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사용에 미치는 효과

        위재옥,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이며, 온라인 대화, 온라인 언어사용,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이를 토대로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김포시 지역의 Y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연구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한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에는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 동안 10차시에 걸쳐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정규 교과의 온라인 대화예절과 관련한 내용의 학습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on the language usag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 through developing the device which can measure the primary school students' language usage. We had adapted the experimental study. We had searched the online conversation, usage of online language, and tried to search some literatures on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after setting up our purpose in this study. We had also develop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at progra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 members of Y primary school student in Gimpo, and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 one was for experiment, and the other was for comparison. Of course, We'd made the pretest for checking out their identities, which resulted in no meaningful difference. We'd appli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class hours from April to May in 2007. This program hadn't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Instead, The comparison group had studi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in the regular class. The gathered data had been analyzed using the SPSSWIN.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t 5% level statistically, so we could know that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online language usage of prim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경험과 인식

        정평강,정가희,김가영,김중훈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ho provided an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13 teachers and 6 institutional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categories were derived: program start, features of the program I experienced, positive impacts of the program, program improvements, and new discoveries and changes in perception. 14 theme groups and 36 themes were also derived. The study participants initially had doubts and expectations about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but as they experienced it, they gradually became satisfied with its effectiveness, and their views on children and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were chang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implemented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In addition, we provided education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 KCI등재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대학 학사경고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경민(Choi Ky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국내 소재 A대학의 2021년 1학기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 2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직전 학기 평점과 학업적 지연행동 사전-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t-검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총 5회기의 프로그램 중 30분 내외로 구성된 시간 관리를 위한 온라인 학습법 특강 3회와 학습전략 증진을 위한 2회의 전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점은 직전 학기 학사경고를 받았을 당시의 학점과 비교해 상승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업적 지연행동은 프로그램 운영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supporting online learning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for undergraduate warn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Methods Twenty-five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Professor Learning Development Center of A University in Korea conducted the Bachelor s Warning Learning Support Program from April 1 to June 30, 2021. Prior to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evious semester s ratings and pre-post-examination of delayed academic behavior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SPS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trinsic inertia of the scale, and t-valid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line study method special lecture for managing time in three sessions and a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for promoting learning strategies in the second session showed that the grad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 s academic warning. This study can suggest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academic delay and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who have difficulties in online learning. Conclusions From these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s.

      • KCI등재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채유정,이현주,박성희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6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surveyed 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subjects,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test, ANOVA, and M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tudent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n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overall, participa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2) participants perceived the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In specific, they perceived system satisfaction higher than interaction satisfaction. (3)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mpacted on bo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ere grade,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uggestion for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영재교육 수강생의 성별, 학교급, 수강과목, 인터넷 수업에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K 영재교육원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630명 (남학생 402명 , 여학생 228명 )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연구에 사용되었던 연구도구를 수정 , 보완하였고, 인구배경학적 특성을 포함하여 총 48문항이 제시되었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배경변인에 따라 두 독립표본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수준이었고,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제만족도가 상호작용만족도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학교급, 인터넷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영재교육을 위해 필요한 콘텐츠 및 프로그램 요소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육을 위한 어린이 체험 키트 개발연구 -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채정아(Chae, Jung-Ah),김연희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오늘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화되었다. 박물관도 예외는 아니다. 박물관의 주요 사업인 전시와 관람은 물론, 체험과 교육프로그램도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비대면 소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상호교류가 가능하며 VR, AR 등 디지털 기술기반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유물을 직접보고 느끼며 관찰하여 진행되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할 때,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양질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박물관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ADDIE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박물관 및 지역사 연계 교육프로그램에 활용 가능한 교육 키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학습을 진행하고 현상을 관찰하며 온라인 교육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변화, 관계의 맥락적 변화 그리고 매체 변화의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박물관 교육이 나아갈 방향성과 학습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Today, the spread of COVID-19 has brought radical changes in society at large, and museums are no exception. Not only exhibition of works and museum tour, which are the main businesses of museums, but also experience and education programs are mostly being operated online. In additi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esents diverse ways fo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utual interchange can be made anytime online as well as offline,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VR and AR are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museum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by seeing, feeling and observing artifacts, high-quality research on online education programs is urgently needed. Thus, this study presented a systematic ADDIE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online education program cases, and based on them, it developed an educational kit that could be used for museum and local history-linked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of environmental changes, contextual changes in relationships, and media changes were found in online education during the progress of learning and observation of the phenomenon.

