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Effects of Tannic Acid to The Cadmium Toxicity on Mouse

        Ryu, Jae-Hong,Lee, Na-Rae,Yang, Yul-Hee,Seok, Ji-Hyun,Kim, Pan-Gyi 용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硏究所論文誌 Vol.3 No.2

        Tannic acid (0.5mg/ml, 1.0mg/ml, 2.0mg/ml)와 카드뮴(20mg/kg)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annic acid와 카드뮴을 투여한 마우스의 증체량과 음수소비량에 변화가 있었으나, 카드뮴 투여에 의한 변화는 tannic acid투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2. 카드뮴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상대중량과 뇌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tannic acid 1.0mg/ml 투여군에서는 간장의 상대중량, 폐장의 상대중량, 흉선의 상대중량도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P<0.05) 3. Hemoglobin contents, packed cell volume, platelet count, neutrophill count 등의 혈액학적인 변화는 대조군에 비하여 카드뮴투여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의한 변화가 tannic acid를 동시 투여한 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카드뮴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청학적 변화(ALT, AST, BUN와 creatinine)가 있었으나 tannic acid 0.5, 1.0, 2.0mg/ml을 동시투여한 군에서는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카드뮴 투여에 의한 독성이 tannic acid 을 2.0 mg/ml/day 이상 4주간 투여하였을 때 경감효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 그러나,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의 독성에 tannic acid가 어떻게 경감효과를 나타내는지에 관한 작용기전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annic acid (0.5mg/ml, 1.0mg/ml, 2.0mg/ml) and/ or cadmium (20mg/kg) were administered by or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adverse effects on the weight changes and water consumption. But, the extent of adverse changes were decreased by tannic acid administration 2. Also,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hanges in organ weight, especially relative liver weight and relative brain weight by cadmium administration, but Tal.0 group was significant changes in relative liver weight, relative lung weight and relative thymus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the hematological patterns of administered mic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cadmium treated groups and control group. Hemoglobin contents, packed cell volume, platelet count and neutrophill count were significantly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not shown in tannic acid treated group. 4. There were serological enzymatic changes in the cadmium treated mouse. In the tannic acid treated group 0.5, 1.0, 2.0mg/ml, ALT, AST, BUN and creatinine were recovered to the extent of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the tannic acid has some possible alleviative effects of cadmium toxicity upto the 2.0 mg/ml/day of oral dose for 4 weeks. But we need further study of mechanism for toxicty alleviating action of tannic acid to the heavy metals like cadmium.

      • KCI등재

        The Effects of Tannic Acid to the Cadmium on Mouse

        Pan Gyi Kim,Ryoung Me Ahn,Seong Hee Hwa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3 No.2

        Tannic acid(0.5 ㎎/㎖, 1.0 ㎎/㎖ , 2.0 ㎎/㎖)와 카드뮴(20 ㎎/㎏)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annic acid와 카드뮴을 투여한 마우스의 증체량과 음수소비량에 변화가 있었으나, 카드뮴투여에 의한 변화는 tannic acid투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2. 카드뮴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상대중량과 뇌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tannic acid 1.0 ㎎/㎖투여군에서는 간장의 상대중량, 폐장의 상대중량, 흉선의 상대중량도 유의하게 변화하였다(P<0.05). 3. Hemoglobin contents, packed cell volume, platelet count, neutrophill count등의 혈액학적인 변화는 대조군에 비하여 카드뮴투여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의한 변화가 tannic acid를 동시 투여한 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카드뮴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청학적 변화(ALT, AST, BUN와 creatinine)가 있었으나 tannic acid 0.5, 1.0, 2.0 ㎎/㎖을 동시투여한 군에서는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카드뮴 투여에 의한 독성이 tannic acid을 2.0 ㎎/㎖/day 이상 4주간 투여하였을 때 경감효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 그러나,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의 독성에 tannic acid가 어떻게 경감효과를 나타내는지에 관한 작용기전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annic acid (0.5 mglml, 1.0 mgld, 2.0 mglml) and/or cadmium (20 mgikg) were administered by or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adverse effects on the weight changes and water consumption. But, the extent of adverse changes were decreased by tannic acid administration. 2. Also,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hanges in organ weight, especially relative liver weight and relative brain weight by cadmium administration, but Tal.0 group was significant changes in relative liver weight, relative lung weight and relative thymus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the hematological patterns of administered mic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cadmium treated groups and control group. Hemoglobin contents, packed cell volume, platelet count and neutrophill count were significantly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not shown in tannic acid treated group. 4. There were serological enzymatic changes in the cadmium treated mouse. In the tannic acid treated group 0.5, 1.0, 2.0 mglml, ALT, AST, BUN and creatinine were recovered to the extent of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the tannic acid has some possible alleviative effects of cadmium toxicity upto the 2.0 mgimllday of oral dose for 4 weeks. But we need further study of mechanism for toxicty alleviating action of tannic acid to the heavy metals like cadmium.

