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볼 만한 꼴불견›을 통해 본 1970년대 한국의 언어 경관

        전가경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5 글짜씨 Vol.7 No.2

        이 논문은 1970년대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 교양지였던 «뿌리 깊은 나무»에 수록된 ‹볼 만한 꼴불견› 칼럼을 연구한다. ‹볼 만한 꼴불견›은 잡지발행인한창기의비전중언어와관련된생각이투영된고정 칼럼이었다. 스냅 사진과 짧은 설명문으로 구성된 쪽기사인 ‹볼 만한 꼴불견›은 거리 사인물을 둘러싼 한국의 1970년대 풍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당시 언어 정책 및 언어가 사회와 맺었던 관계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는 여러 이슈를 던지고 있다. 본 연구는 ‘언어 경관’이라고 부르는 연구개념을적용시켜‹볼만한꼴불견›에나타난당대언어환경과이를 통해 이끌어 낼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적 함의를 고찰해 본다. 결론에서 논문은 한자와 한글 등이 혼용된 간판, 브랜딩과 네이밍 등에서 드러난 표절 그리고 이미지로서의 로마자 사용과 같은 타이포그래피적 특징이 당대 공공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으로 드러났음을 밝힌다. 이는 궁극에 공공 영역에 놓인 타이포그래피가 언어와 사회의 관계가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적 산물이자, 위로부터의 정책과 아래로부터의 일상의 욕망이 응축되어 있는 의미 쟁탈의 장소임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글짜씨« 편집과 디자인

        김병조(Kim Byung-jo),구자은(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4 글짜씨 Vol.6 No.2

        이 글은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학술지 »글짜씨«의 편집과 디자인을 개편한 기록이자 문제 제기이다. 나는 학술지가 단순한 논문 묶음이 아닌 그 자체로 하나의 연구 결과물이자 타이포그래피 작품이 되기를 바랐다. 나는 먼저 학술지의 개편 목적과 개편 전제기되었던 문제를 정리하고 주제와 언어, 발간 체계 등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부문별 편집지침, 세부 표기법, 디자인과 제작을 검토했다. 논의는 개편 전체가 아닌 논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이 글은 1차 개편의 보고이자 2차 개편의 기반이다. 나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퇴보이며, 그것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글짜씨«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학술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ext is commentary and problem consideration upon the editing and design renewal work of »LetterSeed«, the Korean Society of Typography academic journal. I hoped this academic journal to be, instead of being a simple pile of individual papers, a research result by itself as well as a typography work. I rst summarized the renewal objectives and formerly raised issues. I then observed problems in the editing system including the theme, language and publishing process. Lastly, I revised sectional editing guidelines, detailed notations, design and production. In this article, I mainly focused on controversial parts instead of the entire renewal project. This is a report of the rst renewal project, as well as a foundation for the second renewal project. I believ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is retrogression, and we must be an alert to it. I look forward to the continuous evolution of »LetterSeed«.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 사회 문화 맥락에서 살펴 본 프로야구에서의 브랜딩 사례 연구: LG 트윈스 구단을 중심으로

        이재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6 글짜씨 Vol.8 No.2

        I, as a researcher, wanted to summarize the role of graphic design in the flow of history of Korean professional sport, especially professional baseball,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modern Korean history. And in this process, I could see the situation when the graphic design greeted the golden age,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branding design. Especially I interpreted the ‘branding’ attempts of professional sport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focusing on LG Twins; one of the metropolitan clubs in the first year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examined the concept of branding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market that has been changed with the times, and I also analyz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G Twins’ team in terms of semiotic, throughout the case studies. In addition, I attempted to do research on the similarity and symbolism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brand by comparing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with Major League Baseball teams referred to at that time. This would be a preliminary research for further study to be carried out the branding methods about professional sports, in terms of the audience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기술적 문제

        김병조(Kim Byungjo),임유나(번역자),채유경(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6 글짜씨 Vol.8 No.1

