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료비 감소를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요양병원에 관한 연구

        김호영,김동일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4

        2021년 기준 한국의 노인인구는 약 8,537,000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16.5%에 달한다. 이는 2060년까지 18,815,0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인구의 약 43.6%에 달할 것이다. 생산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노인인구 수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1년에 23.0에서 2060년에는 91.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관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병실과 병상을 보유하고 있어서 가장 많은 입원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어느 곳인지 한번 살펴보고, 불필요한 입원비 지출을 줄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면, 미래의 불필요한 노인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의료비 상승에 가장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와 노인 의료비 증가의 상관관계를 베이지안 회귀분석 하여 노인 인구 증가가 노인 의료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 증가와 노인의료비 증가의 상관관계는 베이지안 회귀분석을 한 결과 회귀계수의 값은 2.26이므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비율은 노인인구 비율의 2배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예상치와 전체 의료비 대비 노인 의료비 비율 예상치의 상관관계를 베이지안 회귀분석과 일반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회귀계수는 약 2.2이므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증가율은 노인 인구증가율의 2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노인 인구 증가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요양병원의 저렴한 본인부담률과 본인부담금 상환제는 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본인부담금을 더욱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고, 이는 의도치 않게 사회적 입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있었다. 해외사례들을 볼 때, 요양병원 입원환자들에 대해 정기적인 입원기준 적합성 판정과 경증 환자에 한해 장기 입원시 기간에 비례하여 본인부담금을 상향 조절하여 사회적 입원 즉 직접적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지만, 단순 돌봄 서비스가 필요해서 입원한 환자들의 불필요한 장기 입원을 통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of 2021,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about 8,537,000, accounting for about 16.5% of the total population. This is expected to rise to 18,815,000 by 2060. This will amount to about 43.6% of the total population. The elderly support ratio, which refers to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supported by 100 working-age people,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23.0 in 2021 to 91.4 in 2060. If we take a look at which medical institution can accommodate the most inpatients because it has the largest number of hospital rooms and beds among medical institutions, and if we look at whether it is efficiently managed to reduce unnecessary hospitalization expenses, It will help to some extent to reduce the elderly medical expenses.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ver a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which is known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on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a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was performed, and the valu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2.26.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cted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otal medical expenses through Bayesian regression analysis and general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about 2.2, so the growth rate of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is twice tha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biggest cause of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over 65 is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ow co-payment rate and co-payment reimbursement system of nursing hospitals have the effect of further lowering the co-payments of inpatients in nursing hospitals, which unintentionally encourages social hospitalization. Looking at overseas cases, for patients inpatients in nursing hospitals, regular admission criteria are determined and co-payments a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long-term hospitalization for patients with mild symptoms, so social hospitalization, that is, direct medical service is not required, but simple ca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control unnecessary long-term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because they need services.

