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한양명(Han Yang-myung)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그 동안 이루어진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전망하기 위해 작성된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장에서는 나름대로 민속놀이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했고, 두 번째 장에서는 민속놀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시각 가운데 재고가 필요한 부분을 몇 가지 지적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에 관한 단상을 소략하게 제시했다. 연구 결과, 민속놀이는 전근대사회에서 비롯된 전통놀이로서 전국적 또는 광역적으로 분포한 민중들의 놀이 및 모든 계층이 공유한 놀이를 기본 범주로 하고, 일부 지역에서만 전승된 놀이 및 중인/양반/특수직업집단의 놀이까지를 확장범주로 포괄하는 놀이현상이라고 규정했다. 한편 과거 지향적으로 진행된 기존 연구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파악된 것은 민중주의적 시각, 탈맥락적이거나 일반론적인 역사적 접근,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수용의 결여, 탈맥락적인 비교, 대동놀이에 대한 분절적 이해, 어린이 놀이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미흡 등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생각을 소략하게 첨기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심화와 대상의 확대를 위해 몇 가지 단상을 제시했다. 먼저 역사적 연구의 심화를 위해 기존의 디지털아카이브를 활용한 문헌적 접근의 기능성과 근대 이후 민속놀이가 재맥락화 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천착의 문제를 거론했다. 다음으로 민속놀이에 관한 체계적인 정보 제공은 물론 놀이문화권의 설정과 문화권 내외의 비교연구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민속놀이지도를 작성 및 놀이 관련 자료의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의 시간적 확대를 위해 동시대 민중들의 놀이문화와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공간적으로는 북한 및 해외 거주 동포들의 놀이문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text is written fur studying reflectively and prospecting the vision of research about folk play which is gotten accomplished all these days. It consist m three parts. The fust part: is about setting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olk plays. the second part is about indicating parts which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among some prospects about folk plays which have been made until now. the last part is about presenting discussions about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shortly. In the result of research, folk plays are traditional play from premodern society and it were spreaded in the all over the country or in a wide area. It also shared by all of the social classes. these results establish a basic category about folk play. also, some plays transmitted in some parts of the country and others transmitted by Joong-in/Yang-ban/crew of special jobs are fall into a extending category. Meanwhile, there is some problems recognized by traditional researches which have been processed with aiming at the past ; the prospect of populism, historical access which is incoherent or too general, lack of critical accommodation about a text, incoherent comparison, divided understanding about DaeDong-noli, lack of historical access about children's plays and etc. Therefore, some opinions for overcoming these problems are added shortly in here. Finally, there are several opinions fur intensifying of research and extension of the object. Fir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possibility of philological access utilizing existing digital archive for intensifying of historical research and problem of digging about historical development in the period from the time after the modem age when folk plays began to be recontextualized to now. Next, it presented to frame the instruction of folk plays and construct of digital archive of resources related with plays for not only providing systematic resource about folk plays but also setting a cultural area of folk plays and being achieved a comparative study inside and outside of this area easily. Last, it made a discussion about necessity of swinging over to culture of a contemporary's play and leisure for extending the object of study at the point of the time and about considering to a culture of plays of people who live in North Korea or other foreign countries at the point of the place.

      • KCI등재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최상은,박상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and proportion of Korean folk play were decreas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ried to find way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school. For this, firstly, the Korean folk play’s educational values which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reflection aspect were examined. Based on this, strategie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Elementary school were proposed. Methods The data such a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orean folk play, curriculum documents, etc were collected, and as the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Results The educational values of Korean folk play were categorized into traditionality, artistry, playfulness, and enjoyment.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folk play was presented as a content element of the related area without an independent area during the 1st to 3rd curriculum. In the 4th to 6th curriculum, an independent content area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7th curriculum, the activities by area were divided into mandatory and optional activities, so the example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folk play increas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and 2009, the independent small and middle areas of Korean folk play were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folk play was deeply related to ideas of an educated person and key competencies of curriculum revision. In addition, i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which were th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competencies. Despite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an educated person and competencies, Korean folk play was gradually introduced as the content factor of the area, and the proportion of this decreased. Conclusions The way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Elementary school were as follows. First, to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folk play, expand the opportunities to choose Korean folk play. Second, teach Korean folk play by integrating or linking between subjects. Third, expand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Korean folk play such as linking Korean folk pla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KCI등재후보

