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 텍스트 易讀性 要因 分析을 통한 易讀性 公式 開發 硏究

        김왕규,박상우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3 No.-

        Although objective measurement of classical Chinese texts is needed, it is difficult to find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 or research on the device. Considering absence of definite standard of selecting classical Chinese text, it is a well-timed task to normalize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an objective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adability formula for classical Chinese texts by analyzing factors that have a decisive effect on readabilit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First, comparing English and Korean readability factors to classical Chinese readability factors as liguistic features, I tried to find decisive readability factors for classical Chinese text. Second, I had ten education experts adjust level of 500 classical Chinese text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readability factors in the adjusted texts. Third, I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the calculated readability factors and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s, and examined that each factor affects text complexity significantly. At this stage, I analyzed that how each factor affects text complexity. Fourth, developing equation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I made readability formula for complexity of classical Chinese texts and selected statistical significant readability formula. Also, to analyze the multi- plicative influence of factors over text complexity, I developed equa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equation is readability formula for classical Chinese text. As I have told you over and over, level of text is not decided by only quantitative factors and it is difficult for classical Chinese that has only written language and is a disused to be measured accurately by reada- bility formula for a living language. Also there are very fine questions to resolve. Therefore, I think this study frankly aims to try to establish an order of rank of classical Chinese texts, rather than develop accurate readability formula.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premise that reada- bility formula consists of only quantitative factor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dealt with by a follow-up research on qualitative parts or factors.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한문 텍스트 선정․배열과 교재 편찬을 위해 객관적인 텍스트 곤란도 측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문 교과에는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모델이나 易讀性 공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명확한 텍스트 선정 기준의 부재와 실제 학교 현장의 한문 독해 교육 실태를 따져 분석해 볼 때, 객관적 측정 도구 개발을 통해 한문 독해 교육의 正常化를 꾀하는 것은 시의적절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문 텍스트 易讀性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한문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易讀性 공식 개발을 주요 연구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영어와 국어의 易讀性 期待 要因을 한문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취사선택하고, 한문만이 가지는 특징적인 易讀性 期待 要因을 탐색함으로써 易讀性 결정 요인을 추출하고자 한다. 둘째, 위와 같은 기준으로 추출한 한문 易讀性 期待 要因과 실제 한문 텍스트의 학년 수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지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한문 텍스트를 선정한다. 전문가 집단에게 선정된 텍스트의 학년 수준을 일부 조정하게 하고, 각각의 텍스트에서 易讀性 期待 要因들의 빈도를 算定한다. 셋째, 추출한 易讀性 期待 要因들이 한문 텍스트에 나타나는 빈도와 학년 수준을 조정한 한문 텍스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易讀性 期待 要因들이 텍스트 학년 수준이 올라갈수록 텍스트 곤란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易讀性 期待 要因들이 어떤 측면에서 한문 텍스트 易讀性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것이다. 넷째,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단순회귀방정식을 도출함으로써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공식을 구성하고 설명력이 큰 공식을 선별한다. 또한 텍스트 곤란도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중다회귀방정식을 구성한다. 이 중다회귀방정식이 한문 텍스트 易讀性 공식이 된다. 연구에서 누차 밝혔다시피 텍스트의 수준은 단지 수치로 환산할 수 있는 要因들에 의해 결정되지는 않고, 현재에는 쓰이지 않는 文言文인 한문을 현재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려움을 측정하는 易讀性 공식으로 수준을 측정하기에 곤란한 문제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완벽한 易讀性 공식의 산출이라기보다는 한문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시도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는 數量化 할 수 있는 要因들로만 공식을 구성하는 것을 전제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점과 한계는 질적 부분의 고려로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과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특성 분석: 국어과, 사회과, 과학과를 중심으로

