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Arabidopsis homolog of human minor spliceosomal protein U11-48K plays a crucial role in U12 intron splicing and plant development

        Xu, Tao,Kim, Bo Mi,Kwak, Kyung Jin,Jung, Hyun Ju,Kang, Hunseu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Vol.67 No.11

        <P>The minor U12 introns are removed from precursor mRNAs by the U12 intron-specific minor spliceosome. Among the seven ribonucleoproteins unique to the minor spliceosome, denoted as U11/U12-20K, U11/U12-25K, U11/U12-31K, U11/U12-65K, U11-35K, U11-48K, and U11-59K, the roles of only U11/U12-31K and U11/U12-65K have been demonstrated in U12 intron splicing and plant development. Here, the functional role of the Arabidopsis homolog of human U11-48K in U12 intron splicing and the development of <I>Arabidopsis thaliana</I> was examined using transgenic knockdown plants. The <I>u11-48k</I> mutants exhibited several defects in growth and development, such as severely arrested primary inflorescence stems, formation of serrated leaves, production of many rosette leaves after bolting, and delayed senescence. The splicing of most U12 introns analyzed was impaired in the <I>u11-48k</I> mutan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licing defects and phenotypes among the <I>u11/u12-31k</I>, <I>u11-48k</I>, and <I>u11/12-65k</I> mutants showed that the severity of abnormal development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impairment in U12 intron splicing.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compelling evidence that the Arabidopsis homolog of human U11-48K protein, as well as U11/U12-31K and U11/U12-65K proteins, is necessary for correct splicing of U12 introns and normal plant growth and development.</P>

      • KCI등재

        박정희 정부의 수출 제일주의 정책과 재영 한인 사회의 형성

        김점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5 한국문화연구 Vol.29 No.-

        이 논문에서는 박정희 정부의 경제정책이 재영 한인 사회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박정희 정부의 수출 제일주의 정책은 한국의 경제발전이라는 프레임 속에서만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박정희 정부의 경제 정책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재외 한인 사회가 형성되는 주요 계기로 작용하였음을 영국의 사례를 통해 밝히고 있다. 종래 연구에서는 재영 한인 사회가 형성되는 주요한 역사적 계기로 중동 특수를 지적해 왔다. 하지만 재영 한인의 수적 증가는 중동 특수가 일어나기 전에도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1959년 말 47명에 불과했던 재영 한인의 수가 1967년에는 116명, 1971년에는 206명, 1975년에는 574명으로 늘어났다. 이 논문에서는 중동 특수가 일어나기 전부터 진행되고 있던 재영 한인의 수적 증가를 촉발시킨 역사적 계기로 박정희 정부의 수출 제일주의 정책에 주목하였다. 1962년 시작된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수입 대체 산업화를 표방하였으나 정부의 계획과는 달리 단순 가공품이 수출에서 계획 이상의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종래의 정책을 변경하여 수출을 성장의 엔진으로 하는 수출 제일주의 정책을 표방하였다. 1964년에 대영 수출에서 400만 불의 흑자를 기록하면서 영국이 한국 상품의 수출 시장으로 주목을 받았다. 또한 미국과 일본에 편중되어 있던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한국 상품의 유럽 진출이 모색되었고, 그 과정에서 영국은 한국 상품의 유럽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대영 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영 간 경제 교류가 확대되었고, 영국으로 출국한 한국인들의 수적 증가는 재영 한인 사회 형성의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는 재영 한인의 양적 증가를 초래하였다. 1979년에 체류자 중심의 재영 한인회와는 별도로 영국에 영주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재영 교민회를 조직하는 등, 1970년대 말에 이르면 재영 한인 사회가 기본적인 모습을 갖추었다. 중동 특수는 형성되고 있던 재영 한인 사회가 양적으로 팽창되는 계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그 출발점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 출발점은 1960년대 전반기부터 본격화한 박정희 정부의 수출 제일주의 정책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impacted on 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U.K. In 1979 the Korean Permanent Resident Community in U.K. organized newly by Koreans who acquired U.K. citizenship or were willing to apply to become permanent residents in U.K. apart from the Korean Residents’ Society in U.K. which had operated mainly by short-term immigrants. That means Korean society in U.K. had already formed basic features in the end of 1970’s. In previous studies, scholars have pointed out the Middle East Boom was a significant occasion of formation of Korean community in U.K. However, according to the Korean government’s statistics, Korean population in U.K. was recorded 574 people in 1975 from 116 people in 1967. The statistics show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 population in U.K. had already occurred before the Middle East Boom. So far,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has been studi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which termed it as a “miracle progress” in the economic history of mankind. In 1962 the Park government launched the first Comprehensive Economic Development Five-Year Plan which aimed to secure the basis of a self-supporting economy by boosting exports, fostering industries that could substitute for imports. However, contrary to the plan, it won a great success in exporting manufactured goods. So, Park government revised the plan and declared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Since 1964 Park government and Korean businessmen paid attention to the U.K. market because the market was important for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as a bridgehead to advance toward European markets. So, Park government implemented support measures to promote exports to U.K. The expansion of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K. resulted in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U.K. which was a significant preconditions to form the Korean society in U.K.. So it can be said that 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U.K. was triggered by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 KCI우수등재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 조건 - 당파가설과 국력가설의 검증 -

