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급사슬 상에서의 환경세 면제 정책의 영향

        심정은 한국경영과학회 2019 經營 科學 Vol.36 No.2

        Although many countries have adopted environmental tax to curb firms’ emissions, they often include tax exemption policy for some industries to promote the industry competitiven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tax exemption, especially from a supply chain perspective. We consider a supply chain consisting of an upstream firm and a downstream firm, both of which generate pollution as a byproduct of their production process, and examine three scenarios: (1) both firms are imposed an environmental tax, (2) an upstream firm receives tax exemption, and (3) a downstream firm receives tax exemption. Interestingly, we find that environmental tax exemption on either upstream or downstream firm has significant environmental and economic externality on the other firm in the supply chain. That is, environmental tax exemption on the upstream firm not only increase the pollution and the profit of the upstream firm, but also raise the pollution and the profit of the downstream firm. The exemption on the downstream firm can also exhibit similar externality. These imply that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tax exemption can be often underestimated,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in the supply chain context. We also find that environmental tax exemption is not always more effective than no exemption policy from a broader perspective which considers bo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supply chain. The exemption policy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when emission abatement is costly, and the exemption on the downstream firm is relatively more effective than that on the upstream firm.

      • KCI등재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의 쟁점

        이정란(Lee, Jeong-Ra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1 No.3

        중소기업의 창업은 신규 고용을 창출하여 서민층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중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제도는 창업으로 인한 지역경제의 증대효과와 지방세 수입 감소라는 상반된 영향을 지역사회에 미치게 된다.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제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방세 수입 감소라는 비용을 치르더라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이라는 더 나은 효과를 지역 사회에 가져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창업중소기업이 적용받을 수 있는 지방세 감면대상 세액은 취득세ㆍ등록면허세 및재산세이며 조세특례제한법 제4장 지방세 감면 조문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창업중소 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제도는 창업단계에서 시장진입과 관련된 취득세, 등록면허세 등의 초기비용부담을 낮추고 창업에 따른 불확실성을 완화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는데 실효성 높은 조세지원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감면제도는 조세 형평성에 상당한 침해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세수 결손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감면규정을 해석ㆍ적용함에 있어 엄격한 절차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방세 감면과 관련하여 실무적인 주요 논제는 창업의 범위, 감면대상의 범위, 추징 대상에서 제외되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세 비과세ㆍ감면제도의 의의와 현황 및 창업중소기업의 지방세 감면규정을 살펴본후 관련 판례와 예규 등을 통하여 동 쟁점들에 대한 납세자와 과세당국의 입장과 견해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창업중소기업의 지방세감면과 관련된 조세분쟁을 해결함에 있어 강조할 점은 엄격 해석의 원칙을 견지하더라도 사실관계의 형식보다 실질에 근거하여 동 제도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 판단을 내리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방세 감면규정을 명확하게 해석ㆍ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제시되어 감면해당 여부에 대한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세무행정을 합리화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establishment of a small or medium enterprise(SME) contributes to new jobs, income growth for ordinary people, and continuous national economic growth. Thus, there has been many different policies to support SMEs. Of the policies, however, local tax exemption causes two conflicting effects on a local society - local economic growth by establishing a business and decrease in earnings through local taxes. With these pros and cons, certain condi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continuously maintain this policy. In other words, the policy should be able to bring about better results as local economic growth and new job creation, despite its loss in local tax earnings. Of the local tax exemption, a SME can be exempted from acquisition tax, registration tax, and property tax, and it is treated in chapter IV(local tax exemption provision) of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The local tax exemption policy helps in reducing the early-period cost, such as acquisition tax and registration tax. Reducing the cost alleviates uncertaint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and thus the policy is judged as an effective way to revitalize the establishment of SMEs. However, tax exemption policy is a considerably invasive factor of tax equity, and the policy could also be a main cause of local tax revenue deficit. Therefore, strict procedur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ax exemption is necessary. Regarding local tax exemption, the practical topic of discussion should include the scope of establishment, the range of objects that should be exempted from tax, and the category of any justifiable grounds to be excluded from tax imposition. Thus,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significance and current situation of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 and its regulation on exemption. Then, it thoroughly examines taxpayer and taxing authority’s view on the topic through precedents and established rules. In order to resolve tax dispute over local tax exemption, one must adhere to principle of strict construction, but not just based on mere formality of fact relevance. In other words, based on practicality of fact relevance, one must exert himself to make a judgment that corresponds with the policy’s purpose. Through such course, reasonable grounds that could precisely interpret and apply regulation on local tax exemption are provided - which will improve taxpayer’s predictability on exemption possibility and contribute to rationalizing tax administration.

