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용형태 변화에 따른 근로소득공제 개선방안

        이은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2

        The income tax law classifies an income by setting up a premise that taxable capacity differs according to the nature & generation aspects of incomes, and sets the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incomes, and applies the taxation method differently hereunder. Particularly, the current income tax law has a structure where the handling process in taxation is greatly influenced depending on whether it’s an earned income, or a business incom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having to improve the handling & influence in taxation in a situation where a distinction between an earned income and a business income is becoming somewhat blurred according to the recent change of employment relations from the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aised a problem caused by reliance on interpretation of tax law due to the lack of a concrete criterion of a clear defi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an earned income, or a division of earned incomes. According to a precedent, it prescribes the decision on whether or not an income belongs to an earned income through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n supply of labor, but a dispute is brought about due to the ambigu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situation on supply of labor to actual labor relationships,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applying the nature of a traditional earned income intactly to a new form of employment. Hereupon, it’s necessary that relative authorities should set up a criterion encompassing a new form of employment while reducing the room for an argument by having regulations in related legislations instead of putting a basis of judgment of an earned income on tax law interpretation. Second, earned income deduction is known to have the nature of interest equivalent adjustment as to withholding tax, adjustment of a gap of the income identification rate, adjustment of taxable capacity, and deduction of estimated expenses, etc. This study intended to deduct the problem of, and plan for the earned income deduction system by attempting at verification of such nature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n earned income deduction, there is hardly any meaning of withholding tax interest equivalent, or gap adjustment of the income identification rate, and there is no need to acknowledge the adjustment aspects by other incomes and taxable capacity as the elements in earned income deduction because income classification is becoming blurred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forms. Accordingly, it’s reasonable to consider the nature of earned income deduction as having the nature as estimated deduction in order to acknowledge necessary expenses in respect of an earned income. Third,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real amount deduction system first as an improvement direction of earned income deduction. To be more concrete, this study proposed that a wage earner should obligatorily choose between estimated deduction and real amounts of expenses by transitionally adopting Japan’s specific expenditure dedu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full-scale real amount deduction system. This study maintained that there should be a drastic cut in the amount deducted from earned incomes because the proportion of necessary expenses in total amounts is considerably high within the present system in comparison with that of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upper limit should be set up rather than acknowledging a worker’s earned income amount deducted belonging to the necessary expense without restrictions. This aims to realize fair taxation through taxable income calculation by reflecting the economic real condition where it is becoming difficult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earned income and business income. 소득세법은 소득의 성질ㆍ발생양태에 따라 담세력이 다르다는 전제를 세워 소득을 구분하고 소득에 따라 계산방법을 정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세방법도 다르게 적용한다. 특히 근로소득인지 사업소득인지에 따라 과세상 취급이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고용관계의 변화에 따라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세상 취급 및 영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했다. 첫째, 근로소득의 의의 또는 근로소득을 구분하는 구체적 판정기준이 없어서 법해석에 의존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판례에 의하면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근로의 제공에 관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 근로관계에 적용함에 있어서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분쟁을 초래하여 새로운 고용형태에 전통적 근로소득의 성질을 그대로 적용함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근로소득의 판단의 근거를 법해석이 아니라 법령에 규정을 두어서 다툼의 소지를 줄이며 새로운 고용형태를 포함한 판정기준을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근로소득공제는 원천징수에 대한 이자상당액조정, 소득파악률의 격차조정, 담세력의 조정, 필요경비의 개산공제 등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본고는 이러한 성격에 대한 검증을 시도함으로써 근로소득공제제도의 문제점과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검토결과, 근로소득공제는 원천징수이자상당액이나 소득파악률에 대한 격차조정의 의미는 거의 없고, 다른 소득과 담세력에 의한 조정측면도 고용형태의 다양화에 따라 소득구분이 모호해져서 근로소득공제의 요소로 인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근로소득공제의 성격은 근로소득에 대해서 필요경비를 인정하기 위한 개산공제로서 성질을 갖는다고 보는 것이 적당하다. 셋째, 근로소득공제의 개선방향으로 우선 실액공제제도의 도입을 제안했다. 전면적 실액공제의 도입에 앞서 과도기적으로 일본의 특정지출공제를 도입하여 근로소득자가 개산공제와 실액경비 중 선택하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현행 제도에서는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외국과 비교해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므로 근로소득공제액의 대폭적인 삭감을 주장했다. 또한 근로소득공제액을 무제한적으로 인정하기보다는 상한을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같은 개선방향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구분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경제적 실태를 반영해서 과세소득을 계산하도로 하여 공평한 과세를 실현하기 위함에 있다.

