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대학교양음악’의 교수법 제안: 영화 《캐논 인버스》를 중심으로

        최원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음악이론포럼 Vol.22 No.1

        이 연구는 대학에서 ‘음악의 이해’, 혹은 ‘서양음악의 이해’ 등의 명칭으로 개설된 교양과목으 로서의 ‘음악’에 관한 영화를 활용한 교수법을 다룬 것이다. 이 연구에서 칭하는 ‘대학교양음악’이란 인류문화와 함께 성장해 온 음악의 저변에 대한 고찰을 다루는 ‘음악 입문과목’으로서, 서양음악에 관한 역사, 감상, 이론 등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져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으로 교양교육이 이루어 져야 함을 상징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양교육으로의 음악’이라는 거시 목표 아래, 그 첫 걸음을 ‘영화’의 활용에서 찾고 있다. ‘영화 속 클래식’이라는 학습동기의 제공은 자칫 고루할 수 있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집 중도를 잃지 않게 하면서 교수자가 원하는 학습목표로의 도달을 용이하게 한다. 바로 이러한 점이 학습자들에게 클래식 음악으로 자연스럽게 입문하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며, 궁극의 목표 인 음악을 폭넓게 즐기는 방법, 즉, 교양으로서의 음악교육에 도움이 될 방법을 찾아가는 길인 것이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화 《캐논 인버스》를 대상으로, 영화구도와 삽입된 클래식들의 음 악 교육적 관점 분석에 근거한 실제 강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대학교양음악’의 구상을 통한 학습목표의 성취가 일차적으로는 합리적인 ‘대학교양음악’을 이끌 것이며, 나아가 대학의 효과적인 교양교육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장기적 안목에서 국가와 사회가 지향하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이상을 실현하게 되는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dealt with an approach to "music" as a subject of general education that was provided under such titles as Understanding of Music and Understanding of Western Music in college. In the study, "General Music Education" refers to "introductory courses to music" that address the base of music that has grown with the culture of mankind. It represents a need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approach to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organic harmony of history, appreciation and theory of Western music. The present study thus found the first step in the utilization of "movies" under the big purpose of "music as general education to assist the character growth of students." The provision of a learning motivation called "classical music in movies" can help the students lose no concentration on classical music that can be boring and easily attain the learning objectives set by the instructor. Those aspects can offer the students an opportunity to be naturally introduced to classical music and find a way to enjoy music in a broad fashi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r cultivation of character. The present study thus analyzed a movie titled Canon Inverse for the film composition and the classical music pieces played in it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education based on general education, a learning motivation theory, and then established an actual lecture model and its strategies. It was expected that the fulfillment of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ose strategies would first lead to rational music education and also effective general education in college and eventually to the realization of ideals as general education sought after by the nation and society in the long term.

      • KCI등재

        인지행동 음악치료가 음악전공자들의 무대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최슬기 ( Seul Gi Choi ),강경선 ( Kyung Sun Kang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본 연구는 인지행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음악전공자들의 무대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음악대학 및 예술대학 3곳에서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공자를 대상으로 무대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높은 점수를 얻은 음악전공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구분하여 무선 배치하였으나, 실험집단 1명이 중도 포기를 하여 실험집단 4명, 통제집단 5명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15일부터 4월 17일까지 주 2회 50분으로 10회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무대불안 척도점수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37점 낮게 나타나 음악치료가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양적연구와 함께 무대공포증을 겪는 음악전공자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자들이 작성한 설문지와 연구자의 관찰기록내용, 참여자들의 경험 및 변화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내용분석의 결과, 참여자들의 무대공포에 대한 경험변화는 원인 찾기, 생각 공유, 나의 변화, 새로운 음악경험, 스트레스 해소, 새로운 다짐으로 6가지의 구체적인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질적연구의 결과에서도 음악치료는 내담자들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경험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 Music Therapy on stage fright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musicians majoring in stage phobia at the music college in Seoul.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gnitive-Behavior Music Therapy was conducted total of 10 sessions from March 15 to April 17, 2018, with a 50 minute session twice a week. Stage Fright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 Music Therapy.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by 37 points in the score of Stage Anxiety Scale, and music therapy prov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changes of musical majors who are experiencing stage phobia with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s made by the participants, interview records of the researchers, interviews about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chang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oward Stage Fright, six (6) sub-factors were drawn which include ‘Finding the cause’, ‘sharing thoughts’, ‘my change‘, ‘new music experience’, ‘relieving stress’, ‘new compromise’. As a result of these qualitative studies, it can be seen that music therapy is a meaningful therapeutic experience for clients.