      • KCI등재

        中國老齡化問題應對策略研究:集體社會資本視角下的老年人力資源開發

        姜萱(Jiang, Xuan),陸競姸(Lu, Jing-yan),金紅花(Jin, Hong-hua),吳偉澤(Wu, Wei-ze)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인구의 고령화는 경제발전과 기술진보의 산물이자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인류의 필연적인 결과이다. 이 세계적인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류 공통의 지혜가 필요하다. 중국은 2000년에 인구 고령화 국가 대열에 합류하여 현재는 거의 중등 고령화 수준에 도달했고, “부유해 지기 전의 고령화”, 급속한 고령화, 대규모 고령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인구 고령화는 미래 세계에서 영구적인 모습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제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인인적자원 활용과 노인 수요 충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인적자원개발 사업이 중국의 현 인구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Coleman의 집단의 사회적 자본 개념과 거시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노인인적자원개발의 다자이익 집단은 사회개발, 조직개발, 자기개발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국의 고령화 현황과 노인인적자원개발의 전제 조건, 미래에 직면할 도전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국의 실정에 맞는 인구 고령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자이익집단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적 자본을 모으고, 시너지 효과를 형성하여 인구 고령화 문제가 가져올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는데 있다. Population aging is the produc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progress, as well as the inevitable result of human"s pursuit of high quality of life,which requires the common wisdom of human beings to solve this worldwide problem. China entered the ranks of population aging countries in 2000, and has now reached the aged society, and is characterized by “getting old before getting rich” problem, rapid population aging, and a large-scale elderly population. Since population aging has become an irreversible trend and is likely to become a permanent norm in the future all over the world,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needs to be closely promoted around the utilization of the elderly human resources and meeting their needs. Therefore, this paper advocates the development of the elderly human resources business as a means to solve the current problem of population aging in China. Based on Coleman"s concept of collective social capital and macro-level social capital theory, this paper classifies the multi-stakeholders in developing elderly human resources into three types: social development,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self-development. Through this, the paper makes a systematic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opulation aging in China, as well as the preconditions and future challenges of developing elderly human resources. Finally, the paper has constructed a set of solutions to the population aging problem in line with China"s national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lize the use of multistakeholder groups to participate together, gather social capital and form a synergy to alleviate the adverse consequences of population aging.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social development, China should make full preparations under the national strategic framework by taking advantage of the “14th five-year plan” time window period, improve the policy system of elderl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mprov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ging in different region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innovate ideas, and encourage high-quality elderly people to return to the labor market. (2) In terms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intermediary services of the elderly labor, break the organizational boundaries of communities. The paper suggests that educational organizations establish lifelong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nd that enterprises implement flexible management of the elderly human resources. (3) In terms of self-development, both the awareness of selfdevelopment and behavioral change of the elderly should be promoted. We should not only improve the awareness of re-employment and self-learning, but also making full use of the leading role of high-quality elderly human resources. So as to improve more elderly people to integrate into the elderly life with higher social value.

      • KCI등재

        구한말 인구 구성과 노인

        이정주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Today’s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 radical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due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This paper analyzes family registers compil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revolving around the elderly, in order to obtain time-series data related to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and age structure. Population found from register data for 1896-1908 is a total of 118,175, among whom old population aged 60 or older is 10,122, 8.8% of the whole population. However, since most registers have lots of omissions or incomplete entries, relatively substantial registers in Hanseong-bu, were largely investigated regarding the familie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elderly. The elderly in Hanseong-bu recorded in the registers were 3,874, 7.4% of the whole population. Male old people were found to be 1,656, and female old people 2,218, respectively, and the sex ratio was 74.6. While most male old people were heads of families, female old people were mostly cohabitants, and families with female heads of families were only 187 cases. Members of households with female heads of families were also just 2.6 persons, 3.2 persons less than those with male heads of families. However, their residential space per person was far wider than that of households with male heads of families. The then rate of support for the elderly was 7.2, far higher than the present rate of 2.6 in 2018. And it may be said that the burden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 society as a whole was relatively less heavy. The elderly households lived in more spacious housing than ordinary households, for they had spare economic capacity. Further, it seems that traditional thought of filial piety and the practice of mutual aid among relatives provided a relatively good surviv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Households of single old persons or two-person households consisting of couples not supported by children owned housing wider than 7-kan on average. Giv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residential space and economic ability, the elderly residing in Hanseong-bu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largely had financial independence and leeway, regardless of family types or whether they lived together with their offspring. 한국 사회는 현재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본고는 인구, 연령 구조 변화와 관련한 시계열적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만들어진 호적에 기재된 노인층을 분석한 것이다. 1896~1908년간의 호적 자료에 나타난 인구는 총 118,175명이고, 이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의 8.8%에 해당하는 10,122명이었다. 하지만 상당히 많은 구한말 호적의 경우 누락이나 기재 미비 사항이 많아, 상대적으로 충실한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노인의 가족과 경제적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호적에 기재된 한성부의 노인은 3,874명으로 전체 인구의 7.4%에 해당되는 수치였다. 남성 노인은 1,656인고, 여성 노인은 2,218인으로, 성비는 74.6이었다. 남성 노인들이 대부분 호주였던 데 반해, 여성 노인들은 동거인이 주였고, 여성의 호주였던 경우는 187건에 불과했다. 여성 호주 가구는 구성원도 남성보다 평균 3.2명 적은 2.6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1인당 거주 공간은 남성 호주 가족에 비해 월등히 넓었다. 당시의 노인부양비율은 7.2였는데, 2018년 현재의 2.6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사회 전체적으로 노인 부양에 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했다고 볼 수 있다. 노인 가구는 일반 가구보다 보다 넓은 주택에서 생활했다. 경제적 여유가 있었던 셈이다. 게다가 전통적인 효 사상과 친족 상호간의 부조 관행 등으로 노인이 생존 환경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인 단독 가구나 자식의 봉양을 받지 못하는 부부로 이루어진 2인 가구의 경우 평균적으로 7칸이 넘는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거주 공간의 크기와 경제력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성부 거주 노인들은 가족 형태나 자손과의 동거 여부에 관계없이 대체로 경제적으로 자립적이고 여유로운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노인 치안 안전을 위한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연구