      • KCI등재

        시기별 성숙정도에 따른 경남지역 떫은감 감꼭지(시체: ) tannic acid 함량 변화

        최지은,김학곤,최명석,서원택,강승미,김종익,이가연,강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3

        감은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과실 중 하나이다. 한의학 에서는 떫은감의 꼭지(꽃받침)를 시체(柿蒂)라고 하여 사용하였으며, 민간요법에서는 기침과 천식, 만성 기관지염, 딸꾹질, 야뇨증에 사용되어졌다. 본 실험에서는 가공하여 유통 될 때 버려지는 부산물 중 하 나인 감꼭지와 잎의 tannic acid 함량을 HPLC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시기별 성숙 정도에 따라서 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 밀양 수시, 밀양 고종시로 5품종을 수집하였으며, 시기는 미성숙(8-9월), 성숙(10-11월), 곶감(12월-1월)로 구분하였다. 밀양 반시의 경우 이전의 연구에 서 산청 고종시, 산청 단성시, 밀양 반시의 tannic acid 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밀양 반시의 함량이 다 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밀양 지역의 품종을 확대하고, 밀양 반시의 잎 시 료를 준비하여, tann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다. 성숙 시기별 tannic acid 함량은 미성숙에서 곶감 꼭 지로 갈수록 타닌산 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성을 보이며, 미성숙의 생감꼭지에서는 밀양 고종시의 함량이 3.764mg/g로 높게 나타났다. 곶감으로 가공 건조되어 질수록 tannic acid의 함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숙 고종시 생감꼭지의 경우 함양 지역과 밀양 지역 내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tann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밀양 반시 지역에서 함양 고종시에 비해 약 1.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공식품으로 이용되는 떫은감의 미성숙 과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소재로 사용될 가능 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떪은 감의 꼭지는 부산물로써 버려지는 자원이아니라 한의학적으로 중요한 한 약자원으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simmons are cultivated mainly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and China. The astringent persimmons are wild species and have astringent taste until they have ripened. Tannic acid contents in astringent persimmon can be converted during ripening. We analyzed contents of tannic acid for several selected cultivars of astringent persimmons from various regions and at different mature stages. The astringent persimmons were provided by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FERI) collected from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in Gyeongsangnam-do. The three stalks of immature astringent persimmon from Hamyang(Gojongsi), Hamyang(Danseongsi), and Miryang(Bansi); the three stalks of mature astringent persimmon from Hamyang(Gojongsi), Hamyang(Danseongsi), and Miryang(Bansi), and the three stalks of dried astringent persimmon from Hamyang(Gojongsi), Hamyang(Danseongsi), and Miryang(Bansi) were used for analyzing tannic acid contents based on seasonal ripening [Stage 1: August- September(8-9 months), Stage2: October–November(10-11 months), and Stage 3: December- January(12-1 months)]. Additionally, three samples from the surface of fruit, the stalk, leaf of astringent persimmon in Miryang(Susi, Gojongsi, and Bansi) based on seasonal ripening [Stage 1: August-September(8-9 months) and Stage 2: October–November(10-11 months)]. These materials were separ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to its stalks and leaves and then extracted with 70% EtOH. The extract obtained was then analyzed for its tannic acid contents. All the samples analyzed were found to contain tannic acid and the stage 1(8-9 month) from stalks of all samples had highest percentage of tannic acid content compared with the tannic acid contents obtained in other samples. The stalk of immature astringent persimmon from Gojongsi(Miryang) had the highest tannic acid content(3.764 mg/g) and the stalk of mature astringent persimmon from Gojongsi (Miryang) had the highest tannic acid content compared to that of other stalk of mature astringent persimmon samples from other locations. However, the tannic acid content of astringent persimmon from Miryang(Bansi) showed decrease in tannic acid content with ripen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tannic acid content in astringent persimmon varies in according to their stages of maturity and cultivar. This finding therefore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annic acid content changes in astringent persimmon with maturity and hence provides a platform for future astringent persimmon product development and value addition.

