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한기순,윤소영,심승엽,김순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교육학 분야 메타분석 708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 실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01년 이후 KCI에 발표된 국내 교육학 관련 메타분석 논문 70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중 1차 연구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한 80편을 선별하고 연도별, 세부 주제별, 질 평가 도구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아울러 대표적인 1차 연구 질 평가 도구인 RoB2와 ROBINS-I의 질 평가 사례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분석에서 1차 연구의 질 평가를 보고하는 비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나 최근 3년간(2021~2023년) 16.2%로 전체 비율은 높지 않았다. 둘째, 주제별로 분석했을 때 특수교육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1차 연구 질 평가 보고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질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에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경우는 1편에 불과하여, 질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논의 및 결론: 교육학에서 메타분석 연구는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투입될 1차 연구의 품질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에서, 질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 결과를 보고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in educational meta-analysis, focusing on 708 meta-analys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rom 2001 to 2023. Method: We selected and analyzed 708 meta-analysis papers related to education that were published in the KCI after 2001. Among them, we singled out 80 papers that conducted quality assessments of the primary studies, analyzing them according to year, specific topic, and type of quality assessment tool. In addition, we reported quality assessment cases using the representative quality assessment tools for primary studies, RoB2, and ROBINS-I. Results: Firstly, the reporting rate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 in meta-analysi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yet the overall rate remains low, accounting for just 16.2% over the past three years (2021-2023). Secondly, when analyzed by topic,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er rate of reporting for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Thirdly, there was only one case where a stud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its quality assessment results not meeting the criteria, indicating a lack of efforts to ac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quality assessments. Over 60 meta-analysis papers in the field of domestic education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annually since 2018. Despite the solid presence of meta-analysis research in education, there is still a lack of efforts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primary research to be incorporated.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quality assessments, and presenting cases of reporting assessment results using sample data in a situation where such efforts are still lacking.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원격수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온라인뉴스 댓글 테마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개학 전면 시행 후 초·중·고 원격수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4월 20일 원격수업 전면 시행에 대한 온라인 뉴스 및 9월 14일~17일 보도된 교육부의 쌍방향수업 확대시행에 대한 온라인 뉴스의 댓글을 선별하여 테마분석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대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교육계에 대한 반감 및 부정적인 인식이 짙어졌다. 둘째, 쌍방향수업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기는 하나 서버폭주와 접속불가와 같은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초등교육의 경우 돌봄의 문제와 매우 밀접하게 맞닿아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상황과 수업만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원격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 변화로 학생-교사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제고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원격수업 상황이 지속될수록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 모두 불안감이 심화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 교육의 상황과 대중의 인식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미래교육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 percep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stance learning classes according to COVID-19. Desig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by selecting the online news on the full implementation of distance learning on April 20, 2020 and the online news on the expans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orted on September 14-17. Results: First, as distance learning progresses, antipathy and negative perceptions of education have increased. Second, although the technical problems related to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platform still remain, the overall problem seems to have been resolv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n the case of elementary education,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care. Fourth, it is necessary to think deeply about the learning sit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learning. Fifth, it is necessary to look again at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caused by online education. Lastl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nxiety of both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increasing as distance learning continues. Value: Recogn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vidence-based education and public percep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future education directions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기순,배미란,박인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현재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Sternberg (1988, 1990)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사고양식의 특성을 밝히고,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자유주의적이고 입법적인 성향, 그리고 사법적인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집행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성향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적합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고양식은 지능검사 및 과학적 탐구능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었지만, 창의성 검사와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즉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TTCT검사의 독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유창성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법적인 양식은 독창성 및 융통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사고양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과학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nk in terms of Thinking Style Inventory based on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thinking styles,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wo hundred and sixty-six middled school students (169 boys, 97 girls) who