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억제를 위한 기업 규제 - 미국 법규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

        강성용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1 No.3

        Growing influence of corporation to our society has led corporation to assume an obligation to prevent and investigate crime which has mainly been the obligation of government. The prevailing social perception on corporation requires corporation as a crucial constituent of our society to solve social problems we encounter by behaving ethically but not to pursue solely profit. With diversification of corporate business and grandization of corporation organized by hierarchy, the harm caused by the crime concerned with corporation has become so serious that deterrence of the crime concerned with corporation is shifted from the dimension of a moral self-decision to a legal obligation. Although corporate regulations imposing an obligation to deter crime have been settled in our legal system, there is a lack of legal research on such corporate regul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corporation―crime by corporation, crime utilizing corporation, and crime against corporation―; categorizes corporate regulations to deter the crime concerned with corpor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corporation; and illustrates specific obligations―duty to control·monitor, duty to report, or duty to counteract―prescribed by each individual corporate regulation. In doing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laws of Unites States which accentuat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for future studies, required to suggest principles for corporate regulations to deter crime to be justified by maintaining coherency and proportionality and implications for our laws and regulations to be developed accordingly. 기업의 사회적 영향력 증대와 함께 전통적으로 정부의 책무인 범죄 예방과 수사를 통한 범죄억제가 규제를 통해서 기업의 책무로서 요구되고 있다. 이제는 기업이 단순히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부 창출 역할을 하는 경제 주체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 윤리에 따라 행동하여야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기업 활동의 다양화와 위계적 명령 체계를 가진 조직인 기업의 거대화는 때로는 범죄와 연관되어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기에, 핵심적인 윤리적 행위로서 기업의 기업과 연관된 범죄억제가 도덕적 판단에 따른 자율이 아닌 법규제를 통한 의무가 되어왔다. 하지만 범죄억제를 위한 다양한 기업규제가 정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과 범죄와의 관계에―기업에 의한 범죄, 기업을 이용한 범죄, 또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범죄―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를 기준으로 범죄억제를 위한 기업규제들을 분류하여 당해 개별 규제가 지우는 구체적 의무들을―통제·감시, 신고, 또는 대응 의무―연구한다. 위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미국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논문을 통해 개별 기업규제들이 범죄억제를 위한 기업규제라는 큰 틀 안에서 상호간 통일성과 형평성을 유지하며 정당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 및 우리 법제도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에 필요한 논의의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법인(法人)과 집합건물 관리인과 관리위원의 자격