        구리 지역 민요의 전승 양상과 기능적 특징

        박현숙(Park, Hyeon-su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0

        이 글은 경기도 구리시 전지역의 민요를 조사하여 유형별 현재적 전승 양상을 살피고, 민요의 변화된 기능적 특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 민요 조사는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 증보 사업> 조사 일환으로 2014년 2월부터 7월까지 구리시 법정동 7개 지역에 대해 총 35회 진행하였다. 노동요는 아직 현장성이 살아있는 ‘육아요’ 전승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의식요는 ‘장례의식요’가 전승되고 있다. 장례의식요는 <운상나가는소리>와 <묘다지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논농요를 결합하는 경기도 장례의식요의 특성을 잘 살려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희요는 가창자들이 주로 어릴 때 놀이를 하면서 불렀던 ‘동작유희요’가 가장 활발하게 전승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성인이 주로 향유하는 통속민요와 같은 ‘가창유희요’ 전승이 활발하다. 구리시에서 조사한 민요는 유형별 본래의 기능이 점차 약화되고 유희성이 강화되는 특성이 드러난다. 첫째는 장르적 변화를 통한 유희성이 강화된다. 무가에서 가창되던 <대감놀이>는 유랑연예인, 놀이패가 수용하면서 유희성이 강화되었으며, 현재는 놀이판에서 즐겨 가창되고 있다. 둘째는 현장 재현을 통한 유희성이 강화된다.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는 이제 현장성이 사라진 채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 가창이 이루어진다. 기억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재현은 가창자와 청중, 모두에게 즐거움과 웃음을 주고 있다. 구리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육아요, 장례의식요, 동작유희요와 가창유희요를 통해 민요전승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가창자들은 사라지지 않은 육아, 놀이, 죽음, 교육의 현장에서 전수자?교육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three aims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folk songs that are handed down from whole areas in Guri-si, a city in Gyeonggi Province, to research the types of folk songs which is currently being handed down from Guri-si, and to examine an altere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folk songs. The investigation of folk songs from Guri-si in Gyeonggi Province which is a part of making revised and enlarged editions of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was conducted a total 35 times at seven zones in Beopjjeong-dong, Guri-si, from February to July 2014. The parenting folk song that still used in the field of work folk songs is the most active song that is being passed down to the present. The ‘funeral rite folk song’ in ceremony songs are being passed down to the present. funeral rite folk song is composed of 〈Unsangnaganeun-sori〉 and 〈Myodajineun-sori〉. In this process, the feature of funeral rite folk songs in Gyeonggi Province that combining the various songs of weeding a rice paddy was being handed down well. In the field of play folk songs, ‘the play folk song for movements’ that sang for playing mainly at childhood is the most active song that is being passed down to the present. ‘The play folk song for singing’ such as popular folk songs that usually enjoyed by adults has been actively passed down. The folk songs which are investigated in Guri-si are gradually weakened the original function of each types, but its playful characteristics are being enhanced. The first, playful characteristics are strengthened by genre change. After the strolling player or Noripae accepted the DaegamNori that was usually sung by shaman, DaegamNori"s playful characteristics were enhanced, and now this song became a favorite song to sing in the place to play. The second, playful characteristics are strengthened by the reappearance of the reality. The work folk song, ceremony folk songs, play folk songs are disappearing in their field now, and these songs are sung by depending on the memories of past. The reappearance that gained in the process of memory gives fun and laughter to all the singer and the audience. Through the parenting folk song, funeral rite folk song, play folk song for movements, play folk song for singing that are handed down from Guri-si, we can find the sustainability for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The singers will be able to do a very important role as an initiate and an educator in the field of child care, recreation, death, and education.

      • KCI등재후보

        남북한 어린이 민속놀이의 변화와 지속

        김행심 ( Haeng Sim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4 통일연구 Vol.18 No.2