      • 종교인소득 과세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소고

        김재승(Jae-seung Kim)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학보 Vol.16 No.2

        그동안 과세 여부에 대해 찬반논쟁이 많았던 종교인의 소득에 대한 과세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행 소득세법 하에서 종교인의 소득에 대한 과세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쟁점을 분석 검토하였다. 먼저 종교인의 소득이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교인의 소득은 근로소득에 해당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이란 세법상 근로소득이 종속성을 요건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 종속성은 아주 약한 정도로 충분하여 고용관계 및 이와 유사한 것뿐만 아니라, 정치적 위임을 포함하여 위임관계 및 이와 유사한 관계에서 얻은 보수(급여)도 근로소득에 포함된다. 교회와 담임목사의 법률관계는 위임관계 혹은 위임과 유사한 계약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목사나 전도사와 교회와의 관계는 사법상 고용관계 혹은 근로기준법상 근로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담임목사, 부목사, 전도사가 종교활동과 관련하여 교회로부터 받은 사례금은 근로소득에 해당된다. 그러나 장기간 동안 과세하지 않던 종교인소득에 관해 기존 법률에 근거한 근로소득세 과세는 국세기본법상의 비과세관행의 성립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기존 세법규정에 따른 국가의 과세권 행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목회자의 사례금을 과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입법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행 소득세법이 새로운 입법 조치로 종교인 과세를 시작한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행 세법규정에서 택하고 과세방법은 타당한 것이 못된다. 현행 소득세법은 종교인과세를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과세하고 있으나, 이는 소득세법상 과세원칙 혹은 소득분류체계와 맞지 않는다. 기타소득이란 성질상 일시적·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소득으로, 다른 소득분류에 들어가지 않는 것들이다. 반면, 종교인소득은 계속적·반복적으로 발생한 소득이며 성질상 근로소득에 해당된다. 또한, 종교인소득에 대해서는 종교관련종사자가 해당 과세기간에 지급받은 금액의 최대 80%까지 실제지출유무와 상관없이 필요경비로 인정해 준다. 이는 다른 기타소득 항목들은 개산경비를 인정하지 않거나, 인정한 경우에도 인정비율이 이 만큼 되지는 않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정당성들 찾기 힘들다. 이러한 현행규정의 문제점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입법 조치가 필요한데, 궁극적으로는 종교인소득은 근로소득으로 과세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은 개산경비공제도는 없애든지 다른 영역과 비슷한 과세가 되도록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new law that demands taxation on the income of the persons who are in gaged in religious services has been in effect since January 1, 2018. This article analyzes and reviews a couple of major issues related to taxation on religious service income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First of all,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income of clergy is classified as earned income (geunro-sodeug), and comes to conclusion that the income of clergy is earned income. Earned income is made by controlled activities such as employment relationships. But controlling necessary to be classified as earned income is sufficiently weak enough that remuneration (benefits) earned from an entrusted contract and similar relationships, including political delegation, is also included in earned income. The leg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hurch and a pastor can be said to be an entrusted or a similar con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associate pastor and the church can be said to be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by employment contract or by the Labor Standards Law (geunro gijunbeob). Therefore, the remuneration received from the church by a pastoral person in connection with religious services is earned income. However, imposing tax on such earned income, which has not been taxed for a long time, is likely restricted by the non-taxation practice under the Basic Taxation Law (gugse gibonbeob). It is, therefore, a good measure to begin taxing the income of clergy with enacting new provisions in the Income Tax Law. Nevertheless, the new provisions do not make sense. The revised income tax law classifies the income of clergy as other income (gita sodeug), but this does not fit the taxation principle or income classification system under Korean tax law. Since the income of clergy is a continuous and recurring income, it should be classified as a kind of earned income. In addition, up to 80% of the remuneration that clergy are paid in the relevant taxable year, deductible expenses are admissible, regardless of the actual expenditures. This practice may not be justified in light of the fact that as to other income items, the estimated expenses are not allowed, or even if they do, the estimated deductible ratio is lower. To redress this problem, the Income Tax Law should be revised, and ultimately religious income should be taxed as earned income. Such deemed expenses should be eliminated or adjusted to be taxed corresponding to other income earners.