        최소영,박은아,변태진,하명진,류수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1

        In this study, an educational text database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departments was established, and a qualitative checklist for measuring readability was developed. After setting the level of readability through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text data, the aspect of the readability composition of the educational text wa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texts by level of readability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factors of readability. First, tex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37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 database of 9,945 texts including meta-information was constructed. Subsequently, a checklist for readability level was developed, and the readability level of the entire text was assessed by 35 elementary and 43 middle school teachers. In particular, the readability level of the text was determined by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of two teachers. In order to confirm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readability, the composition pattern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grades and subject fields in each textbook. It was re-analyzed and detailed according to the readability rating. Finally, the amount of text, sentence length, vocabulary difficulty, vocabulary diversity, and part of speech were selected as quantitative factors for readability. The results of readability measurement by a total of 11 sub-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review the construction aspect of educational texts from a readability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degree of text understanding in reading for learning purposes by subject.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readability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본 연구는 국어과, 사회과, 과학과 교과서로부터 교과 교육용 텍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교과 텍스트의 이독성 수준 평정을 위한 질적 점검표를 개발하여 이독성 수준을 평정한 후, 교과별 교육용 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독성 양적 요인을 측정하였다. 먼저,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 총 137권에서 텍스트를 선정하고 메타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9,945개의 데이터베이스를구축하였다. 이어서 이독성 수준 평정용 점검표를 개발하여 초‧중학교 교과 교사 35명‧43명이 텍스트 전량의 이독성 수준을 평정하고, 평정 타당성을 검증하여 교사 2인의 평정 평균값으로 텍스트의 이독성 수준을 확정하였다. 이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 교육용 텍스트의 특성을 수량과 주제 분야 분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독성 양적 요인으로 텍스트의 분량, 문장 길이, 어휘 난도, 어휘 다양도, 품사 비율을 선정하고, 총 11개의 하위 요인별 이독성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교과 학습 목적 읽기에서의 이해 정도를 고려한 이독성 관점에서 교육용 텍스트의 구성 양상을 객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으며, 교과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 분석

        석재원(Seok Jaewon),구자은(Ku Jaeun)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21 글짜씨 Vol.- No.20

        가독성과 판독성은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빈번히 언급되는 용어이다. 그럼에도 그 정의가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아 혼용되거나 오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번역 과정에서 가독성과 판독성, legibility의 readability의 의미가 불규칙하게 연결되어 소통의 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혼란의 원인을 파악하고, 불분명하게 통용되고 있는 용어의 윤곽을 명확히 하여 정확한 소통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가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수집하고 분석해 유형화했다. 연구 범위는 명망 있는 국내외 타이포그래피 연구자가 직접 저술하거나 번역한 단행본 스물세 권으로 선정했다. 국내 서적 열 권과 해외 서적 열세 권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를 정의한 사례만 포함했다.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의 용례는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A 유형에서 가독성은 텍스트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하고 판독성은 낱자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한다. 가독성=readability, 판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둘째, B 유형에서 가독성은 텍스트의 내용 독해 능률을 의미하고 판독성은 낱자 및 텍스트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한다. 가독성=readability, 판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셋째, C유형에서 가독성은 낱자의 형태 인지 능률, 텍스트 형태 인지 능률, 텍스트의 독해 능률을 모두 포괄하여 의미한다. 가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 연구자는 소통의 혼선을 피하고자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의 정의가 의도한 바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분명히 인지한다. 둘째, 이들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의도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부연한다. 셋째, 번역할 때에는 가급적 원문에서 사용한 용어를 병기한다. The term Gadokseong (가독성, a quality of being readable) and Pandokseong (판독성, a quality of being legible or deciphered) are frequently used terms in the field of typography. Nevertheless, their definitions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yet in Korea so they are often confusing or misused. The meanings of legibility and readability are inconsistently matched particularly in translation, which sometimes incurs confusion in communic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what causes the confusion and clarify the outline of these terms with unclear use so as to lay the foundation for accurate commun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nalyzed and categorized different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respectively in the field of typography. The scope of the research covers twenty-three volumes of books either written or translated by noted Korean and foreign typography researchers. This includes ten Korean and thirteen foreign books which provide concrete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Usage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First, Type A covers cases in which reada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text forms while legi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forms. Each of the words Gadokseong and Pandokseong is translated as readability and legibility. Second, Type B exhibits cases in which readability means comprehension efficiency of text contents while legi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and text forms. Each of the words Gadokseong and Pandokseong is translated as readability and legibility. Third, Type C refers to cases in which Gadokseong has extended meanings of with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forms, perception efficiency of text forms and text comprehension efficiency all together. The word Gadokseong is translated as legibility in this category. Thus, a typography researcher is required to make the following efforts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communication. First, be clearly aware that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what is intended. Second, elaborate on what is intended when using these terms. Third, annotate a translated version with terms used in the original text as far as possible.