      • 파밤나방에 활성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와 tannic acid와의 균주특이성조사

        곽창순,진나영,오산나,이유경,전미진,서미자,윤영남,유용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은 protease inhibitor중의 하나인 tannic acid를 혼합처리 함으로서 파밤나방의 살충활성에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이를 바탕으로 tannic acid가 B. thuringiensis균주 특이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내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실험실에 보관중인 B. thuringiensis중 파밤나방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이는 6개의 균주와 기준균주인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을 선발하여 총 7종의 균주에 각각 tannic acid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령 파밤나방에 대해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발된 7개의 균주들의 살충성단백질의 패턴과 파밤나방 중장액에 대한 tannic acid의 단백질분해 저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DS-PAGE를 수행하였다. B. thuringiensis KB100은 tannic acid의 농도를 높일수록 사충이 증가하다가 80mM농도에서 낮아지는 반면에 B. thuringiensis KB098은 tannic acid의 농도를 높일수록 오히려 사충률의 감소를 보였고, 이외 5개 균주는 tannic acid의 농도와 상관없이 뚜렷한 사충률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각 균주의 Parasporal inclusion에 tannic acid를 처리하여 파밤나방 중장액에 반응시켜 parasporal inclusion의 분해정도를 SDS-PAGE로 확인한 결과, 133kDa크기의 단백질밴드를 나타내는 각각의 균주가 생성한 parasporal inclusion은 tannic acid처리 농도에 따라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70~60kDa단백질크기로의 분해정도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annic acid가 B. thuringiensis균주에 따른 특이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와 tannic acid, 파밤나방 중장액의 상관성 조사

        곽창순,진나영,강동균,길영종,김기수,서미자,윤영남,유용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Tannic acid가 파밤나방의 중장액에 존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 처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의 insecticidal crystal proteins(ICPs)의 과분해를 억제하며 살충활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기초로, tannic acid의 protease inhibition여부 및 tannic acid가 B. thuringiensis KB100균주의 parasporal inclusion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annic acid와 파밤나방 중장액을 먼저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B. thuringiensis KB100의 parasporal inclusion에 처리하여 SDS-PAGE를 통해 단백질밴드를 확인한 결과, 중장액내의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정상적으로 분해되어 60KDa의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독소단백질 밴드를 나타냈다. 따라서 tannic acid에 의한 살충활성증대의 정확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B. thuringiensis의 parasporal inclusion과 먼저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파밤나방 중장액을 처리하고 단백질 밴드패턴을 확인한 결과 전독소인 130kDa의 단백질이 거의 분해되지 않고 나타났다. B. thuringiensis KB100의 parasporal inclusion과 tannic acid을 먼저 혼합하여 반응시킨 것을 위상차현미경하에서 확인한 결과, tannic acid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arasporal inclusion이 응집하여 있는 것이 확인되어, tannic acid가 파밤나방 중장 내 소화효소에 반응하는 영향보다 B. thuringiensis 독소단백질의 응집을 통해 소화효소의 분해저해 원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자외선 B 파로 유도된 Hairless Mouse에서 타닌의 피부 독성 억제효과 및 Heat Shock Protein 70의 생성억제 효과

        이세윤,이민경,장동덕,안령미,안형수 한국독성학회 1997 Toxicological Research Vol.13 No.1

        Inhibitory effects of tannic acid on skin toxicity and heat shock protein induced by UVB were investigated. Tannic acid was administered either topically or orally for 3 days to hairless mice, which were previously irradiated with UVB. UVB was found to cause skin erythema . However, the skin erythema was decreased when tannic acid was administered either topically or orally. The heat shock proteins, Hsp-78 kDa and 70 kDa, were induced by UVB irradiation, but the induction was decreased by treatment of tannic acid in both topically and orally administered groups. The hsp induction was more prominent in orally administered groups than in topically administerd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oute of administrations, topical and oral, does not affect the activity of tannic acid. In the skin tissue observation, tannic acid regenerated the epithelial cells with 7-9 cell layers which were injured by UVB. In conclusion, tannic acid has an ability to protect against UVB irradiation and regenerate the skin.

