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용보컬 기초발성과 호흡 훈련의 실기교육 사례 연구

        이현숙,오한승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실용보컬 전공 개인 수업을 통한 체계적인 발성 교육을 실제 사례를 통해 적용하고 지도하여 학기 말 시점에 학생들의 피드백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 클래식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객관적인 발성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과제로 ‘콘코네’와 버클리 음대 발성 교재의 일부분을 활용하였다. 또한 발성에 도움을 줄수 있는 추가적인 호흡 훈련도 실시하였다. 15주 동안의 실습 교육을 마친 후 학생들은 모두 이들 발성 과제들이 자신들의 가창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와 도움이 되었다고 설문조사에 답하였는데, 이는이들 발성 훈련 도구들이 실용음악 보컬 지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훈련 도구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용음악 보컬 교육에 있어서 교수자와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과 집중 실습 교육이 가능한 1:1 도제식 수업이 매우 효과적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lied and guided systematic vocal education through private lessons for practical vocal majors through actual cases, qualitatively analyzed post-student feedback, and argued this. For this purpose, an objective vocal theory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classical vocal music and practical music vocals was presented, and based on this, ‘Concone’ and parts of Berklee College of Music’s vocal textbook were used as students’ assignments. Additional breathing exercises were also conducted to help with vocalization. After completing 15 weeks of practical training, all students responded to a survey that these vocal tasks had a positive effect and help on their singing, indicating that these vocal training tools are meaningful training tools in practical music vocal instruction. It can be seen as meaning. In addition, it was indirectly confirmed that 1:1 apprenticeship classes that allow interaction and intensive hands-on training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re very effective in practical music vocal education.

      • KCI등재

        Longitudinal Study of Vocal Development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생후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일반 아동의 초기 발성의 유형별 비율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출생 전-중-후 특이사항이 없는 일반 아동 13명으로부터 9개월부터 18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음성 샘플을 수집하였다. 아동의 음성 샘플을 발성 단위로 분절한 뒤에 음절구조 포함여부에 따라 크게 전 음절성 발성과 음절성 발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절한 발성을 초기 발성의 대표적인 하위유형 8가지로 분류하여 9, 12, 15, 18개월마다 전체 발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구해 월령에 따라 각 하위유형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전 음절성 발성은 생후 9-12개월에는 음절성 발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여 15-18개월에는 자음이 포함된 음절성 발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8가지 하위 발성 유형 중에서 완전공명음, 자음-모음 구조의 기본 음절 옹알이, 변형적 옹알이와 다음절 옹알이, 자곤이 각각 월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음절성 발성과 각 하위유형이 9개월 이후 월령에 따른 말 발달을 유의하게 나타내어 비교적 음절구조 유형의 출현과 형태 여부로 말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 아동에게서 관찰되는 초기 발성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early vocalizations in 9- to 18-month-old children acquiring Korean based on the proportion of vocalization types. Methods: Audio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 typically-developing children in Korean monolingual environments at 9, 12, 15, and 18 months. Audio samples were segmented into each vocalization based on breath group or 2 seconds of silence between vocalizations. Each vocalization was broadly classified as a precanonical or canonical vocalization and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8 subtypes of vocalization. The proportion of each subtype was obtained, and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subtypes from 9 to 18 month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precanonical vocalizations was higher than those of canonical vocalization including consonants and syllable structures at 9 and 12 months and subsequently, the proportions of precanonical vocalizations decreased and were lower than those of canonical vocalizations. Among the eight subtypes of vocalizations, fully resonant sounds, canonical babblings, variegated babblings, multiple syllable babblings and jarg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tatus of early speech development can be examined based on onset and types of syllable structures in early vocalization. The study discussed that Korean-specific characteristics might exist in early vocalization.