      • KCI등재

        한문(漢文)텍스트 이독성요인분석(易讀性要因分析)을 통한 이독성공식개발연구(易讀性公式開發硏究)

        김왕규 ( Wang Gyu Kim ),박상우 ( Sang U Ba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3 No.-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한문 텍스트 선정·배열과 교재 편찬을 위해 객관적인 텍스트 곤란도 측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문 교과에는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모델이나 易讀性공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명확한 텍스트 선정 기준의 부재와 실제 학교 현장의 한문 독해 교육 실태를 따져 분석해 볼 때, 객관적 측정 도구 개발을 통해 한문 독해 교육의 正常化를 꾀하는 것은 시의적절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문 텍스트 易讀性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한문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易讀性공식 개발을 주요 연구 과제로 삼는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영어와 국어의 易讀性期待要因을 한문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취사선택하고, 한문만이 가지는 특징적인 易讀性期待要因을 탐색함으로써 易讀性결정 요인을 추출하고자 한다. 둘째, 위와 같은 기준으로 추출한 한문 易讀性期待要因과 실제 한문 텍스트의 학년 수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지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한문 텍스트를 선정한다. 전문가 집단에게 선정된 텍스트의 학년 수준을 일부 조정하게 하고, 각각의 텍스트에서 易讀性期待要因들의 빈도를 算定한다. 셋째, 추출한 易讀性期待要因들이 한문 텍스트에 나타나는 빈도와 학년 수준을 조정한 한문 텍스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易讀性期待要因들이텍스트 학년 수준이 올라갈수록 텍스트 곤란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 단계에서 각각의 易讀性期待要因들이 어떤 측면에서 한문텍스트 易讀性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것이다. 넷째,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단순회귀방정식을 도출함으로써 텍스트 곤란도 측정을 위한 공식을 구성하고 설명력이 큰 공식을 선별한다. 또한 텍스트 곤란도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복합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중다회귀방정식을 구성한다. 이 중다회귀방정식이 한문 텍스트 易讀性공식이 된다. 연구에서 누차 밝혔다시피 텍스트의 수준은 단지 수치로 환산할 수 있는 要因들에 의해 결정되지는 않고, 현재에는 쓰이지 않는 文言文인 한문을 현재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려움을 측정하는 易讀性공식으로 수준을 측정하기에 곤란한 문제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완벽한 易讀性공식의 산출이라기보다는 한문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시도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는 數量化할 수 있는 要因들로만 공식을 구성하는 것을 전제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점과 한계는 질적 부분의 고려로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objective measurement of classical Chinese texts is needed, it is difficult to find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 or research on the device. Considering absence of definite standard of selecting classical Chinese text, it is a well-timed task to normalize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an objective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adability formula for classical Chinese texts by analyzing factors that have a decisive effect on readabilit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comparing English and Korean readability factors to classical Chinese readability factors as liguistic features, I tried to find decisive readability factors for classical Chinese text. Second, I had ten education experts adjust level of 500 classical Chinese text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readability factors in the adjusted texts. Third, I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the calculated readability factors and level of classical Chinese texts, and examined that each factor affects text complexity significantly. At this stage, I analyzed that how each factor affects text complexity. Fourth, developing equation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I made readability formula for complexity of classical Chinese texts and selected statistical significant readability formula. Also, to analyze the multi- plicative influence of factors over text complexity, I developed equa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equation is readability formula for classical Chinese text. As I have told you over and over, level of text is not decided by only quantitative factors and it is difficult for classical Chinese that has only written language and is a disused to be measured accurately by reada- bility formula for a living language. Also there are very fine questions to resolve. Therefore, I think this study frankly aims to try to establish an order of rank of classical Chinese texts, rather than develop accurate readability formula.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premise that reada- bility formula consists of only quantitative factor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dealt with by a follow-up research on qualitative parts or factors.

