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습록』 속 ‘배움’의 유아교육적 방향 고찰

        안세정(Sejung An)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왕양명의 『전습록』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유아교육적으로 풀어보는 것이 목적이다. 왕양명은 양명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이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은 심즉리(心卽理), 지행합일(知行合一), 치양지(致良知)이다. 『전습록』에는 왕양명의 사상이 잘 담겨 있고, ‘배움’에 대한 그의 생각 역시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한다. 『전습록』에서 찾은 ‘배움’의 의미는 근본(本)이 있는 배움, 마음(心)을 깨닫고 키우는 배움, 성실(誠)하고 꾸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배움, 실천(行)으로 이어지는 배움으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배움’의 유아교육적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 배움을 지향하는 것을 유아교육의 목표로 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에서 유아들의 마음을 다루는 교육내용을 많이 포함해야 한다. 셋째, 유아교육은 유아들의 삶을 바탕으로 꾸준히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을 다루어야 한다. 넷째, 유아교육에서 교사는 실천과 합일의 배움을 지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처럼 왕양명의 『전습록』 속 ‘배움’의 고찰은 유아교육에서 전통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현대적 배움의 실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to examines the meaning of “learning” Wang Yang-myeong's 『Chuanxilu』to explore its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ng Yang-myeong a representative scholar in Yangmingism, posits core concepts that assert rationality of the mind, knowing and acting are unified, while also emphasizing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the mind-body connection. The 『Chuanxilu』 effectively expresses Wang Yang-myeong's thoughts, particularly regarding “learning”. The meaning of “learning” in 『Chuanxilu』 can be summarized as learning with a foundation, realizing and fostering the mind, faithful and steady learning, and achievable learning.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is concept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in early childhood.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contain much educational content relevant to the mind in early childhood. Third,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implement educational methods steadily developed based o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Fourt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hould play a role in supporting practice and fostering unity of learning. Thus, the consideration of “learning” in Wang Yang-myeong's 『Chuanxilu』 holds many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modern learning practices by the transmitting traditional teaching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김영주(Kim, Young-Ju),박선홍(Park, Seon-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북소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들 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19년 9월 3일부터 12월 1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주 1회 3시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녹음된 면담내용, 개인저널로 기술하기, 분류하기, 해석하기 세단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기법, 연구자의 편향성을 없애기 위해 끊임없는 반성이 이루어졌고 구성원 검토와 외부연구자 영입을 통해 타당도를 얻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는 몸을 직접 움직여 문제를 해결하고 짝과 함께 동료 가르치기를 통해 움직임에 대한 즐거움과 유아들에게 동작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 유아동작교육의 태도의 변화는 자기의 동작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유아동작 가르침에 대한 나의 만족감이다. 셋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서 본 예비유아교사 유아동작교수 지식의 변화는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이해와 유아동작의 교사역할을 위한 전문성 획득이다. 결론 플립러닝 교수전략은 교사양성과정에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인 대학 교수전략의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the clas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hose 8 junio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ge located in the Chungbuk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3 through December 13, 2019, for three hours on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ere recorded interviews and personal journals, which were analyzed in three steps, including description,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is study, a triangular method was employed, and to get rid of the researcher’s bias, constant reflection was made. The validity would be obtained through member check and the recruitment of researchers from outside. Results First, in the clas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olved problems by moving their bodies themselves and recognized the pleasure of movement and the necessity of movement education through teaching peers with partners. Second, in the clas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change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re confidence in their teaching of mov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teaching of movements for children. Third, in the clas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change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their teaching of movements for children are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nd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for the role of teachers of child movement. Conclusions It is judged that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strategy will be a new alternative for effective college teaching strategy by applying it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