        김영두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2 집합건물법학 Vol.42 No.-

        The manager of condominium is a representative of the unit owners’ association of condominium. The unit owners live together in condominium building, form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manage the building together. A manager shall exercise leadership for all members with responsibility as a representative of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should listen to the unit onwers’ opinion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m. However, if a corporation becomes a representative, it is unclear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decision of the corporation, because not only representative but also general meetings, audits, and bylaws affect the judgments made by corpora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orporation itself to lead unit owners’ association with leadership. For this reaso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 corporation cannot become a director or a representative of a legal entity in Korea. Therefore the manager of condominium needs not be a unit owner, but must be a natural person.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r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a management company can be a manager. In order for a management company to become a manager, a corporation should be allowed to be a manager. However, regardless of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r, a management company should not a manager. The management company is a contract party of a management contract with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if the contract party that enters into the contract with unit owners’ association becomes the representative of it, the interests of unit owners’ association and the management company conflict.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f condominium? Since the Condominium Act stipulates that only the unit owner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nd does not allow the representative of the corporation which is a unit owner to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 corporation which is a unit owner can becom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However, even if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Condominium Act that a corporation should designate a person to perform the affairs of the management committee and notify the unit owners’ association. Otherwise, the Condominium Act should stipulate that if a corporation is a unit owner, the representative of the corporation or a person designated by the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n behalf of the corporation. Regardless of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 management company cannot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considering that the representative or employees of a management company cannot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관리인은 구분소유자로 구성된 관리단의 대표자이다. 구분소유자들은 집합건물이라는 공간 속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관리단을 구성하여 함께 건물을 관리하면서 건물을 통하여 각자의 목표를 실현시키고자 노력한다. 관리인은 관리단 구성원의 대표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모든 구성원을 위하여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구성원들과 소통하면서 구성원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만약 법인이 대표자가 된다면 법인의 판단에 대해서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게 된다. 법인이 내리는 판단에는 이사뿐만 아니라 사원총회, 감사, 정관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법인 자체가 리더십을 갖고 관리단을 이끌어가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나라의 민법상 사단법인과 상법상 회사에 관한 논의에서도 법인은 이사가 될 수 없다는 견해가 다수설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인은 구분소유자일 필요는 없지만, 자연인이어야 한다. 법인이 관리인으로 선출될 수 있는지 여부는 위탁관리회사가 관리인으로 선출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위탁관리회사가 관리인이 되기 위해서는 법인도 관리인이 될 수 있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위탁관리회사는 관리인이 될 수 없다. 위탁관리회사는 관리단과 위탁관리계약을 체결하는 당사자인데, 관리단과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관리단의 대표자가 된다면 관리단과 위탁관리회사의 이해가 상반되기 때문이다. 법인도 관리인이 될 수 있다는 근거로 일본에서도 법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집합건물법상의 관리인과 일본의 구분소유법상의 관리자는 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관리인은 관리단의 대표자이지만, 일본의 구분소유법에는 관리단과 같은 단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분소유자들의 대표자가 아니다. 관리자는 구분소유자들을 대리하여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일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법률로서 법인은 비영리법인이나 주식회사의 이사가 될 수 없음을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성립할 수 있다. 일본의 구분소유법은 구분소유자들이 관리조합법인이라는 법인의 설립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는데, 그 법인의 이사장은 관리자에 해당하지만, 관리조합법인의 대표자이기 때문에 법인은 관리조합법인의 이사장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여러 이유를 고려한다면 법인은 관리인이 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유사하게 법인이 관리위원이 될 수 있는지 여부도 문제될 수 있다. 집합건물법은 구분소유자만이 관리위원이 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법인이 구분소유자인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관리위원은 관리위원회의 구성원이지만, 관리인과 마찬가지로 관리단의 임원에 해당하기 때문에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없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관리위원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집합건물법은 구분소유자만이 관리인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고 법인이 구분소유자라고 해서 법인의 대표자가 구분소유자가 되는 것은 아니므로 법인의 대표자는 관리위원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집합건물법의 규정에 따르면 법인이 구분소유자인 경우에 ...