        임성은 한국민간경비학회 202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2 No.4

        The security and safety of the elderl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of society as a whole.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digital development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along with safety issues such as crime, abuse, and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Digital technology, which has developed rapidly around the world, has created a digital environment that enables consumption, work, life, medical care, and education anywhere, transcending space and time. The 2000s was a time when Korea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aging increased the problem of digital inequality and digital alienation due to new social inequality called digital gap.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facing daily life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alienation, social discomfort, depression, and dementia due to weak information power of the elderly, such as elderly safety, elderly poverty, elderly suicide, elderly crime, and digital financial accidents. Digital alien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is likely to be easily exposed to new threats such as security, voice phishing, anxiety caused by fake news, Internet commerce, financial fraud, and cybercrime due to the increase in smishing. Therefore, economic,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is needed for the security and safety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efforts to improv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digital alienation of the elderly in Korea should be made by forming a full social consensus among members of society based on the u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

        공간 통계를 활용한 서울시 노년 인구 거주지와 노인 수요 시설 분포의 공간적 불일치 탐색

        조성아 ( Seongah Cho ),이건학 ( Gunhak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2

        인구 고령화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들은 노년 인구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인 문제와 관련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노년 인구의 경제적 빈곤, 신체 및 정서적 특성, 노인 문제를 야기하는 사회 구조에 집중되어 있고,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거주지의 생활환경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노년 인구의 주거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노인 수요 시설의 분포 특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노인들의 거주 밀집지와의 공간적 불일치를 다양한 공간 통계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 결과, 서울시 노년 인구 거주지와 노인 수요 시설은 전체적으로 군집화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국지적으로 공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국지적 클러스터 패턴이 상이하여 노년 인구 거주지와 수요 시설 간에는 일정한 수준의 공간적 불일치가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고 수요 시설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As population is aging,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evaluat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ost previous studies regarding problems of the aged have focused on the poverty,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social structures causing the problems. There are a lack of studies that consider the residential living environment which influences significantly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elderl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ddress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lderly demanding facilities and analyzes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elderly populated areas and elderly demanding facilities empirically using various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As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of Seoul, both the elderly population and elderly demanding facilities are spatially clustered overall, and several local clusters are found. However, there is some level of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elderly populated areas and elderly demanding facilities, which differs over areas. This is because local clustering patterns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facilities distributions. Also, different spatial mismatch patterns are revealed to each of elderly demanding facilities.

