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석재은(Seok, Jae Eun),임정기(Lim, Jeong Gi)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여성노인 소득실태의 절대적, 상대적 열악성과 소득원 구성의 특이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별 빈곤율 격차를 분석하고, 노인 개인 소득수준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성별로 소득원 구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의 성별이 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노인의 빈곤율은 41.2%로 남성노인 빈곤율(31.2%)보다 10% 포인트 높았다. 또한 노인 개인의 소득수준 역시 여성노인의 평균소득은 30만원이 채 안 되는 수준으로, 남성노인 평균소득의 3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원 구성에서도 성별로 특이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노인은 절대적 비중에 있어서나 남성노인에 대비한 상대적 비중에서 모두 공공부조이전소득 및 사적이전소득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노인이 공적연금이전소득의 상대적 의존도가 높은 것과 비교되는 것으로, 사회보험은 남성친화적이고 공공부조는 여성친화적이라는 내용의 사회보장의 성별 분리를 주장한 선행 연구결과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소득수준 영향요인 분석 결과, 노인의 인적, 가구적 여타 특성을 통제한 경우에도 여성노인이라는 특성이 총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조 소득만이 여성노인의 경우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취약한 소득실태에 놓인 여성노인은 빈곤층에 대한 사후대책적이며 최종안전망인 공공부조 중심으로 보호되는 반면, 사전예방적이고 일차안전망인 공적연금에서는 거의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seeks to examine empirically 'how terrible older women's income conditions are'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income conditions of older women's and men's through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raw date from 2004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examine on poverty gap, income gap, and differences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analysis of effect factors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sources through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verty rate of older women is 41.2%, that is higher 10% point than older men's. The average income level of older women is less than 300 thousand won, that is merely 37.5% of older men's. We could also find ver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Older Women depend highly on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in both absolute and relative proportion. It is compared to older men's that is high relatively proportion of public pension transfer income. These results also support empirically the insistence of precedence studies that exists gender division of social security as to 'social insurance is men-friendly and public assistance is women-friendly'. Though under controlling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it appears that older women is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actor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most sources, except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Our study show that older women in poor income are protected from public assistance which is after-countermeasure and last safety net, while the majority of older women are excluded from public pension which is before-preventive and the first safety net.

      • KCI등재

        다층 잠재프로파일링을 통한 심리적 건강 상태 분류와 신체 활동 참여 효과 분석 :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이도영(Lee, Do-Yeong)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using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5,345 data were used from the 7th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lS) released by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It consisted of 19 question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control variables were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Using the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lassifying by one psych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classifying by a parametric method, as a result of classifying by the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for psychological decisions by a parametric method, it is determined as a parametric optimal model. The high-risk group accounted for 10.98% of the total, the risk group had a total of 33.36%, and the general group had a total of 55.6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strength,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have an increased probability of belonging to high-risk groups.

      • KCI등재

        소득분위별 노동소득의 연령 효과 추정

        권상욱(Sanguk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1

        OLS 추정(Ordinary Least Squared estimation)으로 얻은 추정치의 해석에는 평균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득추정방정식을 OLS로 추정한다면, 개인 간 소득의 차이는 설명변수의 차이로 발생한 것이며, 다른 모든 설명변수의 효과를 통제한 연령 효과는 개인의 특성(교육 수준, 거주지역, 출생연도 등)과 상관없이 동일하다. 하지만, 관련 실증분석 연구에서는 교육 수준 혹은 태어난 출생연도에 따라서 연령 효과가 다르고, 소득이 정점에 도달하는 연령이 달라지며, 이 결과는 연령 효과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름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소득분위별 연령-소득의 연령 효과를 추정하였고 그 결과를 OLS로 추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한 이력이 있는 모든 가입자의 정보를 데이터로 축적한 국민연금 이력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대상은 1988년부터 2020년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한 남성-사업장가입자 중 이 기간에 21년 이상의 소득정보가 존재하는 가입자로 국한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모든 설명변수를 통제한 연령 효과를 소득분위별로 비교한다면, 먼저,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경력 증가로 인한 소득 상승분이 높다. 둘째, 소득이 정점에 도달하는 연령대는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높다. 즉, 소득계층 하위 10%의 연령 효과는 40세에 소득이 정점에 도달하지만, 소득계층 하위 90%의 연령 효과는 50세에 소득이 정점에 도달한다. Interpretation of estimates based on OLS(Ordinary Least Squared) method includes the concept of an average. Therefore, if the income equation is estimated by OLS, the difference in income between individuals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age effect controlled the effects of other explanatory variables is the same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living region, birth year etc. However, in related to empirical studies, the age effect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r birth year, and the age when income peaks varies. This implies that the age effect differ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is motivation leads me to analyze age effect based on the quantile regression. For this study, I use workplace-based insured men with income information during more than 21 years in the national pension history data during 1988-2020. From the comparison on the age effect by income level, first, the higher income class, the higher age premium. Second, the age when income peaks is higher as the income level increases. Specifically, income peaks at age 40 for the bottom 10% of the income bracket, however, income peaks at age 50 for the upper 10% of the income bracket.