      • KCI등재

        다독 현장에서의 초등영어독서지수 측정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

        문기혁 ( Ki Hyuk Moon ),김정렬 ( Jeong Ryeol Kim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2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5 No.1

        1. 초등영어 텍스트지수 산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선정된 100권의 교재를 텍스트파일로 전환하는 작업을 실시한 결과에 대해 각각의 어휘난이도와 통사적난이도를 측정하고 종합적 텍스트지수를 산출하였다. 어휘난이도는 한국형 Word list 데이터베이스로 변형한 RANG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휘 난이도의 경우 김정렬, 이은혜(2010)는 어휘난이도 공식에서 3가지 가설을 세웠는데, 첫번째 가설로 각 그룹의 난이도는 그룹의 순서와 비례하며, 그룹 이외의 어휘의 난이도는 그 중간값을 갖는 공식 1과, 두번째 가설로 초등학교 3~6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어휘들의 그룹은 1.1~1.4까지 0.1의 차이를 두고 나머지 5그룹은 2점, 6그룹은 3점, 7그룹 및 그룹 외의 어휘는 4점을 곱하는 공식 2, 세번째 가설로 그룹 1, 2, 3, 4의 난이도에 0.2씩의 차이를 두는 공식 3을 제안한 바 있다. 그 중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Base Word 1~6에 각각 1.2, 1.4, 1.6, 1.8, 2, 3, Base Word 7과 Extra Word에는 3.5를 곱하는 세 번째 어휘난이도 공식을 적용하였다. 각 토큰값을 살펴보면 한국형 Base Word에서는 대체적으로 2008 개정 영어과 4학년 교육과정 필수 어휘를 중심으로 하는 Base Word 2에서 1.4~281.4의 산포를 보이고 있으며, 5학년 교육과정 필수 어휘를 중심으로 하는 Base Word 3에서는 0~347.2, 6학년 교육과정 필수 어휘 중심의 Base Word 4에서는 0~104.4의 산포를 보이고 있었다. 3학년 교육과정 필수 어휘 중심의 Base Word 1에 속하는 단어는 최저 25.2에서 4,688.4로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어휘난이도 분석 결과 최저 56.3에서 7,866.7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측정된 교재 중 56.2~1,000 사이의 어휘난이도를 가진 교재가 61권으로 가장 많았고 1,001~1,500 사이의 수치를 가진 교재가 17권, 1,500~2,000 사이의 수치를 가진 교재가 8권, 2,001~3,000의 수치를 가진 교재는 10권, 1,000이상의 수치를 가진 교재는 4권으로 교재의 글자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어려운 단어의 양이 많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의 책이 어휘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글자크기가 작고 DB에 등록되지 않은 의성어, 의태어, 학술적 단어(Academic word list)가 쓰인 교재는 어휘난이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Lu(2010)의 L2 통사적 난이도 측정 소프트웨어로 분석된 통사적 난이도는 측정 결과 17~168,0의 다양한 수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주로 수치들은 단어와 문장의 수에 비례하는 현상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대체적으로 문장에 등장하는 동사구의 수, 절의 수와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그림 5]의 텍스트지수 산출공식에 대입하여 측정된 교재들의 텍스트지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텍스트지수는 79에서 9,360으로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다. 3학년 과정에 적용 가능한 저난이도의 그림 중심 교재들은 어휘난이도와 통사적 난이도가 비슷한 수준에 올라가는 반면,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어휘 난이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79~9,360로 이루어진 교재의 텍스트 지수 중 산술평균값인 1,520.82에 근접한 ‘Stars, Stars, Stars’가 평균 텍스트로 측정되었다. 또한 수치가 1,000 이하의 텍스트는 48권, 1,000~2,000 수준의 텍스트는 26권, 2,000~3,000 사이의 텍스트는 14권, 3,000 이상의 텍스트는 12권으로 조사한 교재의 약 74% 이상의 책이 2,000이하의 수준임을 알아낼 수 있었다. 텍스트 지수의 수치 표시 방법은 종전 김정렬, 이은혜(2010)가 제안하였던 한국형 렉사일 지수(EB지수)의 ‘e’를 사용한다. 2. 독자지수 평가문항 개발 위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해도 평가문항을 읽기 영역의 어휘력(vocabulary)와 문해력 (literacy)을 측정할 수 있는 총 6가지 종류의 범주로 문제를 출제하였다. 어휘력은 텍스트 내용에서 출현하는 어휘 중 문맥상 어울리는 의미를 찾거나 동의어/반의어, 관계가 있는 어휘 찾기 등의 문항을 출제하였으며 영어동화의 내용을 잘 읽었는지에 대한 문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사실, 분석, 추론, 담화, 종합적 이해 영역에서 문항을 출제하였다. 이 중 텍스트지수가 300e 이하의 교재들은 저학년 동화의 특성상 줄거리 자체가 제시되지 않는 경우, 담화적 특성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담화적 이해 영역에서는 문항을 출제하지 않고, 사실적 이해 영역에서 2문항을 출제하였다. 먼저 어휘력 부문에서는 어휘력을 평가할 때, 평가 자체에 주안점을 두는 것 보다 문맥의 흐름에 맞는 뜻을 유추하고 그것과 연관되는 어휘를 같이 습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어휘력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동의어/반의어 범주에서는 현재 독자가 알고 있는 어휘 지식을 동원하여 각 어휘간의 관계를 정립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단어들을 이용하여 문항을 출제하였으며 텍스트 내에서 동의어/반의어가 없을 경우 제7차 개정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어휘범주를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읽기 학습, 특히 소리내어 읽기에서 중요시 여기는 발음 범주 문항을 출제하여 한 음소(phoneme)가 실제 발화에서 다양하게 쓰이는 현상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문맥단서 활용 범주에서는 텍스트의 문맥을 파악하여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 방법으로 사전적 지식이 없어도 문항을 풀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출제를 통하여 어휘력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문항을 제시하였다. 