      • KCI등재

        노인고독사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역할에 관한 법적 검토

        김원중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一鑑法學 Vol.- No.51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s progressing rapid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birth population. Our society has been trying to curb population growth due to the increase in the birth population, but recently, we are facing a serious crisis of aging due to a cliff of rapid population decline.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s causing serious problem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 elderly were respected and respected as adults in our society, but in modern society, they are considered to be dependents due to the loss of economic ability, and social cos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se social costs should be borne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but individuals are borne by the financial situ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from extended families to nuclear familie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own household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is also increasing rapidly. In the case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economic hardship i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ut the problems the elderly have are economic hardship and social isolation, that is, loneliness. As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ncreases, loneliness and loneliness among the elderly increase. In order to reduce the death of the elderly by lonelines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preparing support measures through laws, and each local government has prepared and implemented various support measures. However, there is no practical support plan for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so there is no plan to actively prevent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o prevent the death of lonely elderly people was review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law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출생인구의 감소에 따라 인구의 고령화는 급속도로 진행되어 가고 있다. 우리 사회는그동안 출생인구의 증가로 인해 인구 증가를 억제하려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급격한인구감소 절벽에 부딪혀 심각한 노령화의 위기에 접하고 있다. 인구의 노령화는 사회⋅ 경제⋅문화 등 다방면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노인은 우리 사회에서 어른으로서 존경과 공경의 대상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경제능력의 상실로 인한 부양대상자로 보아 사회적 비용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사회적 비용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부담하여야 하나, 재정상황에 의해 개인이부담하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는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그리고 노인 가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특히 노인이 스스로 가구를 이루어 살아가는 비중이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노인 1인가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 부부 가구의 경우 경제적 곤궁이 노인 혼자 사는 독거노인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덜하나, 노인들이 가지는 문제는 경제적 곤궁과 사회적 고립감 즉 외로움 등이다. 홀로 사는 노인이 증가할수록 노인의 고독과 고독사는증가하게 된다. 노인의 고독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법률을 통해 지원책을마련하고 있으며, 또한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고독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노인 고독사를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해법률 내용을 토대로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의 노인교육 연구: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영선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solutions of Elderly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training) provided by the nation's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It used social utility analyse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lecturers and students. Qualitative analytic methods were applied to this research, deriving findings as follows: a) Elderly education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lderly employment. b) Advanced resources at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the acknowledgement and systemization of Elderly education, thus raising social awareness of elderly labor availability and encouraging volunteering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c) Elderly education cannot sufficiently contribute to social utility because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themselves do not have enough expertise in Elderly education. This research offers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as viabl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can enhance vocational training to improve elderly employment and provide more education to increase the elderly population’s social contribution. b) Government-funded subsidies can help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 postgraduate programs on Elderly education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secure required expertise. c)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design Elderly education courses according to paradigm shift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addition to these solut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ed for further fundamental research on Elderly education in order to help the elderly population become self-sufficient and contribute socially. 본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과 노인들의 사회적 진출 및 역할을 교육당사자인 교․강사와 교육이수생의 시각에서 조망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적용하였는바 그 분석결과는 첫째, 고등교육기관의 노인교육은 직업교육 및 재취업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둘째, 노인교육이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고등교육기관에서 실행됨으로 인하여 노인교육의 신뢰도와 체계성을 향상시켰으며, 유휴 노인인력을 활용한 자원봉사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고, 사회전반의 노인인력 활용성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은 노인교육 교․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사회효용적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성과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교육기관에서는 노인교육에 직업능력 상승을 위한 교육을 보완하여 노인의 재취업 기회와 사회적 역할 확대에 연계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고등교육기관에 노인교육 재정지원을 확대하여 평생교육영역 노인교육학 석사 및 박사과정을 설치해 부족한 노인교육 전문 교․강사를 확충해야 한다. 셋째,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은 노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노인교육이 노인의 자립능력과 사회적 역할 상승에 기여하기 위해서 노인교육에 대한 기반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등록센서스를 위한 보완행정인구의 연령구조 특성에 대한 평가와 과제

        전광희(Kwang-Hee Ju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ge structure of an administrative population (IAP) improved for a register-based census, comparing it with the census population (CP) or its adjustment (ACP) at the date of 2010, First, it develops the “cross-reference” matrix methodology needed to convert the administrative population from register-based age structure, IAP(RA) to survey-based one, IAP(SA), since the ‘age’ concept or definition varies between the two populations. Converting the IAP from IAP(RA) to IAP(SA), there is little difference for the share of young-age (0-14 years) population, a smaller decrease for the share of working age (15-64 years), and a smaller increase for the share of elderly (65 years and over) population. In c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lso a smaller increase for the share of young elderly (65-74 years) but the opposite for the old elderly (75 years and over). All these differences are not caused by coverage problems in the administrative population, but difference in the age concept or definition of the population. Comparing the IAP with the CP or its adjustment (ACP) in terms of survey-based age structure, the share of young-age and elderly populations is a little smaller for the IAP than for the CP and its adjustment (ACP), while the opposite holds true for the working-age population. Overall, difference between the IAP(SA) and the CP(SA) is larger than difference between the IAP(RA) and IAP(SA), This clearly indicates that coverage difference caused by differences in census methodology is more important in capturing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than the difference in age concept or definition between the two populations. In this study, it might be incorrect to say that the use of register-based age of the administrative population in the census tubulation prohibits us from obtaining an accurate picture of the tru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stead we rather argue that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use the administrative population which has no serious problem in omission and duplication in order to capture an accurate picture of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 기후환경 취약계층의 환경복지 정책연구(Ⅰ)