      • 보컬 디렉터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조태선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8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3 No.-

        Producing is the most typical way of popular-music making method. It means producer acts as a commander for music making. Music producer choose songs to record and arrange music and so on. With the producer vocal-directo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too. The role of the vocal-director means to arrange vocal part for the singer during the recording procedure. Therefore the vocal -director's mission is to make the music best for the singer by interpreting score right. Until now, the domain of the vocal trainer is limited to work in recording studio work. Vocal-director should cooperate with singer from the training period. Actually in the recording field vocal-director has confronted with limits to make the singer to find its new variation of voice. Making its own identi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popular singers. So the vocal-director should work together with the singer for making its own identity from the pre-training period .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role of vocal director and the method of vocal-directing. 음악제작 방식의 전문화과정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프로듀서이다. 이는 책임자를 두어 음반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프로듀서는 곡 선정에서부터 음악 편곡 등 전 분야를 총지휘하는 지휘관 역할을 하게 된다. 프로듀서와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보컬디렉터이다. 보컬 디렉터는 녹음작업에 있어 보컬부분만을 전담하는 전문가이다. 따라서 원곡의 해석에 충실하여 가수가 발휘할 수 있는 최대한의 완성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보컬디렉터의 역할인데 그동안 보컬디렉터의 영역은 주로 녹음실에서의 작업에 국한되었다. 사실 보컬디렉터는 가수가 소리를 만들어가는 연습 과정에서부터 함께 훈련해야 하는데 녹음과정에만 참여하다보니 목소리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인만의 개성이 생명인 대중가수의 경우 개성의 창출은 중요한 과제이며, 따라서 개성을 만들어 내기 위한 사전 훈련부터 보컬디렉터의 역할은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컬디렉터의 역할과 가장 바람직한 보컬디렉팅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 KCI등재

