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사고대응 협력적거버넌스 가능성 모색 - 한국의 주요 해양사고를 중심으로 -

        주종광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해양에서 대형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그 대응과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한 체제가 작동되어야 할 필요성은 항상 제기되어왔다. 한국에서 발생한 해양사고대응 행위자를 분석해 보면 주로 국가행위자가 주류를 이루던 것이,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해양사고부터는 국가중심적 거버넌스에서 사회단체나 자원봉사자 중심의 거버넌스체제로 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해양사고대응 구조(structure)의 맥락과 상호 구성의 과정에서 해양사고대응 행위자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조와 행위자는 상호 구성한다는 구성주의자들의 주장에 수긍하면서, 해양사고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적 거버넌스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해서는 한국의 해양사고대응체제 분석에 적합하도록 해양사고대응 거버넌스 유형을 정부중심적 거버넌스, 사회단체중심적 거버넌스, 자원봉사자중심적 거버넌스로 분석틀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남영호 전복ㆍ침몰사고로 1972년 12월 30일 운항관리자 제도가 도입되었고, 서해훼리호 전복ㆍ침몰사고로 여객선 운항관리자는 1996년 10월 지도ㆍ감독기관이 해양수산부에서 해양경찰청으로 이관되었으며, 세월호 전복ㆍ침몰사고로 운항관리자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해운조합에 소속하던 운항관리자를 준정부기관인 선박안전기술공단에 이관되었다. 이 논문은 연구함의로서 해양사고대응 협력적거버넌스 체제 구축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해양사고대응 협력적거버넌스 조직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해양사고대응 협력적거버넌스 체제 작동모형을 제시하였다. 해양사고발생시 즉시 해양사고에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양사고대응 협력적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re has always been needs for a system to respond instantly and accurately in response to major marine accidents. In analyzing the marine accident response actors in Korea, it seems that the governance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the nation-centered to the social-volunteers organizations after M/V Hebei-Spirit marine pollution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of marine accident response actor in the context of the marine accident response structure and its course of construction. The author agrees with the contention that the structure and the actor are interconnected, and then propose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governance as being the effective marine accident response. the Cooperative governance is analyzed by three framework as government-centered governance, social organization-centered governance, and volunteer-centered governance to be suitable for analysis of marine accident response system in Korea. The Passengerships Safety Operating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due to the Namyoung-Ho accident on Dec.30 1972, and the West-sea ferries sinking accident on Oct. 1996 caused that the passenger ship safety operating manager’s supervisory authority was transferred from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o the Korean Coast Guard. In Apr. 2014, The Selwol-Ho sinking accident also caused that the passenger ship safety operating manager belonging to the KSA(Korea Shipping Assocition) was transferred to the KST(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as semi-government agency(a public corporate) in order to strengthen its independence. As research implications,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for the marine accident response. and suggests a working model of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for marine accident response.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o establish a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for marine accident respons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of marine accidents by the instants and effective response.

      • KCI등재

        해양사고 온톨로지 구축 및 데이터 관리방안 연구: 서해남부해역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재,강성경,구자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4