      • KCI등재

        고령가계의 은퇴 여부에 따른 소득유형 구분과 유형별 소비함수 분석

        한지형 ( Han Jihyung ),고대균 ( Ko Daek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년도부터 6차년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고령가계를 은퇴 여부와 소득 원천에 따라 2단계로 구분하여 유형별로 살펴보고, 유형별 소비함수를 추정함으로써, 고령가계의 경제적 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진단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원정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중 최종적으로 총1,002가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고령가계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교차분석, 집단별 평균차이 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유형별 소비함수를 분석하기 위해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확률효과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가계는 은퇴 여부와 소득 원천에 따른 2단계구분을 통해 6개의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비은퇴가계는 근로소득형 가계가 많은 반면, 은퇴가계는 사전이 전중심형 가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고령가계의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 유형별 맞춤형 진단과 대응이 요구된다. 비은퇴가계 중 근로·연금소득형 가계는 근로소득형보다 상대적으로 연령은 높고, 근로소득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소일거리를 포함한 경제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은퇴가계 중 사적이전소득형 가계는 부채가 소비지출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부채를 통해 소비지출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별 유형의 가계가 경험하는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분화한 맞춤형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령가계의 유형별 경제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은퇴 전 충분한 노후준비가 되어야 얻을 수 있는 소득원인 재산소득과 연금소득을 중심으로 한 은퇴가계 유형의 경제적 복지 수준이 높게 나타나 은퇴 전 충분한 노후준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직 은퇴하지 않은 젊은 세대에게 은퇴준비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하고, 교육을 제공하는 노력과 함께 가계의 은퇴준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령가계를 대상으로 한 근로소득의 창출은 가계의 경제적 복지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고령가계의 소비지출은 가계의 유형별로 다른 소득원천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도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고령가계의 소비지출은 가계의 유형을 결정하는 주된 소득원천보다 근로소득이나 연금소득과 같은 정기적 성격을 갖는 소득원천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나 정기적인 소득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적연금을 통한 노후소득 보장 수준이 취약한 현실을 고려하여 고령가계를 대상으로 한 일자리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근로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은퇴 시기를 상대적으로 늦추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data from the 4th to the 6th year of the KReIS, the elderly households were classified two stages, according to retirement status and income sources and consumption functions were estim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intended to distinguish the elderly households by disaggregating them by using their retirement status and income sources step by step. Specifically, the types were identified by dividing the elderly households into retirement and non-retirement households according to their retirement status and classifying them again according to income sources. Second, it is intended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lderly households according to their retirement status and income sources. Third, through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consumption function is estimated for each type of elderly household according to their retirement status and income source to identify the impact of each source of income on consumer spending. Through this study, the problems that can ultimately be experienced by the elderly households in economic terms were diagnosed in advance and solutions were sough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KReIS data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were used and, in particular, the three-yea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4-6th (2011-2015) data to include differences in individual households and differences over time. Besides, this study classified the entire elderly households into more granularity by phasing out the elderly household through two axes: retirement status or income source.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ndition more accurately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by estimating consumption functions differently by looking at the types of sources of income and their influence on consumer spending. We analyzed 1,002 households in the KReIS. Of the total KReIS data, households that meet all three conditions were analyzed and the data were extracted. First, a balanced panel was established for households that responded to all three numbers until 4th and 6th years and used in the analysis. Second, only single-person and married-person households were studied. This is because households that live together with their actual sons and daughters may overstate their incom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Third, only households whose retirement status remained the same were studied from the 4th to 6th years of the KReIS. In other words, only households that have not been retired or have been retired continuously for 4th and 6th year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Households who experienced retirement within the period(4th and 6th year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is is because if one experienced retirement within the period, there could be a big change in economic conditions, including income and consumer spending. Therefore, it excluded cases where it was difficult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depending on whether they retired or not. In this study,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to distinguish types of elderly households based on the data extracted. Also, STATA 13 was used to cross-tabulation and analyz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the type of elderly households. For analysis of consumption function by type,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andom-effects model was used in detail. This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households whose life span is increasing after retirement and the importance of that period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them, looking at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eholds and diagnosing problems to find appropriate solu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lderly households can be subdivided into 6 types. Non-retirement households have more labor-oriented households, while retirement households have more private transfer-centered households. It can be seen that many elderly households now rely on private transfer income, and when studying elderly households in the future, it provides suggestions that analysis is needed considering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by type were different. In the non-retirement households, the labor and pension types are relatively older and the level of earning an income is lower than the labor-oriented type. They can be seen as continuing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Besides, private transfer-centered types in retirement households show that debt affects consumption expenditure positively, indicating that some debts cover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required a tailored solution to address the economic problems experienced by individual types of elderly households. Third, types focused on property income and pension income that can be accumulated in advance of retirement are higher than other types of economic welfa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preparation for younger generations who have not yet retired, and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to support the retirement preparation along with the efforts to provide education.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generation of earned income for elderly households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economic well-being. As the elderly population, which is still motivated and capable of working, is likely to increase with changes in its future demographic structure, efforts need to be made not only in re-employment policy but also in matching legal and social retirement age with actual retirement age. Fifth,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f elderly households is influenced by other income sources, and its influence is also different by type. Especially, their consumption expenditure tends to depend on the income source having regular characteristics such as earned income or pension income rather than the main income source that determines the type of households. Therefore,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level of guarantee of old-age income through a public pension is lo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way to delay the retirement period relatively by proactive supporting the employment policy for elderly households and extending the working period.