        민속놀이는 흔히 민속오락, 민속경기, 민속유희, 민속예능, 전승놀이, 향토오락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놀이는 종교적 행사나 세시풍속에서 출발하여 시간을 보내기 위하거나 즐기기 위한 소소한 일상생활의 여가를 포함한다. 이 중 소년, 소녀가 함께 노는놀이를 “어린이놀이”라 하며 지극히 단순하고 수시로 하는 놀이가대부분으로 개인보다 다 함께 노는 집단놀이가 발달하였으며 분단이전 하나의 어린이전통놀이가 남한과 북한이라는 각기 다른공간 속 각각의 체제에 따라 놀이의 명칭과 놀이 방법에 차이를보이고 있다. 이에 북한의 어린이민속놀이는 어릴 적부터 학교와가정에서도 적극 권장하며 국가 지정일인 명절과 휴일에도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적극 장려하는 것과 달리 남한은 우리 전통 어린이민속놀이를 바탕으로 전통민속놀이 방법을 소개하며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 생활문화에 따른 놀이를 즐기고 있다. 또한 어린이민속놀이는 여럿이 어울리는 집단놀이의 발달로 또래놀이를 통한 또래 문화를 형성하는 남한과 달리북한의 집단놀이는 국가기념일에 어린이들의 의무적 참여를 통해국가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맹세한다. 결국 남한은 전통어린이민속놀이를 현대화시켜 어린이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집체성을 강조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키려는 정책민속놀이로 사회주의 사상과 체제를 어린이들에게 주입하고 세뇌시키기위한 것이 우선이다. 이것은 남한과 북한의 공간적 차이 속 각기다른 체제에서 하나의 우리 전통어린이민속놀이가 놀이 방법은유사하나 놀이 내용에는 차이를 가지면서 현대적 계승이 이어질것이다. A folk play is often referred to as folk amusement, folk games,folk entertainment, folklore play and local amusement. Starting froma religious ceremony and the New Year`s customs, the play expandsits range to include pastime and leisure to enjoy daily life. Amongthem, “children`s play” is performed between boys and girls, and it ismostly composed of simple games and played from time to time. Inthis case, group play is further developed rather than individual play,and one traditional children`s play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peninsula now shows the difference in the names of plays andmethods on how to play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of South and North Korea. In North Korea, children`s folk play isstrongly recommended both at school and at home from theirchildhood, and it is actively encouraged in festive and nationalholidays at a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uthKorea, methods on how to play traditional folk games are introduced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folk plays, and ways to utilize themin education are presented so that children can enjoy games based oncontemporary lifestyle and culture. In addition, children`s folk play inSouth Korea helps to form a peer culture trough a peer play due tothe development of group play, whereas group play in North Korea is designed to swear allegiance to the national leader throughmandatory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national holiday. After all, South Korea gives priority to improving the health ofchildren`s mind and body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children`s folk plays, while North Korea prioritizes the injection ofthe socialist ideology and system into children and brainwashingthrough political folk plays intended to emphasize communitarianism,and inherit and develop the socialist ideology. These results suggestthat modern succession will proceed as one traditional children`s folkplay shows similar methods on how to play, while its content istotal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ystem resulting from the spatial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 KCI등재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

        김만태(Kim Man-T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2

        세시풍속 안에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 잘 응축되어 있다. 세시놀이도 그중 하나이며 세시풍속은 민속놀이를 잉태하고 전승해온 주요 기반이다. 그러나 우리사회가 전통 농어업 사회에서 현대 산업ㆍ정보사회로 바뀌면서 세시풍속도 그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이에 따라 세시풍속을 모태로 전해오던 민속놀이들도 빠르게 사라지거나 변모하고 있다. 현대 세시풍속안에서 민속놀이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살피기 위해 먼저 세시풍속을 이루는 기반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고찰했다. 민속놀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시놀이를 ‘세시’와 ‘놀이’로 구별해 인식하는 기존의 논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시풍속의 변화(기반)→세시놀이의 변화(양상)’란 맥락 속에서 규명했다.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을 ‘소멸ㆍ생존ㆍ전수ㆍ신생’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통사회에서는 삶의 주요한 대목마다 마을공동체나 놀이집단을 통해서 삶과 밀착되어 자연스레 놀아지던 세시놀이들이 이제는 대부분 소멸되었거나 무형문화재ㆍ지역축제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전승되고 학교ㆍ사회교육의 교육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런 반면 변화된 세시풍속에 부응하여 새롭게 형성되는 세시놀이들도 많다. Seasonal customs reflect the lives of contemporary people in a condensed manner. Seasonal plays are part of seasonal customs, which have been a major foundation to incubate and pass down folk plays. As Korea moved from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and fishing society to the modern industrialized and information society, however, Korea’s seasonal customs have gone through many changes, which then caused folk plays rooted in seasonal customs to rapidly disappear or alter.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the foundation of seasonal customs to understand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 Taking another step from the conventional discussions that distinguished ‘seasonal’ from ‘plays’ in seasonal plays that account for a big part in folk plays, the study investigated them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seasonal customs(foundation) → changes of seasonal plays(patterns)’. The development pattern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 were divided into “disappearance, survival, transmission, and new birth.” Having been performed naturally by a village community or play group at every major event of life in its close relations to it in the traditional society, seasonal plays are mostly gone, transmitted through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local festivals, or performed in schools and venues of soci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new seasonal plays created in response to the changed seasonal customs.