        Along with an increase in marine activities every year, the frequency of marine accidents is on the rise. Accordingly, various research activities and policies for marine safety are being implemented. Despit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accide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bringing their effectiveness into question. Preliminary studies relying on annual statistical reports provide precautionary measures for items that stand out significantly, through the comparison of statistical provision items. Since the 2000s, large-scale marine accidents have repeatedly occurred, and case studies have examined the "accident response." Likewise, annual statistics or accident cases are used as core data in policy formulation for domestic maritime safety. However, they are just a summary of post-accident results. In this study, limitations of current marine research and policy are evalu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case studies and analyses of marine accidents. In addition, the ontology of the marine accident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will be revised to improve the current limited usage of the information through an attribute analysis of boating accident status reports and text mining. These aspects consist of the reporter, the report method, the rescue organization, corrective measures, vulnerability of response, payloads, cause of oil spill, damage pattern, and the result of an accident response. These can be used consistently in the future as classified standard terms to collect and utilize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Moreover, the research proposes a data collection and quality assurance method for the practical use of ontology.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presently faced in marine safety will allow “sufficient quality information” to be leverag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various researches and realizing effective policies. 매년 해양활동이 증가하며 해양사고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안전을 위한 각종 연구 활동과 정책이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해양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헌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계연보를 활용한 선행연구는 통계제공항목 간 비교를 통해 두드러지는 항목에 대한 예방책을 제시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대형 해양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사고대응'에 대한 사례연구(case study)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해양안전을 위한 정책수립 연구과정에서 통계연보나 사고사례를 주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나 현재 자료는 사후결과 요약정도의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현행 해양관련 연구와 정책의 한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자료 활용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선박사고 상황보고서 속성분석,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해양사고 정보 분류체계인 온톨로지(ontology)를 수정‧보완하였다. 해당 항목은 ‘신고자, 신고수단, 구조세력, 대응‧조치사항, 대응취약성, 적재물, 유류유출경위, 피해유형, 사고처리결과’이며, 이 항목들은 분류체계 표준용어를 활용해 향후 지속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톨로지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품질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현재 해양안전이 직면한 문제를 명확히 파악하고 ‘품질이 확보된 충분한 정보’를 활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연구와 실효성 있는 정책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해양사고 조사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명기,박영수,이은방,나송진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 which can identify the cause of marine accidents. For this purpose, the problems of domestic maritime accident investigation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ccident investigation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Korea Coast Guard and the Transportation Safety Board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maritime accident investigation lacks independence from the government, and the responsibility-oriented cause analysis for judging is being done. In addition, statistical, case-based, and technical analysis methods were applied to cases of domestic marine acci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accident to find the cause.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the cross-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type and accident type. The M-SHELL model and the FTA technique were applied as case–based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causes of direct and indirect accidents in ship sinking accidents. Also, the collision accident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PARK Model, which is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that can represent the maritime traffic risk, to the ship collision accident by the technical analysis method. Based on this, it was derive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analysis model of the cause of marine accidents, the strengthening of visualization of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introduction of technical investigation method of marine accidents. Improvements to the analysis method will enabl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cause and provide fundamental and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marine accidents.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합목적인 원인규명이 가능한 해양사고 조사방법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해양안전심판원과해양경찰청 및 미국, 일본의 해양사고 조사기관의 사고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해양사고조사의 문제점을 식별했으며, 그 결과 국내 해양사고 조사 기관은 독립성이부족하며 책임 지향형 사고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원인 분석형 사고 분석을 위하여 국내 해양사고 사례에 통계적, 사례적, 기술적 분석 방법을적용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Cross 집계 분석을 적용하여 선종별-사고유형별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사례적 분석 방법으로 M-SHELL Model과 FTA기법을적용하여 선박 침몰사고의 직·간접적인 사고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술적 분석 방법으로 선박 충돌사고에 대하여 해상 교통 위험을 나타낼 수 있는 정량적인평가 모델인 PARK Model을 적용하여 충돌사고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해양사고 조사·분석 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해양사고 원인 분석모델의 도출, 해양사고 통계분석 결과의 입체화·시각화 강화, 해양사고의 기술적 조사방법 도입을 도출하였다. 조사방법 개선을 통하여 정확한 원인 규명 및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이에 대해 환류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마코프 체인을 활용한 해양 사고 빈도 예측에 관한 연구