      • KCI등재

        근로자 복지포인트에 대한 소득세 과세 문제

        김두형 한국조세법학회 2023 조세논총 Vol.8 No.4

        Recently, companies are paying workers welfare points as part of selective welfare systems. There are two main legal issues on welfare points. First,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is is ordinary wag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or whether this is earned income under the Income Tax Act. The Supreme Court ruled in 2019 that welfare points given to workers were not wag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This preceden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discussion on whether welfare points that do not have wage characteristics are taxable earned income under the Income Tax Act. However, the ruling continues to be made that it is justified to impose income tax on welfare points recently. This is because the court judged earned income as a broader concept than wages by dividing wages and earned income. The problem is that the taxation authorities are taxing income tax on welfare points received by employees belonging to public corporations and private companies, while they are not taxing welfare points awarded by government officials. This taxation discrimination is again a problem in that it it violates equality taxation. In this article, to identify these problems, we first examine the legal nature of welfare points, and then examine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wage denial and the scope of earned income taxation on welfare points. Next, in examining whether welfare points correspond to earned income under the Income Tax Act, the scope of earned income is explained, and then the overall taxation of welfare points, a type of additional benefit, is addressed.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 tax administration that delays taxation on welfare points for public officials is appropriate in terms of fairness in the tax burden. In conclusion, welfare points should be taxed as earned income as economic benefits based on working conditions or work in a broad sense. The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in Article 20 of the Income Tax Act, which sets the scope of earned income, that salaries similar to those received by providing work are considered earned income, and that economic benefits other than money are subject to total incom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4 (2) of the Income Tax Act. Finally, as a future task, it is necessary to seek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bring them into the tax law taxation system. The plan is to tax typical additional benefits by listing them in laws and regulations, and to establish tax-free regulations by setting the targets of minor benefits of workers excluding high-earned income earners.

      • KCI등재

        근로소득 비과세 여비 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서현,박성욱,민우경 한국국제회계학회 2023 국제회계연구 Vol.- No.108