        정재용(Jaeyong Jung)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4

        본 논문은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 주요 독립변수가 정권의 성격인지, 국력 신장인지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보수정권인 박정희 정권과 진보정권인 노무현 정권을 대상으로 한 반례증명법(proof by counterexample) 사례 연구를 통해 진보정권은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했지만 보수정권은 자율성을 추구하는 대신 동맹의 결속력을 중시했다는 ‘한미동맹 당파가설’을 검증한다. 박정희 정권은 자주국방과 핵 개발 정책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을 추구하였으며, 노무현 정권은 이라크 파병을 통해 한미동맹에서 자율성 추구를 자제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미국과 긴밀한 정책 협력을 유지하였다. 본 논문은 이어 정권의 성격보다는 한국의 국력 신장이 한국의 자율성 추구를 더 적합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한미동맹 국력가설’을 주장한다. ‘국력가설’의 적합성을 밝히기 위해 한국의 국력 신장과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분석틀을 제시한 뒤 이를 이승만, 노태우, 김대중, 이명박 정권 등 4개 정권의 한미동맹관계에 적용하여 검증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국력 신장(독립변수)은 (1)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엘리트 층의 교체로 인한 동맹 및 북한 위협에 대한 인식 변화, (2) 외교 관계의 다변화 및 미국 이외 국가들과의 상호의존성 증대, (3) 한국의 동맹 기여 강화와 국제관계에서 한국의 역할 증대와 같은 세 가지 경로로 한미동맹에서 한국의 자율성 추구(종속변수)에 영향을 끼친다. This paper is to verify whether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or the growth of its national power.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six regimes from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hich launched the alliance in 1953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more related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regime. First, this paper tried to test the partisan hypothesis which argues that progressive administrations sought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while conservative administrations valued the solidarity of the alliance more than the pursuit of autonomy. To that end, this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for the conservativ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progressive Roh Moo-hyun administration by using the proof by counter-example method. This pap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id indeed pursue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its self-reliance on national defense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olicy. On the other hand, by allowing the deployment of a second round of troops to Iraq,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showed refraint in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ithin the R.O.K.-U.S. alliance. Further policy cooperation with the U.S. can also be seen through, for example, the R.O.K.-U.S. Free Trade Agreement (FTA). By presenting examples showing the conservative government pursuing an autonomy strategy while the progressive government did not, this paper was able to logically prove that the partisan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is not correct. Secondly, this paper attempted to test the adequacy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regarding the R.O.K-U.S. alliance which states hat “the R.O.K’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is related more to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rather than the partisan nature of the administration in power”. To test this argument, the paper conducted case studies of four regimes: Rhee Syng-man, Roh Tae-woo, Kim Dae-jung,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fter establishing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and its pursuit of autonomy within the R.O.K.-U.S. alliance,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four case studies.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is based on the logic that the R.O.K.’s national power growth (independent variable) led its pursuit of autonomy (dependent variable) in the R.O.K.-U.S. alliance through three channels. Using the aforementioned analytical framework, the case studies show that the national power hypothesis concerning the R.O.K.-U.S. alliance matches the historical facts of the alliance.