      • KCI우수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의 소득, 재산, 공제 및 부채에 따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규범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1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s a major poverty policy in Korea. Although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t has not looked in detail at the income, assets, deductions, and debt of the recipi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and to classify the recipients with income, assets, deductions, and debts using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in 2021 including a final sample of 1,212,120 recipients. The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4 classe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models. Each of the groups are labeled as CLASS 1=‘All Low Group’, CLASS 2=‘Only Public Transfer Income High Group’, CLASS 3=‘Only Public Transfer Income Low Group’, CLASS 4=‘All High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are as follows. First, male-headed households are found to be relatively more vulnerable, which is a consequence of the disability of a household member. This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care policies to secure their stable labor market position. Second, non-elderly-headed households have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in CLASS 1, which is attributed to the nature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This suggests that these households are relatively more disadvantaged compared to elderly-headed households. Third,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mong household members were more likely to be in CLASS 1 and CLASS 3, which shows income security and care policies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Fourth, households with severe disabilities among household members are more likely to be CLASS 2.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public transfer income for households with severe disabilities, which may help them to accumulate wealth. Finally, CLASS 2 had a high inclination of falling out from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Given the findings, this article proposes implications for policy implication regarding poverty in Korea.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우리나라의 주요 빈곤 정책으로 수급자 개인의 삶의 질 개선 뿐만 아니라 국가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고 다양하게 수행되었지만, 수급 가구의 소득, 재산, 공제, 부채 항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의 소득, 재산, 공제, 부채에 따른 특성 차이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행정 데이터로 살펴보고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의 소득, 재산, 부채 및 공제를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Latent Profile Analysis) 분석을 한 결과 수급 가구는 4계층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가구주가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구원의 장애로 인한 결과로 이들의 안정적인 노동시장 지위 확보를 위해 돌봄 정책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가구주가 노인이 아닌 가구가 상대적으로 1유형(모든 항목이 낮음)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도의 특성에 기인한 결과이며 이들이 노인 가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가구원 중 장애가 있는 가구는 1유형(모든 항목이 낮음)과 3유형(공적이전소득만 낮음) 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장애가 있는 가구를 위한 소득 보장 정책 및 돌봄 정책 확충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넷째, 가구원 중 중증 장애가 있는 가구는 2유형(공적이전소득만 높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중증 장애가 있는 가구의 다른 유형의 소득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재산을 축적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수급 탈락 가구의 경우 2유형(공적이전소득만 높음)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적이전소득이 소득평가액에 거의 그대로 반영되는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성공적 탈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의 우울 잠재프로파일 분석

