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수면문제의 관계 : 어머니의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Xinyu Gu,Myoung Ho Hyun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18 한몽경상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아동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데 어머니의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총 136쌍의 어머니와 아동(남아=67; 여아=69)을 모집하여 설문지를 완료하도록 하였다. 어머니의 평균연령은 35.7(SD=3.618)세였고, 아동의 평균연령은 4.65세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우울은 MPS와 BDI-Ⅱ로 측정하였고, 아 동의 수면문제는 Sleep-Waking Questionnaire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총 완벽주의가 어머니의 우 울과 아동의 수면문제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에서도 보였 다. 그러나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수면문제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매개분석 결과는 어머니의 총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부분매개효 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아동의 수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로에 어머니의 우울을 통해 아동의 수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role of mother's depre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children' sleep problem. one hundred and thirty six pairs of mother and children(boys=67; girls=69)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mean age of children was 4.65(SD=.991), and mothers' was 35.7(SD=3.618). Mother‘’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as assessed by MPS and BDI-Ⅱ, children’s sleep problem was estimated by Sleep-Waking Questionnaire. The result that mother's total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n predict children' sleep problem was verified. But mothe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ffects children' sleep problem insignificantly. And mother'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 sleep. Result of the mediation model was that mother's depression played a role of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total perfectionism and children' sleep problem. In detail, self-oriented perfection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children' sleep proble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lay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children' sleep problem. However, other-oriented perfectionism did not has significant correction with children' sleep problem, so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did not exist.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perfectionism may not affect children' sleep problem directly but through depression.

      • KCI등재

        어머니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자녀 정신건강의 차이

        심혜원 ( Haw-won Shim ),김재룡 ( Jae-ryong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라 자녀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소재 3개 초등학교 5,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 457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어머니의 실수에 대한 염려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낮은 집단의 자녀에 비해 우울과 정신건강 총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기기준 및 부모의 기대 집단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부모의 비난이 높은 집단의 자녀가 낮은 집단의 자녀에 비해 대인예민증, 우울, 강박증, 정신건강 총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수행에 대한 의심이 높은 집단의 자녀가 낮은 집단의 자녀에 비해 대인예민증, 우울, 정신건강 총점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조직화가 높은 집단의 자녀가 낮은 집단의 자녀에 비해 대인예민증, 적대감, 우울, 강박증, 정신건강 총점 모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자녀의 정신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화 성향이 높은 어머니는 자녀의 삶을 예측하고 계획하고 대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자녀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w perfectionist characteristics of mothers affect me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We conducted a survey for 5th and 6th graders at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jeon City and Province of Chungcheongnam-do and their four hundred and fifty-seven mothers. In order to measure mothers’ propensity for perfectionism,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lso,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mental health, we use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children of mothers who are more worried about making mistakes are more depressed and not healthy emotionally compared with the children of mothers who are no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mental health between the group of children of mothers who hold high standards for themselves and the group of children of mothers who hold low standards for themselves. Third, the children of mothers who were severely criticized by their parents were more sensitive to relationship with people, more depressed, and not healthy emotionally than the children of mothers who were not severely criticized by their parents. Fourth, the children of mothers who have high doubt about their actions were more sensitive to relationship with people, more depressed, and not healthy emotionally than the children of mothers who do not. Fifth, the children of mothers who are highly organized are less sensitive to relationship with people, less hostile, less depressed, less obsessed, and healthier than the children of mothers who are less organized. In conclusion, mothers' perfectionism affects their children's mental health negatively. However, mothers who are highly organized affect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stability positively because they expect, plan, and prepare properly for their children's life.