      • 온라인 기반 우울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연구 - 「마음터치 블루」를 중심으로

        최다솜,손기화,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1 정신건강연구집 Vol.11 No.-

        ▪ The purpose of the study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Internet-based depression Self-help program has any influence on acceptance behavior, pursuing values, and any changes in the depression of the program’s user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forming an objectiv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based mental health Self-help program and in proving its effectiveness. ▪ The methods of the study : Among the people that are registered with ‘MAUM TOUCH BLUE’ from January 2019 to October 2020, the study, as a quantitative research, selected those who dropped out in the middle of the first session and those who have completed five sessions as the population. Among them, 154 people that hav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version. A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program was completed followi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verage scores of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between the groups.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and to figure out the persistency of effectiveness. ▪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 percentage of females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82.5%, which was higher than males (17.5%). The percentage of those ages 18-29 was 59.7%, which was the highest. 71.4% of people lived in Seoul, and 42.2% of people graduated from college. 77.3% of people answered that they have ‘never’ visited a psychiatric clinic. To compare acceptance behavior, pursuing values, and changes in depression of those that have completed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s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 chang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thre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with those in the program showed that the effects continued when compared with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 Conclusions : ‘MAUM TOUCH BLUE’ is an online program for those who experience mild depression to examine their mental health on their own and to manage it. In particular, those in normal groups and those with mild depression showed a high rate of completion of the program.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 acceptance behavior and pursuing values of those in the program were improved, and they felt less depressed. With respect to online programs, although there is the benefit of participating, not being bound by time and space,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which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s when compared with the face-to-face services. For online us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programs, developing various strategies and complementing the system will be promot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기반 우울 자가관리 프로그램 「마음터치 블루」가 프로그램 이용자의 수용행동, 가치추구, 우울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정신건강 자가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객관적 근거 마련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마음터치 블루’의 가입자 중 1회기 중도탈락자와 5회기 완료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연구 설문에 응한 154명을 대상으로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프로그램 만족도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완료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사전-사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완료자의 사전-사후 비교 분석과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응표본-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82.5%로 남성(17.5%)보다 높고, 연령대는 만 18-29세가 59.7%로 가장 높았다. 거주 지역으로는 서울이 71.4%,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42.2%, 정신과 이용경험은 ‘없음’이 77.3% 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완료자의 수용행동, 가치추구, 우울감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완료자에게 완료일로부터 3개월 후, 추후 설문을 한 결과, 사전 점수와 비교하여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마음터치 블루는 가벼운 우울감을 경험하는 이들이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살펴보고,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그램이다. 특히, 정상군 또는 경증의 우울감을 가진 이들이 프로그램의 완료율이 높았으며 프로그램 완료 후, 완료자의 수용행동 및 가치 추구는 향상되었고, 우울감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프로그램의 경우,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대면 서비스에 비해 참여율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온라인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 내실화를 위한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대학 사례 중심