      • KCI등재

        음악분석, 그리고 분석을 위한 글쓰기 -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

        최원선 ( Won Sun Choi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이 연구는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첫째 논술중심전공교과의 시행 목표가 ‘학습을 위한 쓰기’와 ‘쓰기를 위한 학습’을 지향한다는 점, 둘째 글쓰기를 매개로 교과의 커리큘럼 자체를 변형시키는 프로그램이라는 점, 셋째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추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방식을 음악분석의 교과과정으로 적용해보기 위해, 음악분석의 ‘글쓰기 집중 교과목’으로서의 운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논술중심전공교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음악분석은 분석의 과정이 ‘글’로서 전개되는 글쓰기의 한 측면이며 논리적이며 창의적인 서술의 한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글쓰기를 통한 음악분석의 방법론적 접근은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음악을 설득력 있게 서술하기 위한 전공 심화 차원의 학습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방식으로서 첫째 글쓰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고, 둘째 음악이론 영역의 학문적 입장을 통해 글쓰기와 음악분석에 관한 상관성을 조명하였다. 셋째 글쓰기 및 음악분석 관련 교과에 대한 우리나라 대학의 운용 현황 검토를 통해 논술중심전공교과로의 현실화 방안을 구상하였고, 넷째 이를 중심으로 음악분석의 논술중심전공교과로의 수준별·단계별 적용에 대해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이 같은 시도는 학문적 전문성과 의사소통 능력을 동시에 꾀하기 위한 융·복합 시대의 음악이론 교육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교수적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하겠으며, 음악분석의 논술중심전공교과 강의 개설을 위한 첫걸음이란 시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음악분석의 교과 운용은 현실적으로 대학별, 전공별로 편차가 클 뿐만 아니라 교과의 내용은 실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의해 상이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며, 더욱이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로 지정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란 학술적인 연구결과들의 축적 없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looking at mus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WAC(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The study first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implementation goals of WAC were "writing to learn" and "learning to write." It also focused on the fact that WAC was a program to change the curriculum of a subject itself via writing and sought after active learner-centric education.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running music analysis as a "writing intensive cour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WAC in order to apply this educational approach as a subject curriculum in music analysi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Music analysis is an aspect of writing in which an analysis process develops as a 'piece of writing' and include a logical and creative process of descripti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music analysis via writing is thus accompanied by expectations for learning effects at the intensive major level to describe music in a persuasive manner based on logical thinking. The study first set its basic direction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s part of its literature study approach. Second, it shed light on correlations between writing and music analysis through the academic position of the music theory area. Third, it reviewed the current management of subjects related to writing and music analysis at universities and devised a plan to realize them as WAC programs. Fourth, it suggested specific ideas for the application of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by the level and stage. Finally, this attempt should be interpreted from another teaching perspective to look at music theory education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o promote academic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ve skills at the same time and understood as the first step in the introduction of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It is partly because the management of a music analysis subject widely varies among different universities and majors in reality with different professors teaching different content in their lectures on it. It is also partly because institutional efforts to designate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will be meaningless without the accumulation of academic research findings.

      • KCI등재후보

        19세기 독일 ‘대중음악‘

        조연숙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4 음악이론포럼 Vol.21 No.-

        19세기 독일 대중음악은, 정치변화와 더불어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소수의 귀족집단과 반대되는 다수의 시민집단에 수용된 음악으로서, 음악시장에서 유통된 그들만의 생활음악 문화를 담은 생산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만의 대중음악은 단순하고 감성적으로 분위기를 이끌면서오락성을 함유하고 있다. 이에 시민들은 대중음악을 생활영역에서 늘 쉽게 접할 수 있고, 신문 등의 광고를 통해 대중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어, 독일 대도시 도처에서 상품화된 음악을 가정뿐만 아니라 공공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었다. 또한 저렴한 낱장악보의 대량생산은 시민들의 음악생활을 제공했다. 특히 쉽게 부를 수 있는 민요집의 출판은 시민들의 음악생활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따라서 배우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받아 온 과거의 시민집단과는 달리 19세기 시민들은 능동적으로 그들만의 음악을 추구한 점에서 19세기 독일대중음악의 성립을 가져오며 더 나아가 전통예술음악이 지닌 예술성의 결여보다는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기능적 사회성’을 19세기 독일대중음악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다.