      • KCI등재

        Bruner의 일상교수(Folk Pedagogy)에 기반한 유아·놀이 중심 활동의 재개념화 탐구

        엄나현(Na-Hyeon Eom),강현석(Hyeon-Suk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유아 교육현장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문제는 주체와 객체 간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배움의 주체자로서 유아가 놀이나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 또한 강조하고 있다. 교육의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질 높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문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문화심리학은 문화가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며, 교육에서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문화심리학은 일상심리의 원리에 의해 운영된다. 일상심리(학)의 교육적 전환이 일상교수학(folk pedagogy)으로, 일상교수는 유아를 사고의 주체자로 보며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움이 촉진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 점에서 일상교수는 현행 유아교육의 새로운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상교수학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유아·놀이 중심의 활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Bruner의 folk pedagogy의 의미를 탐색하고, 학습자의 마음에 대한 네 가지 교수모형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이에 기초하여 현행 유아·놀이 중심 활동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놀이 중심활동의 계획, 내용, 활동방법 및 전략과 평가,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유아와 교사가 함께 참여하고 만들어 갈 수 있는 folk pedagogy에 기반한 놀이 중심 활동을 재개념화해보고, 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The role of teachers as a supporter is also emphasized in that young children can actively participate in play or activities.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each other"s mind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organize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members with high quality in the course of education. As a new approach to this problem, cultural psychology is interested in how culture constitutes the human mind and how the human mind works in education. This cultural psychology is governed by the principles of folk psychology. The educational transition of folk psychology may be interpreted as a folk pedagogy. Folk pedagogy regards young children as subjects capable of thinking and considers learning as constructs facilitated by interaction among members. In this regard, folk pedagogy can be a new foundation for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e meaning of Bruner"s folk pedagogy was explored alongside the critical examination of four teaching models of learners" mind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folk pedagogy and play-oriented activities pursued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is, it was discussed how it relates to the current early child and play-oriented activities. In addition, the plans, contents, methods, strategies, evaluations, and significance of play-oriented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amined with a matter of interest. Furthermore, a future aim would be to re-conceptualize the play-oriented activities based on folk pedagogy in which bo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an participate and create together, and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activities.

      • KCI등재

        단절 위기 민속놀이의 전승 및 관광자원화 방안

        이미경 ( Mi Kyung Lee ),오익근 ( Ick Keun Oh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단절 위기에 직면한 민속놀이의 전승 실태 및 문제점을 역사적·제도적 차원에서 규명해보고 문화유산과 관광을 접목시킨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은 민속학계, 지방문화원, 향토사가, 문화지킴이 등 일부 관련 집단의 고유 영역이 아니라 우리 선조들이 명맥을 잇고자 했던 문화 정체성과 가치를 후대에 고스란히 넘겨주어야 할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의 몫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관광학계에서 관광자원의 대상으로 무형문화유산인 민속놀이의 가치를 부각시키려는 움직임은 활발하지 않았으며, 문화유산의 전승 위기라는 과제에 있어서도 관광학적인 대안 마련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는 않았다.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놀이의 잠재적인 가치와 가능성은 선행연구에서 입증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단절 위기에 처한 민속놀이의 전승 실태 및 문제점을 고찰하고 관광학적인 관점에서의 경쟁력 있는 민속놀이 발굴·개발을 통해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민속놀이 관련 학계의 문헌자료와 정부정책 및 지원 사업 등 2차 데이터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자원의 대상으로 경쟁력 있는 민속놀이를 조사·발굴하여야 하며, 둘째, 한국 고유의 정서를 잘 담고 있으면서 놀이문화의 멋과 흥을 유발할 수 있는 민속놀이를 한국 대표 민속축제로 집중 육성하며, 셋째, 독창적인 민속놀이 공연프로그램의 개발과 공연장소의 확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민속놀이 교육 프로그램 확대 및 여가문화로 정착시키고, 마지막으로 각종 매체를 활용하여 민속놀이를 테마로 한 축제, 공연, 이벤트, 공연시설 및 관광자원 등의 홍보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단절 위기에 처한 민속놀이의 전승이 더 이상 민속학계, 교육학계, 관광학계만의 관심사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지역민, 지자체, 문화원, 정부, 유관기관 등 민·관·학이 함께 이에 대한 위기의식을 공감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는데 고심하여야 할 것이다.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current situation in transmitting Korean traditional folk plays which are faced on the crisis of extinction and to seek how to preserve or utilize them as tourism resources. In terms of tourism, the value of folk plays, folk dances as intangible culture heritage has already been proved. To make use of folk plays which is faced on the crisis of extinction as tourism resources could be an alternative in preserving our heritage and handing it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need to research and discover the competitive folk plays as the object of tourism resourc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me of folk plays to Korean representative festivals. Third, folk plays should be produced as performing arts in addition to supply performing places for folk plays. Fourth, we have to enlarge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leisure activities. of folk plays. Finally, we have to seek how to promote our own folk plays in the form of festivals, performances, events, etc. via mass media.