      • KCI등재

        K리그 U22 의무출전 규정에 따른 경기력 차이 비교

        이우진,최형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6 No.1

        국내 프로축구 K리그는 유소년 클럽의 활성화와 어린 선수들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U22 의무출전 규정이라는 로컬 룰을 도입하였다. 새로운 규정의 시행은 팀 경기력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22 의무출전 규정에 따른 K리그 집단별 경기력 차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21, 2022시즌 K리그1의모든 경기(n=456)와 해당 경기에 1분 이상 출전한 기록이 있는 선수(n=771)이며, K리그 데이터포털을 통해 관련 기록을 수집하였다. K리그 팀들을 상, 중, 하위권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객관적인 경기력 비교를 위해 출전, 공격, 수비, 패스의 4가지 분석 요인을 설정하였다. 집단 내 U22 선수 비중을 비교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해 U22 선수들 간의 경기력 차이를 집단에 따라 비교하였다. 사후분석으로는 Pairwise Wilcoxon Test를 기반으로 한 Dwass-Steel-Critchlow-Fligner (DSCF) 다중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U22 선수 비중은 중, 하위권 집단이 상위권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 하위권 집단의 U22 선수 경기력이 상위권 집단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an effort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youth clubs and foster the development of young players, the domestic professional soccer league in South Korea, K League, introduced a local rule known as the Mandatory U22 Participation Rule.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regulation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team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objectively validate the group disparities in K-League’s performance due to the Mandatory U22 Participation Rule. The study analyzed all matches (n=456) of the 2021 and 2022 seasons in K-League 1, involving all players (n=771) who participated for at least one minute in these matches.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K-League Data Portal. Teams in K-Leagu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op, middle, and bottom tier. To facilitate objective performance comparison, four analytical factors were established: participation, attack, defense, and passing.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portion of U22 players within each group, while the Kruskal-Wallis Test was employ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among U22 players across groups.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wass-Steel-Critchlow-Fligner (DSCF)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based on Pairwise Wilcoxon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α=.05.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 proportion of U22 players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bottom tier groups, and secondly, the performance of U22 players in the middle and bottom tier groups was superior to that of U22 players in the top tier group.

      • KCI등재

        하노이 정상회담의 협상 전략 분석: 미국과 영국 언론의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안미영 ( Mi Young Ah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2019년 2월 말 하노이에서 개최된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협상과 관련하여 미국과 영국 언론의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하노이 정상회담과 관련된 협상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북 정상회담에 적용될 수 있는 여섯 가지 협상 이론과 미국과 유럽의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접근의 차이를 소개한 후, 미국과 영국 언론이 하노이 회담 결렬의 원인이 무엇이며 누가 책임이 있으며 해결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도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과 유럽의 북한 핵 문제 해결에 대한 외교적 접근에 따라 미국과 영국 언론 간 주요 의제 설정에도 차별성을 구성하고 있다. 트럼프는 북한에 대해 ‘완전한 핵 폐기(CVID)’1)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압박과 유인의 양극’을 오가는 외교 정책을 펴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미국 언론도 CVID라는 단일 사안(single-issue)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유럽은 북한 문제를 복수 사안(multi-issue)이 엉킨 과제로 보고, ‘제재와 유인 간 균형(critical engagement)’을 통해 해결하려는 외교적 접근을 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유럽을 대변하는 영국 언론은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 북한의 식량과 인권 문제 등 의제의 다양성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 의제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서구 언론매체가 제시한 하노이 정상회담의 협상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미국과 영국 언론은 ‘맞바꾸기(logrolling)’와 ‘위협’ 전략의 틀로 협상 결렬의 원인을 제시했다. 미국 언론은, 트럼프가 김정은의 ‘맞바꾸기’ 제안을 거절하고, 갑자기 ‘all or nothing’의 협박 구도로 돌아선 것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보도했다. 반면, 영국 언론은 하노이 정상회담의 결렬 원인을 맞바꾸기에 실패한 미국과 북한 양쪽에 돌리고 결렬 결과 미북 모두에게 불리한 타격(setback)을 입었다고 제시했다. 둘째, 협상 결렬의 책임 소재의 경우, 미국과 영국 언론 모두 ‘죄수의 딜레마’와 ‘인지적 편향성’이라는 협상 이론의 틀에서 보도했다. 우선, 미북 간 뿌리 깊은 불신과 소통의 부재를 주요 이유로 내세웠으며, 또한 트럼프와 김정은의 ‘인지적 편향성’을 미북 협상의 부정적 요인으로 주목했다. 셋째, 문제 해결 방안의 경우, 미국과 영국 언론은 치킨 게임의 틀로 제시한다. 미국 언론은 미국과 북한의 협상 목표가 서로 평행선을 달리는 경쟁적 구도에 주목하며, 미국의 강성 입장2)의 당위성을 시사한다. 반면, 영국 언론의 경우, 유럽의 대북 외교정책인 ‘통제된 융통성’을 배경으로, 정상회담에서 막판 절충안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에 관한 보도 내용과 협상 이론의 결합을 통해 이론적 개념화의 툴을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gotiation strategies of the U.S.-North Korea denuclearization summit in Hanoi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differently the U.S. and U.K. media frame the summit negotiation. To this end, after it introduces six negotiation theor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ummit negotiation, it studies the respective diplomatic approaches by the U.S. and U.K. in handling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so that it can assess how their diplomatic stances affect their respective media coverages. For its methodology, it collected a sample of 45 related news articles from the U.S. and U.K media, and put them on the analysis frame of negotiation theory. The data analysis found that both U.K. and U.S. media cover the summit in the negotiation frameworks of the ‘logrolling’, ‘BATNA’ and ‘cognitive bias,’ etc. Also, it found that U.S. diplomatic approach of ‘two extremes of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causes the US media to focus on the single-issue of the CVID, while European approach of the ‘critical engagement’ leads the U.K. media to neutrally frame the summit negotiations on the multiple-issues. Consequently, the US media tend to positively frame the U.S. hard position that unsuccessfully ended the Hanoi summit, while U.K. media tend to neutrally frame it by reflecting North Korea’s position. Meanwhile, both U.S. and U.K. media attribute the summit failure to the ‘prisoner’s dilemma’, in which both parties don’t trust and communicate well. Finally, to solve the problem, the US media tend to reflect the U.S. policy of the’extreme pressure’ for achieving the CVID, while the UK media suggest other pragmatic compromise to avoid the mutual destruction.