      • KCI등재

        민법상 법인의 소멸에 관한 고찰

        윤석찬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7 No.-

        If a corporation loses its rights and abilities, just like a natural person, the corporation dies in comparison with the death of a natural person. However, in the case of a corporation, the inheritance is not recognized, and the corporation is extinguished by registering the liquidation with the register of the corporation through a certain reorganization procedure. In other words, even if a corporation is dissolved, it does not disappear immediately, but the corporate personality remains within the scope of the existing legal relations and the purpose of liquidation of the remaining property. Therefore, the corporation disappears only after the liquidation affairs are completed and the liquidation is completed. As such, a corporation loses its right to compete by extinction, but as a transfer procedure, it must go through dissolution and liquidation procedures in order to organize its property relations. Dissolution of a corporation means that the corporation ceases active activities to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and enters the liquidation process. Liquidation is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property relationship of a dissolved corporation. Thus, even after the dissolution, the corporation is forced to remain a liquidation corporation with rights and capabilities within a limited range until such liquidation is terminated. Then, if there is a reason for the dissolution of a corporation prescribed by the Civil Law, it must be clearly interpreted as whether it is regarded as the provision of the corporation's natural dissolution or whether the corporation is dissolved only by the resolution of a separate general meeting. In principle,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corporation, the reason for the dissolution of the corpor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dissolution of the corporation only after the resolution of the general meeting, not the reason for the dissolution. However, this time, it is judged that the corporation's activities, such as the corona crisis, have emerged as a problem of national crisis that is comparable to that of war and even become a problem of global crisis, which is regarded as a catastrophe of humanity and violates the public's health and is contrary to the public interest. If the corporate registration is canceled under the civil law from the supervisory authority, the reason for the dissolution of such a corpor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legal dissolution of the corporation, and legislative amendment is required to clarify this. 법인도 자연인과 동일하게 자신의 권리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자연인의 사망과 견주어 법인은 소멸하게 된다. 그러나 법인의 경우에는 상속이 인정되지 않기에 법인의 재산에 관하여 일정한 정리절차를 거쳐서 법인등기부에 청산종결의 등기를 함으로써 법인은 소멸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설령 법인이 해산을 하더라도 바로 소멸하지 아니하고 기존의 법률관계와 잔여재산의 처리라는 청산의 목적 범위 내에서 법인격이 존속하게 된다. 그리하여 청산사무가 완료되고 청산종결의 등기를 해야만 법인은 소멸된다. 그리하여 우리 判例에 따르면 설령 법인에 대한 청산종결의 등기가 경료되어 있다하더라도 청산사무가 종결되지 않은 한 그 범위 내에서는 청산법인으로서 존속하게 된다. 이러한 청산법인은 제한된 범위에서 권리능력을 여전히 가지게 되므로 그 법인은 아직 소멸되지 아니한 것이다. 이처럼 법인의 소멸에 있어서 청산사무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처럼 법인은 소멸함으로써 권리능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그 이전절차로서 재산관계의 정리를 위하여 해산 및 청산절차를 거쳐야 한다. 법인의 해산은 법인이 본래의 목적달성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정지하고 청산절차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청산은 해산한 법인의 재산관계를 정리하는 절차이다. 그리하여 법인은 해산 이후라 하더라도 이러한 청산이 종결되기까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권리능력을 가지는 청산법인으로 남게 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민법상 규정된 법인의 해산사유가 발생하면 이는 법인의 당연해산의 규정으로 보는지 아니면 별도의 총회의 결의로 비로소 법인이 해산하는 것인지가 명료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법인의 자율성에 근거하면 법인의 해산사유는 당연해산 사유가 아닌 총회의 결의가 있어야만 비로소 법인이 해산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이번에 코로나 사태처럼 천재지변에 견줄 만큼의 국가적 위난의 문제로 부상하고 심지어 세계적 위난의 문제로 되어서 인류의 재앙으로 여겨질 만큼의 법인의 활동이 국민의 건강을 침해하여 공익에 반하는 경우로 판단되어서 관련 감독기관으로부터 민법상 법인등록이 취소될 만큼이라면 이러한 법인의 해산사유는 법인의 당연해산의 규정으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고, 이를 명료화하기 위해서는 입법적 개정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요한 자회사의 자산 전부의 처분에 따른 모회사 주주의 보호방안

