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의 미디어가 된 오페라: 존 아담스(John Adams)의 《닉슨 인 차이나》 (Nixon in China) 연구

        정다운 ( Chung Da Woo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1

        본고는 1972년 미국 닉슨 대통령의 중국방문을 다룬 존 아담스(John Adams)의 오페라 《닉슨인 차이나》(Nixon in China)를 미디어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닉슨 인 차이나》는 동시대 사건을 다룬 뉴스를 오페라 무대 위에서 재현했다는 점 때문에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미디어와의 이러한 표면적 연관성은 오히려 작품이 가진 보다 본질적이고 심층적인 미디어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간과하도록 만들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닉슨 인 차이나》를 미디어이론의 틀에서 접근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즉 본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모두 미디어적 속성이 반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가 현실에 영향력을 끼치는 모습을 작품 속에서 드러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디어와의 다층적인 연관성이 《닉슨 인 차이나》의 리브레토, 음악, 연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현대사회 속 미디어의 모습을 반영하는 오페라로서의 본 작품을 고찰하였다. 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작품의 내용은 닉슨의 중국방문이 아니라, `미디어에 비친` 닉슨의 중국방문이라는 점을 핵심으로 한다. 등장인물들은 TV를 시종일관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현대인의 삶과 미디어의 연관성을 포착한다. 둘째, 내용을 담는 작품의 형식을 보면, 뉴스나 쇼 등 구체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모방이 나타날 뿐 아니라 패스티시와 플로우 등 텔레비전이 취하는 전형적 구성형식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닉슨 인 차이나》에서의 파편적 극 구성과 음악구성, 긴장과 이완의 호흡을 고려하여 시종일관 관객의 시선을 놓치지 않도록 하는 배열 등에서 나타난다. 셋째, 내용과 형식을 통해 드러나는 작품의 주제는 미디어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반성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사로잡힌 현대인의 모습을 《닉슨 인 차이나》에서는 정신분열증과 노스탤지어를 통해서 포착한다. 통전적인 인식을 방해하는 미디어의 영향력은 분열된 자기의식, 기표의 언어유희인 정신분열증을 통해 나타난다. 노스탤지어는 현실도피를 위한 상품화된 가상인데 《닉슨 인 차이나》에서는 노스탤지어 속에서도 이미 자리 잡고 있는 미디어의 모습을 통해 그 무한 소급적 위력을 드러낸다. 미디어의 막강한 영향력은 하이퍼리얼리티의 생산에서 절정을 이룬다. 이는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가상과 원본 없는 이미지의 유통을 의미하며 《닉슨 인 차이나》에서는 극중극 장면에서 첨예하게 나타난다. `낯설게하기`는 이러한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 극적 장치로 사용되어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게 한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닉슨 인 차이나》는 현대사회 속 미디어의 모습을 매개(mediate)하는 역할을 하는 오페라로서 독해가능하며 바로 이 점이 《닉슨 인 차이나》가 지닌 동시대적 오페라로서의 진정한 지위와 가치를 보장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ohn Adams`s opera Nixon in China dealt with the event of President Nixon`s visit to China in 1972. In this study, Nixon in China is examined from a media perspective. The work is unique in opera history as it showed actual news clip on the opera stage for the first time. This superficial relevance of the media has hindered more fundamental study on the media relevance Nixon in China has. I consider the media relevance as a salient feature of Nixon in China. This study examined multiple aspects of the media that can be seen in Nixon in China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its libretto, music and staging. What this analysis have found is as follows. Firstly, the material of Nixon in China is not `Nixon`s visit to China`, but `Nixon`s visit to China viewed on TV`. It is the key point we should pay attention. Characters are sensitively conscious of the media all the time. They act differently based on presence or absence of the media, which shows media-affected life of contemporary people. Secondly, the form which contains the material reflects that of TV media. Its format takes that of media; `pastiche` and `flow`. Nixon in China reflects pastiche in its unconnected events and fragmentary music. Also it uses the cycle of tension and relaxation very effectively to catch the eyes of the audience unfolding the story. Lastly, what is the core message of this opera through its media-oriented material and form? The theme of Nixon in China could be a critical reflection on media-oriented reality. The work captures media-oriented contemporary people in schizophrenia and nostalgia. Schizophrenia appears in split self consciousness and a word-play of signifier which lost meaning. Nostalgia works as an escape from reality. In Nixon in China, we could see nostalgia already includes TV, which reveals inexhaustible power of the media. This power reaches its peak in producing hyper-reality. Nixon in China reveals hyper-reality through play within a play. In showing the media through the opera, Verfremdung(Defamilarization) works effectively. It enables us to keep a distance from media by showing the content of media with its frame at the same time. Therefore Nixon in China could be read as an opera that mediates the media. It provides the profound reflection on media-oriented society and people. This is the core value of Nixon in China as a contemporary opera.