      • KCI등재

        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 운영 현황 및 인식

        최일선,이승연,이진화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practice and perceptions of distance learning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who have implemented online-based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139 instructors who taught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76%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had no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before COVID-19, and the training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was high at about 82%.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utilized the combin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video content classes the most, and the frequency of us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m was high. Seco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combin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video content classes was the most effective and perceived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to be different, and a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was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s the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more than 90% of the instructors chose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convenience due to non-contac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they recognized that various improvements were needed, and among them, strengthening learners’ participation was the most necessary. More than 70% of the instructors answered that they are willing to continue at least some of the distance learning after COVID-19. For high-quality distance learning, they perceived that the instructors should develop interaction skills with learner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while universities should support instructors’ competencies for distance learning and make technical improve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epare a support system that reinforce instructor’s competencies for distance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 기반 원격수업을 시행한 유아교육 교수자의 원격수업 운영 현황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관련 교과목을 강의하는 교수자 13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교수자의 약 76%는 코로나19이전 원격수업 경험이 없었으며, 원격수업을 위해 연수를 받은 경험은 응답자의 약 82%로 높게 나타났다. 실시간쌍방향수업과 동영상콘텐츠수업을 병행하는 유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직접 개발한 자료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교수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유형인 실시간쌍방향과 동영상콘텐츠병행 수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고,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의 효과는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원격수업의 장점으로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과 비접촉으로 인한 편리성이 90%이상의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항목들도 높게 나타났으나, 학습자의 참여와 관련한 항목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에도 원격수업을 일부라도 도입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70%를 상회하였다. 질높은 원격수업을 위해 교수자는 학생과의 상호작용기술, 원격수업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고, 대학차원에서는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지원,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원격수업에서 중요한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실행된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속에 녹아 있는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문해 양상*

        김은정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3

        본 연구는 실행된 교육과정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교사들이 놀이 속에 녹아 있는 배움을 어떻게 읽어내고 지원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학력, 경력, 연령, 담당학급과 근무기관이 서로 다른 유아교사 5인이며, 수집 및 분석 대상 자료는 유아교사 5인이 작성한 실행된 교육과정 문서이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전사, 코딩, 주제 발견의 세 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유아들의 놀이 속 배움을 견고한 선을 연장해 주는 경직된 배움, 실험과 창조를 만들어내는 유연한 배움, 탈주와 영토화 사이에서 생성되는 배움, 재현과 의미를 넘어서는 그 자체로서의 배움 등으로 읽어내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기계로서의 욕망의 배치 인정하기, 관계의 장 속에서 마주침 응원하기, 견고하고 유연하며 탈주하는 모든 선에 올라타기 등의 방식으로 놀이 속에 녹아 있는 배움을 지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 속에 녹아 있는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을 촉구하고, 진정한 배움을 지원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read and support ‘learning embedded in play’ by analyzing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unact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careers, ages, classes and working institutions, and the data to be analyzed were the unacted curriculum documents written by 5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a three-step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opic discovery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ad learning in play in the unacted curriculum as follows. 'rigid learning that extends solid lines', 'flexible learning that creates experimentation and creation', 'learning created between flight and territorialization', 'learning as itself beyond representation and meaning’.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pporting learning in ways such as 'recognizing the assemblages of desiring machine', 'supporting encounters in the relational fields', and 'riding on all lines that are firm, flexible, and flight'. Based on these results, we urged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est in learning embedded in play and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faceted efforts are needed to support true learning.

      • KCI등재

        유아교사의 ‘배움’의 의미 재구성과 실천

        허정민,이진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at are aiming to serve as a learning community recogniz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how they practice their views in their workplace by conducting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from March to October, 2017. Th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ren as the master of learning and trying to express the children's voice in story-telling time and classroom space composition. They added a new meaning to their own role as a learne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as researchers themselves. Furthermore, they drew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ir own interest of learning and challenged themselves to use their strength to enhance the learning of their children. They believ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expanded in order for them to operat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th purpose. They also claim that chang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and content of the way institutions evaluate learning.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practical cases of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constructing and practicing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 early education field, and should be further studied. 본 연구에서는 배움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은 ‘배움’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면담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 3인은 배움의 주인으로 유아를 바라보며 이야기나누기시간과 교실공간구성에 유아의 목소리를 조금 더 풍부하게 담아내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배워가는 존재로 교사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지속해서 함께 배워나가는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의 흥미 개념 역시 중요하게 떠올리며 교사의 강점을 유아와의 배움의 장으로 가져오는 도전을 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배움공동체의 조직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평가의 방법과 내용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배움의 의미를 어떻게 재구성하며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도 지속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남미경,손유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and teaching about the nature and process of knowing the knowledge of the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nvestigated the impact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228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o this were a random sampling. First,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howed a grade up getting high scores and Grade increasingly sophisticated epistemological beliefs showed up, had a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are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higher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cores were mo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had with the Constructivism explanatory power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also recognized as having an explanatory factor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abi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se results a constructivist philosophy can be raised of the need to deal with teacher training conten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의 본질과 앎의 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주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인식론적신념, 교수학습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교수학습관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인식론적 신념, 교수학습관은 정적상관을 보여,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 점수가 높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이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인식론적 신념 중 학습과정과 학습능력의 요인이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지고 학습에 있어 결과보다는 학습과정을 중시하고 후천적 학습능력을 믿는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능력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구성주의 신념과 태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부모 양육태도, 학과풍토,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구조 관계 분석