      • KCI등재

        글로벌 이주와 초국가 공동체의 형성: 영국 거주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변화

        이진영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1

        In Europe, the largest Korean community is found in U.K. and the only Korean town is formed in New Malden, southeast of London. In the Korean Town, more than 1,000 Korean-Chinese(Chosonjok) and 850 North Korean defectors are living together with the majority of 20,000 ethnic Koreans from South Korea. The Korean Town of U.K. is a trans-national Korean migration community. This paper is a preliminary research based on the intensive interviews of the Chosonjok immigrants to U.K. It aims to reveal the brief history of migration, socio-economic structure, and social relations of Chosonjok with other ethnic groups in U.K. There were no Chosonjok immigrants in U.K. until 1997. Afterwards however, the numbers of Chosonjok immigrants grew rapidly and reached more than 2,000 in 2004. The ways of entering into U.K. are three folds; legal work permit, illegal forgery of Korean passports, and being disguised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seeking for asylum. From 2004, the numbers were decreased due to the more strict immigration control of the British government. Korean-Chinese(Chosonjok) is an unique group of migrants in the global migration. Among 1.93 million Chosonjok, 40 percents ar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Japan, USA, Russia and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y are still moving from one country to another for economic benefit. Among them, British Chosonjok is more unique than other Chosonjok in the world. They are very close to ethnic Koreans from South Korea, and no contacts to overseas Chinese or to the Chinese government. In living around the Korean town, the Association of U.K. Chosonjok was even formed by the help of South Koreans. Most of Chosonjok are working in the service sector, such as Korean restaurants or repairing industry. However, identity is now at the crossroads. Chosonjok who have perpetual residents or the British passport has an equal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s. They are not Chinese nor Koreans, but 'the Chosonjok of U.K.' Migration of Chosonjok into U.K. is a dramatic pattern of global migration during the last 10 years. 세계화 시대 글로벌 이주는 국제정치의 한 특징이다. 특히 이주로 인한 새로운 민족공동체의 형성은 국경을 넘는 초국가적 공동체라는 특색을 만들고 있다. 이 초국가 공동체는 이전의 정치적 공동체와는 구별되는 사회관계를 맺으면서, 국내정치는 물론 국제정치적으로도 새로운 쟁점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연구는 제한적 문헌자료와 현지조사 및 심층면접 방법을 사용하여 영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고 있다. 영국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38%) 46,829 명의 한국의 재외동포가 거주하고 있고, 런던의 뉴몰든에는 유럽 유일의 코리아타운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는 1,000명 정도로 추정되는 조선족과 850명 정도로 추정되는 탈북자도 거주하고 있다. 즉 영국 코리아타운은 한민족의 초국가적 이주 공동체'인 것이다. 그러나 1997년 이전에 영국 조선족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후 급증하여 2,000명을 상회하였으나, 2004년부터 감소하여 현재는 1,000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영국 조선족은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조선족과는 구별된다. 합법적 노동비자, 불법적인 여권 위변조는 물론, 탈북자로 위장 망명신청을 하여 시민권을 획득한 영국 조선족은 코리아타운 주변에 거주하면서, 사회경제적으로 한국인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점이 특이한 점이다, 특히 조선족 시민권자의 경우 한국인들과 동등한 의식을 가지고 생활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의 한족과의 관계는 밀접하지 않다. 그렇다고 거주국인 영국인들과의 관계도 별로 없다. 오히려 다른 한인들과 이주공동체를 형성하여, 영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족은 세계 주요 국가의 이민시스템과 경제적인 필요를 파악하여, 이주에 재이주를 거듭하고 있다. 영국으로의 이주 역시 예외가 아니며, 조선족의 영국 이주는 지난 10년 간 발생한 매우 극적인 '글로벌 이주'의 한 형태이다. 또한 초국가적인 한인공동체를 형성한 하나의 중요한 사례이다.