      • KCI등재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 연구 - 연출 구조를 중심으로

        김효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6

        본 논문은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미디어의 운용이라는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미디어를 운용하는 예술가에게 미디어 퍼포먼스의 모듈로서의 연출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선 미디어 퍼포먼스의 개념은 실험과 수행성의 관점에서 리차드 쉐크너(Richard Schechner) 가 말하는 ‘퍼포먼스’의 연장선에서 설정하였다. 그러나 미디어 퍼포먼스를 사건 중심의 수행성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작품으로서 레퍼토리화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작업인 것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연출방법론은 전통적인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가 상호소통하고 퍼포머로서의 미디어가 아날로그 공연자와 함께 공연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은 문헌연구를 통해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연출 방법론은 다음의 연출-구조, 연출-유형, 연출-기술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연출-구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미디어 퍼포먼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에 의거해서 어떤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미디어가 운용되는지에 따라서 배경효과, 재연효과, 퍼포머효과 연출 구조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론된 연출 구조는 미디어 운용의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를 분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s on a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media performances from 'media operation' perspectives and to suggest directing methodologies as a 'module of media performance' to artists who are conducting and operating media. This study investigates media performances from an extension of performances noted by Richard Schechner regarding experimental nature and performance perspectives. However, media performance is not a mere event-driven performance. It creates new categories and accumulates works with possible repertoires. Research on a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creates the premise that traditional earlier media such as cultural events, plays, dance, and music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new media, this the new media performing as a performer along with the analog performers. This study suggests the Aristotle theory model for media performanc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creating a directing methodology for media performance based on the model. The directing methodology is classified into the three subtypes of the directing structure, directing type, and production method for media performances based on the theory model of Aristot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ing structure. Media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i.e., the background effect, the re-presentation effect, and the performer effect, depending on when the media was operated and mainly at which stage. The case study on the directing structure will help analyze media performances from a 'media operation' perspective.