      • 파밤나방에 활성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와 tannic acid와의 혼합처리에 따른 소화효소활성 및 특성조사

        진나영,이유경,김유섭,전준학,이보람,서미자,윤영남,유용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파밤나방에 활성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100균주에 protease inhibitor인 tannic acid을 혼합처리 했을 때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tannins이 proteases의 활성을 떨어뜨려 나비목 유충의 생장을 억제한다 라는 가설을 토대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B. thuringiensis균주와 중장액의 배양시간에 따른 독소의 분해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SDS-PAGE를 수행하였다. KB100 toxin을 중장액으로 소화 시켜 시간대별로 단백질 밴드패턴을 확인 한 결과 60kDa의 활성독소가 시간이 지날수록 옅어지는 것을 확인한 반면 tannic acid를 첨가 했을 때는 60kDa의 살충활성 밴드가 계속해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Trypsin에 의한 B. thuringiensis의 분해능을 SDS-PAGE로 분석한 결과 약 60kDa과 70kDa의 밴드를 나타냈고 tannic acid에 의해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파밤나방 중장액에 40mM tannic acid를 처리한 후 각각의 기질에 활성을 측정한 결과 trypsin의 기질인 BApNA, BPVApNA는 각각 62.2±0.3%, 54.5±1.1%의 활성을 나타냈다. 40mM tannic acid의 기질에 대한 단백질 분해 활성 억제정도를 비교한 결과 trypsin 각각의 기질에 대한 활성은 40mM tannic acid를 처리 했을 때 약 30∼40%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Tannic acid는 serine 계열의 proteases 중에서 trypsin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파밤나방 중장 proteases중 trypsin의 서열을 밝히기 위해 5'RACE PCR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탄닌산이 DNCB에 의해서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유사병변의상피 분화에 미치는 영향

        류은미,이정인,이병래 대한미용학회 2018 대한미용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annic acid on the epidermal differentiation of atopic dermatitis (AD). AD-like skin lesions were induced in BALB/c mice by repeated application of 1-chloro-2,4-dinitrobenzene (DNCB) to the shaved skin of animal backs. Animals tested were divided into 4 groups: i) controls, and those treated with ii) olive-acetone, iii) DNCB and iv) DNCB+tannic acid. In the DNCB+tannic acid group, dermatitis symptoms (eg, rash, papule and eczema) were improved compared with the DNCB group. The results of skin histology revealed that stratum corneum was not observed in the DNCB group, but was observed in the DNCB+tannin group. In the skin of the DNCB group, Sprr1b, Sprr2e, Sprr2f, Casp14, and Kik5 protein expression was higher and Foxn1 and Elf5 protein expression was lower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skin of the DNCB+tannin group, the expression of Sprr1b, Sprr2e, Sprr2f, Casp14 and Klk5 proteins were lower, while the expression of Foxn1 and Elf5 proteins were higher when compared with the DNCB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Krt6a, krt6b and krt16 proteins in the skin was increased in the DNCB group, while it was decreased in the DNCB+tannic acid group. These result suggested that tannic acid may improve symptoms of DNCB-induced dermatitis.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Sprr1b, Sprr2e, Sprr2f and Casp14, Klk5, Foxn1 and Elf5 proteins in the skin following treatment with tannic acid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kin inflammatory symptom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mediating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related genes following treatment with tannic acid. 본 연구는 탄닌산이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DNCB 피부염이 유발된 생쥐에 탄닌산을 경구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피부 조직학적 소견에서 DNCB군은 각질층이 떨어져 나가 보이지 않았고, DNCB+탄닌군은 DNCB군 피부조직과 비교하면 표피 최외측에 각질층이 보존되어 있어서 피부염 완화에 의한 결과로 추측된다. DNCB군의 피부 각질구성 단백질인 Sprr1b, Sprr2e 및 Sprr2f와 분화관련 효소 Casp14나 Klk5는 발현이 증가되고, 각질세포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Foxn1과 Elf5는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DNCB+탄닌군은 DNCB군에 비하여 피부 각질구성 단백질인 Sprr1b, Sprr2e 및 Sprr2f와 분화 관련 효소 Casp14나 Klk5은 발현이 감소되고, 각질세포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Foxn1과 Elf5는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피부 케라틴을 구성하는 Krt6a, krt6b 및 krt16은 DNCB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고, DNCB+탄닌산군에서는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서 탄닌산을 경구투여하면 DNCB 피부염의 증상이 개선되었는데 이는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과정에서 각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Sprr1b, Sprr2e 및 Sprr2f와 분화 관련 효소 Casp14와 Klk5 유전자 발현변화와 각질세포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 Foxn1과 Elf5 유전자 발현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탄닌산은 아토피성 피부의 증상으로 볼 수 있는 피부 발진, 구진 및 습진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문제성 두피나 피부관련 화장료의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탄닌산에 의한 각질구성 단백질과 분화관련 효소 및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변화의 원인이나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41 균주와 Tannic acid의 상호작용