      • KCI등재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 개선 방안

        김도승,임규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3 No.3

        This study dealt with in the field of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the problem way to improve. Accordingly examined, such as the definition and type of local tax expenditur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local tax exemption. Exemption for multilateral discussion of the reduction of the local tax exemption. Illustrates the major transition system and related laws as the basis for the exemption.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decision comes out from those situations : First presented as a review of the problem of the scale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econd, the problem of national policy-oriented reduction structure. Third problem is taxation of equity issues, and the fourth problem is chronic local tax exemption reduction. Divided into short-term and medium-term and long-term maintenance plan local tax exemption, reduction and timely improvements. Local tax exemption schemes were proposed to enable the integrated assessment and local tax exemption criteria as short-term maintenance plan. In addition the narrative about the unification of the local tax breaks as the medium-term maintenance plan, and then local tax exemption ordinance discus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implementation time cap as short-term maintenance plan. Long-term maintenance plan is the introduction of the main content PAYGO rules for about proress in korea considerations.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손꼽히면서도 그에 대한 법제도적 논의가 부족했던 지방세 분야의 비과세 및 감면제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지방세 비과세․감면의 다각적 논의를 위해 지방세 비과세․감면 개념의 이해를 돕고자 지방세지출의 정의 및 유형 등을 살펴보고, 이어 지방세 비과세․감면의 근거로서 관련법령 체계와 주요 변천 사항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비과세․감면액과 운영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특히 복지지출 관련 비과세․감면 규모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가 국가정책적 감면 위주의 구조, 과세형평성의 미흡, 지방세감면의 기득권화․만성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제기하였다. 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의 적정운영을 위한 제도 정비방안은 단기와 중기 그리고 장기로 나누어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기 정비방안으로서 지방세 감면 통합심사의 개념과 지방세 감면 통합심사 감면기준(비율)을 바탕으로 하여 지방세 감면 통합심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단기 정비방안으로서 지방세 감면조례 총량제 실시의 효율성 제고를 논한 후 중기 정비방안으로서 지방세 감면의 일원화에 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장기 정비방안으로서 지방세 비과세․감면에 있어서 새로운 비과세 내지 감면을 위한 조례제․개정시 그에 상응하는 세원의 확보나 다른 비과세․감면의 삭감을 의무화하는 이른바 PAYGO 준칙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소득세법상 인적공제제도의 문제점

        김완석(Kim, Wan-Souk)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0 No.-

        현행 소득세법상 종합소득공제제도는 그 내용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각 소득공제 간에 체계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득의 종류에 따라 종합소득 공제를 적용할 것인지의 여부와 공제액의 크기에 있어서 자의적인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인적공제가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최저생활비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에 위반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이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종합소득공제제도를 전면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 구체적인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인적공제 중 기본공제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최저생계비 수준에 맞추어 개편하고, 종합소득공제제도를 기본공제제도 중심으로 단순하게 구성하여야 한다.둘째, 다자녀추가공제와 특별공제 중의 일부 항목을 현행대로 존치하는 경우에도 소득의 종류에 따라서 그 적용에 차등을 두어서는 안 된다. 모든 과세소득에 대하여 동일하게 그 공제규정이 적용되도록 개선하여야 한다.셋째, 종합소득공제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퇴직소득이나 양도소득에 대해서도 종합소득공제를 공제할 수 있도록 고쳐야 한다. The current global income exemption system is under criticism for being too complicated and lacking consistency among different global income exemptions.Furthermore, it allows arbitrary discrimination on matters such as whether or not to apply global income exemptions and the amount of exemptions on the ground of different income types, and brings about an argument that as a personal exemption falls far short of the minimum living expense to meet basic living conditions, it is against the Constitution.Thus,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lete change to improve the problem of global income exemption system.To propose a concrete measure to legislatively improve it, it is as follows:First,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basic exemption in personal exemptions and to simplify the global income exemption system focusing on the basic exemption Second, if some items such as additional exemption for multiple children and special exemptions are to be left as before, there should not be any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come. It should be changed to equally apply the exemptions provision to all types of taxable income.Third, regarding the purpose of the global income exemption system, there is no rational basis to limit the global income exemption system to taxpayers with global incomes. It should be corrected to allow an exemption for retirement incomes and capital gains. Fourth, as for a separate taxation on financial income, it should be corrected to permit taxpayers to choose between a separate taxation and a integrated taxation