        우리나라 영유아의 발성발달 연구

        김진숙,조은빛,마선미,박연경,윤지은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 ∼ 18 months old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with production pattern,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ystematical structured rehabilitation program to induce normal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hearing impaired infants. Thirty normal hearing infants participated in study. At first, this study analyzed early vocal development of 1 ~ 18 months infants to analyze normal hearing normal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AEVD-R. They were divided into six age groups, 1 ∼ 2, 3 ∼ 5, 6 ∼ 8, 9 ∼ 12, 13 ∼ 15, 16 ∼ 18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vocal development of 1 ~ 18 month infants with normal hearing produced plenty of the low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egetative sound, crying, quasi-resonant nuclei decreased. But the high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owels, consonants, and monosyllables increased as they grow. Infants started to produce vowels, /a/(/ㅏ/), /w/(/ㅡ/), /e/(/ㅔ/), from 3 month, /ʌ/(/ㅓ/), /o/(/ㅗ/), /ɛ/(/ㅐ/), /i/(/ㅣ/), /u/(/ㅜ/) at 4 ∼ 5 months, and /wi/(/ㅟ/), /ɸ/(/ㅚ/), /ju/(/ㅠ/), /wʌ/(/ㅝ/), /jo/(/ㅛ/) diphthongs at 16∼18 months. When the consonant produc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bilabial sounds, such as /m/(/ㅁ/) and /b/(/ㅂ/) appeared first followed by velar sounds, such as /g/(/ ㄱ/), /m/(/ㅁ/) and labiodental sounds, such as /n/(/ㄴ/) and /d/(/ㄷ/).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rly vocal development pattern for normal Korean infants can be sorted. This study and other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AEVD-R is inadequate to assess and analyze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urately because it is focused on English mother tongue babys' early vocal development. And it showed slight difference on the order and amount of production for early vocalization. Further, the Korean assessment tool for early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infant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폐경 전, 후 여성에서 폐경의 예측인자로서 3차원 VOCAL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부피 측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김윤숙 ( Yoon Sook Kim ),전섭 ( Seob Jeon ),김종수 ( Jong Su Kim ),최승도 ( Seung Do Choi ),선우재근 ( Jae Gun Sunwoo ),신영우 ( Young Woo Shin ),배동한 ( Dong Han Ba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폐경 전후 여성에서 폐경의 예측인자로서 3차원 VOCAL 질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의 부피측정법, 난포수 측정, 나이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측정하여 각 지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에서 4월까지 3개월간 본원 산부인과 외래를 정기 검진 위해 방문한 35세에서 57세 사이의 폐경 전 여성 38명과 폐경 후 여성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래 방문시 면담을 통해 내, 외과적 질환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2차원과 3차원 VOCAL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연관관계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ROC curve를 이용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경 전의 여성이 유의하게 난소의 부피가 컸다 (p< 0.01). 2. 폐경 전의 여성이 유의하게 더 많은 수의 난포수를 가지고 있었다 (p< 0.01). 3.ROC curve에서는 난포수와 3차원 VOCAL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의 부피측정이 나이와 2차원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의 부피측정보다 폐경예측에 있어서 더 유의하게 민감하고 특이한 지표이었다. 폐경예측의 가장 좋은 cut-off points는 난소부피는 4 cm3 미만, 나이는 만 48세 이상, 난포수는 2개 이하일 때이었다. 결론: 폐경 전, 후의 여성에서 난소의 부피와 난포의 수는 다르다.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난포수와 3차원 VOCAL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의 부피측정이 폐경예측에 있어 유의한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3차원 VOCAL초음파를 난소의 부피측정에 이용하여 추가적인 이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ovarian volume using 3D VOCAL and 2D ultrasound, antral follicle count, and age as predictors of menopausal statu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emenopausal (n=38) and postmenopausal (n=23) healthy women aged between 35 and 57 years of age who were interviewed about social, demographic, and medical conditions. These women underwent transvaginal ultrasound using 3D VOCAL and 2D probe to determine ovarian volume. Chi-square test was appli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ovarian volume, antral follicle count, age and menopausal statu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were elaborated to evaluat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Results: Premenopausal women presented larger ovaries than postmenopausal women (p<0.01). Premenopausal women had a higher number of antral follicles than postmenopausal women (p<0.01). ROC curves showed that antral follicle count and ovarian volume using 3D VOCAL transvaginal probe were more sensitive and specific markers of menopausal status than age or ovarian volume using 2D transvaginal probe. Conclusions: Ovarian volume and antral follicle count differ according to age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data suggest that antral follicle count and ovarian volume using 3D VOCAL transvaginal probe are quite useful in predicting menopausal status.

      • KCI등재후보

        보컬 디렉터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조태선(Tae Seon Cho)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08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3 No.-

        음악제작 방식의 전문화과정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프로듀서이다. 이는 책임자를 두어 음반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프로듀서는 곡 선정에서부터 음악 편곡 등 전 분야를 총지휘하는 지휘관 역할을 하게 된다. 프로듀서와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보컬디렉터이다. 보컬 디렉터는 녹음작업에 있어 보컬부분만을 전담하는 전문가이다. 따라서 원곡의 해석에 충실하여 가수가 발휘할 수 있는 최대한의 완성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보컬디렉터의 역할인데 그동안 보컬디렉터의 영역은 주로 녹음실에서의 작업에 국한되었다. 사실 보컬디렉터는 가수가 소리를 만들어가는 연습 과정에서부터 함께 훈련해야 하는데 녹음과정에만 참여하다보니 목소리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인만의 개성이 생명인 대중가수의 경우 개성의 창출은 중요한 과제이며, 따라서 개성을 만들어 내기 위한 사전 훈련부터 보컬디렉터의 역할은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컬디렉터의 역할과 가장 바람직한 보컬디렉팅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Producing is the most typical way of popular-music making method. It means producer acts as a commander for music making. Music producer choose songs to record and arrange music and so on. With the producer vocal-directo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too. The role of the vocal-director means to arrange vocal part for the singer during the recording procedure. Therefore the vocal -director s mission is to make the music best for the singer by interpreting score right. Until now, the domain of the vocal trainer is limited to work in recording studio work. Vocal-director should cooperate with singer from the training period. Actually in the recording field vocal-director has confronted with limits to make the singer to find its new variation of voice. Making its own identi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popular singers. So the vocal-director should work together with the singer for making its own identity from the pre-training period .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role of vocal director and the method of vocal-directing.