      •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향과 완벽주의 및 심리적 통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왕해경(Hae-kyoung Wang),한세영(Sae-young Ha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withdraw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3 mothers of 3, 4, and 5-years-old children who were attending to 7 public kindergartens and 1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Cheongju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ndicated that mother's neurotic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criticism, and unstable emo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depression. That is, the more neuroticism, the les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more psychological control like criticism and unstable emotion mothers showed, the higher young children's depression was. Second, it revealed that mother's neuroticism and criticism and love withdrawa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anxiety. That is, children of mothers with more neuroticism and psychological control like criticism and love withdrawal showed higher anxiety.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mother's neurotic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withdrawal. That is, the more neuroticism mothers showed, the higher young children's withdrawal was.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매개로

        김상희,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 부적응적 완벽주의, 인정욕구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초등영재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인정욕구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표본은 수도권에 위치한 10개 초등학교 5, 6학년생 736명이며(영재: 352명, 일반: 384명), 이들에게 초등영재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척도, 자녀의 사회불안 척도, 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 인정욕구 척도를 실시하여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녀의 사회불안, 부적응적 완벽주의, 인정욕구의 일반적인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영재집단과 일반집단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인정욕구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부모기대와 실수염려 변인에서 영재집단이 일반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 불안척도의 수행불안과 회피행동 및 사고에서 영재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불안감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영재집단과 일반집단 모두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사회적 불안으로 가는 경로와 심리적 통제에서 사회적 불안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인정욕구를 매개하여 자녀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 어머니의 심리 통제적 양육태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자녀의 인정욕구 성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타인으로 부터의 인정욕구와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더 취약할 수 있는 영재학생을 위해 상담 및 부모교육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hip among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l anxiet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eed for approva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eed for approval. The sample for this study includes a total of 736 fifth and sixth graders(gifted group: 352, non-gifted group: 384) enrolled in t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ollows. In order to capture the general tendencies and gender difference i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hild’s social anxiet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eed for approval,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while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used for verifying mediation effec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ifted group and non-gifted group in their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need for approval. In maladaptive perfectionism, gif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al expectation and concern over mistake than non-gifted group. In social anxiety, gifted group showed lower anxiety level in the aspects of performance anxiety and avoiding behavior/thinking than non-gifted group. In both groups the path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social anxiety and the path from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o social anxiety were not significant. Most interestingly, the path from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o social anxiety were mediated by the need for approval. This research implies that in order to lower children’s social anxiety level, it is important not only to ameliorate mother’s psychologically controlling child-rearing attitude, but also to decrease children’s tendency for approval. The need for counseling and parental education is discussed for gifted students who can be more vulnerable to parental control and the desire for approval.

      • KCI등재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 여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모형

        김희영,박성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to examine the pathways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controls o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261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s. As a results, mothe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all of psychological control (love withdrawal, success-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guilt feeling generating psychological control) on girl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mothe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indirectly boy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rough guilt feeling generated psychological control. To conclude, the effects of mother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ere stronger for girls than for boy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5-6학년 261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직접적으로 또는 심리적 통제(성취지향적 심리적 통제, 죄의식을 유발하는 심리적 통제, 애정철회적 심리적 통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여아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는 죄의식을 유발하는 심리적 통제를 통해서만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타인지향적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성에 따라 다른 경로로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남아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판 아동 역기능적 태도척도(K-DAS-C)의 요인구조

        신현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translate th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 as developed by D'Alessandro and Burton (2006) to a Korean version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Scale (K-DAS-C) in 187 Korean 5-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onsistent results from several previous studies may have been due to the different methods of factor analysis and translation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version. Therefo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factor extraction was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a two-factor solution was obtaine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alyses showed that each factor from the K-DAS-C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adequate seven-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tructure scores from the K-DAS-C and Global Self-Esteem Scale supported concurrent validity of the K-DAS-C. Particularly, scores related to self-esteem and self-critical perfectionism were more negatively correlated than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Thus,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uld be regarded as a cognitive vulnerability of depression, whereas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could not. However, these two factors could play a different role in cognitive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ccording to age. This study established that the Korean Scale for measuring dysfunctional attitudes could be interpreted by two factors and ha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when used for Korean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Korean scal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studies of vulnerability of depression and outcomes of preventive interventions.