      • KCI등재

        영국의 생명보험계약상 심신상실 상태에서의 자살에 대한 연구

        김원각 (사)한국보험법학회 2023 보험법연구 Vol.17 No.3

        OECD보고에 따르면 2020년 영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8.4명이다. 이는 인구 10만 명당 24.1명으로 자살률 1위인 한국에 비해서는 크게 낮다. 그러나 영국처럼 자살문제가 심각한 법적 주제가 된 나라도 드물다. 영국에서는 생명보험계약에서 자살에 대하여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보험증권은 보험금 지급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전형적인 것은 흔히 면책기간으로 불리는 1년 또는 2년 내에 행하여진 자살에 대해서는 심신상실 상태에서 이루어진 자살일지라도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으며, 부활계약의 경우에 그 기간은 새로 기산한다. 그러나 면책기간 경과 후의 자살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정신상태에서 이루어진 자살, 보험가입시부터 자살할 의도가 있었던 경우, 오직 보험금 지급을 노려 자살한 경우 등을 불문하고 보험금을 지급한다. 이와 같은 자살면책조항은 영국의 생명보험증권상 표준적인 조항이다. 반면에 개인보험과 달리 단체보험에서는 자살조항을 두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불가쟁조항이 대개 2년의 가쟁기간을 설정하고 있지만 자살조항과는 별개로 운용되며, 가쟁기간 내에는 자살을 다툴 수 있도록 허용한다. 영국과 우리와 가장 큰 차이는 영국에서는 자살보험금의 지급을 둘러싼 분쟁이 매우 드물다는 것이다. 이 점이 본고를 집필하게 된 동기이다. 위와 같은 영국의 전통적 태도는 미국 보험법과 실무에 거의 그대로 채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명보험(2년 내의 자살)과 상해보험(보험기간 내의 자살)에서 자살이 심신상실 상태에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보험자의 면책 여부가 달라진다. 그런데 최근 보험수익자가 심신상실 상태에서의 자살이라고 항변하는 경우가 많고, 법원도 과거에 비하여 심신상실의 경우를 넓게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 경향은 심신상실의 경우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자살면책조항의 취지를 벗어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끊임없는 분쟁으로 사회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필자는 영미의 보험실무가 우리 보험업계가 당면한 위와 같은 문제를 상당히 해소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자살에 대한 영국의 보험실무에 큰 영향을 준 영국 사회의 자살관의 역사적 경위를 소개한다. 이와 함께 영미 문헌에서 자살면책과 관련하여 반드시 소개하는 베레스포드 판결을 통해 쟁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위의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영국의 약관이 취하고 있는 태도를 분석하여 우리가 참고할 점을 정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영국을 답습하고 있으면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 미국 보험법과 실무상 자살문제를 소개할 예정이다. According to the OECD report, the suicide rate in the U.K. in 2020 was 8.4 per 100,000 people, significantly lower than South Korea's rate of 24.1 per 100,000 people. In the U.K., however, suicide is a more serious legal topic than in other countries. In the U.K., life insurance policies can pay out for suicide. Nevertheless, most policies have provisions or clauses that limit death benefit payments. Typically, a policy will not pay for suicides committed within a one- or two-year period(commonly referred to as the exclusion period), even if the suicide was committed while in a state of insanity. In the case of a reinstated insurance contract, this period shall be calculated anew. However, if the suicide occurs after the exclusion period has expired, the insurer will pay the claim regardless of whether the suicide was committed in a sane state of mind, if the suicide was intended from the time the policy was taken out, or if the suicide was commit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the claim. Suicide exclusion clauses of this nature are standard in U.K. life insurance policies. On the other hand, unlike most individual policies, suicide clauses are not standard in group policies. An incontestability clause, which usually sets a two-year contestability period,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suicide clause and allows suicide to be contested.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U.K. and South Korea is that disputes over the payment of suicide benefits are rare in the U.K. This motivated the author to write this article. The traditional attitude of English law has been largely adopted in U.S. insurance law and practice. In Korea, in life insurance (suicide within two years) and accident insurance (suicide within the policy period), the insurer's exemption from its liability depends on whether the suicide was committed in a state of insanity. However, in recent suicide benefit litigation, beneficiaries have often argued that suicide was committed in a state of insanity, and courts have recognized insanity more broadly than in the past. This trend of interpretation by the courts goes beyond the purpose of the suicide exclusion, which is to be construed narrowly in cases of insanity. Furthermore, the socioeconomic costs of the ongoing disputes are increas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Anglo-American insurance practice has significantly resolved the problems faced by the Korean insurance industry.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ritish society's view of suicide, dramatically influencing the insurance practice related to suicide. The paper will then analyze the Beresford decision, an essential reference in the Anglo-American literature on suicide exclusion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attitudes of the U.K. terms and conditions and summarizes the points for our reference. The issue of suicide in U.S. insurance law and practice, similar to but different from the U.K.'s, will be introduced in a follow-up study.