        김이수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9 No.2

        Corporate part of Korean Commcerial Law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holders and the board of directors. Under Korean Commercial Law, many of the powers are delegated to the board of directors. Even if enormous powers are delegated from shareholders to directors, shareholders still retain certain important powers such as the right to vote on the sale of business of the corporation(Commercial Law S.374 ① 1). According to the judicial authorities, the shareholders also have the right to vote on the sale of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assets of the corporation, which causes to discontinue the business of the corporation. Do the stockholders of a parent corporation have the right to approve the sale of the subsidiaryʼs assets which constitute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parentʼs assets on a consolidated basis? It seems that the stock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have no right to approve the sale of assets by the subsidiary in the literal meaning of Commercial Law S.374 ① 1. The shareholders of parent corporation are endowed with no ex ante right to control the sale of all or substantially all assets of the subsidiary. The argument might be mad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stock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under various theories. First theory may argue that the stock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should be entitled to determine how the subsidiaryʼs stock be voted on a sale of substantially all of the assets of the subsidiary when the parent corporation votes the subsidiaryʼs stock. Second theory may assert that the stock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should be entitled to vote the subsidiaryʼs stock directly. Third theory may argue that the stock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should have a right to make a resolution of parent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o decide definitely on a sale of all or substantially all of the assets of the subsidiary regardless of the resolution of the subsidiary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is article are going to explore the optimal measure to protect the shareholders of parent company in the context of asset sale by subsidiary with considering lawmakersʼ underlying intention of Korean Commercial Law. 판례에 의하면 회사가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영업 일부의 폐지를 야기할 정도의 중요한 재산을 양도하는 경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모자회사로 구성된 기업집단의 자산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완전자회사가 사실상 자회사 영업의 폐지를 야기할 정도의 중요한 자산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것이다. 동일한 자산을 모회사가 직접 양도하는 경우라면 판례에 따라 모회사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할 것이지만 문제의 자산을 자회사가 소유한 상태에서 양도하는 경우에는 모회사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당연히 도출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이 경우 중요재산을 양도하는 주체는 모회사가 아니라 자회사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경제적 효과를 마주하게 되는 모회사의 주주가 전자의 경우에는 중요재산의 양도 여부를 결정할 힘을 갖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자회사의 중요재산 양도 여부를 결정할 힘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모회사 이사들은 모회사의 중요재산을 자회사에 이전하여 둔 후에는 모회사 주주들의 간섭없이 이를 자신들의 뜻에 따라 처분할 수 있는 길을 확보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점차 순수지주회사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기업집단 내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자회사의 자산 전부의 처분 등의 행위에 대해 모회사인 지주회사 주주들이 개입할 수 있는 제도가 명시적으로 도입되어 있지 아니한 상황이다. 모회사 이사들의 뜻에 따라 기업집단에 속한 자회사들의 중요한 의사결정까지 모두 이루어지게 놓아 두고 모회사 주주들은 그에 따른 경제적 결과만을 수동적으로 받도록 되어 있는 상태가 과연 적절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그 대응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중요한 자회사가 자산 전부 또는 실질적 전부를 처분하는 경우에는 모회사 주주총회에 의한 승인이 필요한 것으로 제도를 구성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제도의 구축은 해석론 보다는 입법에 의하는 것이 명확할 것이고 그에 따른 문제점들도 해결할 수 있어 입법을 통한 제도의 구축이 적절할 것이다.