문해력 평가 문항에서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분석적 이해, 담화적 이해, 종합적 이해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들을 제작하였다. 사실적 이해영역에서는 등장인물 파악하기, 분석하기, 배경지식 파악하기 등의 문제를 주로 출제하였고, 문맥을 통해 세부내용을 파악하는 문제도 출제하였다. 분석적 이해영역에서는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를 배열하기, 문맥을 통해 주인공의 성격을 파악하기 등의 문제를 출제하였고, 추론적 이해영역에서는 사건의 흐름 파악하기, 인과관계 파악하기, 추론하기, 예측하기 등의 문항을 출제하여 평가지를 작성하였으며, 담화적 이해영역에서는 응집성(cohesion)을 파악하기 위한 접속어 파악, 지시(reference)를 파악하기 위한 대명사 파악 등의 문항을 출제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적 이해 영역에서는 글의 주제, 주인공의 심경, 글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였다. 3. 웹 기반 초등영어 독서지수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위의 각 교재별 텍스트 지수와 독자지수 평가문항을 토대로, 초등 영어 독자들의 최종 독서지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소프트웨어를 설계 제작하였다. 1)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 평가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평가 원리를 근거로 하여 기존의 지필평가에서 갖고 있던 평가 설계의 특성과 컴퓨터 평가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다음의 [표 3]과 같은 웹 평가 시스템의 설계기능으로 설계하였다. 인터페이스와 텍스트기능은 기존 윈도우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아동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입력방법에서는 문제가 사지선다형 문항으로 출제되었기 때문에 마우스로 입력하여 결과파일을 생성해 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피드백 단계에서 다음화면으로 넘어갈 때 윈도우 형식에 의한 추천도서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웹기반 독서지수 측정 소프트웨어에서 구체적인 평가 흐름도는 다음 [그림 4]와 같이 설계하였다. 먼저 시작화면을 거쳐 자신의 학년 선택 화면으로 들어가 직접 자신이 읽은 책을 고른 후 교재에 알맞은 텍스트지수를 확인한 후, 교재에 따른 6문제의 독자지수 평가문항을 풀고, 풀고 난 뒤에는 다음 [그림 5]에 따른 독서지수 공식에 따라 자동화되어 최종 독서지수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최종 독서지수에 ±50e의 텍스트지수를 가진 추천도서가 제시되도록 설계하여 위의 분석된 텍스트지수와 독자지수 평가문항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영어독서지수(Korean Elementary English Readability Index, KEER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 지수는 통상 독자의 읽기 능력이 갑작스럽게 상승한다거나, 갑자기 하락하는 경우는 드물고, 이론적 배경에서 밝혔던 바와 같이 미국의 M사에서 개발한 렉사일지수에서도 1,000L의 독자지수를 가진 독자가 1,000L의 텍스트지수의 책을 75%를 이해하였을 때, 1,000L의 렉사일 독서지수를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텍스트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6문제의 독자지수 평가문항 중 5문제를 맞혔을 때 독서지수를 100으로 하는 초등영어 독서지수공식을 개발하여 알고리즘에 포함시켰다. 2) 소프트웨어 개발 설계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최소 시스템 사양을 대폭 낮추어 최소 Intel(R) Pentium(R) CPU 1.20GHz 이상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CD-ROM 타이틀로 구성하는 것 보다 접근성 면에서 인터넷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www)에 도메인을 할당받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홈페이지 주소창에 입력할 수 있도록 쉬운 주소를 선택하여 웹페이지 도메인을 부여하였다. 주소명은 http://www.pigpotato.net/home_EnglishBook으로 명명하였다. 소프트웨어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그림 6]과 같이 첫 번째 화면에서는 교재명과 그에 따른 텍스트지수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두 번째 화면에서는 그 전 단계에서 독자가 읽은 텍스트를 클릭하면 해당도서에 따른 도서명, 작가명, 출판사, 연도, 그에 따른 분석된 텍스트지수가 자세히 나열되어 있으며 교재에 따른 문항을 풀 수 있도록 안내하는 문제풀기 버튼이 위치하고 있다. 문제풀기 버튼을 누르고 세 번째 웹페이지 화면으로 진행하면 각 교재에 따른 독자지수 평가 문항이 제시되어 있는데 사지선다형으로 출제되어 있으며 문항을 읽고 다 푼 뒤에는 [그림 7]과 같이 하단 부분에 결과보기 버튼이 제시되어 있다. 마지막 웹페이지 화면에서는 [그림 8]처럼 위의 초등영어 독서지수공식으로 연산된 실제 독서 지수가 산출되어 독자 개개인의 독서지수와 함께 그에 따른 ±50e 사이에 있는 도서들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 주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4. 