      • KCI등재

        행정지도가 개입된 담합행위와 공정거래법의 적용제외(Exemption)제도에 관한 연구 -소주가격 담합사례를 중심으로-

        김승범 ( Seung Beom Kim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1 상사판례연구 Vol.24 No.1

        The FTC is currently condemning price-fixing of SOJU producers in Korea. This paper compares to the system of exemption regulation of EU, USA and Japan.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paper shows that the relations of the trade -off on between competition policy and industrial policy.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A legal effect of Administrative Guidances within the exemption of antitrust law discussed in Section 2. Section 3 considers the system of Exemption Regulation on the types of EU, USA, Japan. The last section discusses harmonization of both competition policy and industry policy. Antitrust law instead of being limited to applying exemption. I think that exemption rules of Antitrust law buffers between competition policy and industry policy. However the regimes of exemption regulation in Korea do not allow; It thus occurs to the price-fixing of SOJU. As a consequence, The Korea Supreme Court has stated that administrative guidance automatically do not exempt antitrust law, which would exclude Justified Behaviorof §58(exemption). The important feature of the explicit exemption rules is that the type of USA and Japan. In contrast to the system of exemption rules of Japan is not an exemption from application under other individual laws in the system of exemption of Korea. Due to exemption regulation eliminates 1st amendment of Antitrust law. The aim of an exemption system, relieves trade-off of between competition policy and industry policy. The analysis above shows that the current of Exemption Regulations in EU, USA, and Japan is different to the system of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exemption applications under other individual laws through the revision of antitrust law.

      • KCI등재

        사전 허가제 폐지 이후 지방세감면조례 법제의 평가와 개선방안

        김창범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3

        On January 1, 2011, the Local Tax Act was divided into three separate laws: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the Local Tax Act and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Under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the prior approval from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no longer required for the municipal ordinances on the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As a result, 224 local governments are granted the legal authority to enact the municipal ordinance related to the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There are positive changes in two aspects when comparing the new municipal ordinances on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in 244 local governments, with the municipal ordinances under the previous Act. First of all, 46 local governments shifted from the previous monolithic, blanket approach to a concrete, individual approach in the application of the sunset clause. Secondly,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were exhibited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in the enactment of its municipal ordinances on local taxes. For example, local governments applies varying property tax rates when religious foundations establish medical institutions and directly run them for such medical purposes. Despite such positive effects, the existing legal system for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has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the basic principles of local autonomy laws and enactment of tax laws. The issu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property tax can be reduced or exempted by treating the land, which is subject to global aggregate taxation or separate aggregate taxation, as land subject to separate taxation. In addition, the extended scope of eligibilities for reduction and exemption is even greater than that under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or tax items are newly included fo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In fact, such changes are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s of Article 4 of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nd therefore should be abolished. Second, under the Article 85-2 of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local government has the authority to cut down on the rates of the local tax reduction or exemption for the public corporation or public agency in accordance with the municipal ordinance. However, 243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have so far not enacted the provisions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caling back the reduction or exemption rates. To secure the fiscal soundness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me incentives to encourage local governments voluntarily to lower the tax rate for reduction and exemption under the self-regulating system. Key Words : Local tax,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Municipal ordinance, Sunset clause, Legislative vacuum Third, the tax equity in local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issue of the extended sunset dates leading to continuous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should also be resolved. For example, when setting up the deadline of sunset clause for real estate of a specific use, it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acquisition date of the real estate instead of the date of the termination of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In addition, property tax should be reduced or exempted for the real estate obtained within the period of the sunset,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e.g. three years) after tax liabilities are established. Lastly, the issue of a legislative vacuum due to delayed enactment or revision of municipal ordinances. Currently,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is revised at the end of December every year and enters into force on January 1 of the following year. Consequently, the enactment or revision of municipal ordinances is delayed, which causes the legislative vacuum in loc... 2011년 1월 1일부터 지방세법이 지방세기본법, 지방세법과 지방세특례제한법으로 분법되었다. 지방세특례제한법에서는 지방세감면조례에 대한 행정안전부장관의 사전 허가제도를 폐지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세감면조례를 자율적으로 제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전국의 244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감면조례를 행정안전부장관의 사전 허가제도가 폐지되기 전의 지방감면조례와 비교해 보면, 다음 2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46개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세감면 일몰방식을 종전의 획일적인 일괄일몰방식에서 개별일몰방식으로 전환하였고, 종교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의료업에 직접 사용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재산세 감면율을 다양한 형태로 입법하고 있는데, 지역사회의 다양성과 창의성이 지방세감면조례 입법에서 발휘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지방세감면조례 법제는 자치법규 및 조세입법의 기본원칙과 지방재정 건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세감면조례로 종합합산과세대상 또는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를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전환하여 재산세를 감면하는 것과 지방세특례제한법 보다 감면대상을 확대하거나 새로운 감면세목을 추가하는 것은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조를 위반하는 것이므로 삭제되어야 한다. 둘째, 지방세특례제한법 제85조의2에서는 지방공사·지방공단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율을 조례로 축소할 수 있도록 위임하고 있으나,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243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감면율을 축소하는 조례 규정을 입법하고 있지 않다.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지방공사·지방공단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율을 축소하도록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정 용도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하여 재산세 감면 일몰시한을 설정할 때에는 재산세 감면의 종료시점이 아니라 그 부동산의 취득시점을 기준으로 일몰시한을 설정하고 그 기간 내에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그 부동산을 취득한 후 재산세 납세의무가 성립한 날부터 일정한 기간 동안(예: 3년) 재산세를 감면함으로써 지방세 감면의 형평성을 높이고 일몰연장에 따른 재산세 감면의 장기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방세특례제한법이 매년 12월말에 개정되어 그 다음 해 1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지방세감면조례의 정비가 지연되고 조례입법의 공백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특례제한법의 입법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세감면법령의 개정과 납세자의 신뢰보호