        장은진 한국해양경찰학회 2020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0 No.3

        Many measures are being taken to prevent marine accidents, but marine accidents are increasing year by year. In marine accident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edict the risk of occurrence in advance and respond proactively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odel that predicts the frequency of marine accidents in advance using the Markov chain, a probability-based prediction model. The number of marine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last four years (2016-2019) was collected and analyzed on a monthly basis. As a result of the prediction, the constructed model showed a prediction rate of 97%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he actual occurrence of the marine accident,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value of the recent marine acciden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structed model by comparing it with the predicted values through the state set four-step adjustment, regression model, and time series model, the probability range and the predicted frequency value most similar to the actual occurrence frequency were derived. This study can be used for policies to prevent marine accidents as a basic study for prediction using big data.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trictions will be reinforced and used in various forecasting systems depending on the time, weather, and region of the marine accident. 해양경찰에서는 육지의 4.5배인 광범위한 바다를 함정과 VTS 등 감시체계를 통해 해양 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해역에 100% 감시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한정된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해양 사고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게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 사고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양 사고 발생 빈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확률 기반 방법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특정 현상의 현재 상태를 파악해 미래 상태를 추측하는 마코프 체인을 이용한 확률 모델을 구축해 해양사고 빈도를 예측하였다. 최근 4년간(2016년∼2019년) 발생한 해양 사고 건수를 월별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19년 12월 빈도를 관측치로 활용하여 예측값과 비교·검증하였다. 해양 사고 발생 위험 정도에 따라 상태 집합을 3단계로 구분하 고, 초기 확률과, 상태에 따른 전이 행렬을 통해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예측한 결과 최근 발생한 해양 사고의 최댓값을 활용해 계산된 예측값은 실제 발생한 해양 사고 빈도와 비교하여 97%의 예측률을 보였다. 상태 집합 4단계 조정, 회귀 모델, 시계열 모델을 통한 예측값과 비교해 검증한 결과 실제 발생한 빈도와 가장 유사한 확률 범위와 예측 빈도 값이 구축된 모델에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해양 사고 빅데 이터 자료를 활용해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해양 사고 예방 관리를 위한 정책 추진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추후 한계점을 보완하여 해양 사고 시간별, 기상별, 선박별, 해역별 등 다양한 예측 기법을 개발할 예정이다.

      • KCI등재

        어선 안전관리를 위한 발전적 제언

        문상량,이윤철 한국해양경찰학회 2022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2 No.3

        For the five years from 2017 to 2021, fishing vessel accidents accounted for an average of 66% of marine accidents per year. Although marine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are established every year and joint inspections are carried out by fishing vessel safety-related organizations during the holiday season, the number of marine accidents that occur every year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Marine accidents can be greatly reduced if only the law regarding maritime accident countermeasures and strengthened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are followed. Although marine accidents also occur due to causes caused by unpredictable swell waves or rapidly changing marine weather in the distant sea, it can be said that the human factor is the insensitivity to safety that is pointed out as the cause of most accidents. Therefore, rather than further strengthening the current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perception of safety of addressee should be changed and a safet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society as a whole. In other words,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Recently, in the field of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there have been major changes at domestic and abroad, such as the announcement of the first basic plan for safe fishing for fishing vessels at domestic and abroad and the prepar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ratification of the Cape Town Agreement. It is a turning point in fishing vessel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Cape Town Agreement is about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entry into force 46 years after the first Torremolinos Convention was proposed. Technologies such as propulsion fishing vessel using eco-friendly new materials and fuels are also being developed in a rush. The three important things we need for the safety of fishing vessel in the future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predict in advance that the focus will be on follow-up measures after a marine accident occurs, and then switch to a prevention-oriented response. Second, rather than indiscriminately adding life-saving and fire-fighting equipment or strengthening standards every time after a marine accident that causes great casualties, the equipment with overlapping functions is reduced, and even if it is rather expensive equipment, essential equipment need to be strengthened through system improvement. Lastly, the culture of reporting semi-marine accidents should be universalized and the safety culture spread, so that fishermen should become rule makers from rule takers. 해양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1년까지 지난 5년간 발생한 해양사고에서 어선사고는 연평균 약 66%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매년 어선안전 관계 기관들이 해양사고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각종 합동점검이 이뤄지고 있지만 해마다 발생하는 어선사고의 발생건수는 크게 감소되지 않고 있다. 해양사고 대책과 강화된 어선안전 관리에 관한 법제만 잘 준수하면 해양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해양사고는 먼바다 해상에서 예측할 수 없는 너울성 파도나 기상악화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사고 대부분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인적요소 바로 안전불감증에 있다고 할 수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어선안전 관리 법제를 더 강화하기보다는 수범자들의 안전 의식을 바꾸고 안전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즉,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어선안전 관리 분야는 제1차 어선안전조업기본계획이 발표되고 케이프타운 협정의 비준 요건 충족을 앞두고 있는 등 국내외적으로 큰 변화가 있다. 어선안전 관리의 전환점을 맞이한 것이다. 특히 케이프타운협정은 처음 토레몰리노스협약이 제안된 지 46년만에 발효요건 충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친환경 신소재와 연료를 활용한 추진 어선 등의 기술도 앞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어선안전을 위해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3가지 중요한 것이 있다. 첫째, 해양사고 발생 후 사후 조치에 집중하기보다는 해양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 위주의 대응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해양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무분별하게 구명, 소방설비를 추가하거나 기준을 강화하기보다는 중복 기능이 있는 설비는 줄여나가고 다소 고가의 장비라 하더라도 지원사업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어선안전을 위한 설비는 더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준해양사고 보고문화가 보편화되고 안전문화가 확산되어 어민과 어선원들이 법제의 수범자(rule taker)에서 법제 제정자(rule maker)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연안해역 내 해양사고 유형별 사고요인분석

