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조윤경(Cho Youn Kyung),정지영(Jeong Ji Young),임은미(Lim Eun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8개 영역의 39항목으로 구성된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제시하고, 각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2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는 5점 만점 중 4.50으로 매우 높았으며,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의 순이었다. 순회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기대가 낮은데 비해,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위기상담’, ‘아동이해를 위한 정보제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상담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들은 전체 하위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보였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평가는 5점 만점에 3.65로 전체적으로 기대(4.50)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등이었다. 상주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들은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전문상담교사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기대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 상담의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와 가장 긴밀한 협조를 해야 할 담임교사의 시선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in Jeonbuk.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9 items of 8 sub-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Jeonbuk. The role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bout school counselors were very high(M=4.50 points out of 5.00). While the expectations of the Client Protection, the Crisis Counseling,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high, that of guidance was low.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chools which have visiting school counselors had low expectations in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Crisis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whereas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risis Counseling,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counseling training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n all sub-factors.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M=3.65 points out of 5.00) was lower than expected.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s received high evaluation were the client protection , the crisis counseling ,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 Homeroom teachers who have full-time school counselors evaluated high abou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such as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about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ar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view of homeroom teachers who shoul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counselo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별 수퍼비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허난설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Supervis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chool counselor training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ntiated supervision models for school counselors can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s of the school counselor trainees, and consolid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addition,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an facilitate the networking process among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event their burnouts. In spite of the necessities and benefits mentioned abov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ported about the supervision model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supervision models which can apply into the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du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 divided the Korean school counselor development into the three phases - school counselor trainee level, novice school counselor level, and skilled school counselor level. Then,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pervision modalities an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each developmental phase were provided. Last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system changes which can increase the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school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학교상담자 훈련 및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수퍼비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학교상담자들을 위해 차별화된 수퍼비전은 학교상담자를 희망하는 수련생들이 종합적인 학교상담자의 업무를 이해하고, 학교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활동 중인 학교상담자들에게도 수퍼비전은 동료 간 네트워킹 및 소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혜택에도 불구하고, 학교상담자 수퍼비전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매우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학교상담자 수퍼비전 문헌들을 분석하여, 한국 학교상담자 교육에 적용 가능한 수퍼비전 모델 및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를 학교상담 수련생 단계, 입문기 학교상담자 단계, 숙련기 학교상담자 단계로 나누고, 각 발달 단계별로 수퍼비전의 목적과 발달단계의 특성, 수퍼비전의 형태, 적용 가능한 이론적․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자를 위한 수퍼비전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 제도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언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수행 및 처우에 대한 만족도

        조영희 ( Young Hee Cho ),허승희 ( Sung Hee Huh )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2007 釜山敎育學硏究 Vol.20 No.1

        이 연구는 전문상담 교사들이 하고 있는 역할 수행 및 처우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강원도 및 제주도에 배치되어 있는 전문상담 교사 31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전문상담 교사의 역할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역할의 전 영역에 걸쳐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지역별로 분석해 본 결과, 의뢰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는 서울, 경기지역, 자기개발 및 연구활동 그리고 조정 역할은 강원도와 제주 그리고 행정 및 사무에서는 충청권이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청에 소속된 전문순회상담교사들보다 학교에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상담 교사들의 현실적 처우에 대한 만족도에서, 대부분의 전문상담 교사들이 전문성에 대한 존중과 근무 환경에 대해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role performance and working condition of school counselor.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set up. First, There would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satisfaction about role performance of school counselor by the province and position of school counselor. Second, There would be meaningful differences on satisfaction about working condition of school counselor by the province and position of school counselor. To verify this hypothesis, 106 school counselors from the Provinces of Seoul, Gyeonggi, 111 school counselors from Yeongnam Province, 35 school conuselors from Chuncheong Province, and 24 school counselors from other Provinces (Gangwon, Jeju), with the total at 310 school counselors were selected. The tool for the investigation was the questionnaire (You Soon-haw, Ryu Nam-ae, 2006). For data analysis F, t and X2 verification was used with SPSSWIN(version 14.0).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counseling teachers was below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role satisfaction level by the province and the type of school counselor. The difference of role satisfaction level by the province was especially in the area of referring and management, cooperation, self development, and program development. A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with counseling works, school counseling teachers felt more satisfied than circuit school counselo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bout working condition of school counselor by the province and position.of school counsel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bout working condition was especially in the area of people`s respect for their specialty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promotion, budget and pay.