enrolled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liberal, jud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general students, known to be related to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executive and conventional styl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y of thinking style sub measures and Raven' Matrices and Scientific Aptitude Test, but som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sub measures of thinking style and TTCT. Whereas liberal students gained high originality scores, conventional students gained low fluency scores. Also, judical thinking styl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riginality and flexibility TTCT sub scores. In sum, this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yl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 KCI등재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기순,양태연,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단계 선발방법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과 새로운 전형인 관찰추천제도로 선발된 영재아동의 지능, 자기조절 학습능력, 진로유형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영재 선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교사 추천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능은 기존의 3단계 전형에 의해 선발된 영재(IQ=129.82)들과 관찰 추천제에 의해 선발된 영재들(IQ=130.54)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영역별로 살펴보면, 어휘적용력이나 이해력, 도식화 능력 등은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유형의 경우는 선발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존 선발전형의 영재들은 탐구형(72%)이 월등히 많은 반면,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은 탐구형을 포함하여 기업형, 사회형, 실제형, 관습형 등의 유형분포가 기존의 선발시험제도 영재들 보다 넓게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에서는 과제인식, 학습신념의 통제가 기존 선발시험제도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며, 시험불안, 시연, 정교화, 조직화, 동료학습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로 선발된 영재들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paper and pencil test utilize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so far to the recent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intelligence, career patterns,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ose two different identification syst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newly introduced teacher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overall IQ score. However,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at some subscores of intelligence test, such as vocabulary application, comprehension, and schematization. In the aspects of career patterns, about 72% of gifted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vious paper and pencil test belonged to the 'investigative' category of Holland. But more diverse career patterns such as enterprising, social, realistic, conventional including investigative categories were found in those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the observation-recommendation system.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자유학기제 시행 후 진로성숙도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시행중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 메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계량화 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고 최종 29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65개의 개별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모집단의 값이 86.67로 이질하여 랜덤효과 크기로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총 효과 크기는 .507 이었고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은 .365에서 .603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의 효과 크기는 크게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영역으로 살펴보았으며, 행동영역 평균 효과 크기는 .424, 태도영역은 .439, 능력영역은 .5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에 따른 평균 효과 크기는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이 1.25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예술・체육활동 운영모형 .674, 선택프로그램 활동 운영모형 .538, 진로탐색 활동 운영모형은 .38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유학기제는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 및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의 자유학기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meta-analysis. To understand this, the studi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free learning semester were statistically quantified using meta-analysis approach. Design: Researchers selected and analyzed 29 primary studies using meta-analysis which reported effects of career maturity. The effect size of the career maturity subcategory was divided into attitude area, ability area and behavior area. In addition, the effect siz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intensive operation model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studen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s of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areas were .439, .575, .42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model, the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club activities(1.252), arts and sports activities(.674), student selection program(.538), and career exploration(.383). Valu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of the vast amount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분석 : 개념도 기법을 활용하여

        한기순,이영미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영재 자녀를 둔 12명의 어머니들이 지각하고 있는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진술문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79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이들 79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273의 stress 값을 얻었다. 또한 101명의 영재아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도출된 양육 스트레스를 얼마나 공감하고 경험하는가를 물었다. 다차원 척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별 진술문들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범주의 개수는 총 3개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위계적 군집 분석결과 도출된 군집에 대한 명명은 좌표 상에 표시된 진술문들의 상대적 위치, 범주에 묶인 진술문 내용과 연구 참여자들이 카드분류 단계에서 기술한 범주 명을 고려하여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영재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부정적인 행동 특성’, ‘영재라는 타이틀의 자부심과 그 이면’으로 명명하였다. 