초등영어독서지수(KEERI) 소프트웨어 적용 결과 위의 개발된 초등영어 독서지수를 적용함에 있어 이를 실제 3~6학년의 아동들에게 파일럿 실험을 진행하여 텍스트지수와 독자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은 제주시에 있는 G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0명씩 총 40명(남:20명, 여: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개인의 초등영어 독서지수 결과를 통해 3~6학년 단계의 알맞은 도서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준점을 마련하도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통계기법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현재의 텍스트지수가 독자들의 이해도에 따라 잘 구성이 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텍스트지수와 독자지수 평가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자세한 결과는 [표 4]에 수록하였다. 위의 [표 4]에서와 같이 텍스트지수와 독자평가 문항이 -0.778로, 상관 계수의 절대값이 크면 클수록 그 만큼의 상관 정도가 큰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텍스트 지수와 독자문항의 상관관계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텍스트지수가 아동들에게 있어 책의 수준을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아동 독자들이 자신에 맞는 교재를 선택하기 위해 텍스트지수의 기준점을 만들어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 test)을 실시하여 기준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표 5]인 일원변량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ANOVA 테스트 분석 대상 첫 번째 책인 School bus와 두 번째 책인 Who sank the boat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고 나머지 4권의 책은 0.05이하의 유의도를 갖고 있어 검사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일원변량분석 결과를 Tukey의 다중 범위 검정 방법으로 사후검정해본 결과 다음 [표 6]과 같은 텍스트지수 기준점을 찾을 수 있었다. 초등학교 3학년은 0~600e, 초등학교 4학년은 601~1,300e, 초등학교 5학년은 1,301~2,400e, 초등학교 6학년은 2400~5000e로 기준점을 삼을 수 있었으며 일원변량분석결과 ‘Drawing Together’의 텍스트지수인 9,360e는 초등학교 3~6학년이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는 교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6학년의 상위 학습자나 중학교 1학년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5,000e 이상의 텍스트지수를 가진 책은 중학교 1학년 수준의 책으로 판단하여 중1 독자와의 연계 가능도서로 분류한다. 위의 웹 기반 초등영어 독서지수 평가 소프트웨어의 평가 및 적용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상위 수준에 있는 학습자나 중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5,000e 이상의 도서를 웹페이지에서 분류, 구안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첫 번째 문제점으로 제기된 웹 페이지를 다음 [그림 9]과 같이 메인 화면을 수정하였다. 메인화면에서는 각 학년별 차례와 함께 학년 수준에 알맞은 텍스트지수를 아래에 표기하였으며 단추를 클릭하게 되면 각 학년별 도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이콘을 명료화해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eb-based Korean Elementary English Readability Index (KEERI) software that measures students` own readability. Using this program, students are able to achieve their goals of extensive reading and choose proper texts for their reading ability. A revision of the Korean lexical text measurement formula developed by Kim and Lee (2010) was used to elicit a text measurement. For the students` proficiency index of readability, reading ability assessment tasks were assessed using the readability formula which yielded individual readability measurements. In order to yield a text measurement, both the vocabulary and syntactic difficulties were evaluated. To analyze the difficulty of the vocabulary, the RANGE program developed by Paul Nation was used. Syntactic difficulty was measured for each text by 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 developed by Lu (2010). To evaluate readability depending on the texts, questions were analyzed with Brown (2001)`s types of questions. Afterwards, the text measurement and a summary of the book`s content were calculated into the final automated elementary English readability index. The core engine based on KEERI was implemented in PHP and JAVASCRIPT.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KEERI program,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text measurement and the evaluated readab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m. Through an ANOVA test, a graded benchmark of the text measurement was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텍스트 수준과 가독성: 한국어 학습 교재를 이용한 검증과 응용