      • KCI등재

        홍천군 산간지역 유희요의 세대별 존재 양상 -다리뽑기하는소리, 고무줄하는소리, 말꼬리잇는소리를 중심으로-

        이영식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5 No.-

        In the field of folk songs, Play folk song is investigating more than Labor folk songs or Ritual folk songs. In addition, the advent of new play equipment generates a new Play-folk songs. And during the same play, in a generational kind of song is differ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Darippopgihaneun-sori(다리뽑기하는소리; the songs of pulling the legs), Gomujulhaneun-sori(고무줄하는소리; the songs of playing rubber strings) and Malkkoriinneun-sori(말꼬리잇는소리; the songs of following the last words), in Play-folk songs, in Hongcheon-Gun mountainous areas, Nae-myeon Gwangwon-ri. This study is about present a generational aspect grandparent, parent, child of those songs. As a result, in the Darippopgihaneun-sori(다리뽑기하는소리) they have been handed down that <Kokakolla matitda(코카콜라 맛있다)>, <Gomonejibe gatdeoni(고모네집에 갔더니)>, <Aenggi ttaenggi(앵기 땡기)>, <한거리 두거리(Hangeori-dugeori)>, <Kkwongakkwonga eodiro gani(꿩아꿩아 어디로 가니)>. But the song is a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child generation sang <Kokakolla matitda(코카콜라 맛있다)>, <Gomonejibe gatdeoni(고모네집에 갔더니)>, parent generation sang <Gomonejibe gatdeoni(고모네집에 갔더니)> and grandparent generation sang <Gomonejibe gatdeoni(고모네집에 갔더니)>, <Aenggi ttaenggi(앵기 땡기)>, <Hangeori dugeori(한거리 두거리)>. Thus, Darippopgihaneun-sori(다리뽑기하는소리) existed in many types of grandparent generation and was reduced towards child generation. In Gomujulhaneun-sori(고무줄하는소리) the pattern of the 4~5 songs has been handed down each generation. Grandparent generation who didn’t attend the school and lower grades in child generation, didn’t experienced a playing rubber bands. Lower grades don’t know a playing rubber bands because they play in the classroom more than playground. As a result, a playing rubber bands to the lower grades is no longer getting that tradition, we can identify. In Malkkoriinneun-sori(말꼬리잇는소리), <Wonsungi eongdeongineun ppalgae(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only was investigated. Thus, Malkkoriinneun-sori(말꼬리잇는소리)’s kind of few, because When they configure the lyrics because constraints. And the song is in progress only words, without actions or play tools. So, less interesting than the other songs. However, the lyrics of this song is the extension of the length, in parent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than grandparent generation. 민요의 전승현장에서는 노동요나 의식요보다 유희요가 더 많이 채록된다. 그리고 유희요는 세대의 차이와 전승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노래가 파생되어 전승되기도 한다. 이는 유희요가 노동요나 의식요보다 전승환경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홍천군 내면에 전승되는 유희요 중 다리뽑기하는소리, 고무줄하는소리, 말꼬리잇는소리 등이 세대에 따라 어떤 노래가 존재하는가에 대해 살핀 것이다. 그 결과 다리뽑기하는소리에는 <코카콜라 맛있다>, <고모네집에 갔더니>, <앵기 땡기>, <한거리 두거리>, <꿩아꿩아 어디로 가니> 등이 전승되고 있으나, 마을 및 세대에 따라 부르는 노래가 달랐다. 광원리의 자녀세대에서는 <코카콜라 맛있다>, <고모네집에 갔더니>를, 부모세대에서는 <고모네집에 갔더니>, 조부모세대에서는 <고모네집에 갔더니>, <앵기 땡기>, <한거리 두거리> 등을 부르고 있는데, 명개리에서는 <꿩아꿩아 어디로 가니>를 조부모세대와 부모세대에서 공유하고 있다. 고무줄하는소리는 세대별로 4~5유형의 노래가 전승하고 있는데, 자녀세대에서는 아래 학년으로 갈수록 고무줄놀이를 경험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까닭은 놀이 환경의 변화로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놀기보다 교실에서 노는 일이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이들은 교실에서 놀 수 있는 새로운 놀잇감을 찾게 되고, 고무줄놀이는 점점 멀어지게 되어 저학년들에게 전승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한다. 말꼬리잇는소리는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만 정리되었다. 이처럼 말꼬리잇는소리에 하나의 유형만 채록된 것은 이 노래가 다른 노래에 비해 그만큼 인기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말꼬리잇는소리가 아무런 동작과 놀이도구 없이 단순하게 말로만 하는 노래이다 보니 재미가 덜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노래는 조부모세대보다 자녀세대와 부모세대에서 노랫말이 확장되고 있음은 주목된다.