        홍성훈,김희수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 학과풍토, 학습동기와의 관계성을 살펴본 후, 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과 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학과풍토,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부모 양육태도, 학과풍토,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둘째, 관련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하여 부모 양육태도와 학과풍토가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을 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부모 양육태도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고, 또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풍토 역시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습동기를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성과 이들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와 학과풍토 조성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department climat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pre-servics early childhood teachers incorporate self-directed learning. Total 23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3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to be perceived by them, department climat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department climat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which is one of the exogenous variables in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had a direct effect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mediated by learning motivation. In contrast, department climate which is the order exogenous variable of the model had only in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mediator of learning motivat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ontext.

      • The Exploration in Developing the Concept of R-Learn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Yeon-Seung Lee,Chunghee Chung,Min-Jung Le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r-learning in an effort to ensur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r-learning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Delphi survey was applied to 20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including teachers, directors,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the robot learning.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read, and commented upon participants three times to arrive at a consensus regarding the nature of robot learning and the requirement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concept of r-learning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at means to further the learning of preschoolers by introducing robo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acilitate the process teaching and learning by assisting the teaching of teachers. So far, there isn't yet any consensus on the concept of r-learning,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r-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ur country by analyzing the concept of r-learning on the basis of the opinions of th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취학 전 자녀교육에 관한 프랑스 어머니들의 생각 : 파리지역을 중심으로

        한지혜,임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2

        취학 전 자녀를 둔 프랑스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에 관한 생각을 이해하고자 파리 근교에 거주하고, 자녀를 유아학교에 보내고 있는 어머니 9명을 면접한 결과, 어머니들은 취학 전 조기학습의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 못하고, 자녀에게 유아학교 이외의 교육을 실시할 경우, 주로 즐기고 취미를 기를 수 있는 예?체능 활동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어머니들이 자녀 발달에 적합하면서도 초등학교 준비를 소홀히 여기지 않는 유아학교 교육을 신뢰하고, 자녀교육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자녀들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고, 상업적 광고나 주변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었다. Early learning education is a cultural phenomenon derived from social particularity in Korea. It is difficult to deny its demands for early learning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t is likely that French society is different from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early learning activities in France, and to describe and analyze the French mothers opinions about children's early learning education. We interviewed 9 mothers, who live in Paris. All of their children a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We selected 15 questions which help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early learning activ`ities, the purposes and motivations of the children's early learning. Interviews conducted lasted approximately 30-45 minutes. We us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in which interview questions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French mothers prefer kindergarten activities to early learning activities. It seems to important that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make some suggestions for bridging a gap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유아기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 모색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과정의 분석

        신은수 ( Eun Soo Shin ),김은정 ( Eun Jung Kim ),유영의 ( Yung Eui Yo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OECD의 교육선진국에서 제시하는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한국의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에 대한 학습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에 제시된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자료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과 유치원교육과정을 제 1차에서부터 누리과정까지로 하였고, 미국의 자료는 2003년에서 2013년까지 각 주에서 개발 혹은 개정된 21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학습에 대한 접근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한국의 0∼만 3세 보육과정과 만 3∼5세 유아교육과정에서는 학습에 대한 학습의 하위 내용이 부분적으로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 주의 조기학습기준에서 학습에 대한 학습은 0세~만 2세, 만 3~4/5세에서 호기심, 주도성, 지속성,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계획과 반성, 놀이, 기타 등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한국과 미국의 결과 비교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으로, 추후 유아교육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학습의 내용 영역의 필요성과 충분한 놀이 기회의 제공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uggested that its member states could improve their respec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by looking at approaches to learning designated by other member stat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approaches in ‘learning to learn’ presented in Korea`s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current Nuri curriculum and the national standards for childcare curriculum with ‘approaches to learning,’ the developed or revised early learning standards in each state during 2003 to 2013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sub-content of ‘learning to learn’ was partially included in 0 to 2 year-ol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3 to 5 year-old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in the US, ‘approaches to learning’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uriosity, initiative, persistence, 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planning, reflection and play for 0 to 2 year-olds and 3, 4 and 5 year-old children. Based on this comparison, we recommend that the US ‘approaches to learning’ be added to the Korean ‘learning to learn’ and incorporated into Korea`s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that the curriculum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