        홍정하,최재웅,유석훈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1 언어정보 Vol.0 No.12

        Readability is commonly defined as a statistical scale for measuring the ease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a text.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paragraph length, sentence length, and word length are applicable to readability metrics for Korean texts. A correlation between these readability metrics and text levels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data as found in Korean learning materials. Paragraph length and sentence length show a steady upward slope with increasingly higher learning levels, while word length has a downward sloping relationship with the elementary level only. This correlation can also be applied to materials evaluation focused on the arrangement of learning levels and chapters with respect to readability. This applicability is demonstrated by two statistical methods. First, cluster analysis is the assignment of a set of texts by level or by chapter into subsets sharing similar readability scales to evaluate materials arrangements in accordance with readability scales. Second, regression model with a breakpoint (Baayen 2008) divides a linear relation of readability scales into two models having a different slope so that we can explore a trend change of readability scales in materials.

      • KCI등재

        유상증자 기업의 핵심투자위험 가독성에 대한 투자자 반응

        신혜정 한국회계정책학회 2023 회계와 정책연구 Vol.28 No.3

        [Purpose]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readability of the “Risk factors” section in an SEO prospectus and market reactions using underpricing and short-and long-term abnormal stock returns. Investors can react more efficiently to news when it is presented in a highly readable form. In other words, bad news in less readable format may lead to a less efficient stock pricing. Thus, managers are likely to reveal risks around the firms in a less readable stock statements, resulting in an overstated issue price of new stock and lower stock returns afterward. [Methodology]We collect the “Risk factors” section of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from 2011 to 2019. Using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length of words, we measure three readability variables of FLESCH, FOG, and KINCAID. We regress discount rate and short-and long-term abnormal stock returns on readability. [Findings]We find that discount rates are lower for firms which submit less readable prospectus. This result suggests readability is a factor affecting price of new stock. However, short-and long-term stock returns are not associated with readability. [PolicyImplications]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readability can affect underpricing of newly issued stock. This paper has political implications for investors and regulators regarding the quality of SEO firms’ stock statements especially, by asking guidelines about disclosures.