        [Purpose]In the current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on tax-free earned income as a support policy for earned income earners with a higher tax burden than other income earn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of travel expenses among the current earned income tax-free regul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tuation in Korea. [Methodology]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ax-free earned income in Korea and compares and review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f major countries. In addition, after figuring out the status of collection by income tax category and the proportion of tax-free earned income, we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the current provisions on tax-free travel expenses for earned income. [Findings]The provisions on tax-free travel expenses for earned income are recognized as tax-free only when a worker who owns or rents a vehicle performs his/her work, as the asset requirement is essential. In particular, there is room for confusion due to ambiguous expressions in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come Tax Act, and since the limit has not been adjusted for a long time, realistic changes in society and the economy are not actively reflected.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clearly revise the expressions from ‘on business trips in the city’ to ‘within a 50km radius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a person who meets the asset requirements must be tax-free within KRW 300,000 per month based on ordinary gasoline when the fuel cost payment standard in the travel expenses regulations of public officials is applied with reference to the average oil selling price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Implications]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tudies tax support measures, focusing on travel expenses in the nature of benefits related to expenses necessary for basic living and work performance among earned income tax-free item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olicy for earned income earners by revising the provisions on tax-free travel expenses for earned income. [연구목적]현 사회 및 경제적 상황에서 타 소득자에 비해 세 부담이 체감적으로 높은 근로소득자에 대한 지원정책으로 비과세 근로소득을 대상으로 하는 논의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현행 근로소득 비과세 규정 중 여비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방법]우리나라 비과세 근로소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주요국의 관련 법령을 비교 및 검토한다. 또한, 소득세 항목별 징수현황과 비과세 근로소득의 비중을 파악한 후 현행 근로소득 비과세 여비 규정의 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근로소득 비과세 여비 규정은 자산요건을 필수로 하여 차량을 소유하거나 임차한 근로자 본인이 업무를 수행한 때에만 비과세 대상자로 인정한다. 특히 「소득세법시행령」 제12조 제3호의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혼란의 여지가 있고, 그 한도액이 장기간 조정되지 않아 사회경제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시내출장 등’의 표현을 ‘근무지 반경 50km 내에서’로 명확하게 표현을 수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자산요건을 충족하는 자는 한국석유공사에서 제공하는 평균 유류판매가격을 참고로 공무원 여비 규정의 연료비 지급기준을 준용하였을 때 보통휘발유를 기준으로 월 30만원 이내로 비과세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논문은 근로소득의 비과세 항목 중 기초생활 및 업무수행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비용과 관련된 급부 성격의 여비를 중심으로 조세지원 방안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이가 있다. 특히 근로소득 비과세 여비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근로소득자를 위한 정책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로소득의 비과세규정 개선에 관한 연구

        황규영(Gyu Young Hwang),홍창목(Chang Mok Hong) 한국세법학회 2010 조세법연구 Vol.16 No.2

        현행 소득세법상 비과세근로소득에 대한 규정은 소득세법 제12조 제3호에 언급되어 있다. 이러한 비과세근로소득 중 사회보장보험(국민건강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사용자 부담금과 각종 연금법상 사용자 부담금은 본질상 근로소득에 해당하기 보다는 법에 따라 사용자가 부담하는 공과금 또는 근로자에 대한 연금급여의 선급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들 항목은 비과세근로소득이 아니라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항목으로 규정되어야 타당하다. 법인세법과 달리 소득을 개별적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하여 별도의 계산구조를 갖추고 있는 소득세법의 논리구조를 고려할 경우, 비과세근로소득에 대한 이러한 불명확한 구분은 세법규정의 논리적인 정합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더욱이 이들 항목과 연계하여 비과세를 판단하는 소득항목인 생산직근로자의 연장근무수당에도 영향을 미쳐서 그 비과세 여부의 판단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보험 등의 사용자 부담금을 비과세근로 소득이 아닌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소득으로 재분류할 필요가 있고, 조세법률주의에 입각한 법적 안정성을 고려할 경우 근로소득에서 제외하는 소득에 대한 규정을 현행 소득세법 시행령에서 모법인 소득세법으로 이관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existing provision on the tax-free earned income is described at Article 12, Number 3 of Income Tax Law. Among these tax-free earned income, the employer contributions on social security and pension essentially correspond to utility bills or to pension payments-in-advance rather than earned income. Therefore these current prescription about tax-free earned income should be enacted as an exclusion items from earned income. Income Tax Law, which itemizes the income and provides different calculation scheme per each income, has a different logical structure in contrast with Corporate Tax Law. Therefore these unclear income classification decreases the logical matching of Income Tax Law. Futhermore, they cause the confusion in judging whether the manufacturing worker's overtime pay is tax-free or not. In order to solve these shortcoming, it is necessary to reclassify the employer contributions on social security and pension as an exclusion items of earned income. Considering legal stability based on tax legalism, it is necessary to alterate the provision about exclusion items of earned income from Income Tax Enforcement Ordinance to Income Tax Law.