      • KCI등재

        진도 치기형 민속놀이의 전승 현장과활성화 방안

        이옥희,하미순,이경엽,나경수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7 No.-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hit-type folk game handed down in the Jindo region, examined its transmission patter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research, and proposed its characteristic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ays to revitalize it. Hit-type folk game includes children’s play, adult play, men’s play, and women’s play. Overall, it is a cultural correlation that allows us to see through our traditional play culture.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everyday play that even people without special skills or entertainment can participate in and that can be enjoyed on a regular basis, not just during special times Hit-type folk games have a variety of play methods and are also games that contain oral expressions and traditional knowledge. Tools are often used when playing chigi-type folk games. It includes not only amusement equipment but also household and crafting tools. In addition, hit-type folk gam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angible heritage in that it is a game that reflects the local lifestyle and philosophy of life. Hit-type folk gamei is a universal game that is passed down in other regions as well. Therefore, the form and content of pla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However, Jindo local residents have strong vitality and resilience in folk culture and arts.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area to seek and realize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coming a residual culture. Just as most traditional games are neglected by modern people and are in danger of being cut off from their transmission, the same goes for hit-type folk games. As a way to avoid this, we propose grouping of individual plays. In addition, a creative perspective is needed to transform residual culture into regenerative culture by linking it with digital-based online business. In addition, to revitalize the region, it was proposed to create a hit-type folk game theme park and hold a hit-type folk game competition.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form the Jindo region residents-centered tentative name “Jindo hit-type Folk Game Preservation Society.” Only when the private sector, institutions, business community, and academia cooperate will we be able to secure sustainability rather than just a one-off reproduction 본고에서는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치기형[打型] 민속놀이에 주목하여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전승 양상을 살피고, 무형유산으로서의 특징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치기형 놀이는 아동놀이, 성인놀이, 남성놀이, 여성놀이를 망라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놀이문화를 관통할 수 있는 문화적 상관물이다. 특별한 기예능을 갖추지 않은 사람도 참여할 수 있고, 특별한 시기가 아닌 평소에도 즐길 수 있는 일상적인 놀이에 대해서도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치기형 민속놀이는 치기놀이 특유의 다채로운 전개방식이 있고, 구전표현과 전통지식이 담겨있는 놀이이다. 치기형 민속놀이를 할 때에는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놀이도구뿐만 아니라 생활도구와 생산도구까지 포함한다. 놀이도구의 재료를 선택하고, 제작하고 활용하는 과정마다 사람들이 터득하고 있는 전통지식이 동원된다. 또한 치기형 민속놀이는 지역의 생활상과 생활철학이 반영된 놀이라는 점에서 무형유산으로서 특징을 갖고 있다. 치기놀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전승되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따라서 놀이의 형편과 내용은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진도 지역민들은 민속문화예술에 대한 실제적인 활력과 탄력이 강하므로, 잔존문화가 되어가고 있는 전통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현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대부분의 전통놀이가 현대인들에게 외면받고, 전승 단절의 위기에 처해있듯이 치기형 민속놀이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개별놀이의 집합화(grouping)를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반 사업과 연동하여 잔존문화를 재생문화로 전환하려는 창의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지역활성화를 위해 치기형 민속놀이를 테마로 한 액티비티(activity) 창안과 치기형 민속놀이 대회 개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 중심의 “치기형민속놀이보존회”의 결성이 필요하다. 민간, 기관, 재계, 학계가 협력해야 일회성 재현에 끝나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荷齋日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송재용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9