      • KCI등재

        “낭만주의 시대” “전형적 낭만주의자” 의 탈피를 위하여 - 비더마이어음악사의 교육시민계급 음악가 슈만 -

        이정환 ( Jeong Hwan Yi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1

        본 논문은 낭만주의 시대라는 스펙트럼 속에 슈만을 전형적 낭만주의자로 각인시켰던 종래의 편향적인 시각을 극복하는 시도이다. 여기서는 외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음악의 미적 자율성과 예술성을 극대화한 낭만주의와 함께, 왕정복고시대라는 역사적 이행기에 체념적 내지 현실 참여적 비더마이어음악 발전에 모두 개입한 이들이 독일 교육시민계급이며 슈만이 이 특정 계급에 속함을 입증한다. 먼저 교육시민의 형성사와 정치관, 독일혁명기(1848/9) 태도, 취향 등을 해체한 후 그들이 향유한 음악장르 위주로 비더마이어음악사를 간략히 재구성한다. 다음으로 이 교육시민계급을 분석 틀로 삼아 슈만의 혈통과 교육 및 성장배경, 정치관과 음악관, 음악 커리어와 작품 집필의 경향 변천, 학계 최대 난제 중 하나인 혁명기와 그 이후 내보인 소위 `모호`하다는 태도를 정밀하게 추적한다. 그리하여 교육시민계급 음악가 슈만에게 마치 괴테의 반복투영개념처럼 낭만주의와 특히 참여적 비더마이어 경향이 정당하게 공존하며 필생의 음악세계를 형성해갔고, 이를 통해 그가 예술성을 극도로 고양시킨 위대한 음악가임은 물론 독일근대사의 발전과 함께 호흡한 시대지성이었음을 논구해낸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궁극적으로 음악사학의 정체성을 명실상부한 인문학의 한 분야로 설정하고, 동종 인문학과 연관 사회과학계열 학문들과의 연계·맥락화 속에서 도출 가능했음이 강조된다.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surmounting two outworn alleged conventionalities, regarding the history of 19th century music just as the “romantic era” and Schumann as “archetypal Romantic Musician.” First, as an expedient of decomposing multi-layered 19th century music, it reappraises the notion of Biedermeier and deconstructs the historic tapestry with the dynamics of Burgertum from the German-speaking territories in the Restaurtionszeit (1815-1850), placing emphasis on the German elite class Bildungsburgertum. Secondly, focusing on their resigned and participatory manner toward the time, it reconstructs their Biedermeier music into Hausmusik, Chorbewegung and -fest, and the public civic concerts. Finally, it offers a brand new perspective on Schumann as Bildungsburgertum with the indicators of his lineage, educational and home backgrounds, the history of cities, political ramifications and musical thoughts, the tendency of his music career and works and, in particular, his “mysterious” demeanor toward the German Revolution(1848/9) using nationalism, civil republicanism and liberal constitutionalism as analysis tools. Through the effort, it palpably establishes the legitimacy of Biedermeier for him as biaxial musical tendencies with romanticism abreast, which is similar with Goethes Wiederholte Spiegelungen.

      • KCI등재

        숭고와 역숭고 -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접점과 차이 연구 -

        조현리 ( Hyunree Cho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2

        이 연구는 숭고와 숭고의 역개념인 역숭고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탐구하여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음악적 숭고 개념을 다루는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최근 연구를 분석하고, 현재 음악학 담론의 관점에서 칸트의 숭고 개념과 장 파울의 역숭고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음악적 숭고와 역숭고의 이론적, 이념적 성격을 파악한다. 나아가 음악분석을 숭고와 역숭고의 체험으로 재개념화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음악분석의 문제적 측면에 대해 재고하는 한편,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이 음악 자체라는 문제적 대상을 다루는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담론의 접점과 차이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through the study of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sublime and its inverse, the inverted sublime. Analyzing recent works on musical sublime i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studies, and reinterpreting Kant’s notion of the sublime and Jean Paul’s notion of the inverted sublim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musicological discourse, the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ical sublime and inverted sublime. It then reconsiders and critiques music analysis as an experience of sublime or inverted sublime, and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deal with the problematic concept of the music itself.