      • KCI등재

        비용의 자의적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세철 ( Se Chul Lee ),조중석 ( Joong Seok Cho ),조문희 ( Mun Hee Jo ) 한국회계학회 2008 회계학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경상적, 반복적인 영업비용을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하여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이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현상을 분석하였다. McVay(2006)의 연구에 기초하여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cVay(2006)의 추정모형에 의해 측정된 비기대 영업이익을 이용한 분석결과,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당기 비기대 영업이익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시적 영업외비용이 많은 기업의 당기 영업이익률이 정상수준을 초과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1년 후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과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시적 영업외비용을 자의적 분류가능성이 높은 비용과 낮은 비용으로 구분하면, 전자의 경우가 미래 영업이익 변동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이 증가할수록 미래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이 음(-)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당기 비기대 영업이익이 일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당기 이익이 전기 이익을 근소하게 초과한 기업의 경우에 당기 일시적 영업외비용은 자의적 분류가능성과 상관없이 1년 후 비기대 영업이익 변동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목표이익을 근소하게 초과한 기업일수록 비용의 자의적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Fairfield et al.(2003), Richardson et al.(2005) 등이 이용한 이익지속성 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영업이익의 지속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양(+)의 영업이익 지속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시적 영업외비용의 비중이 높을수록 당기 영업이익에는 미래에 음(-)의 방향으로 반전하는 부분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McVay(2006)의 방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추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비용의 자의적인 분류를 이용한 이익조정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line items of income statement which contain information about differences in the underlying economic events can be used to improve future profitability forecasts. Prior research shows that investors put different values on the persistent and transitory components of earnings. Specifically,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be more affected by persistent components than transitory components. Therefore, managers wishing to influence stock price might shift expenses down the income statement. Compared with accruals management and the manipulation of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bears a relatively low cost: there is neither accruals that later reverse nor lost revenues from forgone opportunities. Moreover, because the allocation of expenses to specific accounts can be subjective, auditors might be limited in their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and because bottom-line income does not change, they might not scrutinize the identification or compulsory adjustments of these accounts (Nelson et al. 2002; McVay 2006). McVay(2006) examines the classification of items within the income statement as an earnings management tool. As suspected, her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with managers opportunistically shifting expenses from core expenses to special items. This vertical movement of expenses does not change bottom-line earnings, but overstates core earning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managers use this earnings management tool to meet the analyst forecast earnings benchmark, as special items tend to be excluded from both pro forma and analyst earnings definitions. In Korea, the income statement does not contain special items. However, Kim and Kim(2003) shows that most of non-operating expenses have neither persistence nor explanatory power for stock prices. Their results indicate that non-operating expens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special items and motivate us to study earnings management using misclassification of items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McVay`s study(2006), we investigate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of expense to increase operating in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unexpected operating income estimated by McVay`s model reveals that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temporaneous unexpected operating income lev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operating income of firms with high level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exceeds that of those with normal level. Second, the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shows negative relation with unexpected operation income change in year t+1, however, the relation is insignificant. Third, when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divided into shiftable expense and non-shiftable expense, the former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unexpected operation incomes change in year t+1. This finding means that the unexpected operating income increased by non-operating expense is transitory. Fourth, when operating income exceeds the previous operating income slightly,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unexpected operation incomes change in year t+1. These results show that when the classification shifting allows firms to meet(or beat) the targets, the probability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classification shifting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sis applying earnings persistence model used by Fairfield et al.(2003), and Richardson et al. shows that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reduces operating income persistence. Especially, positive operating income persistence is reduc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s transitory non-operating expense increases, positive operating income contains more portion that reverses in the next year. In summary, the earnings management using discretionary classification of expense is observed in Korean market. Most of Korean accounting research is focused on accrual manag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additional perspective about earnings management practice and to be informative for analysts, investors, and regulators.