        방지원,유성경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코로나 전후 맞벌이 부부의 우울이 어떠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각 유형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소득, 지각된 배우자 지지, 대처와 코로나 위험 지각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잠재프로파일별삶의 만족도와 결혼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 전 맞벌이 부부의 우울은 ‘부부 저우울 집단’(82.56%, 아내 CES-D 13.12점, 남편 CES-D 13.56점)과 ‘아내 고우울 집단’(17.43%, 아내 CES-D 33.66점, 남편 CES-D 20.66점)으로 분류되었다. 코로나 이후에는 ‘부부 저우울 집단’(61%, 아내 CES-D 10.97점, 남편 CES-D 9.48점), ‘남편 고우울 집단’(19.2%, 아내 CES-D 17.36점, 남편 CES-D 28.84점), ‘아내 고우울 집단’(19.8%, 아내 CES-D 31.36점, 남편 CES-D 16.71점)으로 분류되어코로나 이전에는 없었던 ‘남편 고우울 집단’이 새로 출현하였다. 코로나 전 아내의 대처와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잠재프로파일분류에 영향을 주었으며, 코로나 후에는 아내의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뿐 아니라 남편의 대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유형 분류에 영향을 주었다. 코로나 전후 맞벌이 부부의 우울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결혼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는데, 코로나 전 부부 저우울 집단의 부부 삶의 만족도와 결혼만족도는 아내 고우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이후에는 부부 저우울 집단의 아내와 남편의 삶의 만족도, 결혼만족도가 나머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만 남편 고우울집단 아내의 삶의 만족도와 결혼만족도 모두 아내 고우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남편은 삶의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결혼만족도에 대한 부부의 성차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ression of couples in depth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the depression of double-income couples before COVID-19 was classified into the "Low depression couple" (82.56%) and the "High depression wife" (17.43%). The "Low depression couple" is understood as a healthy group that does not experience significant depression. The wife of the "High depression wife" experiences severe depression and the husband experiences a minor level of depression. After COVID-19, the depression of double-income couples was classified into “Low depression couple”(61%), "High depression husbands" (19.2%), and “High depression wife”(19.8%). A new "High depression husband," which did not exist before COVID-19, appeared, and the husband of this group showed severe depression, while his wife showed mild depression. For the “Low depression couple”, both wife and husband showed no symptoms of depression, while in the case of the "High depression wife," the wife showed severe depression and the husband showed mild depression. Before COVID-19, the wife’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nd after COVID-19, not only the wife’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but also the husband’s coping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types. Before COVID-19, the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Low depression cou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depression wife”. After COVID-19, the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and husbands in the “Low depression cou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st of the group. However, the wife of the “High depression husbands”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lif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High depression wife”, but the husband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confirming the couple’s gender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강미선(Miseon Kang),전혜정(Hey Jung Jun),정인혜(Inhye Jung),송시영(Si Young Song)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를 유형화하고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2014), 8차(2015)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두 차 년도에 부부 모두 응답하였고 학령 초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부부 417쌍을 선정하였다.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매개모형 Model 4를 이용하여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태도에 대한 2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고 이를 정체된 양육자형과 변화한 양육자형으로 명명하였다.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한 연구 모형들에서는 두 변인 모두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과 부인의 결혼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 척도가 포함하는 다측면성을 고려하여 유형화할 필요가 있음을 재확인하였으며, 남편의 성역할 태도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가구의 결혼생활과 관련된 가족 정책 및 남편의 양육참여 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ttern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among husbands in dual-income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7th (2014) and 8th (2015)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samples included 417 dual-income married couples who responded to both 7th and 8th surveys. Using Mplus 7.3,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And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indirect effects,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As a result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were classified with two groups. These groups were named “Stalled fathers” and “Evolving fathers”, respectively. And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ggest the gender role attitude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various aspects, 2) propose a new approach and interpretation about fathers’ gender role attitude and 3) explain the mechanism between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hich is mediated by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These results can provide key data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 marriage of dual-income households. These also imply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expanding the husband s caring identity.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provide joint decision-making education to help couples roles be well shared and coordinated. Along with, policy intervention to encourage companies to support male work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is necessary to be pursued continuously.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유형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 및 경제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계승,권민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9 GRI 연구논총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baby boomers' retirement preparations for economic, emotional and health are made and typified,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economic factors. For this study, we used the 3rd Survey and Supplementary Survey Data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P). In order to classify retirement preparation,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performed on 346 baby boomers. The influence of predictive factors was analyzed by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parations for the aging of baby boomer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body - oriented low preparation group, middle preparation group, and high preparation group. Gender, age, education level, life satisfaction, income, and other asse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economic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concrete and differentiated countermeasures to improve baby boomer's retirement preparation and suggested policy proposals.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경제, 정서 및 건강에 대한 노후준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유형화되는지를 파악하고 개인과경제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P) 3차 본 조사 및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노후준비를 유형화하기 위해 346명의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으며,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은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는 신체위주형저준비집단, 중준비집단, 고준비집단으로 총 3개의 계층으로 분류되었으며, 개인과 경제적 요인들의 영향력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생활만족, 소득, 기타자산 보유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ICL 도입방안과 예산추계