        최철원(CHOE, Cheol-Won),노유나(NOH, Yuna),신대섭(SHIN, Dae-Seop),김현명(KIM, Hyunmyung),박호철(PARK, Ho-Chul)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4

        도로 및 철도 교통사고뿐 아니라 해양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도 꾸준히 추진되고 있으나, 최근 5년간 해양사고 발생 건수 및 인명피해는 연평균 10%의 증가율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사고 유형에 따른 사고 원인 분석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최근 5년간 해양사고의 89%가 연안해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어 연안해역에 대한 해양사고 예방대책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대상으로 사고 유형별 사고 위험요인을 탐색하고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유형별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사고 유형별로 위험요인의 계수 부호가 상이함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해양사고 유형별 원인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망 및 중상사고를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으로는 선박의 톤수, 발생해역, 월, 시간대, 어선 용도 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고려한 해양사고 유형별 맞춤형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Prevention policies for marine accidents are steadily being implemented, but the numbers of accidents and injurie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over the past five years at an annual average rate of 10%. Besides, although various types of marine accidents continue to occur, previous studies on identifying risk factors of marine accid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accidents have been limited. In particular, 89% of marine accidents have occurred in coastal areas over the past five years, so it is urgent to take measures to prevent marine accidents in coast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een risk factors of marine accidents by accident types targeting accidents occurring in coastal area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In this study,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are develop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ach type of marine accident.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coefficient signs of risk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marine accidents, and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models for each accident types is necessary. As the risk factors that increase deaths and serious injuries, the tonnage of vessels, the sea area where they occur, the month, the time of day, and the use of fishing vessels are derived, and customized preventive measures for each type of maritime accident are required.

      • KCI등재

        해양사고 인적요인의 데이터 마이닝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적요인 분석 중심

        이준혁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3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8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s Marine Accident Statistical Data and Statistical Yearbook, the number of accidents on domestic ships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is is mostly due to human factor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ported that more than 80% of marine accidents occur due to human errors and organizational problems. In other industries, various methods are being studied to analyze and solve these human errors, but in the marine industry, it was found that it takes time to analyze human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human factors of domestic marine accidents, data mining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actions of the accident-related person in the decision of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s a result, words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frequenc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 of the accident type and environment in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among the analyzed words appeared simila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m with statistical resul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significance analysis tha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analyzed words in the entire document and the number of documents appearing by accident. An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ntral nodes and nodes were connected in the entire marine accident.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mediation centrality and connection centrality, the higher the importance, confirming that many words related to human error items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t words and semantic structures of the human cause of marine accidents were identified,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important words in the element of human error was identified. Through this, in order to reduce domestic marine accidents, it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basic data for human factor analysis. 국가통계포털의 해양사고 통계자료 및 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 선박의 사고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인적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해사기구에서는 해양사고가 인적 오류 및 조직 문제로 80%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타산업에서는 이러한 인적오류를 분석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 중이지만 해양산업에서는 인적요인 분석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양사고의 인적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마이닝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서에 사고관련자의 행위에 적용하여 분석된 언어의 현저성과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발생빈도 순서로 단어들을 도출하였으며, 분석한 단어 중 출현 빈도순으로 사고 유형 및 환경에 대한 부분을 통계결과와 비교한 결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단어들의 전체 문서내 출현빈도와 사고건별 출현한 문서의 수 사이에 유사성이 있음을 유의성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전체 해양사고에서 중심 노드들과 노드들 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중매개중심성 및 연결 중심성이 높은 단어일수록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인적 오류 항목과 관련된 단어들이 다수 도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사고의 인적 원인의 중요 단어와 의미 구조를 확인하며, 인적 오류의 요소에서 중요한 단어의 연결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해양사고의 절감을 위하여 인적 요인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해양안전심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입법론적 제언