      • KCI등재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 차이의 정보유용성에 관한 연구-이익성장성과 주가수익률을 중심으로-

        배종일,심충진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학 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differences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upon business performance such as long and short-term earnings growth and stock returns. Book income would be easily affected by manager's selection of various accrual accounting method. But taxable income is rigid relatively compare to book income by using strict tax law process. In this study, differences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was obtained by using account such as deferred tax asset, deferred tax liabilities and earnings before tax expense and tax expense from financial statement. As a research result, I find that firm-years with large book-tax differences have lower earnings growth in the next year than firm-years with small book-tax differences. Long-term earnings growth captured up to 5-year. Study results says that large difference group has lower long-term earnings growth than small difference group but after 4-year's long-term period this relationship does not effective. In the additional study, book-tax differenc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s positive differences group and negative group. After study I found that large difference group has lower next-year earnings growth such as main study. Also in the long-term earnings growth study, large difference group has lower earnings growth than small difference group until three year's period. But I did not foun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arnings growth and after 4-year's book-tax differences. Thus book-tax differences are explanatory up to 3-year's earnings growth. 본 연구는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 간의 차이가 기업의 이익성장성과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기간은 이연법인세 제도가 도입된 1999년부터 2005년까지이며, 연구표본은 12월 결산법인인 상장 제조 기업으로 한정하였다. 검증대상인 이익성장성은 차기이익성장성과 2년부터 5년까지의 장기이익성장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주가수익률은 시장조정수익률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 간의 차이가 큰 집단은 보고이익 차이가 작은 집단에 비하여 차기 이익성장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표본을 보고이익 차이가 큰 상위 25% 집단과 보고이익 차이가 작은 하위 25% 집단을 더미변수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 간의 차이가 발생한 2년 후부터 5년 후까지의 장기 이익성장성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보고이익 차이가 큰 집단의 장기 이익성장성이 보고이익 차이가 작은 집단의 장기 이익성장성 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분석대상 기간이 4년 이상으로 길어질수록 이러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주가수익률에 대한 분석에서는 보고이익 차이가 큰 집단의 주가수익률이 보고이익 차이가 작은 집단의 주가수익률 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반대로 보고이익 차이가 큰 집단의 주가수익률이 오히려 더 높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보고이익 차이가 기업의 효율적인 조세전략의 수행과 연구개발 및 투자활동의 결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보고이익의 차이가 크다는 것이 투자자들에게 반드시 부정적인 정보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실질 소득격차 분석

        정은찬(Jeong Eun-chan),김재현(Kim Jae-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아시아여성연구 Vol.53 No.1

        1990년대 중반 경제난으로 근로소득 연체가 장기화되고, 식량 및 기타 생활필수품 공급이 단절되면서 북한 여성들의 경제생활은 자생적 생존방식에 의존하여 왔다. 그 결과 국가로부터 지급 받는 근로소득보다 장사, 소토지(텃밭) 경작 등 자가소득이 북한 여성들의 경제생활에서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북한의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이탈 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소득격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는지와 불평등 지수의 크기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북한 여성의 소득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는 학력, 직업 및 지역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해당 변수들이 실질 근로소득과 자가소득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세 변수 모두 소득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분산분석을 통한 실질 소득격차 분석 결과 근로소득은 학력, 직업 및 지역에 따라 모두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가소득은 세 가지 요인에 따른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가소득 형성에서 북한 여성 개인의 시장적응력, 개인 친화력과 같은 요소들이 격차 발생의 주요인이었음을 보여준다. 북한 여성 내 소득불평등 지수 산출결과, 지니계수, 타일계수 및 십분위분배율 모두 자가소득이 근로소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경제난 이후 자생적 생존 방식이 북한 사회 전반에 보편화?고착되면서 시장 활성화와 맞물려 자본주의에 버금가는 소득 형성에서의 격차를 발생시켰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Survey, focuses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real income of North Korean women and estimates the level of differences in the real incomes of theirs. The factor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on income of the women are the followings;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job, and regio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ll the three factors affect both the self-earned income and the real earned income which do not cover overdue payments. ANOVA shows the result that while real earned income is affected and has differences by the 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se of self-earned income. This refers that the gaps in self-earned income between the individuals is mainly caused by individuals" market adaptability and sociability rather than previously mentioned three factors. Also, the self-earned income has higher inequality indexes including GINI coefficient, rank size coefficient, and deciles distribution ratio than the case of real earned income. This study shows that as self-sustaining economy is emerging and getting to be rooted slowly in North Korea, the income inequality is stepping in and growing as outcome like capitalistic economy.