        김완석,정지선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학 연구 Vol.37 No.2

        Tax exemption regulations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efficient execution of national policies in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Such tax exemption regulations serve as devices to promote the desirable behavior of taxpayers needed for the state to efficiently achieve national policies. But there are many instances where existing tax exemption regulations are deleted or the conditions are limi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ational policies or in realistic situations, thereby reducing the target for application or tax exemption levels, therefore revising tax laws in a way that it puts taxpayers at disadvantages. In this case, there can be taxpayers that have implemented stages that cannot be canceled or withdrawn or be restored such engaging in projects promoted by the state, making investments, receiving construction permits or commencing construction, hiring manpower, etc. during times when former tax laws were implemented with expectations that former tax laws would apply. In this case, though taxation conditions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not completed at the time of implementing former tax laws, if actions that make up the taxation conditions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implemented at the time of executing former tax laws, and applying revised tax laws simply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taxation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satisfied, it would significantly infringer upon the trusted interests of taxpayers who participated in behaviors promoted by the state with anticipations on tax exemptions. Therefore, when revising exemption regulations that guarantee exist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escribed by the current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it should guarantee trusted interest that has value for protecting taxpayers that engaged in such causal behavior. Furthermore, as the protection of trust by taxpayers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state’s legal revision interests by principle, it should have transitional provisions that allow continued application of former tax laws for facts that occurred in the past. When making revisions that place taxpayers at a disadvantage compared to the exemption regulations of former tax laws when the taxpayer engages in causal behavior directly related to satisfying taxation conditions and placing individual transition regulations in bylaws, the taxation regulations of former tax law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regulations. And if separate transition regulations are not set aside in the bylaws of revised tax laws and only regular transition regulations are provided, it should have the existence of trusted interests with protection values, explication that tax exemptions will be give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former tax laws, and have all the conditions such as executing causal behavior based on trust during the execution period of the former tax law. Moreover, even if regular transition regulations are not provided in the revised tax laws that are disadvantageous, i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trusted interests with protection values of taxpayers should be safeguarded when applying exemption regulations according to former tax laws. 조세특례제한법이나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에서는 국가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조세감면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세감면규정은 국가가 국가정책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납세자의 바람직한 행위를 유도하기 위한 유인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국가정책의 변경이나 현실상황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조세감면규정을 삭제하거나 그 적용요건을 제한함으로써 적용대상을 축소하거나 조세감면의 수준을 축소하는 등 납세자에게 불리하게 조세법령을 개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조세법령의 적용을 기대하고 구 조세법령의 시행기간 중에 국가가 유도하는 사업의 착수, 투자의 실행, 건축허가 또는 건축의 착공, 인력의 고용 등과 같이 그 취소나 철회가 불가능하거나 원상회복이 어려운 단계의 행위를 실행한 납세자가 있을 수 있다. 위의 경우 구 조세법령의 시행 당시에는 아직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이 완성되지 않았지만 그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을 이루는 원인행위를 구 조세법령의 시행 당시에 실행한 경우에, 단순히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이 충족된 시기의 개정된 조세법령을 적용하여 과세를 행하게 되면 조세감면을 기대하고 국가가 유도하는 원인행위에 참여한 납세자의 신뢰이익을 현저하게 침해하게 된다. 따라서 현행 조세특례제한법 또는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일정기간 존속이 보장된 감면규정을 개정할 때에는 그 원인행위를 실행한 납세자의 보호가치가 있는 신뢰이익이 인정되어야 하고, 원칙적으로 납세자의 신뢰보호가 국가의 법률개정이익에 우선하므로, 과거에 발생한 사실관계에 대하여 구 조세법령을 계속 적용하도록 하는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납세자가 과세요건의 충족과 직접 관련되는 원인행위를 할 당시의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보다 불리하게 개정하면서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서 개별적 경과규정을 두고 있다면 그 경과규정에 따라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한다. 그리고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서 개별적 경과규정을 두지 않고 일반적 경과규정만을 두고 있다면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의 존재, 구 조세법령상 장래의 일정기간 동안 조세감면을 부여한다는 명시적인 내용, 구 조세법령의 시행기간 중 신뢰에 터 잡은 원인행위의 실행과 같은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 한하여 납세자의 신뢰보호를 위하여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설령 불리하게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 일반적 경과규정을 두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위의 적용요건들을 충족한다면 납세자의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을 보호하여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에 관한 연구