      • KCI등재

        미디어극장의 시대, 유성기와 라디오

        우수진 ( Woo Su-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무대연극 중심의 근대연극/사의 논의를 유성기와 라디오뿐만 아니라 이후 영화와 TV, 컴퓨터 등의 미디어연극으로까지 확장하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적 서설의 성격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무대연극은 유비쿼터스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현장성을 생명으로 하는 거의 유일한 아날로그 형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시대에도 극장은 폴리스라는 도시국가의 사회 미디어 중 하나였으며, 우리의 경우 그것은 신문과 잡지, 유성기, 라디오 등과 함께 근대 미디어 중 하나로 등장했다. 실상 근대 연극은 미디어연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연극의 본질을 현장성보다 인간 행동의 모방에 둔다면, 연극의 영역은 무대극장뿐만 아니라 인간 행동의 모방을 실연(實演)하는 유성기와 영화, 라디오, TV, 그리고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은 미디어극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우리의 근대 초기에 유성기와 라디오는 처음 무대극장적 환경에서 경험되었다. 사람들은 유성기와 라디오가 보여주는 근대 테크놀로지의 스펙터클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 극장에 모여들었다. 그리고 무대극장에서만 향유될 수 있었던 공연물은 이제 유성기와 라디오를 통해서도 향유될 수 있게 되었다. 미디어극장은 물리적으로 제한되어 있었던 무대극장의 시공간을 말 그대로 미디어를 통해 획기적으로 확장시켰으며, 이를 통해 근대적이고 내셔널한 대중문화를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유성기는 음악인과 음악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음악을 음반의 형식으로 상품화, 사유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제 유명한 기생과 명창의 소리, 악공의 연주, 명배우의 연극(대사), 명변사의 해설은 반드시 극장 안에서만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닌, 언제 어디서나 일상 속에서 들을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들 음악 및 연예물 등을 대중화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나아가 대중사회 안에서 공동체적인 감각이나 감정, 즉 대중적인 감각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다. 라디오 방송은 방송(공연)과 청취(관극)가 장소성을 초월하여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근대 테크놀로지가 연출해내는 하나의 신기한 스펙터클과 같았다. 그리고 라디오는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프로그램을 수신자가 동시적이며 편재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매스 미디어로 등장했으며, 이로 인해 미디어극장의 공공성을 획기적으로 확장시켰다. 즉 라디오는 개개인의 사적 소비에 따르는 유성기와 달리, 체신국에 의해 운영되는 공적인(국가적인) 미디어였으며, 그로 인해 상업성 자체보다 라디오의 보급과 이를 통한 국민의 문화생활 향상이라는 공공성(공영성)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했다. 즉 라디오는 유성기처럼 좀더 자유롭게 대중적인 감각을 형성시키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적 감각을 형성시키는 데 기여했다. 당시 하나의 연극 장(theatrical sphere) 안에서 무대극장과 유성기 및 라디오의 미디어극장은 밀접한 관계 아래 상호교섭하고 있었다. 협률사와 원각사, 광무대와 연흥사, 단성사 등의 극장을 주 무대로 활동하고 있었던 이름난 창부와 기생, 악공, 배우, 변사 등은 대부분 유성기 음반을 녹음하는 한편 라디오에 출연했다. 당시 신파극과 신극, 영화해설 등은 무대극장과 유성기 음반극장, 라디오극장에서 동시에, 물론 각각의 미디어에 적합하게 변형된 형식으로 상연되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이 하나의 근대적인 연극 장 안에서 이들 무대연극/극장과 미디어연극/극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상호교섭하며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를 이후의 과제로 남긴다. As a distinctiv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 this paper discusses modern theater and theatrical history by not only focusing on stage, but by further extending to the modern media such as gramophone, radio, movies, TV, and the computer, and so on. The stage play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last remaining analogue style in an age of ubiquitous digital media. However, even the ancient Greek theater constituted one of the social media in polis. In Korea, it emerged as one of the modern media with the newspapers, magazines, gramophones, and the radio. In fact, the modern theater is the media theater. If we take the essence of the drama to be the imitation of the human action rather than on-the-spotness, the domain of the drama can be extended into the media theaters such as the gramophone, the radio, TV, computers, and even the smart phones for they can also imitate the human action as well as the stage theater. At the first time, they experienced the gramophone and radio in a stage theater environment. People flocked to the theater to experience the modern technology of the gramophone and the radio. The performances which could previously only be enjoyed in the theater could also now be enjoyed through the gramophone and the radio. The media theater innovatively expanded the time and space of the stage theater, which had until then been physically limited to on-the-spotness. Moreover, through this, the popular culture could be modernized and nationalized quickly. The gramophone contributed to separating the music from the musicians, and to commercializing and privatizing the music in form of the record. Now the songs of the famous gisaeng (Korean geisha) and myungchang (master singer of pansori), the performances of musicians, the dramatic readings of famous actors, and the explanations of the silent film narrator could be heard in everyday life, not necessarily in the theater. Ultimately, this contributed to popularizing the artists' music and performances, and to forming a sense of the popularity and the nationality-in other words, the popular and national culture. Radio broadcasting was the amazing spectacle of the modern technology. Moreover, the radio appeared as a genuine mass medium allowing listeners to simultaneously and ubiquitously listen to the broadcast programs. So it enlarged the publicity of the media theater, and therefore the preemptive purpose of radio didn’t reside in the commercialism, but in the publicity-in other words, in enhancing the cultural life of the public. At that time, the stage theaters and new media theaters such as the gramophone and the radio were interacting closely together in the theatrical sphere. The chagnbu (Pansori singer), gisaeng, musicians, actors, and the silent narrators worked for the stage theater, the gramophone, and the radio at that time. I want to discuss about this in the next thesis.