        박정규,배현주,서양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3 No.-

        환경복지가 현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로 대두되면서 사회적 관심 증가와 함께 정책개발과 이행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국내 환경보건 정책은 환경매체별 오염진단과 환경오염저감 수단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여 왔다. 이에 환경의 질은 상당히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환경오염 피해에 더 취약하고 회피할 능력도 부족한 취약계층(생물학적 및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은 동일한 환경피해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고 적합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복지 개념을 환경보건 정책에 도입하기 위한 제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환경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여 국민의 환경기본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환경약자인 취약계층의 환경기본권을 충족시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목적과 방법론 등을 서술하였다. 제2장은 환경복지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서술하였다. 환경복지와 그 유사개념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환경복지의 개념을 정립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정의와 범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취약계층의 회복력 증진과 관련된 레질리언스의 개념을 검토하여 환경복지와의 연계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레질리언스와 연계된 환경복지는 레질리언스가 높은 커뮤니티를 구현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는 개념을 고려하여, 환경복지 정책의 분야는 환경보건으로, 취약계층은 산모·영유아/어린이와 노령자로 각각 설정하여 어린이와 노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환경복지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3장은 생물학적 위약계층의 건강영향 현황 및 사례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생물학적 취약계층인 산모·영유아/어린이 및 노령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연구 사업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국내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사업은 일부 특정 지역만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국외에 비하여 조사 방법이 미흡하고 대상 집단도 협소하여,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린이 관련 위해성 평가 등 취약계층의 특성을 반영한 계층별기반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정책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제4장은 생물학적 취약계층의 건강보호를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여, 기존 정책들의 확대와 함께 법 개정이나 환경복지 서비스 제공 등 신규 정책의 개발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의 개발과 원활한 이행을 위해서는 정부부처 간 협업과 부서의 연계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보건 분야에서 증가되는 현안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학계, 시민단체 등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5장은 기후환경 취약계층을 위한 환경복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설문조사를 검토하여 현행 환경보건 정책에 대하여 진단하였다. 국민들은 환경오염과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정부에서 깨끗한 환경을 보장해 주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취약계층일수록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더 받고 있으므로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보건 정책에 복지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복지로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배경으로 기존 환경보건 정책에서 환경복지 정책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세가지 방향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은 국가 차원의 정책위주의 개발이 향후 개인이나 소규모 집단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정책으로 전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과거 오염도 관리에 집중하였던 환경보건 정책에서, 개개인의 민감도를 높여 회복력을 증진시킬수 있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기존의 환경보건 정책은 환경복지 정책으로 확대 발전할 수 있으며, 특히 취약계층의 피해를 저감하고 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복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어린이/산모·영유아와 노령자 및 전체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환경복지 정책 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어린이 환경복지 기반연구의 경우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조사의 양적 확대와 장기간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어린이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사업과 관리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대상 공간의 측면에서는 어린이의 주요 활동공간 중 하나인 학교 안과 밖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어린이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학교 환경을 중심으로 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앙부처 간 어린이 통합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 권고를 위해서는 다학제 간 어린이 환경보건연구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산모·영유아 대상 환경복지 서비스는 모든 어린이들이 골고루 혜택을 볼 수 있어야 하므로, 건강나누리 캠프의 확대와 환경성질환을 가진 어린이들을 위한 아토피·천식 안심학교의 확대 조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 환경보건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린이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교육·홍보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노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복지 정책은 우선 노령인구 대상 환경보건 정책이 미비한 실정이므로 기초적인 실태파악과 기초연구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령인구에 대한 건강 및 환경노출 DB 구축·관리, 노령자의 환경위험 인식 조사, 노령자의 환경보건 지표 및 지수 개발 등의 기초연구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노령자가 실내에서 거주하는 점을 고려하여 노령자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노인친화적 Built Environment와 Healthy Community 구축을 통해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또한 환경복지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환경성질환/만성질환자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및 환경보건 프로그램 제공과 노인의 환경보건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활성방안 등을 제안 하였다. 노령인구가 직접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어르신 참여형 환경복지사회 조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지원을 제시하였다. 셋째, 어린이/산모·영유아 및 노령인구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으로 환경복지 기반연구와 관련하여 국내 취약계층 간 존재하고 있는 건강불평등을 평가할 툴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환경복지 불평등 실태조사 및 평가 툴 개발과 적용을 제안하였다. 제도적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환경복지 증진개념을 법적으로 명시하기 위해 「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보건법」의 제·개정이 요구되며, 기존 환경보건 서비스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환경보건센터의 확대 지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환경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정책 구현 방안의 일환으로 지방정부의 지역단위 환경복지 사업을 추진을 위한 CARE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Environmental welfare has been emerged as one of the national agenda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Thu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environmental welfare policy has been raised with growing public interest. Quality of the environment in general has been improved considerably, but socio-economically and/or biologically susceptible populations keep suffering relatively higher exposures to environmental harm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for environmental health policy makings for a welfare system that ensures the basic environmental rights for all citizens including susceptible populations and contributes to guarding the quality of life against climate change through prevention associated health damag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lfare was established through investigating the similar concepts in the welfare studies. In addition, the scope and definition of the susceptible population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nvironmental welfare was explored by reviewing enhanced resilience of susceptible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main target was environmental health related to environmental welfare of the target populations of children, pregnant women/infants and the elderly, which are biologically susceptible groups. Second, the domestic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children, pregnant women/infants and the elderly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n foreign subjects. The domestic research projects focused more on limited and specific areas when compared to the subjects of the foreign research projects. Additionally, the target groups of the domestic research projects were relatively small.