영재부모로서의 부담과 갈등 범주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여 이 범주와 관련한 양육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의 진로에 대한 어떠한 구체적인 도움을 주어야 하는지 걱정이다(M =4.65)’,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면서도 불안한 마음에 자녀의 행동에 개입하는 것이 많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게 된다(M =4.60)’, ‘초등학교 시절에서 영재과정을 마친 후, 다음 단계에서도 영재로 선발되기 위해 뒷받침을 잘 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M =4.46)’, ‘시간적, 물질적 투자의 부재로 인하여 자녀가 소질을 더 계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있다(M =4.44)’, ‘부모의 높은 기대 때문에 자녀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아 미안하다(M =4.43)’ 등의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이와 관련한 영재어머니들의 스트레스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 자녀 및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gifted students’ mothers' rearing stress based on the concept mapping method. For this, 12 gifted students' mothers solicited, gathered and analyzed related statements,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stress value was .273 which was appropriate for the two level concept mapping study. In addition 101 mothers of gifted students rated for the rearing stresses they experi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9 concrete statements were solici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were categorized as ‘burden and conflict as mothers of the gifted’, ‘possible negativ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iftedness’, and‘self-esteem and pressure by the title of the gifted’. Especially following items showed relatively high average: worrying about how to give the child a specific help for his/her career(M=4.65); worrying that she might be intervening too much in their child’s behaviors(M=4.60); getting pressured supporting the child to get involved i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continually(M=4.46); worrying if her child is not developing his/her talent enough due to the lack of time and money(M=4.44); being concerned that her high expectations might be putting her child under too much pressure (M=4.43).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탐색

        한기순,공영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사가 지각하는 다양한 영재교사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탐색해 보고,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 등 총 10개 교육청 소속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사 183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개 요인(영재교사의 역할 정체성, 영재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영재교육에 대한 지원 및 보상, 영재교육 관련 대인 관계) 27문항으로 구성된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교사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의적 교수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또한 영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창의적 교수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특성 및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사 정책 및 영재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job stress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of gifted student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the role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of gifted students on their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For this purpose, 183 teachers of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ment to measure gifte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it was composed of 27 questions in 4 factors which were 'gifted education teacher's role identity',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gifted', 'support and reward system for teaching the gifted', 'personal relationship related to gifted educa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Gifted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especially 'gifted education teacher's role identity'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Third, teacher efficacy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but revealed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creative teaching activities, utilizing the Baron and Kenny's three 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mplica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was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 결정요인 분석

        한기순,박유진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사교육 실태를 비교하고, 이들 및 이들의 부모가 인식하는 사교육 참여결정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의 95.9%, 일반학생의 94.6%가 현재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어 영재여부에 상관 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교육 형태는 ‘학원 수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받고 있는 사교육 과목은 영어와 수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사교육을 위해 보내는 시간은 2~3시간이 가장 많았다. 자녀의 월 평균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영재와 일반 모두에서 한 자녀 당 ‘40~6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교육실태와 관련된 항목 대부분에서 영재와 일반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교육참여결정 요인과 관련해서는 영재학생의 경우 ‘학습관련능력 배양’ 요인, ‘학교 성적 관리’ 요인, ‘주변의 영향’ 요인 순으로, 일반학생과 일반학부모의 경우에는 ‘학습관련능력 배양’ 요인, ‘학교 성적 관리’ 요인 순으로 사교육 참여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소 상이하게 영재 학생 학부모는 ‘학습관련능력 배양’과 ‘진학’을 위해 사교육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가 실천적 맥락에서 논의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find out current status and key factors of attendance in privat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95.9% of gifted students and 94.6% of general students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Most percentages of students took English and math programs at the private institutes. Average amount of time students spend for private education was 2~3 hours per day, and most percentage of parents spent 400,000~600,000 won per month for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the aspects of private education statuses. Regarding the key factors of attendance in private education, improvement of study related skills, school grade management, and influences of surroundings, such as parents and friends, were show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gifted students group. Interestingly, influences of surroundings showed negative effect. For genera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mprovement of study related skills and school grade management facto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for the parents of gifted students, improvement of study related skills and entering higher level schools appeared as significant factors for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탐색

        한기순,김희정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78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두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 하여 Sternberg의 사고양식 검사와 Grasha Rei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Questionnaire(GRSLSQ)가 활용되었다.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의 경우 입법형, 사법형, 지엽형, 자유주의형, 계급형, 외부지향적인 사고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 양식과 관련하여서는 의존형보다는 독립형, 협동형보다는 경쟁형, 회피형보다는 참여 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두 변인 군 간의 공유변량이 59%(Rc=.77)로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에 상당히 유의하고 밀접한 관련 이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정준함수 1의 독립변인 군에서는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양식 순으로 높은 정준교차부하량을 지닌 유의 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군의 경우에는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 양식이 높을수록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학습 양식 선호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영재들의 특성 이해 및 향후 양식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가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