      • KCI등재

        미디어 환경개념의 정책적 함의

        김평호(Pyu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기본적으로 미디어 공익성이라는 개념은 사회적 차원에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대응과 관리, 통제를 위해 확립된 이념체계, 즉 사회적 이익의 실현을 위해 미디어에 개입하는 철학적 근거로 기능해오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공익성 철학을 미디어 융합시대에 걸맞은 현실의 정책으로 해석ㆍ적용하기 위한 수많은 논의와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시되는 구체적 정책내용이나 방안은 융합환경 이전이나 이후에도 사실상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 같은 한계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공익성의 제도화 관련 논의가 대체로 미디어에 대한 도구적 관점에 기초해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미디어는 도구, 또는 도구의 집합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 과잉’이라는 사회적 상황을 조성하고 있는 융합시대에 들어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이 연구는 공익성과 관련한 기존의 정책과 정책논의가 가지고 있는 미디어에 대한 시각과 인식의 한계를 ‘미디어-환경’개념에 입각해 반성적으로 짚어보고자 한다. 미디어-환경개념은 말 그대로 미디어를 환경, 특히 ‘문화적 생태환경 체제’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에 대한 환경론적 접근은 융합시대에 요구되는 미디어 공의성 관련 정책의 철학적 기초와 내용을 보다 풍성하게 하는 한편 공익성의 실천적 기준과 주체의 범위를 더욱 확대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convergence of media poses serious challenges to technologies, industries and policy makers. At the core of the challenges lies a socially and culturally problematic condition of 'media unlimited.' Under the circumstances, the idea of public interest of the media seems to lose its intervening leverage as it flounders in countering 'the media torrent' rushing from the exponential growth of ICTs that overwhelms contemporary life and society. It is an urgent task for the critical community to blaze fresh new thoughts about the idea to intervene in the current age of media excess. Beyond the conventional content-conduit-centered perspective on the media, this study suggests a media-environment concept based on media ecology as an engaging leverage to replenish the public interest idea. The environmental approach to the media means literally to conceptualize the media as environment--a cultural eco-system.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ecological approach in enriching the conceptual terrain of policy discussions and policy-making processes concerning the public interest idea that hopefully enlightens all the media actors concerned.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부산행>, <서울역>의 확장 가능성

        이현중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planed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which set for the Korean films market environment. In fact, it hard to conclude that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trans-media storytelling proper. However, the stories, that each media develops, contribute to the whole story in independent way. It is different with existing Korean trans-media contents cases which were the extend of web contents and media converting. So those two texts have potential as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is also a very unique perspective franchise storytelling of the director's previous animation production, which can be called the "Yeon, Sang-ho brand". The two texts share some stories and characters. In time order of narrative, <Seoul station> is prequel of <Train to Busan>. But the part where the two works are valued as trans-media storytelling is not just sharing stories. Each content of film and animation uses a storytelling strategy that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media. This gives a richer meaning to the whole story. And the two texts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into additional media. Expansion here means the expansion of the story and the media as a trans-media storytelling. <Trains to Busan> and <Seoul station> have the character of a vivid genre film, seemingly called zombie movies, regardless of the social themes. Both films have narrat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pecific space and movement. This allows the story to be expanded as a game, a series of TV dramas, and an AR content. In case of Train to Busan, the unique characters carry out the story process of continuing 'quest'. This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game's storytelling style. These points provide insight into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storytelling into games. TV genre dramas can be used through storytelling strategies that complement major characters that are not explicitly explained in movies and animations. Also, the appearance of real space and possibility as shooting game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as AR contents. 본 연구는 <부산행>, <서울역>을 한국의 영화 시장 환경에 맞춰 기획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이해하고 분석한다. 이는 디지털과 뉴 미디어라는 기술적 관점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개념화하는 기존의 연구 시각에 이야기를 중심으로 미디어 확장 가능성을 파악하는 텍스트 내적 분석을 접목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뤄질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가 확산될 수 있는 기술적 제반과 향유 문화가 갖춰졌다는 측면은 두 작품을 넘어 한국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의 잠재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연구될 것이다. 사실 <부산행>과 <서울역>은 완전한 의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다만 이 작품들에는 웹 콘텐츠의 확장 중심이었던 기존의 한국적 사례와 다르게, 매체전환적인 의미를 넘어 각각의 매체가 전개하는 스토리가 전체 스토리에 독립적으로 가치 있게 기여하는 지점들이 발견되기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두 작품을 넘어 이른바 ‘연상호 브랜드’로 칭해질 수 있는 감독의 이전 애니메이션 연출작들과 일종의 연장선상에서 전체 스토리를 유추할 수 있는 매우 특이한 관점의 프랜차이즈 스토리텔링으로서의 가능성 또한 보인다. 두 작품은 일부 스토리와 캐릭터를 공유하며, 서사의 시간성으로 볼 때 <서울역>이 <부산행>의 프리퀄에 해당한다. 하지만 두 작품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가치를 갖는 부분은 단순한 스토리의 공유가 아닌 개별 매체에 특성화된 스토리텔링 전략을 각각의 콘텐츠가 구사하며 이를 통해 전체 서사체에 보다 풍성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작품은 다른 미디어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닌다. 여기서의 확장이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스토리와 미디어의 확장을 의미한다. <부산행>과 <서울역>은 내포된 사회적 주제를 떠나 표면적으로 좀비 영화라는 선명한 장르 영화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특정한 공간성과 이동을 중심 매개로 하는 서사 특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 게임, 시리즈형 TV 드라마, AR 콘텐츠로서의 스토리 확장을 생각해볼 수 있다. <부산행>의 경우는 개성화된 캐릭터들이 지속적인 퀘스트를 수행하는 형태로 서사가 진행된다는 측면에서도 게임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상당 부분 접목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들은 게임으로의 스토리텔링 확장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것이고,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주요 캐릭터들을 보완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웹툰이나 TV 장르 드라마를 활용하는 방식 또한 시도가 가능하다. 또한 실존 공간의 등장과 슈팅 게임으로서의 가능성은 AR 콘텐츠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뉴미디어 확장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변화 연구