      • KCI등재

        쉔커식 분석이론을 둘러싼 북미 음악이론계의 ‘백인종 프레임’(White Racial Frame) 논란

        신동진 ( Dong Jin Shin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1

        본 연구는 북미 음악이론계에 역사적인 사건으로 남을 2020년 쉔커식 이론과 인종주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과 그로 인한 미국 음악계의 움직임에 대해 소개한다. 2019년 11월 미국 음악이론학회(Society of Music Theory)의 총회 모임에서 흑인 이론가 필립 유엘은 “미국 음악 이론계의 백인종 프레임”(Music Theory’s White Racial Frame)이라는 연구 발표를 통해 미국 학계에 뿌리 깊게 박힌 백인 중심주의를 고발하였다. 사회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유엘은 북미의 쉔케리안 이론가들이 인종주의자인 쉔커의 이론을 ‘화이트워싱’(whitewashing)해왔음을 주장하였고, 음악이론과 인종의 관계를 부정하는 백인 학자들의 태도를 ‘컬러블라인드 인종주의’(color-blind racism)로 규정하였다. 같은 해 말 북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발간된 『쉔커연구저널』(Journal of Schenkerian Studies)의 12호에는 유엘의 발표에 응답하는 15명의 쉔커 이론가들의 지면 토론이 게재되었는데, 토론에 참여한 백인 학자들은 2020년 확산된 흑인 시민운동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의 분위기 속에 인종차별주의자라는 비난을 받게 된다. 조직적 인종차별(systemic racism)을 근절하기 위한 젊은 이론가들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쉔케리안 이론가들을 비판하였고, 북텍사스 대학교의 대학원생들은 저널의 폐간과 함께 책임자인 티모시 잭슨(Timothy Jackson) 교수를 해임할 것을 학장에게 요구하였다. 음악이론학회는 『쉔커연구저널』 12호의 반(反)흑인적 진술과 유엘을 향한 개인적인 인신공격을 규탄하였으나, 유럽의 이론가들은 미국 음악 이론계의 이러한 대처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며 쉔커식 이론의 앞날을 위한 세계적인 토론의 기회를 촉구하였다. 한편 2021년 2월 유엘의 트위터에는 흑인 역사의 달을 기념하기 위한 흑인 음악가들의 연구가 연재되었고, “피부색 지우기 삭제하기”(Erasing Colorasure)라는 개인프로젝트는 RILM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행되었다. 지난 2년 북미에서 큰 위기를 겪은 쉔커식 이론과 인종주의에 대한 논란의 영향을 국내에서 감지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국내에서 연주 전공자들에게 조성음악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한 쉔커식 이론이 미국사회에서 오늘날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미국 교육의 모델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 음악 대학들의 나아갈 방향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henkerian theory and racism in United States today, which will be historically significant in music scholarship. In November 2019, African-American theorist Philip Ewell presented his paper “Music Theory’s White Racial Frame”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of Music Theory (SMT) and pointed out ‘White Racial Frame’ embedded in American music theory. Ewell argued that Schenkerian theorists have ‘whitewashed’ Schenker’s theory and den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race, which he claimed to be ‘color-blind racism.’ At the end of the same year, the Journal of Schenkerian Studies, published by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UNT), issued the journal volume 12 that featured fifteen Schenkerian theorists’ responses to Ewell’s presentation. With the movement of ‘Black Lives Matter’ in 2020, the fifteen white writers of the volume were denounced as racists, and young music theorists criticized the senior theorists through social media for the sake of eradicating systemic racism in American academia. Some graduate students at UNT demanded to dissolve the journal and even fire professor Timothy Jackson, who was in charge of its publication. SMT condemned anti-black statements in the journal and their personal attacks against Ewell, but European theorists were skeptical about SMT’s reaction and called for a global discussion on the future of Schenkerian theory. Meanwhile, to commemorate Black History Month in February 2021, Ewell conducted a personal project “Erasing Colorasure,” posting about black musicians on Twitter, and publicized the series of his writings through the RILM blog. In South Korea, Schenkerian analysis has been a useful methodology that helps music performers to see musical structures more clearly. Although it is hard to detect the negative impact of North America’s Schenker-racism controversy in South Korea, I claim that we should channel our atten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of Schenkerian theory in the United States as we follow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 KCI등재