      • KCI등재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 클래스 상담자의 인식 분석

        김민향,김동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and properties of Wee Class counselor’s percep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by using Q-methodology in exploratory manner. As a resul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were sort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was named 'Role perception focusing on independent manage school counseling office'. In this case, a school counselor acted as a manager of school counseling office, apart from school organization. The counselor could enjoy a considerable degree of autonomy in the running of the office. The second type was named 'Balanced role perception', having a balanced role perception as a therapist and a member of school organization. The third type was called 'Role perception focused on Psychotherapy'. This type put more emphasis on a therapist’s role than a school counselor’s role and concentrated on improving the capability of a school counselor. These types had a similar percep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but had an different awareness in terms of 'the independence of school counseling office' and 'the goal of a school counselor'. Lastly,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regard to school counseling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Wee 클래스 상담자가 생각하는 학교상담자의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역할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세 가지 인식 유형이 추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상담실의 독립적 역할주장형’으로, 학교조직과 구분된 독자적인 학교상담실 운영을 강조하는 유형이었다. 두 번째 유형은 ‘상담실의 균형적 역할인식형’으로, 상담자이자 학교조직원으로서의 역할을 비교적 균형있게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었다. 세 번째 유형은 ‘상담실의 심리상담 중심 역할인식형’으로, 학교상담자라기 보다 일반 상담자로서의 역할인식을 가지고, 상담자의 전문적 역량 증진에 집중하는 유형이었다.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세 유형은 비교적 유사한 역할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상담실의 독립성 추구’와 ‘일반 상담자와는 다른 학교상담자의 역할목표’에 관한 주제에 대해서는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학교상담에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사건 처리과정에 대한 학교상담자의 경험과 인식

        홍지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ors who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Fourteen school counselors -5 from elementary, 5 from middle, and 4 from high school–were interviewed,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focus groups. To ensure objectivity, the research team and the audit team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Six domains (school violence incidents experienced by school counselors, interventions for the incidents,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factors which affected the process of addressing the incidents, and suggestions on school violence), 21 categories, and 70 concepts for elementary, 74 for middle, and 84 for high school were derived. First, the interventions used by school counselors include separation of victims from perpetrators, counseling-based approaches, perspective taking, reflective self-awareness, realistic perceptions on circumstances, coope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institutions, and temporary protection of victim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s,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poor job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volved, feeling of burden for taking a coordinating role, and ineffective interventions performed at the systemic level. Second, school counselors took on multiple roles such as counselors, consultants, and coordinators. Third, effective interventions perceived by school counselors were counseling-based approaches, utilizing available resources, and drawing settlements. In contrast, ineffective interventions were one-way punishments and unprepared interventions. Fourth, the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were affected by awareness and capabilities of school counselors, attitudes and roles of teachers and parents involved,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timing, developmental factors, and so forth.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rom which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re explored, curriculum designed to establish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and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re developed, and further related systems and policies are improv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가 학교폭력사건의 처리과정에 개입했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문상담교사(초등학교 5명, 중학교 5명, 고등학교 4명)들이 참여한 학교급별 3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팀과 감수팀이 자료 분석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 ‘학교폭력사건의 개입’, ‘학교상담자의 역할’, ‘개입 효과’, ‘학교폭력사건 해결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폭력사건 및 학교상담에 대한 제안’의 6개 영역과 21개의 범주, 초등학교 70개, 중학교 74개, 고등학교 8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사건은 개인적 요인, 공동체 요인이 함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사건의 발단은 폭력에 대한 개념 없이 시작되지만, 학생들간의 갈등과 학ㅂ모 개입 등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사건의 유형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사이버 폭력, 따돌림 문제 가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학교급별로는 신체폭력, 언어폭력, 관계폭력 등이 나타나거나 혼재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학교상담자의 개입방법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분리, 상담적 접근, 서로의 입장 이해, 반성적 자기인식, 상황에 대한 현실적 인식, 다른 교사, 외부기관과 협력, 피해학생 일시적 보호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본적인 업무환경의 열악함, 관련 학생 및 학부모의 성격특성 및 태도로 인한 개입의 어려움, 중재역할에 대한 부담, 제도적 개입의 효과가 미비함 등의 어려움을 느꼈다. 둘째, 학교상담자들은 상담가, 자문가, 조정가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상담적 접근, 주변의 자원을 활용, 자발적인 합의를 끌어냄, 비효과적인 개입으로는 일방적 처벌, 준비되지 않은 개입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담교사의 인식과 자질, 관련 교사, 학부모의 태도 및 역할, 행정 및 관리제도, 시기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학교상담자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나아가 학교폭력 및 학교상담 관련 제도와 정책을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과 학교상담: 학교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송현종 ( Hyun Jong Song ),조성은 ( Seong Eun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지난 50년 동안 학교상담자의 역할과 책무는 많이 변화하였다. 1950년대 초반에만 해도 학교상담자가 하는 일은 주로 고등학생들에게 직업/진로지도를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학교상담자의 역할은 좀더 넓은 범주의 학생들과 관심사로 점차 확대되었다. 그래서 오늘날 학교상담자는 일반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여러 가지의 예방서비스와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책임을 갖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학교상담자는 장애학생의 인지적, 정서적,사회적 문제를 이해해야 하며, 그들의 심리사회적 욕구에 민감해야 하며, 효과적인 상담 방법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학교상담자가 유념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학교상담자로서의 바람직한 태도와 적극적인 역할이다. 왜냐하면 학교상담자의 태도와 역할에 대한 올바른이해가 없으면, 효과적인 조력을 제공할 가능성도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장애 학생의 특징, 통합교육의 개념과 추세, 장애학생상담의 문제점, 그리고 장애학생을 상담하는 유능한 학교상담자가 되는데 필요한 상담자의 태도와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통합교육 장면에서 학교상담자가 유념해야 할 상담자의 태도 여섯 가지와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할 상담자의 역할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 counselors chang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50 years. In the early 1950s, school counselors primarily provided vocational/career guidance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ole gradually expanded to a broader range of students and of concerns. So school counselors are now being held responsible for providing preventative and supportive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cluded in regular public schools. If school counselors are to be competent in providing such services, they must understand the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problems of these students, be sensitive to their psycho.social needs, and be knowledgeable of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With these abilities, what is more important things which school counselors must bear in mind are their attitudes and roles in school counseling. Because there is little hope for effective helping with littl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ounselor``s attitudes and roles.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the concepts and trend of inclusion, the problems of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attitudes and roles required to be a competent school counselor who is work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s results of this study, six attitudes which school counselors should bear in mind and six roles which school counselors should put into practice were suggest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초기 정착 과정 분석