        박훈,정지선 한국조세연구포럼 2009 조세연구 Vol.9 No.3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농지에 대하여는 비과세 및 감면제도 등 다양한 조세상의 특례를 인정하고 있다. 즉, 국세인 양도소득세와 상속세와 증여세뿐만 아니라 지방세인 취득세와 등록세 및 재산세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특례를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특례제도 중에서도 특히 양도소득세의 경우에는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소득세법에서 비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감면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과세 및 감면규정은 다른 자산과의 형평성을 침해하고, 조세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감면목적의 불분명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감면제도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농지의 교환 또는 분합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규정은 단기적으로는 감면대상으로 전환하고, 장기적으로는 과세이연제도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농지의 교환 또는 분합에 대한 규정 중에서 종전 농지에 대한 경작기간을 신설하고, 대체취득농지에 대한 경작기간을 5년 이상으로 연장하여야 한다. 또한 비과세 요건을 면적요건과 가액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하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농지에 대한 감면제도의 경우에는 농지의 대토에 대한 감면제도는 과세이 연제도로 전환하고, 자경농지의 양도의 경우에는 소득공제제도로 전환하여야 한다. 넷째,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의 경우 자경기간을 현재의 8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고, 이농인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을 배제하는 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한편, 자경농지에 대한 규정 중에서 불합리한 규정을 정비하고, 거주지 제한규정은 시대적 상황에 맞게 삭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농지의 대토에 대한 감면요건은 과거의 규정을 전환하거나, 면적요건과 가액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양도소득세를 감면하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여섯째, 농지에 대한 감면규정의 경우에도 일몰기한을 설정하여 당해 우대조치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및 감면제도를 위와 같이 개선함으로써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 및 감면제도의 정상화뿐만 아니라 양도소득세 일반의 정상화와 그 이외의 농지관련 조세제도의 정상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past, Korea has recognized various special treatment in taxation such as non-taxation and exemption for farmlands. To be more exact, various exceptions for not only national taxes such as capital gains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but also district taxes such as acquisition tax, registration tax and property tax. Of such special cases, if certain conditions are satisfied for capital gains tax, it is prescribed as subject to non-taxation according to the income tax law, while being prescribed as subject to exemption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to Special Taxation Act. However, such regulations for nontaxation and exemptions infringe upon the equality with other assets, making tax laws not only more complex, but also resulting i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ambiguity of the purpose of exemptions. Therefore,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non-taxation and exemption policy for capital gains taxes on farmlands should be revised as seen below. First, the non-taxation regulation of capital gains tax for the exchange or partition and integration of farmlands should for the short-term be converted to subject to exemption and in the long-term be converted to a tax deferment system. Second, among the regulation on he exchange or partition and integration of farmlands, a cultivation period should be established for existing farmlands, while extending the cultivation period for alternatively acquired farmlands to five years. In addition, only when the non-taxation conditions satisfy both the area conditions and value conditions, should the capital gains tax be tax exempt. Third, for exemptions on farmlands, exemptions for substitute lands of farmlands should be converted to a tax deferment system and in the case of transfer of self-cultivated farmlands, it should be converted to an income deduction system. Fourth, for exemptions of capital gains tax for self-cultivated farmlands, the cultiva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from its current eight years to 10 years and a new regulation for excluding exemption of capital gains tax for those leaving the farming busines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Meanwhile, the irrational regulations on self-cultivating farmlands should be revised and the restriction regulations on place of residence should be deleted to fit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Fifth, exemption conditions for substitute lands of farmlands should convert past regulations or be revised to exempt capital gains taxes only when both the area and value conditions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Sixth, for exemption regulations on farmlands, sunset periods should be set in order to make possible review of whether preferential treatment is feasible. By revising the non-taxation and exemption policies of capital gains tax as seen above, it is expected not only to normalize the on-taxation and exemption policies of capital gains tax, but also contribute in the general normalization of capital gains taxes and other farmland-related tax policies.