        이정원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3

        The existing Korean Act on the Investigation of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hereunder, ‘KAIIMA’) has lots of problems. Even if the main purpose of KAIIMA lies on the enhancement of marine safety by identifying the cause of marine accidents, there is skepticism whether the legal structure of KAIIMA is throughly focusing on the disciplinary action of the officers of the vessel. It seems to be difficult that current Korean marine accidents inquiry system cannot effectively achieve its main goal, identification of the cause of marine accidents. For the through investigation of marine accidents, it is necessary that the existing marine accidents investigation and inquiry system must be divided into two independent sections, a section for the investigation and inquiry of marine accidents and another section for the disciplinary action of the officers. For the former, the most effective ways and techniques of investigation shall be introduced instead of the adversary system. For the latter, since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disciplinary ac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judgment, it is desirable to protect the procedural rights of the defendant. In this context, the disciplinary action of the officers shall be re-organized as below; firstly, regional maritime safety tribunal(1st instance) → central maritime safety tribunal(2nd instance) → High Court → Supreme Court. Secondly, regional maritime safety tribunal or central maritime safety tribunal(1st instance) → High Court(2nd instance) → Supreme Court. In the second case, regional maritime safety tribunal will play the role as the 1st instance for the most ordinary marine accidents and central maritime safety tribunal may be the 1st instance for the several important marine accidents cases which is stipulated in Article 18-3 of KAIIMA. On the other hand, to avoid becoming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as the civil procedure, it is essential to delete Article 4(2) of KAIIMA. Additionally, to ascertain each officer’s contribution to an accident, judges in the civil trial can rely on some marine accident specialists who are employed by the Supreme Court. Given the facts that maritime safety tribunal is a kind of the trials, lawyers must be included as members of the judgment benches. In addition,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investigating marine accidents, including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nd Korean Coast Guard is desirable for the promoti Key Words : Marine accidents inquiry, Counsel in the marine accidents inquiry, Maritime safety agency, Legal aid, Admiralty court, Specialized benches, Investigation of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 on and protection of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Finally, to fully protect defendants and officers in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it is demanded that Article 5 of Korean Legal Aid Act should be amended for the expansion of the legal aid service which is provided by the Korean Legal Aid Corporation. 현행 해양안전심판법은 상당히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법의 주목적이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을 통한 해양안전의 확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안전심판법의 주된 구조는 해양사고관련자에 대한 징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현행 해양안전심판법의 구조로는 그 주목적인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을 효과적이고 철저히 하기 위해서는 심판절차와 조사절차를 분리하여 조사절차에서는 대심적 구조를 취할 것이 아니라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가장 효율적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해기사 등에 대한 징계절차는 그 법적 성질이 준사법적 절차로서 실체적 진실의 발견 못지않게 절차적 정의도 요청된다. 따라서 해기사 등의 징계를 위한 심판절차에는 사법심사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해기사 등에 대한 징계절차는 지방심판원 → 중앙심판원 → 고등법원 → 대법원의 4심제로 운영하든가, 아니면 일반적 해양사고에 대해서는 지방심판원이, 해양안전심판법 제18조의3에 규정된 특별조사부 구성이 필요한 사건에 대해서는 중앙심판원이 각 제1심을 한 후 고등법원 → 대법원의 구조로 심판제도를 개혁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해양안전심판제도의 민사소송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해양안전심판법 제4조 제2항은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며, 민사소송에서 법관은 당사자의 과실비율 산정을 위해 전문심리위원을 활용하거나 심판원의 재결내용을 감정촉탁 형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안전심판제도의 본질이 재판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심판관 구성에 법률가의 대폭적 충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해양사고관련자 등의 권익보호를 위해 법률구조법 제5조를 개정하여 해양안전심판에 대해서도 대한법률구조공단에 의한 법률구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해양사고 조사기관들 사이의 조사의 공조체계 구축을 통한 국민의 불편과 혼선을 줄이려는 작업 또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에 의한 부유물 감김 해양사고 저감 정책방안 연구 - 법제도 측면 개선 중심으로 -