      • KCI등재

        개정상법상 자기주식 관련 해석상ㆍ실무상 쟁점 검토

        황현영 법무부 2012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0

        The revised commercial law enacted since April 2012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relating to a finance structure of a corporation. From those changes, the new regulations on corporation's own stock, have been gain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With the current commercial law, they basically banned the corporations from acquir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unless the purposes of the acquisition would be specific ones as merger and stock retirement. However, now, the law has announced that they will accept the corporation's own stock, of a business because they have learned that the corporation’s acquisition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will make the financial management greatly reflexible which could be also used to protect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concerned corporation. Meanwhile, the revised law has been still controling a source of revenue and ways of acquisition. Not only did the new law relax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but it also brought changes to other rules related to disposal and retirement. For that reason, various issues are now being proposed in terms of how the changes w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the field. There are already so many advanced researche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nd, in this thesis, other theoretical issues which have been never discussed before were analyzed while as many as questions which have been asked several times by people us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policy were proposed. To begin with, regarding the acquisition,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commercial law. When the acquisition is gained in purpose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resource of revenue (Article 341). When the corporation acquires the corporation's own stock, in purpose of capital transaction not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purpose of the acquisition (Article 341, Section 1). First of all, regarding the former matter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thesis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on a source of acquired revenue, decision-making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board of directors, acquisition by shareholder's equality principle, expecting results and prices of the acquisition and procedures and a range of acquisit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latter matter, the thesis discussed specific purposes enumerated by the law including issues relating to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gained under disguised ownership or by intentions of the corporation. For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red by the corporation, a legal status whether the corporation could take public interest rights and private interest rights was discussed. The thesis also explained how the concerned stock could be utilized by the commercial law in terms of security, dividends and substitution for new shares issue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e revised commercial law brought huge changes concerning the acquisition of corporation's own stock, but they still have not been clear enough on disposal. Regarding the problem, the thesis proposed what the commercial law would need to work on relating to the disposal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at the corporation has acquired for a special purpose while it still secured the fairness of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Last but not least, the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regulations by the revised commercial law were discussed while ways to improve regulations on no-value stock disposal were proposed. 2012년 4월 시행된 개정상법은 회사의 재무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도 실무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자기주식 관련 규제의 변화이다. 구 상법에서는 회사의 자기주식 취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합병, 주식소각 등 특정한 목적에 의한 취득만을 예외적으로 허용하였다. 그러나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였을 뿐 아니라 처분․소각과 관련한 규제도 대폭 수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해석상․실무상 여러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껏 논의된 이론적 쟁점들을 정리하는 동시에 실무에서 자기주식제도를 활용하며 궁금해 하고 있는 쟁점을 최대한 모두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취득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법상 자기주식취득에 관한 규제는 2가지로 나뉜다.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하는 경우에는 재원규제를 하고(341조), 배당가능이익이 아닌 회사의 자본거래로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목적규제를 하고 있다(341조의2). 먼저 전자의 경우 배당가능이익이라는 취득 재원,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라는 의사결정 방법, 주주평등원칙에 의한 취득 방법, 취득의 대가 및 가격, 구체적인 취득 절차와 범위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 법이 열거하고 있는 특정목적을 설명하고, 그 외 위법한 자기주식의 취득, 타인명의․회사계산에 의한 자기주식 취득과 같은 쟁점들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회사가 취득한 자기 주식은 공익권과 자익권을 가질 수 있는지 법적 지위에 대해 논하였고, 해당 주식을 상법상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기주식의 담보, 배당, 신주발행의 대용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대하여 큰 변화를 가져왔으면서도, 처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자기주식처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특정목적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의 처분과 관련하여 입법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상법상 자기주식의 소각 규정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판례와 사례 분석을 통한 기업범죄 처벌의 개선방안

        박기석(PARK, GI-Suk) 한국형사정책학회 2008 刑事政策 Vol.20 No.2

        In tradition of continental legal system, corporation could not be punished by criminal sanctions. Only employees of corporations are punished as he or she conducted in corporation. But in modern society, functions of corporations have been grown up and up. Corporation itself conducts diverse crimes like evasion of taxes, embezzlement, environmental crimes etc. If we don’t punish corporation itself by criminal sanction, we can’t protect corporation crimes efficiently. In cases of Korean courts, judges have not admitted the criminal liability of corporation. They think corporation has no mind and body of conducting crimes. They have convicted small amounts of fine to corporation. But I think corporation has his unique mind and body of conduction crimes. By policy and employees of corporations, they can conduct diverse crimes like even homicide. The employees think and do not do in corporations not by his individual decision but by policy of corporation. Through punishing the whole corporation(employees, materials, system of corporation), we can control crimes of corporations. We can prepare efficient criminal sanctions to corporations as like publicity of crimes, services of society, probation, quitting of electrony etc

      • KCI등재

        상법상 회사분할로 인한 과징금 책임의 승계

        김건식(Kim Gun-Sic)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東亞法學 Vol.- No.48

