당시 김병로 대법원은 상당히 흥미로운 판결을 내린다. 부부 사이의 행위능력을 명백하게 차별하는 의용민법 제14조가 문제된 사건에서 김병로 대법원은 민주주의와 남녀평등을 이유로 하여 제14조 적용을 거부한다. 결과만 놓고 보면 이 판결은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시 헌법이 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법원이 과연 현행법으로 효력이 살아 있는 의용민법 제14조의 적용을 거부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 근거가 무엇인지 문제된다. 이에 관해 대법원 판결이 선고된 당시에도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논증을 전개한 법률가로 홍진기를 언급할 수 있다. 홍진기는 독창적인 주장과 논증으로 위 대법원 판결을 지지한다. 여기서 홍진기는 미국 연방대법원이 확립한 사법심사이론을 수용하고 ‘생성중의 국가’(the state in the making) 이론을 창안하여 대법원 판결을 정당화한다. 위 대법원 판결은 법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 크게 두 가지 쟁점과 관련을 맺는다. 첫째는 법률에 반하는 법형성 문제이고 둘째는 사법심사, 즉 헌법재판 문제이다. 그중에서 홍진기는 주로 두 번째 문제를 다룬다. 그렇지만 이 문제는 법학방법론의 측면에서 볼 때 법률에 반하는 법형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오늘날 국가의 구성원리로 정착된 법치주의에 따르면 법관은 법률에 엄격하게 구속되어야 하는데 당시 대법원은 실정민법에 구속되지 않고 오히려 이를 거부하는 판단을 하였기 때문이다. 법학방법론에서는 이를 허용할 것 인지에 논란이 전개되는데 홍진기는 이 문제를 사법심사의 문제로 보고 ‘생성중의 국가’ 이론을 원용하여 해결한다. 이 글은 홍진기의 논의를 분석의 중심축으로 삼으면서 법률에 반하는 법형성 문제를 추가적으로 다룬다. 특히 어떤 점에서 법률에 반하는 법형성이 사법심사 문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홍진기가 전개한 논증, 특히 ‘생성중의 국가’ 논증이 가진 법적 의미를 살펴본다. At the tim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Korean Supreme Court of Byung-ro Kim made a very interesting ruling. In the case in which Article 14 of the old Japanese civil law, which clearly discriminates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in ques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of Byeong-ro Kim refused to apply Article 14 on the grounds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Considering the results alone, this judgment seems very reasonable.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the Supreme Court had the authority to reject the application of Article 14 of the old Japanese civil law, which was still in effect as the current law, in the situation where the Korean Constitution was not enacted at the time, and if so, what is the basis for that? Even at the time when the Supreme Court’s judgment was passed on this matter, a fierce debate arose between remarkable lawyers. Among them, Jin-gi Hong can be mentioned as the lawyer who developed the most notable argument. Jin-gi Hong supported the above Supreme Court’s judgment with original and creative arguments. Here, Jin-gi Hong accepted the judicial review theory established by the U.S. Supreme Court and created the theory of ‘the state in the making’ to justify the Supreme Court’s judg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egal theory, the above Supreme Court’s judgment is largely related to two issues. The first is the issue of ‘Rechtsfortbildung contra legem’, and the second is the issue of judicial review, that i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Among them, Jin-gi Hong mainly was dealing with the second issue. However, this issu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chtsfortbildung contra leg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egal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ule of law established as on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f today’s modern states, judges should be strictly bound by the law. However, the Supreme Court at that time was not bound by the positive civil law, but rather rejected it. In the legal methodology, there is a controversy over whether to allow this. This article takes Jin-gi Hong’s argumentation as the central axis of analysis and additionally deals with the problem of Rechtsfortbildung contra legem. In particular, it shows how the Rechtsfortbildung contra legem can become a matter of judicial review. In addition, the legal meaning of the argument developed by Jin-gi Hong, especially the argument ‘a state in the making’ is examined.

      • KCI등재

        책임과 정의의 상호연관성

        양천수(Yang, Chun-Soo)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圓光法學 Vol.24 No.2

        Seit längerer Zeit werden Verantwortung sowie Gerechtigkeit nicht nur von der Rechtswissenschaft bzw. Rechtsphilosophie, sondern auch von der Moral- und Sozialphilosophie als eins der wichtigsten Probleme behandelt. Dies bestätigt dadurch, dass sich manche Rechtswissenschaftler sowie Sozialphilosphen mit diesem Problem beschäftigt haben, und damit dass sie ihre jeweilig eigenen Theorien aufgestellt haben. Bei der Verantwortung gab es z. B. einen heftigen Streit darum in der deutschen Strafwissenschaft, was das Wesen der Verantwortung und der Grund ihrer Notwendigkeit seien. Zugleich gab es auch Auseinandersetzungen um das Thema der Willenseiheit bzw. der Handlungsfreiheit in englisch-amerikanischer Philosophie. Zu der Gerechtigkeit gibt es den Beleg, dass es einen Streit darum zwischen der Naturrechtslehre und dem Rechtspositivismus gab, ob die Gerechtigkeit ein materialer Begriff oder nur ein formaler sei, und dass es auch einen Streit zwischen dem Liberalismus und dem Kommunitarismus gab. Wenn wir aber die bisherigen Auseinandersetzungen über die Verantwortung und die Gerechtigkeit analysen, dann könnten wir die Tendenz erblicken, dass sie sich zwar auf die ihre eigene Frage, d. h. die Verantwortung bzw. die Gerechtigkeit konzentriert haben, aber dass sie das Verhältnis von der Verantwortung und der Gerechtigkeit nicht behandelt haben. In diesem Zusammenhang hat aber ein englischer Rechtsphilosoph Tony Honoré so behauptet, dass die Verantwortung Selbstachtung (self-respect), individuelles und soziales Wohl befördere. Wenn man diese Behauptung gut untersucht, dann liegt es auf der Hand, dass es einen gewissen Zusammenhang von der Verantwortung und der Gerechtigkeit gibt. Was ist dann der Zusammenhang überhaupt, wenn dies der Fall ist? In diesem Zusammenhang möchte sich die vorliegende Arbeit damit beschäftigen, einen Zusammenhang zwischen der Verantwortung und der Gerechtigkeit zu skizzieren: Konkreter gesagt, ob es einen gewissen Zusammenhang zwischen ihnen gibt, was der Zusammenhang ist. Jedoch bleibt diese Untersuchung wegen des Charakters der vorliegenden Arbeit als eine unvollständige Skiz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