        이종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0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1 No.2

        The expansion of new media has dramatically transformed the content market. In the broadcasting sector, in particular, content diversity is essential to overcome a sharp drop in advertising costs, which resulted from poor viewing ra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ontent market and discover the influence of content changes on media. For this, changes in the content market were divided into old media and new media, and the causes of the expansion of new media and its influence on content were examined. Lastly, this paper is summarized, and conclusions are given by suggesting a content development plan for broadcasting companies under the expansion of new media. Old media refer to conventional media including TV, radio, newspapers and magazines.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however, they have been replaced with new media such as YouTube, Facebook and mobile apps. As broadcasting content such as TV series and K-pop are exported to many countries under the name of ‘hallyu (the Korean Wave)’, the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has been popularized. Such content has already been developed through traditional media. Thanks to the new media (YouTube), K-pop culture has been formed and spread all over the world, considerably improving the image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is, the traditional media have also opened their own YouTube channels and developed new content to escape the influence of new media platforms and stay competitive in new business markets. For both old and new media, it is most critical to secure the competitive content that 5G consumers wa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미디어 공간의 감각행위 상응에 의한 상호작용 응답체험 연구

        김일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The digital environment is creating diverse media that enable people to experience multiple senses. By media, space design is making electronic experience beyond physical experience system.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teractive response experience of media space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equivalence between media and experiences generated by the interactive form of media space design. Therefore, the stage of experience shown by the media is examined, and the equivalent factor is analyzed to distinguish the interactive response experience of space design by media.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identifies interaction and equivalent factors as media is applied to space, and distinguishes interactive response experience forms of space design which are centered on equivalent factors. For this purpose, mediated space is divided into sensory response experience, informational response experience, and behavioral response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edia space is a factor of sensory equivalence, cognitive equivalence, and behavioral equivalence, and that media space is systematized as sensory response experience, informational response experience, and behavioral response experience by three factors. According to research, media space is a space design in which interaction occurs by digital technology. This media space was confirmed to be a space of sensory response experience, informational response experience, and behavioral response experience based on factors of sensory equivalence, cognitive equivalence, and behavioral equivalence. 디지털 환경은 사람의 다감각 체험이 가능한 다양한 미디어를 만들고 있다. 미디어에 의해 공간디자인은 물리적 체험체계를 넘어 전자적인 체험양상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형식에 의해 발생되는 미디어와 체험자 사이의 상응의 용인을 통하여 미디어 공간의 상호작용 응답체험을 논증한다. 그리하여 미디어에 의해 나타나는 체험의 단계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상응의 요인을 분석하여, 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응답체험을 구분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미디어가 공간에 적용되면서 상호작용과 상응의 요인을 파악하고, 상응의 요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응답체험형식을 구분한다. 이를 위해 장치적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매개된 공간을 감각적 응답체험, 정보적 응답체험, 행위적 응답체험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미디어 공간이 감각상응, 인지상응, 행위상응의 요인이 있으며,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미디어 공간이 감각적 응답체험, 정보적 응답체험, 행위적 응답체험으로 체계화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미디어 공간은 디지털 기술에 의해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공간디자인이다. 이러한 미디어 공간은 감각상응, 인지상응, 행위상응의 요인을 기반으로 감각적 응답체험, 정보적 응답체험, 행위적 응답체험의 형식을 갖는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웹의 매체 미학적 고찰