      • KCI등재후보

        이미지발성의 심리적 요인과 성구융합의 생리적 요인의 상관성으로 본 가창법 고찰

        임중목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6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5 No.2

        The voice is the oscillation frequency produced by the breathing through the vocal cord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related mechanism in respect of vital organs of human body like lung and diaphragm which control the respiratory system by making air pressure for abdominal breathing and vocal register fusion. In connection with the mechanism of vocalization. This article classifes the role of vocal cords as human cenesthesia, while the vocal registers as pratical patterning. Drawing from the observation on vocals pursuing "consistent tone". This study takes the psition that the concept of spatial resonance of chest voice and head voice finally means the difference in producing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it should be concluded that the vocalism is composed of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eterminants, and therefore addressing the criterion of vocalism, it should consider several fators together ; the purification of vowel sounds, mental picture, and the position of vocal apparatus. 소리는 호흡이 성대를 거치면서 나오는 진동수이다. 호흡의 생성을 관장하는 핵심기관인 폐와 폐장에 흡입된 공기압을 조절해주는 횡격막, 상호작용하는 감각적 요소인 성구(聲區)구분과 융합작업, 복식호흡을 중심으로 관련 메카니즘을 고찰했다. 실제 운용되는 발성 메카니즘에서 체감적인 부분과 실체로서 일정한 양식을 가지는 요소로 성대와 성구의 역할을 분석했다. 가창자들의 “일관된 음색”의 목표를 연구한바 흉성과 두성의 공간적 공명개념은 성대진동 양식의 차이라는 실제적 현상과 복합적으로 이해된다. 이에 가창시 살펴야할 요인을 생리적 관점과 이미지발성이 주가 되는 심리적인 관점으로 나누어 접근했고 심상화한 모음의 순화와 발성기관의 위치와 운동성, 가창기능의 기준이 될 성구융합을 기술하였다. (복합적인 유기성으로 완성되는 가창법을 자생적 기준을 가지고 접근하여 학습자의 동기유발 및 고취를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발성이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시 상지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이명효(Myoung-Hyo Lee),최영철(Young-Chul Choi),김진상(Jin-Sa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본 연구는 발성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상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우측뇌 뇌졸중으로 인하여 좌측 편마비가 나타나는 17명으로 “아”라는 발성을 다양한 조건하에 수행하면서 마비측 팔을 이용하여 동시에 컵에 손을 뻗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네 가지 발성의 상황은 자가발성, 외부의 발성, 발성을 상상하고 발성이 없는 상황으로 하였다. 상지의 주요 근육(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중간삼각근, 상부승모근)에서 나타나는 근활성도(%RVC)를 MP1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상황별 비교에서 자가발성과 외부의 발성이 상완삼두근에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고(p<0.05), 상관관계 분석은 상완삼두근과 상완이두근에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777, p<0.05). 본 연구를 통하여 발성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시 상지 주요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뇌졸중 환자의 운동치료 시 발성의 적용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ocalization on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reaching task in patients with hemiplegia. Thirteen persons with right brain stroke performed reaching to a cup under four concurrent speech conditions of vocalizing the word “Ah” with hemiplegic side. These four conditions are self-vocalization, external vocalization, imaginary vocalization, and no vocalization. The muscle activity(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Middle deltoid, and Upper trapezius) were measured using MP150.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self-vocalization and external vocalization conditions compared to the muscle activity under imaginary vocalization and no vocalization conditions on triceps brachii muscle.(p<0.05). Triceps brachii musc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biceps brachii muscle(r=0.777,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vocalization and external vocalization can be used in facilitating upper extremity movements in patients with stroke. When working with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ic stroke, therapists might explore possibilities of using patient’s self-speech to enhance the quality of upper extremity movement performance.