      • KCI등재

        노안 연령에서 배경색에 따른 한글서체의 가독성 평가

        정신해,손정식,곽호원,유동식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adability of a Hangul font with background colors of printed materials in the presbyopic age. Methods: Fifty-seven subjects (average age, 65.75±10.85 years; 23 men and 34 women) were enrolled. The Hangul font and background colors printed for evaluating readability were black letters with Sinmyungjo of 10 point (pt) and white, blue, green, and yellow. Near visual acuity (VA) was corrected to read VA 0.5 (6.3 pt) at 40 cm after distance correction. The subjects were asked to select a preferred color. Readability was assessed by reading rate as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in one minute (words per minute, wpm). Results: Readability was the highest on a white and the lowest on a green background. This tendency was shown to be similar to preferred col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readabilities with background colors between genders, and cataract surgery and non-surgery. Differences for reading errors between background colors were also not significant. There was a weak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adability and lightness difference, but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readability and color difference. Conclusions: Black letters on a white background usually had a high readability. The differences of readabilities among background could be partially elucidated by lightness differences. However,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s visual function and environment may be needed to account for these differences in greater detail. 목 적: 노안 연령층에서 배경색에 따른 한글서체 인쇄물의 가독성(readability)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57명(평균 나이 65.75±10.85세; 남 23명, 여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포인트(pt)의 신명조 한글서체를 백, 청, 녹, 황색 바탕에 검정으로 인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원거리 시력을 교정한 후 근거리 시력은 40cm거리에서 0.5(6.3pt)을 읽도록 교정하였다. 대상자가 선호하는 색상을 조사하였고, 1분 간 올바르게 읽은 글자 수(words per minute, wpm)를 읽기속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가독성은 백색 배경에서 가장 높았고, 녹색 배경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색 선호도와 일치하였다. 배경색에 따른 남녀 및 수술과 비수술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또한 배경색별 오류 빈도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독성에서 색차 간의 유의성은 없으나 명도 차이 간의 유의성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백색 바탕의 검정 문자에서 일반적으로 높은 가독성을 보였다. 배경색에 따른 가독성의 차이는 명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부분 설명이 가능하나 시각 기능과 시 환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제시하여 설명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텍스트 이독성 질적 평가 요인의 설명력 분석- 교육용 정보 텍스트를 중심으로 -

        최소영,박태준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by Choi et al. (2021) can explain or predict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al tex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as independent (predictor) variables and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as a dependent (outcome) variabl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well do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predict informational texts’ appropriate grade-levels judg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In other words, how much variance in the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can be explained by the scores on these 16 measures? (2) What are the best predictors of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Are these best predictors more or less the same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3) Do the best predictors identifi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ose perceiv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differ?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pproximately 62.3% and 62.4% of the variance in the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can be explained by the 16 evaluation criteri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respectively. Of the 16 evaluation criteri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6 and 9 criteria were respectively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For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informational texts,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the ‘content’ of texts, such as background knowledge demand,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by texts, and difficulty of vocabulary,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Some similarities were also noted between the best predictors of text readability levels identified from regression analyses and those perceiv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text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overlapping criteria should be given priority when judging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al texts. 본 연구는 최소영 외(2021)에서 텍스트 이독성을 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16개의 텍스트 내적 요인 중심의 질적 평가 요인의 이독성 수준에 대한 설명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회귀분석 결과 정보 텍스트의 이독성 수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질적 평가 요인들과 이독성 수준 판정에 참여한 교사들이 경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질적 평가 요인들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16개 요인들이 질적 평가에 유의미하게 기여하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평가 요인은 텍스트의 ‘목적’, ‘구조’, ‘표현’보다는 주로 ‘내용’ 범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수준과 중학교 수준을 설명하는 요인이 유의하게 차이가 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질적 평가 요인의 설명력에 관한 통계적 검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를 통하여 교육용 텍스트 위계 설정 근거의 타당화에 기여하였다는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우위적 요인들을 정교화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요인만으로도 이독성 수준을 보다 효율적이면서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독성 연구를 비롯한 텍스트 위계 관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CEO’s Education Background and Translation Readability of CEO Greetings

        장민호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2 통번역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EO's education backgrounds on the readability of CEO greetings translations posted on corporate websites. While most studies on business information readabilit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characteristics and readability, relatively little work has examined effects of CEO-specific characteristics on business information readability. This paper focuses on CEO greetings considering their importance as a business information channel.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readability of CEO greetings translated or, at least, approved by CEOs with graduate education and/or overseas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at by CEOs without such backgrounds. Univariate analyses show that readability of greetings on corporate websites by the two groups of CEOs is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overseas education is more likely to influence positively the readability of target-text CEO greetings than is graduate education. Additional tests, however, show that CEOs without overseas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write more readable source-text CEO greetings than do their counterparts who have studie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