        『Hajaeilgi(荷齋日記)』, a collection of daily diaries, written nearly every day by Ji Gyu-sik (池圭植)(1851~?), a tribute arbeiter assigned to the official kiln of Royal Kitchen of Saongwon,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1, 1891 and June (leap month) 29, 1911, describes a wide range of traditions, experiences and the lifestyles of people back then, including management of official kiln of Royal Kitchen office, delivery of ceramics to the royal palace and market circumstance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e directly witnessed, heard and experienced, village order in the vicinity of the official kiln of Royal Kitchen,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s, daily rituals, family relations, and every life history in a vivid and dynamic manner. It is extremely rare for someone like Ji Gyu-sik who didn’t belong to the noble class to leave documentary records in his own Hajaeilgi that cover such a variety of folk culture related topics, including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s. Against this backdrop, I have specifically focused on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s out of those folk related topic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ary are as follows. When it comes to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it is worth noting a number of events, including tell fortunes by drawing straws at Gwanseongmyo(Tomb) following the Lunar New Year's rituals, hanging lanterns in the evening, meeting close relatives in the beginning of new year, description of people in Hanyang enjoying full-moon view in the evening, performance of boy dancers in villages near the official kiln of Royal Kitchen and tips given to them, distribution of alcohol, meat and money among colleagues on three dog days in every summer, Chusoek rituals conducted at ancestor’s grave unlike Lunar New Year’s holiday, sending son to the ritual on his behalf after converting to Christianity and drinking mineral water on the Hunting Day. In terms of folk plays, it is worth referring to several facts and findings, including ability to portrait the bridge crossing game in Hanyang, Mudong plays conducted in the villages around the the official kiln of Royal Kitchen in Gwangju, Gyeonggi-do, fact that it cost to have mask dancers to perform mask dance, and the puppet show. Therefore, although a brief description of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s in 『Hajaeilgi』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the diary has its unique value not only as a material reference but also in folkloristic perspective in that it serves as a window to the world of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and folk plays at the time. 『荷齋日記』는 司饔院 分院의 貢人이었던 池圭植(1851~?)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간 거의 매일 쓴 일기로. 분원의 경영과 도자기의 궁궐납품 및 시장 판매 상황, 그가 직접 보고 듣고 경험했던 각종 정치ㆍ경제ㆍ사회상, 분원 일대의 향촌 질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일생의례, 가족관계, 일상생활사 등 다양한 내용들을 역동적으로 기술하였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하재일기』에 의례, 세시풍속, 민속놀이 등 그가 행하거나 보고 들은 민속 관련 내용들을 기록으로 많이 남기고 있는바, 이러한 일기는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필자는 민속분야 그 중에서도 특히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사항들을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세시풍속의 경우, 설날 차례 후 관성묘에서 제비를 뽑아 길흉을 점친다든지, 저녁에 연등을 다는 것, 정초 근친, 정월 대보름날 저녁 달구경 및 답교 등을 하러 나온 당시 한양 사람들의 모습, 그리고 경기도 광주 분원 주변 마을들의 무동들이 재주를 서로 자랑하고, 또 이들에게 수고비를 주었다는 내용, 매년 삼복 때 직장 동료들과 술과 고기를 먹고 돈을 나누어 주었다는 기록, 추석 차례를 설과는 달리 산소에서 지냈다는 사실과 기독교 입교 후에는 아들을 대신 보내 차례를 지내게 했다는 대목, 납일에 약수를 먹었다는 기록 등은 주목할 만하다. 민속놀이의 경우, 한양에서의 답교놀이의 실상을 짐작할 수 있다는 사실, 경기도 광주 분원 주변 마을들의 무동놀이의 모습, 산대패들에게 산대놀이를 하게 하려면 비용이 든다는 내용, 꼭두각시놀음 등은 참고할 만하다. 그러므로 『하재일기』에 나타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는 내용이 다소 간략해 아쉬운 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양과 경기도 광주 지역에서 당시 실제 행했던 세시풍속과 만속놀이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