        황재호(Hwang Jae H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web has become the part of our daily life. The advent of new media always causes the changes of culture and art field, and gives the new trend of human's perceptual methods and behaviors. It is need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eb media with regards to the media aesthetics because the disturbance between virtual presence and real world exists in the perception of the information in cyberspace of web. Digital media exist in cyberspace because they include the mathematical simulation system by themselves. The virtual presence causes the disturbance by reason of the gaps between virtuality in cyberspace and the reality which we experience and perceive. As web media which have hypertext structures and vigorous interactivity increase the chaos of virtual reality, the research for the nature of web is needed from the aesthetical point of view. In this paper, the media aesthetical theories related with web are studie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for art are also surveyed, and the web media are explored by in a new way. Digital media give the changes of the acceptance patterns in art field and these acceptance patterns increase the ambiguity in the definition of art. The optimistic and pessimistic views in the media theories are studied so that the basis for web developers to merge these theories with their work can be established by recognizing the paradigm shift of media aesthetics and reflecting these media theories to web media.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웹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의 일부가 되었다. 새로운 매체의 출현은 항상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인간의 지각 방식과 행동 양식에 새로운 경향을 부여해 왔다. 웹의 특성상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전달 체계에 있어서 가상적 실재와 현실이 혼돈되는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매체 미학적 관점에서 웹 매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디지털 매체는 그 자체가 수학적 시뮬레이션 체계를 가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사이버스페이스에 존재한다. 이러한 가상적 실재는 가상의 공간에서 존재하는 가상성과 우리가 경험하고 느끼는 현실 사이의 괴리로 인한 혼란을 가져온다. 하이퍼텍스트 구조의 비선형적 접근성과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되는 웹 매체는 이러한 가상현실의 혼돈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웹 매체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한 웹의 실체에 대한 미학적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매체의 관점에서 관련된 매체 미학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미학적 측면에서 웹이 예술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웹 매체를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디지털 매체는 예술의 수용방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수용방식의 변화는 예술에 대한 정의를 한층 더 모호하게 하였다. 매체 이론에는 낙관론과 비관론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매체 이론들을 웹 매체에 반추해 봄으로써 매체 미학의 패러다임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여 웹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이론 접목을 시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Strategy of Film Assisted by Multiple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vergence - Centered on the Film “Hidden in the Dust”

        Yuxue Yang,Yu Gao,Haochen Wu KOREA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24 Journal of Arts and Cultural Studies(ACS) Vol.3 No.1

        Background: In today's Internet era,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and new media has enriched the transmission channels of film works. Since the birth of film,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its audience through media. The use of multiple media to help the transmission of film has entered the strategic level of film and television culture construction, and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Purpose: This paper aims to combine the current media fusion environment, provid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channel innovation and the lasting power of wide dissemination for excellent films, and study the development strategy of multi-media communication for film works. Methods: This paper uses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important influence of multiple media on film communication. Results: The paper concludes that film communication should be audience-centered, multi-platform communication of new media, and a stable and clear communication system of domestic film culture under the global information background.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strategy of multi-media assisted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vergence, this paper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ake the audience as the center; 2) The use of new media diversified information platforms for linkage communication; 3) Create a new pattern of perfect integration of new media technology and Chinese film international communication road. Taking the above three aspects as an important way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scope and influence of Chinese realistic literary films and other excellent films.

      • KCI등재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

        전주혜 ( Joohye Jun ),신명환 ( Myoung Hwan Shin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수용자들의 선호 유형은 5개 형태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능력과 미디어의 정치성, 상업성 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판적 미디어 해석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2유형은 미디어 콘텐츠 중 뉴스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능력과 뉴스윤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비판적 뉴스 읽기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3유형은 미디어 이용시 나타날 수 있는 폐해를 줄이고 예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미디어 폐해 예방 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4유형은 미디어리터러시의 기능적 측면, 비판적 측면, 행위적 측면 등 전반적인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종합적 미디어리터러시`선호형이다. 제5유형은 생산자적 입장에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비판적 미디어 생산 리터러시`선호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type of the audience for media literacy in a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As a result, there were five preference types of the media literacy users. The first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interpret media critically` preference type which recognizes the need to educate about the ability to interpret media critically, media politics, and commerciality. The second type is `Media literacy to read the news critically` which recognizes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media based on the ability to interpret news critically and understand news ethics. The third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prevent harm to the media`, which is recognized as a need to reduce and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media use. The fourth type is the `Comprehensive media literacy on media` preference type that recognizes the need for general media literacy education such as functional aspects, critical aspects, and behavioral aspects of media literacy. The fifth type is the `Media literacy to critically produce media contents`preference type which is recognized as a need to produce media contents based on critical thinking in the producer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