      • KCI등재

        운동선수의 이적료에 대한 판례평석

        이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3

        It is usual to exchange signing bonus when sports players transfer to another team. Paying the signing bonus takes two different routes, directly paying the signing bonus to the former team of the sports player or paying the signing bonus through the players. In terms of the tax law, the former treats the signing bonus as the profit of the team receiving the bonus, while the latter defines the signing bonus as the cost of the paying team. In the latter case, the legal treatment differs by the type of contract the sports player made. If the player made an exclusive contract, the signing bonus are seen and imposed as a business income. In the case of the player who made a labor contract, the signing bonus are seen as earned income. The signing bonus paid by the sports player will be deducted under the calculation of tax amount as earned income if the signing bonus is taken as a business income. However, if the player made a labor contract with the former team, signing bonus will not be deducted because the earned income is not allowed to deduct necessary expenses. In such a case where the signing bonus and penalty for breach of contract are equal, the player will have to pay the earned income tax in spite of the total amount of signing bonus received being paid as the penalty for breach of contract. In general, professional players establish an exclusive contract with a team, and the annual income, down payment, and the signing bonus are treated as the taxable goods of a business income. On the other hand, unpopular sports players generally establish the labor contract in many cases. Thus, the annual income, down payment, and the signing bonus are treated as the taxable goods of an earned income. In particular, the signing bonus is not the object of tax dedu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tax structure. In consequence, the current tax structure becomes one of the reasons for the decline of unpopular sports games. As the controversial topic re-appeared in the recent judicial preceden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such precedents and the desirable taxation method for the signing bonus. 운동선수가 활동 과정에서 소속 팀을 옮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적료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이적료는 이적하는 팀에서 이적 전의 팀에게 직접 주는 경우와 선수에게 직접 지급한 뒤에 선수가 이적 전의 팀에게 위약금을 지급하는 경우로 나눠볼 수 있다. 세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전자의 경우는 이적료를 지급받은 팀은 수익으로 취급하고, 이적료를 지급한 팀은 비용으로 취급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운동선수가 맺은 계약의 성격에 따라 세법상 취급이 달라지는데, 전속계약을 맺은 경우에는 사업소득으로 보아 과세하게 되고, 근로계약을 맺은 경우에는 근로소득으로 보아 과세하게 된다. 사업소득으로 보는 경우에는 선수가 받은 이적료를 수입금액으로 보고 선수가 지급한 위약금을 필요경비로 공제하여 세금을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세법에서 근로소득세를 계산함에 있어서는 필요경비를 공제하지 않기 때문에 이적료를 근로소득으로 보는 경우에는 위약금을 필요경비로 공제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만약 이적료와 위약금이 동일한 금액이라면 해당 선수 입장에서는 이적료를 받아 그 전액을 위약금으로 지급하여 실질적으로 귀속되는 소득이 없음에도 근로소득세를 계산하여 납부해야한다. 일반적인 프로운동선수의 경우에는 팀과 전속계약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받는 연봉, 계약금 및 이적료 등은 사업소득으로 과세된다. 이에 반해 비인기 종목의 운동선수는 일반적으로 팀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아 선수가 받는 연봉, 계약금 및 이적료 등은 근로소득으로 과세된다. 특히 이적료의 경우에는 위약금을 공제하여 주지 않으므로 현행 조세구조는 비인기 종목을 더욱 위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하급심 판례가 나오면서 다시금 이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바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판례에 대해 살펴보고 이적료에 대해서 바람직한 과세방식은 무엇인지에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의 현황 및 정책과제

