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수출지원제도 공급에 대한 중소기업의 선호도와 지원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전동석(Dong-Suk CHUN) 한국무역상무학회 2018 貿易商務硏究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preference for each policy and the effect of SME support on various export support systems implemented by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efficient operation plan of export suppor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ort support system preference and the export support effect, all 10 items of export support systempreference show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export support effec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ompany s preference, the higher the effect of export suppor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5 items such as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overseas exhibitions, online export marketing support, and export insurance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ausality of export support effect.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fficiency of the export support system and the export support effect, all 10 items show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export support effect. However, i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only the support of the foreign buyers conference and the support of the export insurance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causality of the export support effect. On the other hand, support for participating in overseas exhibitions,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foreign market pioneering groups, and support for online export market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pport performance. Finally, the effect of export support systemon the export support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adjustment effect of export size on export support system.

      • KCI등재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성경(Seong Gyeong Seok),박희숙(Hee Sook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5개 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 보육교사 5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2019년 8월 1주부터 9월 2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은 가정생활 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가정 향상은 직정과 가정생활 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직장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직장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을 위해 바람직하게 대처하는 방안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resources of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on the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5 cities in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 week of August to the 2nd week of September 2019 through questionnair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negative effe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effects on work-life satisfaction, the ego-resilience statistically functioned as a mediating role and i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on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spouse suppor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work-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do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statistically have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 plan to respond appropriately for the satisfaction of work and family life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 SCOPUS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이 병원종사자들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종욱,서영준,박하영,Ko, Jong-Wook,Seo, Young-Joon,Park, Ha-Young 대한예방의학회 1996 예방의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among the employees. Previous studies have yielded mixed results regarding the role of social support. Some studies provide supporting evidence for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hile others do not. Still others report findings about reverse buffering effects. These inconsistent findings are, in part, accounted for by methodological problems such as poor measurement, small sample size, and the existence of high multicollinearity. To examine more rigorously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this study was carefully designed to overcome methodolgical shortcomings found in the past research. In addition,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concerned mostly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as consequences of job stress, in this study, three work-related variabl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which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examined as output variable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53 employees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the surburbs of Seoul.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canonic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1) job stress has negative main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2) social support has positive main effects on the same three output variables, (3) social support does not moderate the harmful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three outcome variables, and (4)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 job stress * gender) and of (social support * job stress * education) are not support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re discussed.

      • KCI등재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영주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6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s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of more than 65 years old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8 counties of Jollabukdo province have been interviewed and a total of 228 people's answers are used as the data for the analysis. The effect relations of the stressor and the social supports on the depress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s and the depression, the depression is decreased by the combined social support, and by the family support in the case of the structural support, and by the emotional support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support.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s, the combined social supports shows the mediating effect that alleviates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on the depression. Likewise, the family support in the case of the structural support shows the mediating effect that alleviates the effect of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on the depression, and the emotional support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support shows the mediating effect of alleviating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tatus on the depression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s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lleviation of the depression, and thus suggests that the social supports can be a crucial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스트레스원과 사회적 지지의 우울과의 인과관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레스원으로 인한 우울에 대하여 사회적 지지를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로 분류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8개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 면접형식으로 조사하였으며 228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는 첫째,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우울의 증가 정도는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총합과 구조적 지지에서는 가족지지, 기능적 지지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총합과 구조적 지지에서는 가족지지가 주관적 경제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고 있으며, 기능적 지지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일상생활활동능력에 대해 우울을 완화시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완화시키는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농촌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회적 지지는 중요한 문제해결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내외 통제성,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상효 ( Sang Hyo Kim ),엄준용 ( Joon Yong Uhm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중등교사의 내외 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과 중등교사의 내적 통제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35개 공립 일반계 고교 교사 939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과 함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내외 통제성의 조절효과가 있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 교사들이 지닌 내적 통제성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게 될 개연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사가 인식하는 상급자 지지,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다. 셋째, 교육당국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높이고 학교현실과 맞지 않는 교육정책에 대한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에서는 교사의 과업 요인 스트레스와 기술적 요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경영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교조직에서 학교 관리자인 교장, 교감이 동료교사보다 좀 더 조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가장 주요한 직무스트레스 제공자인 반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는 데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e effect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purpose, I conducted this research in order to deduce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devic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elevate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1,100 questionnaire which got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irculated to teachers in 35 public high school. 939 teachers`` answ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m.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test, F-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done using SPSS 19.0. I confirmed the relations through af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20.0.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rate effect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exists. Second, w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rate effect of senior support and family support exists. However, the moderate effect of colleague support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external and task factor is the highest. The stress of technical factor is higher and the stress of structural and human factor is the next. Fourth, when it comes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uch high negative relation exists and senior support, colleague support, family support in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 in the regular sequence have higher negative relations. On the contrary, much high affirmative relation exists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nior support and high affirmative relation exists of colleague support, family support in regular order.

