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교사들의 ‘흥미’ 개념에 대한 고찰

        허정민,이진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1

        In order to examine the concept of interest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this reseach reviews the concept by interviewing 1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 city focusing on the distinction of Dewey’s concept of interests and educational interests. The result show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child’s interests as a critical factor; however, the teachers tend to emphasize the critical importance rather than to carefully analyze and apply the concept of interest. The teachers solely considered psychological interests and in the meanwhil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rect experience recognizing physical interests as limited to behavioral perspectives. Also, the dichotomy between the early child’s interests and curriculum resulted in overemphasis on the child’s interests. Nevertheless, some early childhood teachers striv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interests of the child by observing and listening to the children more closely. Also, they led projects under a unifying topic, reflecting social interests to pursue collective learning of the group, beyond the manual interests in respect to full-immersion of knowing, and individuality. However, these teachers also were experiencing limitations in connecting the frame of practice to the educational concept. Hence, it is determin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contemplate on the educational concept of interest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유아교사의 흥미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D광역시 유아교사 13명을 심층 면담하여 Dewey의 흥미 개념과 교육적 흥미 개념의 구분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흥미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흥미 개념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적용하기 보다는 당위적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심리적 흥미만을 떠올리며, 신체적 흥미역시 단순히 행위적 측면만으로 해석하면서 직접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유아의 흥미와 교과를 이분법적으로 해석하며 유아의 흥미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한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일부 유아교사들은 유아에게 귀 기울이고 주의 깊게 관찰하며 유아의 흥미를 발견하고 지원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앎의 깊은 몰입을 존중하는 조작적 흥미와 개인성을 넘어서서 전체 집단의 지성을 추구해 나가는 사회적 흥미 개념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의 실천 의식을 교육학적 개념으로 연결 짓지는 못하는 한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교사들에게 교육학적 흥미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고민의 기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누리과정 실천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교사들의 도전과 딜레마

        허정민,이진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자 13명의 유아교사들을 면담하였다. 유아교사들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당위성을 따르며 누리과정을 유아교육과정으로 동일시하며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누리과정 지원금과 누리과정 CD는 유아교사들에게 반가운 존재이기도 하였지만, 과잉서비스의 함정에 빠지게 만들기도 하였다. 반면 유아교사들은 너무 빽빽하게 짜여져 있는 누리과정이 숙제같이 느껴진다고 이야기하며 기차시간표처럼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또한, 형식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교육계획안 작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유아의 흥미로 시작되는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유아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대강화되고, 그들의 새로운 도전과 시도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대화의 장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다. 유아교사들이 전문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thirteen early childhood teachers running the Nuri curriculum to listen to their stories.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Nuri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identified it as equally important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believing that it must be implemented. In this process, the Nuri curriculum subsidy and Nuri curriculum CD have been put into place as another control mechanism to make early childhood teachers follow the Nurri curriculum. However, early childhood teachers told us that following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too tightly planned feels like doing homework, and expressed difficulties in completing it like running a train schedule. Furthermore, they raised the issue of educational plans being prepared perfunctorily and claimed that various changes are required to design a curriculum that considers the children’s interest from the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gued that the current state-level curriculum should be more flexible and a culture that supports teachers’ new attempts and challenges should be created for them to run a curriculum for children. They also hoped engage in various forums and debates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need for a range of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un the curriculum with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has been rai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배움’의 의미 재구성과 실천

        허정민,이진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at are aiming to serve as a learning community recognize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how they practice their views in their workplace by conducting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from March to October, 2017. Th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ren as the master of learning and trying to express the children's voice in story-telling time and classroom space composition. They added a new meaning to their own role as a learne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ing as researchers themselves. Furthermore, they drew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ir own interest of learning and challenged themselves to use their strength to enhance the learning of their children. They believ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expanded in order for them to operat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th purpose. They also claim that chang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and content of the way institutions evaluate learning.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practical cases of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reconstructing and practicing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 early education field, and should be further studied. 본 연구에서는 배움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은 ‘배움’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면담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 3인은 배움의 주인으로 유아를 바라보며 이야기나누기시간과 교실공간구성에 유아의 목소리를 조금 더 풍부하게 담아내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배워가는 존재로 교사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지속해서 함께 배워나가는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의 흥미 개념 역시 중요하게 떠올리며 교사의 강점을 유아와의 배움의 장으로 가져오는 도전을 하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배움공동체의 조직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평가의 방법과 내용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배움의 의미를 어떻게 재구성하며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도 지속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발달과 배움의 관점에서

        허정민,이진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curriculum demonstr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7, 13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D cit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 teachers considered a child as an incompetent human being who is at a lower stage of development, or as a scientist who would learn by themselves at some points. Also, teachers implicitly viewed infants are incapable of appreciating the arts, and performing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at the age 1 i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Moreover, teachers were trying to accept and follow the current Nuri curriculum which is presented by age.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were paying more attention to children’s strength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ontinue to write about what and how to teach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future application research to encourag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orm diverse learning philosophy and to exhibit related behaviors with a sense of agenc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yond top-down theories and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활동에서 드러내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신념을 살펴보고자 D광역시 유아교사 13인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개별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을 낮은 발달 단계에 위치한 무능한 존재로 바라보거나, 일정 시기가 되면 저절로 배우게 되는 과학적 존재로 유아를 바라보고 있었다. 어린 영아는 예술 감상을 할 수 없는 연령이라고 생각하며 만 1세반에서 예술감상활동을 하는 것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교육활동이라는 신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연령별로 단계화하여 제시되어 있는 현 누리과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따르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반면, 일부 참여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이 보이는 충만한 힘과 교육적 경험에 좀 더 주목하며, 유아교사로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며 기록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어온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교육 이론을 벗어나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배움에 관한 교육적 신념과 실천적 행위를 생성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체를 존중하는 실천지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1세 전후로 진단된 장 회전이상증의 임상적 특징

        허정민,문석배,정수민,신현백,서정민,이석구,Huh, Jeung-Min,Moon, Suk-Bae,Jung, Soo-Min,Shin, Hyun-Baik,Seo, Jeong-Meen,Lee, Suk-Ku 대한소아외과학회 2010 소아외과 Vol.16 No.2

        Malrotation is a congenital anomaly that becomes symptomatic more frequently during infancy. The indication for surgical treatment at that age is straightforward. In older children, the diagnosis may be more difficult because of chronic and vague complai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ymptoms, rate of volvulus and surgical findings in children younger and older than one year. A retrospective study of 40 patients in a a single medical center diagnosed with malrotation from April 1996 to May 2010 was performed. There were 20 (50 %) boys and 20 (50 %) girls. At the time of operation, 27 (67.5 %) patients were younger and 13 (32.5 %) were older than 1 year. Vomiting was seen in 20 cases (74.1 %) of the younger group compared to 2 cases (15.4 %) of the older group. Abdominal sonography and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showed a sensitivity of 100%. Operative findings: 12 (44.4 %) of the younger group presented with volvulus compared to none of the older group. The Ladd's procedure was routinely performed with appendectomy in all cases and bowel resection was requires when volvulus included bowel necrosis or other anomalies were found. After definite procedures, surgical correction for adhesive obstruction was necessary in 5 menbers (18.5 %) of the younger group and 1 patient (7.7 %) in the older group. There was 1 death due to respiratory failure and pneumonia. Abdominal pain was more frequent symptom and bilious vomiting was less frequent. Volvulus did not occur in the older group. Malrotation should be diagnosed promptly in children over 1 year of age by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even though symptoms are not as clear cut as in infa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