        이 연구는 한글과 다른 문자를 함께 조판할 때 발생하는 여러 기술적 문제를 정리해 한글 타이포그래피, 나아가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불완전성에 대해 논구한다. 그 목적은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잠재된 가능성과 앞으로의 과제를 검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어 텍스트 조판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돕는 데 있다. 연구 범위는 문자의 경우 한글과 로마자, 아라비아 숫자로 제한하고, 사용된 여러 폰트가 비슷하게 보이는 가로쓰기 본문의 컴퓨터 조판을 과제로 삼는다. 활자는 한글 부리 활자와 로마자 세리프 활자로 제한하고, 프로그램은 어도비 인디자인 한글판과 폰트랩 스튜디오를 사용한다. 연구 구조는 실제 디자인 과정을 토대로 한다. 먼저 한국어 텍스트의 다국어적 환경과 디자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술적 환경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합성할 폰트를 고르고 설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그것으로 조판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살핀다. 이어서 편집과 관련된 문제를 검토한다. 그리고 끝으로 다국어 타이포그래피의 불완전성에 관해 논구한다. In this study, I will discuss the incompleteness of multilingual typography by outlining a variety of technical problems with details that result from an occasion where Hangeul is typeset with other charac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reveal the limits of Hangeul typography but to look at its potential and issues and to promote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typesetting. For the efficiency of the study, I adopted computer typesetting of horizontal body text where several different fonts look similar and used Hangeul, Roman characters and Arabic numerals only within the text. Hangeul’s buri (serif) and Roman serif are selected as typefaces on Adobe InDesign Korean version, and FontLab Studio as the editing software. This study follows the actual process of design. First, I will examine the multilingual environment of Korean text and the technical circumstances of the design software. Next, some problems about selecting, formatting and typesetting composite fonts will be reviewed followed by some issues regarding editing. Lastly, I will discuss the incompleteness of multilingual typography.

      • KCI등재후보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의 구조 공간 표현

        이용제(Lee Yongjae)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23 글짜씨 Vol.- No.24