      • KCI등재

        부가가치세 면세에 관한 연구 : 심판청구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연,변용환,전태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1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7 No.3

        부가가치세는 재화나 용역의 소비행위에 대하여 과세하는 일반 소비세임과 동시에 세부담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간접세이다. 부가가치세 제도를 도입한 국가들은 이와 같은 간접세부담의 역진 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면세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7년 부가가치세 도입 이후 수차례 면세범위를 조정하였으나, 근본적이고 전체적인 수정은 없었고 당해 연도의 정책에 맞게 부분적인 개정을 해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면세제도는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해 볼 때 범위가 넓은 편이어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현상에 맞추어 조정이 필요한 분야도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부가가치세 면세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여기 서는 국세심판사례를 검토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주제를 분석하였는데, 최근 5년간의 부 가가치세 면세관련 82건의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현행제도는 교육, 미가공식료품, 금융 · 보험용역의 경우 면세범위가 넓거나 기준이 모호한 부분이 있어 그 중 일부는 조정의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육용역의 경우는 감독관청에의 등록여부를 과세와 면세의 기준을 삼고 있 는데, 이와는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즉 공공성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교육은 면세를 유지 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사설학원이 제공하는 교육용역은 이윤추구목적이므로 과세전환이 타당 하다는 의견이다. 이에 반대되는 의견으로 사교육기관의 교육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하여 현행기준을 유지하되 관련 제도를 보완하여 동일업종 내에서 차별이 생기지 않도록 공평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된다. 미가공식료품의 경우 면세 구분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기 준에 따른 과 · 면세 구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금융 · 보험용역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추어 본 래적 의미 이외의 투자목적이고 파생적인 금융 · 보험용역은 과세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내 용을 반영한 부가가치세 면세의 적절한 과세전환조치는 낭비적인 세무행정의 개선과 변화된 사회경 제적인 환경에 부합하는 조세정책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A value-added tax(VAT) is a form of consumption tax. From the perspective of buyers, it is a tax on the purchase price. From the sellers’ viewpoint, it is a tax levied only on the value added to a product, material, or service, by the stage of its manufacture or distribution. The purpose of VAT is to generate tax revenues to the government similar to the corporate income tax or the individual income tax. A VAT is like a sales tax in that ultimately only the end consumer is taxed. In this regard, most countries adopt tax exemptions to reduce the regressive nature of VAT. Korea revised VAT several times since its introduction in 1977 resulting in trivial modifications in tax exemptions. Reviewing other OECD countries’ VAT exemptions, current VAT system of Korea has relatively broad exemptions, and seems to have some areas that require a change of tax position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to find a better VAT exemption system leading to a better tax administration using National Tax Office Tribunal cases. In this paper, we reviewed recent 82 cases on VAT exemptions from 2008 to 2012. Reviewing the cases, most frequent complaints were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postnatal care center resulting in 17 cases, which was finally changed to tax exempted service in 2012. So we excluded these cases from our study. Among the remaining cases, we also excluded cases whose main concern were concentrated only on the interpretation of related facts rather than logical reasoning of exemption codes. As a result, we find that VAT exemptions on education service, un-processed foods, and financial service are under unclear or rather broad guidelines. We suggest that some part of VAT exemptions change its position to a regular taxation, which could reduce unnecessary tax litigation resulting in a better tax administration. First, education service provided by private institutes is advised to be taxed, though tax exemption for public education service is maintained. An alternative view in this issue opposes taxation on the profit seeking private institutes, for these agencies are carrying out a part of education under the guideline of Education Ministry. The latter opinion says that it is better to enhance the quality of regulation maintaining the present tax position, considering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private education service. Second, a better guideline for unprocessed foods is needed, as the current guideline does not show clear rules regarding food products’ tax position. Third, extremely profit-oriented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 needs to be excluded from VAT exemption position, because the recently emerging financial service including derivatives is mainly designed to reduce trading risk and ultimately increase profits of traders. Conclusively, the current VAT system needs modifications of tax exemption status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원양수산물에 대한 관세 면제 요건과 ʻ외국인과 합작ʼ의 의미