      • KCI등재

        영국 대학에서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 현황

        이은자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7 No.-

        영국에서의 한국학 교육과 연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민주화와 경제적 고도성장과 함께 꾸준히 성장해 왔다. 그러나 2005년 한 해 동안 유독 영국에서의 한국학은 ‘위기’의 상황으로 언론에 심심치 않게 보도된 바 있다. 현재 영국에서 한국학은 ‘위기’를 말할 만큼의 단계에 오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문제는 아직 영국인이라는 타자에게 ‘한국학’은 그리 매력적인 존재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국에서 한국학을 전공한 학자라 하더라도 순수하게 한국학만을 연구하는 학자의 수는 극히 적다. 대부분 중국이나 일본, 혹은 동아시아학 전반에 관심을 두다가 한국학으로 영역을 확대하거나 옮겨온 이들이다. 한국어도 제대로 구사할 줄 모르는 한국학자가 많은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실상이 이러한 것이라 하더라도, 이제 한국학 논의는 국내, 외로 여러 가지 변화와 모색의 기로에 서 있고, 세계화 혹은 국제화를 위한 도약의 시점에 와 있다고 판단된다.영국에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면, 런던 대학과 쉐필드 대학이 영국의 한국학을 이끌어 가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대학 등으로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또한 굳이 한국학을 내걸지 않더라도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영국에서의 한국학 수요는 조금씩 늘고 있다.그러나 한국학의 세계화 혹은 국제화는 단순히 한국학의 지역적 확대를 의미하지 않는다. 한국학이 얼마만큼 세계적 보편성을 확보하는가가 한국학의 세계적 가능성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다. 해외에서의 한국학은 타자의 시선에서 상대를 바라보는 일종의 지역학으로서의 한국학 성격을 띤다. 여기에는 비유럽 혹은 비구미 지역에 대한 인식이 문제시되는데, 영국에서는 아직 유럽 중심주의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런던 SOAS나 쉐필드 SEAS에서 학제간 교류로 이루어지는 한국학의 교수 운영 체제는 한국학이 보편성을 획득하는 데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우선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기획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해외에서의 한국학의 미래는 지원의 규모에 달려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지원의 규모만 커진다고 한국학이 발전되는 것은 아니다. 각국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한국학에 접근하는지 분명하게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전략적인 기획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해외 한국학 교육과 연구는 국내 한국학의 성과와 분리할 수 없는데, 국내 한국학은 북한학을 포함하여 동아시아학의 관련성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학은 그 자체로 동아시아학의 진로를 모색하는 보편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마지막으로 국내외 한국학 교육 및 연구 자료의 영문화 및 한글화 작업과 이를 정보화하는 구축망의 확립이 요구된다. 한국학 자료의 영문화 작업은 현재 해외 한국학 연구의 저변 확대에 가장 절실한 조건으로 보인다. This paper surveys on the present state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at Universities in U.K.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in U.K. have steadily grown along with Korea's democratization and economical rapid growth since mid-1980s. On the other hand, for a year of 2005, press reports frequently said that Korean Studies in U.K. was at a crisis. However the real state is, it is clear that the discussion on Korean Studies stands at a turning point of various change and groping and is in the stage of take-off for globalization. If we view, centering around universities in U.K., the present state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London Univ. and Sheffield Univ. play main roles leading Korean Studies of U.K. and the roles of Oxford Univ. and Cambridge Univ. etc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my opinion, the Korean Studies of U.K. doesn't reach such stage to be called 'crisis.' I think, the problem is that 'Korean Studies' isn't a very attractive being to a stranger as an Englishman as yet. There are very few, in U.K., who study only Korean Studies even if they major in Korean Studies. A large percentage of them are those who, first, had interest in China, Japan, or the whole field of East Asian Studies and then changed or extended into Korean Studies. There are many Korean Studies scholars who even can't have a command of Korean, which is the present hard fact.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doesn't simply mean the regional expansion of it. How much global universality Korean Studies secures is the key to open the global possibility of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shows a characteristic as a kind of Region Studies in which one looks at counterpart from a stranger's view. The problem is the understanding of non-western region and U.K. is not thought to get out of Eurocentrism yet. Also, centering around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if not setting Korean Studies at the head,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 in U.K. has grown gradually and