        鄭璣鉉(Jung Ki-Hyun) 한국조세연구포럼 2009 조세연구 Vol.9 No.1

        근로장려세제(EITC : Earned Income Tax Credit)는 정부가 소득이 일정금액 이하인 사람들에게 가구별 근로소득 수준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세금 환급의 형태로 지급하여 근로빈곤층의 근로유인을 제고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제도이다. 즉, 차상위계층에 있는 근로장려금 수급대상자에게 근로소득의 일정비율을 지급해 주는 제도이며, 일정구간에서는 근로소득이 많을수록 지급되는 근로장려금도 많아진다. 2009년도에 최초로 지급되는 근로장려세제는 2008년 소득을 기준으로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이 1,700만원 미만인 가구에 대하여 근로장려금이 최대 120만원까지 지급된다. 예를 들어, 근로장려금 요건을 충족하는 부부합산 연간 근로소득이 800만원 미만의 경우는 근로소득×15%의 근로장려금을 지급받게 되고 근로소득이 800만원~1,200만원의 경우에는 120만원 정액으로 지급을 받게 되며 2009년도에 전체적으로 63만 가구에 4,700억원의 근로장려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근로장려세제는 근로빈곤층 지원에 적합한 사회안전망의 도입, 저소득 근로자의 빈곤완화와 경제적 자립 지원, 근로유인의 제고, 조세ㆍ복지행정의 효율성 및 형평성 제고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근로장려금에 대한 정확한 소득 파악, 소요 재원 및 재원 조달방안, 근로장려세제의 제도적 기반 구축, 근로장려세제 제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강화, 근로장려세제의 단계적 확대 추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의 관계, 외국인에 대한 EITC 적용문제 등의 정책과제에 대하여 향후 적용대상 및 지급규모 등을 재정여건 등의 상황에 맞춰 단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요구된다. Korea's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is a refundable tax credit given to a claimant whose family's (or a claimant and his/her spouse's) annualized earned income is less than KRW 17 million. The amount of tax credit is categorized into three tiers based on earned income of the claimant. The objective of EITC is to give an incentive for the working poor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more aggressively and to support their real income. The main beneficiary of EITC is those who are just above the poverty line. The amount of credit is categorized into three tiers ; for the lowest tier, the more a claimant earns, the more EITC he/she gets. EITC will be given for the first time in 2009 and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2008's earned income. The maximum EITC is KRW 1.2 mil1ion. EITC for a qualifying couple who earns less than KRW 8 million a year is 15% of their annualized earned income. If their earned income is between KRW 8 million and 1.2 million, their EITC is fixed as KRW 1.2 million. As of 2009, EITC is expected to be KRW 470 billion in total and will be granted to about 630 thousand households. EITC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social safety net for the working poor, to help low-income workers to alleviate poverty and stand on their own feet, to give an incentive for them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nd to improve efficiency and equality in tax and welfare policies.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EITC is to expand the target group and the amount of credit within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budget while considering policy objectives such as grasping the exact source of income to decide EITC, finding out methods to calculate demand and to raise required capital, building more fundamental ground for EITC, enhancing educational and promotional activities about EITC, expanding the coverage of EITC gradually, defining relations with EITC and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and deciding whether EITC should be applied to foreig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