        본고는 상법상 회사분할에 따른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법 위반의 과징금 납부책임 귀속관계에 관하여 새로운 입법론을 제시한다. 먼저 어느 회사가 공정거래법을 위반하였지만 과징금 부과 처분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법상 회사분할에 따라 분할하거나 재분할 하는 경우, 현행 관련법 규정과 대법원 판례의 법리로서는 과징금 책임을 부과하기에 적합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서론에서 회사분할제도의 법리 및 책임관계와 과징금 부과 처분의 승계여부에 대해 검토한 후, 이어 미국에서 독점규제법 위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회사변경제도를 이용하였던 여러 사례를 소개한 뒤, 관련 판례법의 법리와 입법 제정 과정을 역사적 순서로 고찰해 본다. 결국 한국의 법 이론과 대법원 판례 및 미국법의 법리를 검토해 볼 때 회사분할에 따른 공정거래법 위반 책임을 귀속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의 신설 입법에 의한 해결이 자명함을 설명한다. 본고에서는 새로운 입법론을 제시함에 있어 회사분할제도에 따른 국세납부의무를 규정한 현행 국세기본법을 참조할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상법에서 회사분할제도를 도입하게 된 취지를 고려하여 회사가 분할되기 전 어느 시점까지 발생한 사유로 책임을 지울 수 있는 지에 대한 책임의 성립시점과 과징금 처분의 부과 종기시점은 국세기본법이나 관련 공정거래법규정보다 다소 단축하여 3년으로 제한 할 것을 제시한다. 제안입법은“공정거래위원회는 과징금을 부과 받은 회사 및 회사가 분할되거나 분할합병, 또는 분할 및 분할합병으로 해산하는 경우 분할일 또는 분할합병일 이전으로부터 3년 전까지 발생한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에 대하여 과징금 부과처분을 할 수 있고, 다음 각호의 회사는 과징금에 대해 연대하여 납부할 책임을 진다. 1. 피분할회사 2. 분할 또는 분할합병으로 설립되는 회사 3. 피분할회사의 일부가 다시 분할하거나 다른 회사와 합병하여 그 다른 회사가 존속하는 경우 재분할된 분할회사 및 피분할회사, 그리고 합병으로 존속하는 분할합병의 상대방회사 4. 해산의 경우 분할이나 분할합병으로 설립된 회사 또는 존속하는 분할합병의 상대방 회사.”이다. 제안하는 바와 같이 입법이 이루어진다면, 현재까지 회사분할로 인한 과징금 책임의 귀속주체가 분명하지 않아 법 위반행위가 존재함에도 제재를 가할 수 없었던 불합리한 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legal regimes of successor corporate liability when a corporation received penalty surcharge by Fair Trade Commission after the corporation was already divided into another corporations otherwise dissolved. In this instance, the question is who bears the penalty surcharge liability which established prior to the date of its corporate division. Contingent corporation or new divided corporation? In general, it would be appropriate that both contingent corporation and new divided corporation have liability with regard to the penalty surcharge according to their division agreement. However, until now, there is no right answer to cover such liabilities. Because the liability which is above mentioned is grounded upon an unclear mixture of Corporation Act, FTC's regulations and Supreme Court decision. Moreover, if the contingent corporation divided again or closed their business, who bears responsibility for penalty surcharge relating to pre-distribution periods? And it is also unclear what date shall be executed to the previous wrongdoing prior to the filing of any charges.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in the United States Court ruled by common law but, in the end, most states have enacted regulations regarding successor corporate liability to provide clear answer. Because of the somewhat vague notions of derivate corporate liabilities based on the Corporation Act, FTC's regulations and Supreme Court decision,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new enactment on the Korean FTC regulation. The proposal is that “The Fair Trade Commission shall discharge corporate successor liabilities of illegal activities against contingent corporation, new divided corporation, or new divided corporation's opposite corporation either prior to or within 3 years after the date of its division.” With this proposal, corporations may not evade penalty surcharge liability through corporate division, even if the division occurs before discharge.