        이혜진,김보람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7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최근 10년간의 해양사고를 살펴보면 다른 종류의 사고에 비하여 해양 부유물에 의한 해양사고가 뚜렷하 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간 발생한 해양사고에 대한 중앙해양안전심판원과 해양경찰청의 통계연보를 분석하 고 비교 검토해보았다. 두 기관의 통계는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었지만 전체 해양사고 통계 중 부유물 해양사고의 수치는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었고 어선과 비어선으로 나누었을 때 어선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유물 감김 해양사고의 원 인이 되는 주된 부유물질은 어망, 어구, 밧줄류에 기인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해양 플라스틱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들을 들여다보 면 대부분 해양오염 자체를 예방하고 해양쓰레기를 회수하는데 집중하여 해양환경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해 양환경 및 해양 쓰레기와 관련된 대표적인 법인 「해양환경관리법」과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을 살펴보면 해양쓰레 기를 해양폐기물의 한 종류로써 인식하고 있으며 폐기물의 종류와 정의는 다루되, 해양쓰레기에 관한 정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규제와 관련된 법제도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안전한 항행과 운항에 적합한 해양 쓰레기에 관한 정의가 부재하기에 이에 맞는 해양쓰레기의 범위를 제 안하여 그 개념을 명확히 해보고자 하였다. Over the last ten years, the number of entanglement marine accidents has increased more than other accident types. This study analyzed the annual statistical report of marine accidents from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and Korea Coast Guard. Despite some discrepancies between data of the two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marine accidents involving fishing vessels were more prevalent than those involving non-fishing vessels. In addition, the main floating materials that caused wounded entanglement accidents were fishing nets, fishing gear, and ropes, and the proportion of them was high. Foreign and domestic policies on marine plastics recognize most marine plastics as marine environmental hazards and focus on marine litter recovery and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The representative Acts related to the marine environment and marine litter,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and the Marine Waste and Sediments Management Act, recognize marine litter as a type of marine waste, and deal with the types and definition of this waste. However, clearly defining marine waste is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levant legal system of marine litter on ship operation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Moreover, the definition of marine litter for the safe navigation and operation of ships was clearly proposed.

      • KCI등재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이행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채병근,이호,김홍범,강석용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4

        Standard guidelines for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have been prepared through the enforcement of the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s of January 2010. In addition, a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commended contracting the state to manage a marine incident system established under this code, Korea also has newly established provisions for a marine incident system in the ‘Act on the Investigation of and Inquiry into Marine Accidents’ also as of 2010.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KMST) has made a multilateral effort to prevent marine accidents through the efficient operation of a marine incident system, but this system has not been properly activated.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a marine incident system and analyzes the marine incident systems of foreign countries and similar transportation agencies such as railroads and aviation. Options include switching to voluntary reporting of marine incidents, transferring responsibility to a non judicial private organization, expanding incentive systems for a marine incidents, revising regulation and preparing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2010년 1월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발효를 통하여 해양사고 조사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마련되었고, 더불어 국제해사기구는 체약국에게 동 지침의 준해양사고제도의 관리를 권고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에 준해양사고제도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게 된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해양사고를 예방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본 제도는 좀처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준해양사고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의 우수한 준해양사고제도 및 철도, 항공 등의 유사교통기관의 준사고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준해양사고제도의 효율적 이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는 특히 준해양사고 자율보고로의 전환, 사법적 기능이 없는 민간단체로의 이관, 준해양사고보고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의 확대, 법제도 개선 및 세부 이행 지침의 마련 등이 포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