      • KCI등재

        아동의 인정욕구,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상현,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1 초등상담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정욕구가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변인인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에 기여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 등학교 4, 5, 6학년 아동 629명에게 아동용 인정욕구 척도, 완벽주의 척도, 자기자비 척도, 학업소진 척도 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PROCESS Macro 3.5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아동의 인정욕구는 완벽주의, 학업소진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 다. 그리고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 학업소진과 강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자기자비와 학업 소진은 강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정욕구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인정욕구가 완벽주의를 거쳐 학업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확인한 결과, 두 가지 효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정욕구가 완벽주의를 거쳐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자 비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자비의 세 가지 수준(M-1SD, M, M+1SD) 모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업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인정욕구와 완벽주의 성향을 완 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활발히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치료적 상담과 함께 자 기자비와 같은 아동의 잠재적 능력을 계발시켜 주는 방향의 개입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 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고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perfectionism and based self 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ed for approval and academic burnout. We assessed need for approval, perfectionism, self compassion, academic burnout by studying 629 fourth- and fifth-grade children in Gyeongsangnamdo. We analyzed the data through PROCESS Macro 3.5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concerning the role of moderated mediating.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need for approval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negatively related to self compasion. Also,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burnout, however negatively related to self compasion. self compa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burnou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need for approval on academic burnout and the indirect effect of need for approval on academic burnout through perfectionism, both effects are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self compassion affected the extent to which perfectionism was able to mediate need for approval and academic burnout. Four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when all the level(high, average, low) of self compassion.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programs to alleviate children’s need for approval and perfectionism need to be actively operated at the school to prevent academic burnout, along with these therapeutic consultations, as well as involvement in directions that develop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such as self-compass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a children’s counseling and program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어머니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통제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김예진,이동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4

        This study investigates materna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controlling behaviors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Overall, 402 mothers with children aged 2-5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e were analyzed by SPSS 25 and AMOS 25.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maladaptive perfectionism predicted their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hich was mediated by maladaptive materna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ut not by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s. Specifically, maladaptive maternal cogni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s designed to facilitate the adaptive cognitive coping skills for mothers with maladaptive perfectionism.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통제적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세 ~ 만 5세의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통제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간접효과의 크기와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녀의 문제행동에서 어머니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완전 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자녀의 문제행동에서 어머니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통제적 양육행동의 순차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체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모 상담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개입의 초점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 완벽주의 성향, 아동의 인정욕구 군집에 따른 아동 우울감의 차이

        김미경,이은진,이지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4

        This study looked into how 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perfectionism, child’s approval motivation are related to child’s depression. Also, the study aimed to seek ways to help child who are experiencing depression by discovering the difference shown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level of clusters and a profile by cluster in 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perfectionism, child’s approval motiv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had a total of 361 four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parents in the capital area.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cessed by SPSS WIN 18.0 A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perfectionism, child’s approval motivation, child’s depression), the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hen, the study performed a 2-step cluster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cluster pattern. and also carried out a one-way ANOVA so that it could discover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by cluster. A result of reviewing obtained four types of groups including a normal attachment, low standards and low approval motivation group, a secure attachment, unrelenting standards, and middle of approval motivation group, a anxiety attachment, low standards and high approval motivation group. a avoidance attachment, unrelenting standards and high approval motivation group. next, depression was showed higher in the group 3 and 4 comparing group 1 at level of 0.001.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relevant findings in the extent literature.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완벽주의 경향, 그리고 아동의 인정욕구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과 완벽주의 경향, 아동의 인정욕구가 조합되면서 어떤 자연발생적 군집이 발생되었는지, 이러한 군집에 따라 아동의 우울감이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4∼6 남녀생과 그들의 어머니 361쌍이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완벽주의 경향 사이, 어머니의 완벽주의 경향과 아동의 인정욕구 하위 변인 중에 칭찬과 인정욕구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과 완벽주의 경향 각각은 아동의 우울과 상관은 보이지 않았지만, 아동의 우울은 아동의 인정욕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 완벽주의 경향, 아동의 인정욕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군집을 알아보기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집단(일반애착, 낮은 기준, 낮은 인정욕구/ 안정애착, 가혹 기준, 중간 인정욕구/ 몰입애착, 낮은 기준, 높은 인정욕구/ 회피애착, 가혹 기준, 높은 인정욕구)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 완벽주의 경향, 아동의 인정욕구 수준에 따른 4개의 군집들 간 아동 우울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은 군집 3(몰입애착, 낮은 기준, 높은 인정욕구)과 군집 4(회피애착, 가혹 기준, 높은 인정욕구)가 군집 1(일반애착, 낮은 기준, 낮은 인정욕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