      • KCI등재

        기업결합에 있어서 이해관계자의 보호 - 미국의 주회사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이승환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1

        미국 주회사법은 우리 회사법과 마찬가지로 기업결합에 있어서 이해관계인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에 미국 판례법은 기업결합에 있어서의 모회사․자회사의 주주 및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판례 이론을 발전시켜 왔다. 모회사의 주주보호를 위해서는 모회사에게 자회사의 사업에 대하여 일정한 권한을 가지도록 하거나 혹은 모회사 주주가 자회사의 경영진에게 직접 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 다중대표소송을 인정하였다. 그런데 모회사와 자회사는 서로 독립한 법인격을 가지는 회사이므로 법원은 이러한 권한을 무제한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제한을 가하고 있다. 먼저 모회사 주주총회가 자회사 사업에 관여할 수 있는 범위를 자회사가 실질적인 자산을 처분함으로써 모회사에게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로 제한하고 있고, 다중대표소송에 대하여도 자회사의 이사회에 제소전 청구를 하도록 함으로써 그 행사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 한편 자회사의 소수주주 및 채권자 보호를 위해서도 미국 주회사법은 별도의 법률을 마련해 두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 역시도 약간의 법률규정과 판례법에 의하여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먼저 소수주주의 보호를 위해서는 모회사의 이사 등에게 신인의무를 인정하면서 자기거래금지, 회사기회침해에 이를 적극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소수주주를 보호하고자 하는 판례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자회사의 채권자 보호를 위해서도 사해적 양도금지, 법인격 부인론, 채권의 후순위화 등 판례이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 가운데 채권의 후순위화가 채권자 보호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파산법에 이를 규정함으로써 채권자 보호가 보다 용이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미국에서의 기업결합에 있어서의 모자회사의 주주 및 채권자의 보호는 법률의 규정보다는 판례법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져 왔는데, 판례법의 특성상 그 보호의 여부 및 보호의 범위에 대하여 예견가능성이 낮다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의 입법례에서 볼 수 있듯이 최소한의 보호방안을 입법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이 경우 당연히 Corporate Governance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ate Corporate Law of U.S. does not have any special provisions for interested persons in the Combination of Enterprises, just like our Corporate Law. U.S. courts have developed a case law theory to protect the shareholders and creditors of parent corporation and Subsidiary Corporation in the Combination of Enterprises. To protect shareholders of parent corporation, it is often designed to admit some right to shareholders of parent corporation to subsidiary corporation business or the shareholders of the parent corporation recognized a multi-derivative suit that could be directly accountable to the Executive of Subsidiary Corporation. By the way, parent corporations and subsidiary corporations are corporations with independent legal entities, so courts does not recognize these privileges unlimitedly and imposes restrictions. First, the extent to which the shareholders meeting of the parent corporation can engage in the business of subsidiary corporations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subsidiary corporation disposes of the substantial assets and damages the parent corporation and then the multi-derivative suit is also imposed restrictions on the event by asking the Board of Subsidiary Corporation to make a pre-complaint claim. U.S. State Corporate Law does not have special legal provision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and creditors of subsidiary corporations. So this is also resolved by some legal provisions and case law. First, in order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of subsidiary corporations, U.S. courts are developing legal case theories of fiduciary duty. For the protection of creditors of subsidiary corporations, U.S. courts are developing legal case theory such as the prohibition of piracy, the poverty of corporate veil, and the subordination of bonds. Among these, subordination of bonds is considered to be most effective for protecting creditors. By reserving them in Bankruptcy Law, it is easy to protect creditors. As mentioned above, the protection of the shareholders and creditors of the subsidiary corporations in the Combination of Enterprises in the U.S. has been mainly made by the legal case law rather than the provisions of the law.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o solve the minimum protection provisions through legislation, as can be seen in legislation of 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Of course, in this case, legislation should be made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 KCI등재

        「법인세법」 상 내국법인 개념의 문제점 및합리적 개선방안 - 독일 법인세법 및 조세기본법상 관련 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종수 한국국제조세협회 2019 조세학술논집 Vol.35 No.2