        진나영,백승경,김태환,박찬,정선영,서미자,윤영남,유용만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파밤나방은 파, 배추, 수박 등에 다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농업 해충이며 화학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대표적인 해충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물적 방제인자로 방제하고자 Bacillus thuringiensis(이하 Bt) 균주를 선발하여 살충효과를 검정 하였다. 파밤나방은 살충효과검정과정에서 내성이 강한 해충과 비슷한 양상으로, 다른 나비목 해충과 다르게 Bt에 대한 살충활성이 늦게 나타나는 지효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원인으로 유충 중장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cry 독소가 과분 해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protein inhibitor로 알려져 있는 tannic acid를 선발하 여 실내 실험과 야외 포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Bt 단독처리보다 Bt와 tannic acid를 혼합처리 했을 때 더 높은 사충율을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몇 가지 가설을 세워 실험을 수행 하였다. 첫 번째 tannic acid가 Bt균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해, Nutrient Agar(NA)배지에 tannic acid를 처리했을 때, Bt균의 생장여부와 생장정도를 확 인하고, 중장액과 Bt, tannaic acid를 각각 또는 혼합처리 했을 때의 중장내 Bt crystal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수행 하였다. 두 번째로 중장 프로테아제가 130kDa의 불활성 독소를 60kDa의 활성독소로 분해한 후, 더 과분해 하는 것을 tannic acid가 억제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 기 위해 SDS-PAGE를 수행하여 tannic acid의 억제정도를 확인했고, 이 결과를 토대로 40mM tannic acid를 전처리 한 후 Bt처리를 했을 때, 동시처리보다 약 5% 더 높은 사충율을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탄닌산의 억제 효과

        이주은 ( Ju Eun Lee ),김소영 ( So Young Kim ),김수연 ( Su Yeon Kim ),오미희 ( Mi Hee Oh ),윤혜영 ( Hye Young Yun ),백광진 ( Kwang Jin Baek ),권년수 ( Myoun Soo Kwon ),김동석 ( Dong Seok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4 No.3

        피부에서 엘라스틴(elastin)은 중요한 탄력섬유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다. 피부주름(skin wrinkle) 형성은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분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엘라스틴의 재형성과 분해 또한 주름형성 기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일종의 메탈로프로테이나제(metalloproteinase)이며, 자외선 B (ultraviolet B, UVB) 조사 후에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증가된 엘라스타제의 활성은 피부의 탄력성 감소와 주름 형성의 주요한 원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각종 견과류나 과일에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성분인 탄닌산(tannic acid)을 사람의 섬유아세포(CCD-25Sk fibroblasts)에 처리하여 엘라스타제 활성과 트로포엘라스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닌산은 농도의존적으로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그러나 트로포엘라스틴 합성이나 발현증가에는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탄닌산은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시켜 엘라스틴의 3차원적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탄닌산은 주름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lasti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elastic fibers in the skin.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Elastase is a metalloproteinase which acts on degradation of elastin. It is known that elastase activity is increased by ultraviolet (UV) B radiation. Thus, increased elastase activity could be the major reason for skin elasticity reduction and winkle formation. Tannic acid is a polyphenol found in various fruits and nuts. This molecule has a potent ability to eliminat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annic acid has effects on elastase activity and tropoelastin synthesis. Our results showed that tannic acid reduced elastase activity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expression of tropoelastin protein and mRNA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annic acid.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annic acid may contribute to block tortuosity of elastic fibers by inhibiting elastase. Thus, tannic acid might be developed for a possible agent to inhibit skin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