so, proper preparation is required. Above all, we need reasonable and systematic planning and management. It is undeniable that the future of foreign Korean Studies depends on the scale of support at this time. But the scale of support doesn't necessary guarantee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We should find out exactly with which object each country approaches Korean Studies and map out a strategic planning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In additi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in foreign country is indivisible from the fruit of Korean Studies in Korea. And Korean Studies should be studied in relation to East Asian Studies including North Korean Studies. This is because Korean Studies itself should hold a universality making way for East Asian Studies. What I finally suggest is that the material of Korean Studies should be translated into English or Korean and we need a network of information for this. I think the work that the material of Korean Studies is translated into English is the most urgent solution to the expansion of Korean Studies at this time.

      • KCI등재

        영국의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연구:영국 사례가 한국에 주는 교훈

        신상협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e followings are the most valuable lessons which Korea can learn from the U.K's experience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DA policy. The first lesson is the need of comprehensive and strong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e U.K's experience shows well how important strong partnership between the two is for the efficient and successful ODA policy. The second lesson is the cooperative and efficient institutional government system for ODA policy. The U.K government has made every efforts to improve efficiency of her ODA policy in particular since 1997. Both the establishment of DFID(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and the enac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ct 2002 are the good evidences showing the government's efforts. The third lesson is the needs of clear objective of ODA. The U.K is offering ODA to less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very clear objective of eliminating global poverty. In fact this objective was very clearly confirmed by the Labor government which won the general election in 1997. The last lesson is that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rliament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DA policy is important. Considering that the Parliament can give huge influence to the government in the ODA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more participation of the Parliament in ODA policy is needed. Even though the governing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K is different, the U.K's experience shows us the need of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rliament in ODA policy indirectly. 영국의 경험 중에서 한국이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이 성공적인 공적개발원조 정책을 개발,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간의 든든한 파트너쉽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한국도 이런 파트너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정부와 민간간의 파트너쉽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둘째, 정부 차원의 국제 개발협력 체제 구축도 한국이 본받고 따라가야 할 부분이다. 한국정부는 공적개발원조 지원 체제의‘일원화’필요성에 따라 지난 2006년에 국무총리실 산하에“국제개발협력위원회”를 신설하고 이를 위한‘실무위원회를 설치, 운영해 오고 있다, 또한 2010년에 제정된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제 7조에 이 사항을 명문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개발협력위원회’가 한국 정부 부처 간 공적개발원조 개발과 협의 과정에서 조정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셋째로 영국의 분명한 공적개발원조의 목적 또한 한국이 꼭 배워야 할 교훈 중에 하나이다. 영국은 대외원조의 전반적 목표가 빈곤퇴치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한국은 공식적으로는 경제개발협력기구 개발원조위원회의 개발 원조의 목적 세 가지인 정치적, 경제적, 인도적 목적을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목적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적개발원조 정책에 관한 한국 국회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민주주의가 심화, 발전되면서, 외교관계에서 국회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시 된다는 점과 국회가 정부의 정책수립과정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봤을 때, 국회가 공적개발정책 운영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본 정책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요하다.