        This article aims at the problems of the concept of domestic corporation under corporate tax law. The author focuses on the constitutional illegality of the concept of domestic corporation under corporate tax law. Korean lawmakers have improved the concept of domestic corporation on December 31, 2005 with the amendment of corporate tax law. Before this amendment, “domestic corporation” was defined as a corporation with its headquarters or main office located in Korea. But with the amendment dated December 31, 2005, the concept of domestic corporation was granted a new conceptual element of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Since then, any foreign corporation can be treated as a domestic corporation in Korea, when the foreign corporation has its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in Korea, even though the headquarters or main office of the foreign corporation is located abroad. Determina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new conceptual element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totally depends on the arbitrary judgment of the National Tax Service, because concrete criteria of the conceptual element of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are not prescribed under the text of corporate tax law. As such, it is totally requested that the definition of domestic corporation is revised as a system of legislative consideration. In other words, a foreign corporation can be considered a domestic corporation, when the foreign corporation was established abroad under the purpose of tax avoidance in abroad and its important business decision making was made in Korea. This will raise the predictability and expectability of corporate taxation of foreign corporations in Korea. 리 「법인세법」은 그 제정당시로부터는 내국법인 또는 외국법인의 개념을 그 본점 또는 주사무소의 소재지를 중심으로 파악하여 왔었다. 그러다가 내국법인의 개념정의에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라는 개념요소가 병렬적으로 추가된 것은 2005년 말의 일이다. 그러나 독일의 입법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법인세법에서 내국법인 또는 외국법인을 개념 정의하여야 할 필요성은 그리 크지 않다. 오히려 종전처럼 본점 또는 주사무소의 소재지를 중심으로 내국법인 또는 외국법인의 개념을 파악하더라도 조세회피의 목적으로 국외에 법인설립을 하고 사실상 또는 효과적인 사업의 지배관리를 국내에서 하는 경우 내국법인으로 의제하는 규정을 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2005년말 당시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 개념을 도입한 입법취지를 살릴 수 있다. 아무런 보완입법이나 완화장치를 두지 않고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자의적으로 이 개념이 해석․적용되도록 하는 것은 비례성원칙에 위반하여 거주이전의 자유, 기업활동(영업)의 자유를 본질적으로 침해하고 납세자간 과세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헌법이 보장하는 체계정당성 원칙에 반하는 위헌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국외에 설립된 외국법인은 우리나라에 어떤 형태로든 함부로 진출할 경우 우리나라 내국법인으로 취급되어 대한민국의 무제한적 법인세납세의무를 지게 될 것인데, 과연 어떤 경우에 구체적으로 내국법인으로 취급되는지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조세법률관계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과세의 예측가능성과 기대가능성을 침해하여 법치주의원칙에 반하는 결과를 납세자에게 강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현행 법인세법상 내국법인 개념은 그 자체 위헌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조속히 이를 시정하기 위한 입법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가 국내에 있다고 보이는 경우 그 법인은 내국법인이어서 우리나라 법인세의 무제한적 납세의무를 지는 것이 아니라 외국법인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에 그 회사를 설립한 것이 조세회피의 목적에 기인한 것이고 그 사업의 실질적 관리장소가 대한민국 국내에 있는 이상 대한민국의 내국법인으로 의제되어 무제한적 법인세 납세의무를 지는 것임을 입법상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비영리 재단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이재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07 경영과 정보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legal classification of non-profit corporation, to check the pattern of non-profit corporation, to examine thoroughly the present condition of non-profit corporation, and to make a good solution of the problems of non-profit corpo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non-profit corpo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unclear understanding of non-profit corporation and an public fund, Second, a board of directors and a founder control an aim of non-profit corporation freely, Third, there is an unclear management of activity and accounts of non-profit corporation, forth, there is an vague mission of foundation, fifth, some of non-profit corporation supported social welfare project for marketing strategy. and the last non-profit corporation made an competition unnecessarily. On the basis of study result, the researcher make some suggestion for an revitalizing of non-profit corporation. First, it is very important of making a clear mission to manage the non-profit corporation. Second, there is an autonomy and neutrality of non-profit corporation. Third, we make an irrational law better, forth, we make a settled the donation culture. and the last it is necessary of make 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