      • KCI등재

        심상을 활용한 보컬 공감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황은지(Hwang, Eun Ji),한경훈(Han, Kyung Ho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본 연구는 보컬교육의 진보적 방향성 구축의 일환으로, 여타 학문과의 융합의과정을 통해 보컬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심상을 활용한 보컬교육안을 구안·적용하여 보컬전공자의 공감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J 대학교 경기도 캠퍼스와 충남 캠퍼스의 실용음악과에 재학 중인 보컬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이 호흡기관이나 발성기관 등의 기본적 조절력을 습득한 이후에 사용되는 심상 접근법이어야만 그 교육적 결과가 긍정적일수 있다는 선행연구 내용에 따라(문혜령 2013:17), 최소 6개월 이상 호흡, 발성과 같은 보컬 기초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2020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이며, 최종 참여대상은 총 52명이다. 참여자의 설문 응답 내용 분석을 위하여 SPSS windows 12.0K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의 항목 간내적 일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수자가 보컬교육에서 주로 활용하는 교육의 유형은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개념에 대한 응답분포 현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심상 이해정도’ 와 ‘공감증진력’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가창 행태에 나타난 변화는주요 가설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심상 이해정도와 공감증진력’ 사이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함께 확인하였다. 공감력모형의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 공감력 증진 교육이 참여자의 심상 이해정도를확대하는 것과 공감력 증진의 교육 반영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심층 면담에 참여한 학생의 의견을 종합하였을 때, 교육의 참여가 다양한 긍정적 생각의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자의 경우 본 교육의 효용성에 대하여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실제 교육으로도입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제재 곡의 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As part of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vocal education,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gence with other disciplin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empathy enhancement on vocal majors’ expansion by drawing up and applying a vocal education plan using imagery. Research work was conducted on vocal majors attending the applied music department at J University’s Gyeonggi and Chungnam campuse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conclusions that the educational results could only achieve a positive result for students through the imagery approach used after acquiring primary control of the respiratory or vocal organs, students were limited to those who had at least six months of experience in basic vocal training such as breathing and vocalizatio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2020, to May 20, 2020, with a total of 52 participants. The SPSS windows 12.0K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ponses of participants, and the influence was verified using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items used in the study, and the types of education that the professor mainly use in vocal education.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99% confidence level. Looking a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distribution status for the research concept, the ‘Degree of imagery understanding’, the ‘Empathy enhanc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changes in participants’ sing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significant hypotheses.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imagery and the empathy enhancement’. Also,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mpathy enhancement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for promoting empathy enhancemen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whether to expand participants’ imagery understanding and to reflect the education for promoting empathy enhancement. When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ast in-depth interview were synthesized,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education helped to prepare various positive thinking opportunities. In the case of professors,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They confirmed that professors and securing sanctioned songs were needed above all for actual education.

      • KCI등재

        Feline vocal communication

        Chloé Tavernier,Sohail Ahmed,Katherine Albro Houpt,Seong Chan Yeon 대한수의학회 2020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21 No.1

        Cat vocalizes to communicate with another and express their internal states. The vocal repertoire of the cat is wide and up to 21 different vocaliz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But it is more than probable that the repertoire contains more types of vocalizations. An ethogram was created in this paper describing the actual known vocalisations of the domestic cat based on an auditory classification. However, the audiogram allows also a visual classification which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vocalization differentiation. The classification can be risky as it is sometimes unclear if different types of vocalizations are produced in different environments or if a unique type of vocalization is used with variation in the acoustic parameters. As an example, isolation calls produced by kittens differ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vocal behaviour and thus feral cats and pet cats vocalize differently. Pet cats are thus able to create an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humans thanks to the flexibility of vocalisation behaviours. This review allowed us to create a simple model of the cat vocal reper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