        김진영(Kim, Jin-Yeong),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2

        최근 현행 정부 대학 학자금 지원 사업이 갖는 정책적 한계를 보완하고, 국가장학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ICL의 도입이 제안되고 있다. 제도의 성공적인 도입과 정착은 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 보다 유연한 접근과 실질적이고 점진적인 도입방안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ICL 제도의 개념 및 ICL이 실시되고 있는 외국사례를 바탕으로 한국형 ICL의 도입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예산 규모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환시기만을 소득발생시점과 연동시키는 한국형 ICL 제도가 제안되었으며, 둘째, 지원대상의 선정에 있어서는 개인의 환경과 능력을 모두 고려하되, 대학을 통한 간접지원의 형식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ICL 3단계 도입방안이 모색되었다. 셋째, 이에 따를 때 예상되는 국가 예산은 제도의 도입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부모 소득 5분위 이내로 제한할 경우연간 2 조원에서 2조 5천억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환을 고려한다면 약 20여년간 누계로 연간 예산의 11.5배 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예산 소요 추정에 있어서 실제적인 비용은 default로 인한 실제 손실, 이차보전 관련 비용이다. This paper proposes a version of an income contingent loan(ICL) system that is suitable for Korean context and estimates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budgets for the system. To make our proposal more concrete and practical, we reviewed the conceptual issues, and look into the ICL systems of other countries, successful or not. Our proposal of IC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 mixture of the equity contract and the debt contract to prevent adverse selection. Secon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introduce a full-scale ICL system with the higher education enrollment rate of more than 85%, it is advisable to take a step-by-step approach. We proposes som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he ICL based on parents' income, students' institution, or major. As for the budget, it is estimated that with reasonable qualification criteria, per year amount of total loan will be around ₩ 2 trillion. Considering the redemption and with the assumption of 10% default rate, around 12% of per-year loan will be needed after 20 years, which ICL system is fully matured.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total amount of budget will be around 11.5 times of per-year budge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20 yea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