        이규미,권해수,김희대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3

        Althoug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have been distributed into individual schools since 2007, the field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has been in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school counseling model that suits the reality of our national school settings and the lack of an appropriate work guid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ditions and issues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system in the early phase of the distribution and accordingly to offer a suggestion on an effective settling method. For this purpose, we ran 3 focus group interviews to the principals, chief career counselor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schools wher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have been distributed and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by the method suggested by Morgan and Scannell(1998). As a result, some contributions were found in activating school counseling after the distribution; but many problems were revealed due to controversy around the departmental assignment, confusion caused by the lack of work guide, dispute about the class participation, conflict and tension among other professionals, disregard and neglect of school counselor's specialty and quality, and discontent about current training and employment system, etc. Based on the result, effective initial settlement plan o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system has been suggested on school counselors' role and work duty, position and distribution, and quality and training. It is expected to help stabilize the settlement of school counselors and to minimize initial trial and error and therefore to proceed the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of our country. 지난 2005년 전문상담(순회)교사가 지역교육청에 배치되는 것을 시발점으로 하여 2007년부터는 단위 학교에 배치되었다. 이처럼 전문상담교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학교상담 모델이나 직무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학교 현장에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단위 학교에 배치된 전문상담교사의 초기 정착 과정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정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학교장, 진로상담부장,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Morgan과 Scannell(1998)이 제시한 방법으로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단위 학교에 배치된 전문상담교사가 학교상담 활성화에 기여한 부분도 많지만 부서 배치에 대한 논란, 지침 부재에 따른 혼란, 수업 참여에 대한 논란, 다른 전문 인력과의 알력 및 긴장,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무시와 홀대, 양성 및 임용 제도에 대한 불만 등 초기 정착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역할과 직무, 지위와 배치, 그리고 자격과 훈련 등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제도의 효율적인 초기 정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안정된 정착을 돕고, 초기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우리나라 학교상담 발전을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상담자의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와 다중관계 상담윤리 고찰

        우지향(Jee-Hyang Woo)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1 가족과 상담 Vol.11 No.1