      • KCI등재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미국무부의 극동정책 전환

        안재익 한국미국사학회 2022 미국사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U.S. government's decision to abolish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1911) was made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The fact that Japan relied heavily on foreign trade, especially scrap metal and oil, has been noted by U.S. State Department officials since the early 1930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was fully aware that if foreign trade was suspended by powers such as the U.K. and the U.S., the Japanese economy would succumb to a major crisis. However, when the Sino-Japanese War erupted in 1937, the U.S. government adopted a wait-and-see attitude without initiating actions to restrain Japan's aggressive continental policy. It was due to the existence of isolationist public opinion in the U.S. symbolized by the enactment of the Neutrality Act (1935). In this situation, a political adviser of the Department of State, Stanley K. Honbeck argued that Japan should be prevented from engaging in aggression towards East Asia by imposing bold economic sanctions, with active economic support for China. As a prerequisite for this, Honbeck demande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Honbeck's assertion of abolition of the treaty rapidly gained support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the East Asian New Order in November 1938. In July 1939, the U.S. notified the Japanese government of the abolition of the treaty, and after 1940, the U.S. actively imposed trade sanctions against Japan. In examining the above proces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regarding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First, the abolition of the treaty signaled a significant change in U.S. Far Eastern policy. Second, discussions on the abolition of the treaty had been held within the State Department for more than a year, and in this process, the opinion had spread within the department that strong measures against Japan were needed. Third, stro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ctually were implemented since the treaty had been abolished. The U.S.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vention in Far East issues, including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nd support for the Chinese economy, an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was the beginning of such a policy shift. 본 논문에서는 미 정부가 미일통상항해조약 폐기를 일본 정부에 통고하는 결정이, 국무부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이 대외 무역, 특히 대미 무역에 고철과 석유 등 주요 자원의 획득을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1930년대 초반부터 미국의 국무부 관료들에 의해 주목받았으며, 일본 정부도 영국, 미국 등 열강에 의해 대외 무역이 중단되면, 큰 경제적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의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미 정부는 일본의 대륙 침략적 정책을 제지하기 위한 적극적 행동에 나서지 않고 관망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것은 중립법의 제정으로 상징되는 미 국내의 고립주의적 여론의 존재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무부의 정치고문 스탠리 혼벡은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 지원과 함께 일본에 대한 과감한 경제 제재를 실시해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일본의 침략적 행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혼벡은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를 요구했다. 혼벡의 조약 폐지론은 1938년 11월, 일본 정부가 동아 신질서론을 선언하게 된 뒤, 국무부 내에서 급속히 지지를 넓혀 갔다. 그리고 1939년 7월, 결국 미 정부는 조약의 폐기를 일본 정부에게 통고하였고, 1940년 이후 미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일 무역 제재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살펴볼 때,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관련해서 다음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조약의 폐지가 미 정부의 중대한 극동정책 기조 변화를 의미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조약 폐기를 위한 논의가 국무부 내부에서 1년 이상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조약이 폐기된 이후 실제로 강력한 대일 경제 제재가 시행되었다는 점이다. 미국은 대일 경제 제재와 대중 경제 지원을 통해 중일전쟁 문제를 포함한 극동 문제에 대한 개입의 정도를 높여 갔고, 그러한 정책 전환의 효시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