        김두형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2

        According to the Customs Act, a person who reported to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o conduct a marine fishery business jointly established with foreigners to exempt tariffs on marine products should consult with the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to collect, capture and export marine plants. Under the Customs Act, more than 49 percent of the total stake shall be secured as a requirement to establish a joint venture with foreign countries necessary for customs exemption. The exemption from tariffs is limited to cases where the capital or voting rights paid by domestic companies are more than 49 percent in foreign joint ventures. Leg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requirements for exemption from customs duties of marine produc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gainst tax legalism to set important contents on the exemption of customs duties by the enforcement regulations without setting the main contents in the customs law. Therefore, the law should provide the require- ments for tariff exemption. Second, in terms of systematic agre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laws and regulations with overlapping or administratively unreasonable systems need to be improved. The meaning of the legal texts on the joint venture with foreigners has been duplicated and unclear in interpretation because they appear almost identical to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Customs Act and the Oceanic Industrial Development Act. Third,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exemption from customs duties for overseas joint ventures is the confirmation of equity shares. It is against tax legalism that it depends on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which can not be regarded as a law in a strict sense in determining whether to exempt customs. The contents prescribed in the public notice shall be moved to the Act as much as possible. 관세법상 해외합작 원양수산물에 대해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서는 외국인과 합작하여 해외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원양어업을 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신고를 한 자가 해외수역에서 고시된 생산수단을 투입하여 수산동식물을 채집 또는 포획하고 직접 수출한 수산물 중 해양수산부장관이 기획재정부 장관과 협의하여 추천한 것이어야 한다. 정부가 관세 면제의 지원 방법으로 원양어업체로 하여금 해외합작법인을 설립하도록 유도한 것은 우리나라 국적의 선박으로는 러시아 등 해외 해역에서 조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부득이 원양어업체 소유의 유휴 선박을 러시아 등의 해외합작법인에 출자함으로써 해외 해역에서 조업이 가능한 해당 현지 국가의 국적 선박으로 전환하여 계속 조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편적 필요에 따른 것이다관세법상 관세 면제를 위하여 외국인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데 핵심 요건은 총지분의 49퍼센트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국내 업체가 납입한 자본금 또는 의결권이 총 자본금 또는 의결권의 49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만 관세 면제를 해주는 것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고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관세 면제 요건에 관한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관세법에서 대강의 정함도 없이 하위규범인 시행규칙으로 관세 면제 요건에 관한 대부분의 사항을 정함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배 된다. 따라서 시행규칙에 있는 중요한 내용을 법률로 이동하여 규정하고 그 면제 요건을 분명히 하여야 한다. 둘째, 법령의 정합성 측면에서 서로 중복되거나 행정적으로 불합리한 체계를 가진 법령은 정비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과 합작에 관한 법령조항이 관세법령과 원양산업발전법령에 거의 동일한 의미로 등장하는데도 구체적 조문은 다르게 규정됨으로써 해석상 그 의미가 모호하고 불분명한 점이 있으므로 통일시켜야 한다. 셋째, 관세 면제 요건 중 가장 중요한 요건인 내국법인의 해외합작법인 지분 확인에 관한 절차적 근거 규정이 행정규칙인 해양수산부 고시로 되어 있다. 면세 여부를 판단하는데 결정적 기준이 엄격한 의미에서 법규명령으로 볼 수 없는 고시에 규율되어 있음은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되는 것이다. 현행 고시의 내용은 되도록 법률에 상향 조정되어야 하고 최소한 시행령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