        인쇄는 필사를 대체하면서 문명을 급진전시켰다. 그렇게 발전한 인쇄체는 크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글씨를 그대로 재현한 필서체와 글씨 특징을 변형 또는 강조한 인서체이다. 필서체와 인서체는 글자체의 조형 양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지만, 이 둘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어서 구분하기 쉽지 않다. 특히 글씨를 쓰지 않는 현대인은 글씨에 대한 이해도가 낮아서, 쓰기와 그리기의 차이를 이해하기 더욱 어렵다. 이 글에서 살펴본 필서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조는 해서체로 상하좌우 대칭의 방형(네모틀)이다. 공간은 속공간과 밖공간의 비율이 비슷한 서예가의 해서체와 같거나, 글자 윤곽을 네모반듯하게 쓰는 사자원의 글씨와 같다. 표현은 획 머리와 맺음 등이 부드러운 곡선이다. 필서체에서 분화한 인서체는 송판본에서 나타난다. 송판본에서 널리 쓰인 인쇄체는 글씨의 미세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획을 칼로 오려낸 듯이 단조로운 방필(方筆)로 표현한 방체가 있으며, 가로세로 획을 수직 수평에 가깝게 표현한 것이 인서체화의 시작이다. 그 뒤, 명나라 시대에 인쇄체는 크게 변화한다. 명판본의 인쇄체는 방필에, 가로세로 획에서 기울기가 없고,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은 두텁다. 획 머리와 맺음 등은 붓에 의한 자연스러운 형태에서 벗어나 맺음을 삼각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글자체 공간은 반듯한 네모틀 안에 글씨를 쓸 때와는 달리 획을 인위적으로 글자틀 외곽으로 옮긴 ‘부곽방필’(膚郭方筆)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필서체에서 인서체로 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① 필서체 획을 단순화하면서 나타난 방필 ② 수직 수평의 가로세로 획 ③ 과장된 획 대비 ④ 장식화된 머리와 맺음 표현 ⑤ 부곽자 공간이 합쳐지면서 전형적인 인서체가 만들어진 것이다. 필자는 글자체의 구조 공간 표현이 모두 글씨와 같을 때에 필서체로 정의하고, 글자체의 구조 공간 표현이 모두 글씨에서의 특징을 변형 또는 강조할 때에 인서체로 정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필서체에서 인서체로 분화, 진화하는 중에 나타난 인쇄체는 과도기적 모습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Printing radicalized civilization when it replaced scribal writing, and the Inswae-che that developed from i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Pilseo-che, which reproduce handwriting verbatim, and Inseo-che, which modify or emphasize handwriting features. While Pilseo-che and Inseo-che ar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ing Gulja-che, they share some similarities that make them difficult to distinguish. Especially for those of us who don’t write, it’s har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writing and drawing. In this article, we’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Pilseo-che. The structure is a cube (square) with symmetry up, down, left, and right. The space is the same as calligraphers’ Haeseo-che, which has a similar ratio of inner and outer space, or the writing of private sources, which has a square outline. The expression is a soft curve with stroke heads and endings. Inseo-che that evolved from Pilseo-che appeared in codices. The Inswae-che that was widely used in codice was Bang-che, which expressed the fine curved strokes of the writing in a monotonous Bang-pil as if they were cut out with a knif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were expressed close to the vertical horizontal, which was the beginning of Inseo-che. Later, during the Ming Dynasty, the Inswae-che changed significantly. The Inswae-che of the Ming book, written in Bang-pil, has no slop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and the horizontal section is thin and the vertical section is thick. The stroke heads and endings deviate from the natural shape of the brush, and the endings are expressed as triangles. In addition, the lettering space has the characteristic of a ‘Pu-kwak-bangpil’ (膚郭方筆) in which the strokes are artifici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lettering frame, unlike when writing in a flat square frame. If we look at the process of evolution from Pilseo-che to Inseo-che, we can see that the Inseo-che was created by (1) Bang-pil that simplifies the cursive strokes, (2) vertical and horizontal strokes, (3) exaggerated stroke contrast, (4) decorated heads and closing expressions, and (5) the merging of minor spaces. I believe that it is correct to define calligraphy as Pilseo-che when all the structural and spatial expressions of a Gulja-che are the same as writing, and to define calligraphy as an Inseo-che when all the structural and spatial expressions of the Gulja-che modify or emphasize features of writing, and to define Inswae-che as a transitional form that appear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evolution from Pilseo-che to Inseo-che.

      • KCI등재후보

        KS 코드 완성형 한글의 추가 글자 제안

        노민지,윤민구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5 글짜씨 Vol.7 No.2

        When a typographer designs Hangeul font these days, he or she relies on KS X 1001, the complete Hangeul system that was first defined in 1987.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ystem are thos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of use. However, the system has been used for over 20 years by now, so it does not wholly reflect the present standard language or language practices. Users could sometimes be disconcerted by the lack of some standard words, abbreviated forms, and loanwords. Designing all 11,172 characters that can be combined from the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might be a solution, but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and efficiency, 2,350 characters have been proposed to be included in the system since they are widely and frequently used. For there is no specific norm, designers need to individually choose which among the remaining 8,822 characters should be added to the existing system. In this article, the writer proposes adding 224 characters: 1. nine for writing the standard language 2. twenty-four for writing the abbreviated forms 3. thirty- nine for writing the pronunciations 4. forty-one for writing the dialects 5. nine for writing the conjugated forms 6. sixty-seven for writing the proper nouns, loanwords, and the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s 7. forty-two for writing the interjections, onomatopoeia, and newly-coined words, among which seven characters are repeated. As the language practices change with the flow of time,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s to be added in the system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