        박영주(Park Young Joo),김정미(Kim Gi Suk),김기석(Kim Jung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일반대학의 온라인 수업의 내실화 방안의 일환으로 온라인 수업 질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국내외 소논문 고찰과 일반대학 운영 사례 조사 및 교원과 재학생 대상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들을 중심으로 4단계의 온라인 수업 질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특성은 교육과 평가를 혼용하는 것이다. 기본단계는 지난 한 해 동안 교원 모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해 보았으므로 오리엔테이션을 활용한 교육을 통해‘Beginer’인증이 되며, 1단계는 수업과 기술 관련 기초내용으로 총 10회의 워크숍 참여 및 교육내용에 대한 자료 제출 평가로‘Core’인증, 2단계는 수업과 기술 관련 심화 내용으로 총 10회의 워크숍 참여 및 강의계획서와 1회 수업계획서 평가로‘Expert’인증, 3단계는 전문가가 멘토로 투입되어 직접 온라인 콘텐츠 개발과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고 관련 자료 제출 평가를 학생 평가와 더불어 실시하고 ‘Master’인증을 한다. 평가는 사전 안내된 루브릭을 사용한다. 향후 과제로 규정 반영 및 전담 부서 필요, 재원 확보, 꾸준한 관리가 제시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a program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also to develop and present an online class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this, this study considered the relevant domestic/foreign research papers, researched the operating case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And based on the drawn results, a 4-phased online class quality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basic phase, the certification of ‘Beginner’ is given through education using orientation as every professor had experiences of operating online classes last year. In phase 1, the certification of ‘Core’ is given after participating in ten times of workshops about basic contents related to class and techniques, and then submitting materials related to class design for assessment. In phase 2, the certification of ‘Expert’ is given after participating in total ten times of workshops about intensified contents related to class and techniques, and then submitting materials related to class design for assessment. In phase 3, an actual expert is put as a mentor to help the development of online contents and operation of real-time bidirectional online class. The certification of ‘Master’ is given through the assessment of submission of relevant materials and student assessment. For the assessment, the rubric that has been guided in advance is u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online class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general universities. However, this study only used a single case of university for exploration,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s results.

      • KCI등재

        예비교사 온라인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 사례 연구

        박은정,최원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1

        This is a case study of an online mentoring service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t a national university in Jeollanam-do. COVID-19 caused a drastic severe gap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 public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are left in a blind spot, without receiving proper education. To address the situ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ccelerating its efforts to revitalize public education through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online mentor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one of several programs design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in need of educational assistance through public education support, that is, volunteer online mentoring. Preservice teachers studying in the nine departm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served as online mentors, and the target mentee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average basic academic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mentoring program was conducted online as a remot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case study of an online mentoring service program, to eventually promote online mentoring service activ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lea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echnology era. Key areas of the study included the background, contents, and method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mentor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examp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of the participating mentors and the results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ased on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hat stakeholders should understand, respec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the gist of the mentoring program, continue working on to make further improvement, and lead the direc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는 전남지역 국립대학교 예비교사 원격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를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공교육에서 학생간의 급격한 학력 차이가 발생되었고, 사각지대에 놓여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중고교 학생들이 많은실정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대학 기관으로의 지원을 통해 공교육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은 여러 프로그램 중 하나로 공교육 지원, 즉 봉사 멘토링을 통해 교육적 도움이 필요한 중학생을 돕는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은 사범대학 각 소속학과 예비교사들이며 교육 대상은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이었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은 원격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원격 멘토링 봉사프로그램의 사례연구를 보여줌으로써 21세기 테크놀로지 시대에 교육을 이끄는 예비교사들에게 원격 멘토링 봉사활동을장려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내용, 방법이고 영어교육과 멘토링 활동 과정을 그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는 참여 멘토들의 경험, 성찰 및 느낀점과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중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이 멘토링 봉사단 프로그램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상호 이해, 존중, 협력하고 개선점을 보완하도록 하며 원격학습 커뮤니티 조성의 방향을 이끌어야 한다는 교육적 제언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토익 학습 수행점수, 그릿, 학습 스타일 및 성취도의 관계 분석

        고명희,이영경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9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2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ctivity completion rate, the grit, the learning style and the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an online TOEIC program. A total of 10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TOEIC program for 15 weeks as part of their course work. They completed surveys on grit and learning style nea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show that (a) gr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online activity completion rate nor was there a significance difference in grit between the high and low online activity completion group; (b) learning style also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online activity completion rate nor wa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s of high and low online activity completion groups; (c)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activity completion rate and their achievement in the online TOEIC program.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was also found between the high and low online activity completion group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Grit scale, the role of Korea’s educational system in shaping learning style and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TOEIC program for learners with different English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