        교회 음악의 사상적 배경

        하재은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1995 음악이론포럼 Vol.3 No.-

        More than a century has been elapsed since the Protestant Church Music had laid its root on Korean soil with the arrival of two American missionaries, H. G. Underwood and H. G. Appenzeller, in 1885. The two hymn books they carried with them may properly be acknowledged that Korean Protestant Churches first came in contact with formal Western church music, with the exception of Catholic Church Music which precedes protestant church music by another century, The Word and music were given to Korean churches simultaneously. The ministry of the Word has been unprecedently and unimaginably successful in Korea that churches all over the world took the Korean Churches as the model for a case study for its overwhelmingly rapid revival and growth in such a short period of tie. The Korean churches, however, are now undergoing experience of the aftermath of unbalanced diet of spiritual food, the Word and music. The church is founded on the Word and music. Many church fat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sic, and the spiritual and moral impact music has on Christians not only in worship services but also in their everyday life. The Korean Churches, however, have concentrated only on the ministry of the Word neglecting, if not ignoring, music as a whole. This does not mean to say that music has not been used in churches at all, but, rather,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has not been kept abreast with, that of the ministry of the Word. In other words, the theology of the Word at the cost of the theology of music took the priority, thereth leaving Korean Churches crippled to cope with the churches world -wide. For Martin Luther, music was a "noble, wholesome, and joyful creation," a gift of God to the chruch, only next to theology in importance. For Luther to "say and sing" was a single concept resulting from the inevitable erruption of joyful song in the heart of the redeemed. Philip Melanchton, who assisted Luther in the reformation movement, supported Luther's view of church music saying, "When church music ceases to sound, doctrine will disintegrate. Religious music applied to life is a sanctification of life." The intertwining duet of music and theology forms the substance of Biblical theology.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chapter and verse in which is to be found a clear theological statement concerning the nature and function of music, there is nevertheless hardly a page of the Bible from which some musical inference cannot be drawn. As the Bible unfolds the records of the acts of God the continuous sound of music is heard. Johann Walter, who assisted Luther with his musical expertise, emphasized the organic unity between music and theology. He thought that music, "practically and inheritantly," belongs to theology. He believed that "music is intertwined and shackled to theology that anyone who disires, researches, and studies theology, must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art of music even though he does not read, feel, and know music." It appears to the writer that the overwhelming number of Korean ministers and theologians have overlooked, knowingly or unknowingly,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music in the worship service for the past century due to the lack of theology and philosophy of church music. Should we admit that late is better than never, there should be an enlightening effort on the part of every concerned ministers, permanantly retarded or handicapped by lopsided diet in our Christian Life. If the two ends of a scale, the word and music, be held in equilibrium in Korean churches, the true evaluation of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not only physical and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spiritual and qualitative growth, may well take its much desired due pla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제임스 맥밀란 음악에 나타난 스코틀랜드 민족주의 성향 《오소서 임마누엘》(Veni, Veni, Emmanuel ) 작품을 중심으로