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lso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each susceptible population and develop policies accordingl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ird, the investigati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for the protecting the health of biologically susceptible population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xisting domestic policies, i.e., to reform the legal system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new policies such as providing environmental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do the reform, collaboration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xperts, and civic groups is important. Fourth, the current environmental health policy was diagnosed by examining the previous surveys on susceptible populations, which showed that they were well aware of the relationship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ealth. They also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ensuring a clean environment, and felt that the susceptible populations should be given a priority for government`s environmental health related supports because they are more vulnerable to adverse health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nvironmental welfare for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Considering such need, the following paradigm shifts should be made. First, the current national-level policy scope should be downsized so as to enable customizing policy to suit smaller individual groups as well as collective population. Further, the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must be converted to policies for enhancing the individual resilience although it traditionally have been focusing on pollution control. If such paradigm shift is successful,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environmental welfare services that, in turn will reduce the susceptible population`s damages and increase their resilienc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welfare policies that are customized for each susceptible population are recommended as follows: 1. Policy recommendations for children and pregnant women/infants - Long-term research on environmental health impacts for children - Quantitative expansion of environmental health impact studies for children - Chemical risk assessments for children and their management guidelines - Policy with a focus on school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Integrated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terdisciplinary network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for children - Expansion of the Health-Nanuri(Sharing) Camp and the school of atopy·asthma relief for children - Strengthening and customiz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in schoo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2.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elderly - Basic research projects on construction·management of environmental exposure DB, recognition studies of environmental risk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ex and indicators for environment health for the elderly - Improvement of the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y for the elderly - Construction of the elderly-friendly built environment and healthy community - Exercise and environmental health program customized for the elderly with environmental diseases/chronic illness-Revit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for eliminating the gap of environmental health information in the elderly-Development and operational support for building an environmental welfare society where the elderly can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3. Policies recommendations for children, pregnant women/infants and the elderly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ools for surveying and assessing inequality of environmental welfare-Amendment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nd Environmental Health Act in order to clarify the legal concept of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welfare-Expansion of the designat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Center in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 Introduction of the CARE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local-based environmental welfare business of each local government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welfare governance

      • KCI등재

        An Alternative Index of Population Aging

        Bongoh Kye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5 No.3

        In this study, I propose an alternative index of population aging that accounts for education and elderly health using Korean data. Population aging is a worldwide phenomenon, and most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concerned about its consequences, such as the increasing burdens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elderly support. Most discussion is based on measures that solely consider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The current study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to population aging, which accounts for changing population composition as well as age structure. In particular, I attempt to propose an alternative index of population aging that accounts for improvements in education and elderly health. Analyses show that the alternative index grows more slowly than the conventional Old Age Dependency Ratio (OADR). Accounting for education and elderly health yields a less gloomy picture for the future. Finally, I discuss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new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