        본 논문은 현행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학교상담자가 윤리적 갈등상황에 부딪힐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동안 학교상담자의 학교폭력예방 관련 업무에 대해 상담윤리 측면에서 다룬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법률에 규정된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업무와 학교상담자의 다중관계 윤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 수행 시 학교상담자가 부딪힐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은 학교폭력 관련 학교상담자 업무의 모호함으로 인한 역할혼선, 다중관계 측면에서 상담자 윤리갈등 촉발, 내담학생과의 상담관계 형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이다. 그 보완책으로 학교상담자의 윤리 민감성 제고와 실천 노력의 강조, 학교폭력 전담기구 업무를 상담윤리에 부합하도록 조정, 학교상담자 업무 세분화를 위한 인력재배치 및 확충, 국가 차원의 학교상담법 제정과 한국 실정에 적합한 학교상담자 윤리강령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상담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과 활용이 빈약한 현실에서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업무로 인한 다중관계 윤리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보완책과 실태 파악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school violence, the school counselors may encounter ethical conflict. Until now,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school counselors work related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terms of counseling ethics. In this regard, the work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school violence as prescribed by the law and the counseling ethics of multiple relationship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following are the ethical issues that school counselors may encounter; confusion of roles due to unclear work of school counsel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triggering counselor ethical conflicts in terms of multiple relationships, and nega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lients. As a supplement to these issues, not only enhancing the ethical sensitivity of school counselors and emphasizing their efforts to practice them, but also adjusting the work of school counsel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to meet the counseling ethics, and rearranging and expanding manpower for subdividing the work of school counselors are suggested. Also,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chool Counseling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de of ethics for school counselor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r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view is that, in the reality that the recognition and use of the code of ethics for school counseling is poor, the issue of multi-relationship ethics arising from school violence-related work was examined, and supplementary measure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학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명화,송현심,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school counselors’ importance of peer supervis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are done in peer supervision and which support system are required based on the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a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total ten school counselors with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for three years or more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developed by Hil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task and organization systems felt by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peer supervision, and factors for growing as school counseling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peer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were discussed. That is,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an increase in various tasks, roles, and cases of crises an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of peer supervision according to school manager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found to participate in peer supervision and agonize about practical help, emotional comfort, efforts for improving expertise,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counselors were living their lives as a counselor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neither diverse nor systematic. They were also solving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a school counselor by finding their own method through peer supervision. Even though the school counselors were receiving realistic help and emotional comfort that could complement deficiencies through peer supervision, they were experiencing limitations and feeling psychological discomfor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ie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offi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the supervisor education as an expert in some areas. 목적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동료 수퍼비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또한 그 경험을 토대로 어떠한 지지체계를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3년 이상의 학교 상담경력이 있는 10명의 학교 상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 선정은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Hill에 의해 개발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을 유도하고, 연구팀과 감수자를 두어 자료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시각과 관점을 반영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학교 상담자가 느끼는 업무 및 조직체계, 학교 상담자에 대한 학교의 인식,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 그리고 학교 상담 전문가로성장하기 위한 요인들로 정리되었다. 즉, 학교 상담자는 다양한 업무와 역할, 위기 사례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교 관리자에 따른동료 수퍼비전 인식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동료 수퍼비전에 참여하며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 상담자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환경에서 상담자의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학교상담자로써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나름의 방법을 찾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부족한 영역을 채울 수 있는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있으나, 동시에 한계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 부분은 전문가인 수퍼바이저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소진과 극복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남순임,김윤희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mo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ngs that help them recover from burnout and a change after recovery from burnout. Based on the purpose, the survey results of 61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orking at schools and Wee center were analyzed to elicit 4 areas, 884 reactions, 18 categories and 49 subcategories through CQR-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rea was ‘the cause of burnout which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xperience’. In the first area, 6 categories such as; difficulty in counseling, heavy workload and role conflict, structural problem of work condition, limited expertise, personal maladjustment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conflict were elicited. The second area was ‘things that help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break away from burnout’. In the second area, 4 categories such as; personal change in inner world and active handling, social support and help, satisfaction through alternative resources and natural recovery according to external circumstance were elicited. The third area was ‘a change through burnout overcoming experience’. In the third area, 4 categories such as; personal psychological/physical change, growth and maturity as a counselor, conversion of approach towards problem and forming of new attitude and understanding and support at school level were elicited. The fourth area was ‘cause and meaning of working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t school experiencing burnout’. In the fourth area, 4 categories such as; pride as a professional, calling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growth and maturity as a human being and economic value and stability were elicited. Such findings ascertained that burnout and overcoming experience provide the fundamentals for growth as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resources to understand the burnout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to prepare the preventing and coping scheme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과 심리적 소진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소진 극복 이후 얻게 되는 변화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학교 및 위(Wee)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61명 전문상담교사들의 질문 응답지를 CQR-M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4개 영역, 총 884개 반응, 18개 범주, 4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역은 ‘전문상담교사로서 겪게 되는 소진의 원인’으로 6개 범주 상담과정의 어려움, 업무과다 및 역할 갈등, 직무 환경의 구조적 문제, 전문성의 한계, 개인의 부적응적 특성, 관계 갈등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은 ‘전문상담교사로서 겪게 되는 소진 경험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4개 범주 개인의 내면적 변화 및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 및 조력, 대체자원을 통한 만족, 외부 상황에 따른 자연적 회복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은 ‘소진 극복 경험을 통한 변화’로 4개 범주 개인 심리적․신체적 변화, 상담자로서의 성장과 성숙, 문제 접근 방식의 전환과 새로운 태도 형성, 학교 차원의 이해와 지원이 도출되었다. 네 번째 영역은 ‘학교상담 현장에서 소진을 경험하면서 일을 하는 이유와 의미’로 4개 범주 직업인으로서의 긍지, 상담교사로서의 소명의식, 인간으로서의 성장과 성숙, 직업으로서의 경제적 가치와 안정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진과 극복경험이 전문상담교사 개인의 성장 및 상담자로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을 이해하고 예방 및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