        이시현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음악이론포럼 Vol.22 No.2

        현재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알려진 제임스 맥밀란(James MacMillan)은, 스코틀랜드 의 전통을 계승하고 스코틀랜드의 음악을 세계적으로 알리는데 성공한 ‘스코틀랜드의 민족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전통적 자원을 본인의 음악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로서 다루어 현대적 감각에 어울리는 자원으로 발전시키고 작품 안에 인용함으로써 본 인의 음악어법을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맥밀란이 이룩한 또 하나의 업적은 켈트(Celt)의 역사를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켈트의 문화는 그가 어린 시절 자라고 성장한 지역의 전통으로서 종교 적 신념과 스코틀랜드에 대한 애착심을 키우게 된 동기를 부여하였고 그의 음악어법을 결정짓는 핵 심적인 영감으로 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맥밀란의 대표 작품인 타악기 협주곡 《오소서 임마누엘》(Veni, Veni, Emmanuel )을 중심으로 그가 계승해온 스코틀랜드의 전통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그가 작품에 서 실현한 활용법을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며 그가 구사한 현대적인 음악어법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 이다. 그의 음악은 단순히 역사를 보존하고 답습하는 차원이 아닌 현재의 시대상과 국제적 흐름에 맞추어 재해석된 스코틀랜드 역사의 표출이자 본인의 종교와 고향에 대한 애착심이 달성한 민족주 의 음악의 새로운 지표가 되었다. 이에 대한 관점에서 정통성에 대한 왜곡과 본성에 대한 변질이라 는 비판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닌 현대적 개념에 따른 스코틀랜드 민족주의 성향과 맥밀란의 음악 어법에 대한 이해가 본 논문의 주요 논제가 될 것이다. James MacMillan has known a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Scottish composers in his generation. His use of the Scottish traditional musical resources becomes a central idea in his personal style appearing in many of his works. They take various forms-the use of Scottish traditional modes, ballades, harmonic drones, bagpipe music, and the melismatic ornamental archetypes of Scottish music. He also incorporates Celtic tradition reflecting his Roman Catholic faith and the sympathy of his homeland. Certainly, the influence of Scottish nationalism is a pervasive characteristic in his music. He is not a composer, however, who depends solely on the traditional elements and expresses them as a direct style as they are. He explores ways in which the tradition emerges as potentially transforming and developing. He also expresses his Scottish heritage as an essence which takes place in his own modern musical language and draws it as inspiration for his composi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manner in which the Scottish tradition and the Celtic culture are manifested in MacMillan’s music, considering Veni, veni, Emmanuel for percussion concerto. It also articulates the techniques in which he creates a distinctive compositional practices both as a modernist and a Catholic composer. This is not intended as a criticism on altering or transmuting of the nature of the tradition, since he seeks to evolve and develope the Scottish historical resources as the primal concept of his modern musical language. It mainly considers that Macmillan may be developing a new sense of Contemporary Scottish Nationalism, in which his characteristic music is combined with Cosmopolitanism, Avant-gardism, and Scottishness. It eventually seeks to understand his general musical sense and present his unique compositional techniques throughout the work.

      • KCI등재

        음악에 대한 공감, 가능하며 유효한가?

        정혜윤 ( Hye-yoon Chung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철학과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풍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감에 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공감이란 어떤 것일 수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음악적 경험을 공감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논구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공감이 역사적으로 사고된 방식, 그리고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절정에 이르렀던 미적 공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거울뉴런체계의 발견과 더불어 새롭게 제시된 공감 개념과 공감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음악적 공감을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분석한다. 필자는 오늘날 많은 공감이론가들이 지지하는 공감의 이원론이 음악적 공감에서는 성립되지 않으며 음악적 공감은 단편적인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절차임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체화된 음악적 내러티브라는 개념을 통해 해명한다. 또한 필자는 발제적 입장에서 음악적 공감은 음악 안에 미리 확정되어 있는 속성들을 청자가 시뮬레이션 하는 심적 작용이 아니라 청자와 음악 사이의 역동적이며 순환적인 상호 관계를 통해 성취되어 나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발제적 입장에서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음악적 공감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적 관여가 갖는 신체성, 그리고 청자가 음악에 대해 종종 느끼곤 하는 일체감과 음악의 타자성 사이의 긴장을 해명하는 데 다른 무엇보다 유용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investigate how the empathy for music could be conceived, how it is possible, and how effective it is to analyze our musical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otion of empathy is introduced with an emphasis on the discussion of empathiests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sup>th</sup> century. Then, the new, contemporary concept of empathy which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 system has motivated and today’s debate o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mpathy are presented. Against this preliminary investigation, I offer the analysis of musical empathy through the notion of simulation of mindreading. I deny to music the dichotomy of the low-level and high-level empathy which most of empathy theorists endorse today, and argue that musical empathy is not a local event but a process which is experienced as an embodied, enacted narrative. From the enactive perspective, I argue that musical empathy is not a mental function in which the properties inherent in music are simulated, but a process which is to be achieved through a dynamic, circular interaction between listeners and music through the entire unfolding of music. Ultimately, I argue that the concept of musical empathy understood from the enactive perspective as based on the simulation of mindreading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embodied nature of the listeners’ involvement in music and the tension between the otherness of music and the unity which listeners often feels with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