      •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양서연(Yang Seo Yeon),최한나(Choi Han Na)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0 가족과 상담 Vol.10 No.1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역할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기간이 1년 이상인 부부 458명(229쌍)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도식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개정판 부부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t: APIM; Kenny, 1996)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선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게 나온 반면, 남편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중 자기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간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아내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의 결혼만족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상담 및 결혼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29 couples married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Kenny, 1996). The results indicat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s no relation to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related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perceived marital suppor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regards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when perceived marital support influences on marriage satisfaction. Both genders’ actor effect was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owever, while wives’ partner effect had an impa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usbands’ did not. The results indicated actor effect existed in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riage satisfaction. However, wives and husbands partner effect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indicated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both wives’ and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wives’ marriag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손주영,박지영,이은경,이은화,최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aim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resilience. Methods For this study, online survey data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normality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multicollinearity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ally, bootstrapping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to test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self-leadership’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whereas cognitive strategy does. Second, action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ir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Fourth,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s action strategy on resilience. Fifth,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s cognitive strategy on resilience except instrumental suppor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ffective self-leadership programs and various forms of social support to enhance resilience by displaying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in school life in a pandemic situation.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self leadership),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 그리고 회복탄력성(resilience)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셀프리더십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K대학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설문조사 자료를 SPSS와 AMO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변수 간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인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검증을 진행하였으며,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모델 적합도와 경로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정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의 행동적전략(action strategy)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인지적전략(cognitive strategy)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행동적전략과 인지적전략은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셀프리더십의 행동적 전략이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정서지지, 평가지지, 정보지지, 물질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 다섯째, 셀프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물질적지지를 제외한 정서지지, 평가지지, 정보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있다. 결론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이 셀프리더십의 발휘를 통해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제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경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구직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김찬선,김경식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2

        Purpose : This study has the necessity and purpose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job searching effective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 Method : This study collected 241 copies by distributing 250 copies to students enrolled in security major of Cheonan, Asan and Seoul metropolitan area via subjective sampling method from May 1st to 30th (30 days). Among them, 227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entere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factor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with the SPSSWIN 24.0 program.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earching effectiveness. Especially, the more senior support and family support exist, the more effective the job searching is.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more senior support,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professor support exist, the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rease. Third, the job searching effectiveness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if job search intensity,objective,motivation is higher and clea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reases. Fourth, social support and job searching effectiveness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s job searching effectiveness. Thus, the parameter job searching effectiveness is found to be a factor that directly / indirectly meditates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Therefore, it’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job searching effectiveness of security majoring college students.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구직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도권과 천안아산 소재 경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 ~ 5월 30일(약 30일)까지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250부를 배부 하여 241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한 사례 수는 227명이다. 입력된 자료처리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Sobel Test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은 구직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선배의 지원과 가족의 지원이 많을수록 구직효능감은 높아진다. 둘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선배의 지원, 친구의 지원, 가족의 지원, 교수의 지원이 많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높아진다. 셋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구직강도, 구직목표, 구직동기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증가한다. 넷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구직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원은 구직효능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변수 구직효능감은 사회적 지원과 진로준비행동을 직·간접적으로 매개해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경호전공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뒷받침 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고찰

        김미령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에서 클라이언트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장일치된 개념정의는 없지만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포괄적으로 개념정의를 할 때 방대한 사회적 지지의 다면성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수혜(receiving) 뿐 아니라 제공(giving), 또한 수혜와 제공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심리적 복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느냐 혹은 스트레스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하느냐에 따른 영향도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는 크게 직접효과와 완충효과로 나뉘며 사회적 지지의 유형과 범주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개념정의와 조작정의에 따라,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유념하여 사회적 지지의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기위해 연구자는 개념정의, 조작정의, 방법론상의 문제 즉 디자인, 샘플, 측정방법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 client and has been acknowledged widely as an effective component of well-being. In spite of the lack of a unanimous definition of social suppor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ocial support. Not only the receiving social supportbut also the giving social support and the reciprocity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influencing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it is perceived or actually received.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is a dynamic process which connects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social support. Perceived and enacted social support are the dimensions of this social support transac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are defined as follows: the main or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ain or moderating effect depends on the type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To fin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upport, especially moderating effect, the methodological issues such as designing, sampling, measurement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산업단지 지원정책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단지 입주기업과 비입주기업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원빈 한국혁신학회 2024 한국혁신학회지 Vol.19 No.2

        우리나라 정부는 산업집적지의 클러스터화를 통한 지역경제 경쟁력강화를 위해 산업단지 개발 공급에 대한 지원은 물론 입주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여 왔다. 이처럼 정부가 산업단지에 대한 재정지원을 하는 것은 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이 집적효과와 같은 외부효과를 얻음으로써 산업단지 외부에 입지한 기업에 비해 생산성이나 이익률 등에 있어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업단지 지원정책에 대해 기업단위의 객관적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성과를 분석하거나 정부의 재정지원이 입주기업에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다주는지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산업단지 입주기업에 대한 전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KIS-Value 기업재무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구축한 패널테이터를 이용하여 정책수혜기업군인 산업단지 입주기업군과 비교대상 기업군인 산업단지 비입주기업군에 대한 집단패널GLS모형을 통한 비교분석으로 산업단지 지원정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산업단지 지원정책의 정책수혜 기업인 산업단지 입주기업군이 비입주기업군에 비해 대체적으로 매출액영업이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업단지에 대한 정책지원의 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단지 입주기업 중에서도 주로 중위기술산업군과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일수록 산업단지 입주에 따른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성된 지 20년 이상 된 노후산업단지가 입주기업의 평균적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이 산업단지 전체 입주기업보다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노후산단에 대한 정책지원효과가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업단지 지원정책의 방향도 신규 산단 조성과 함께 기존 산단에 대한 지원을 통해 재정투입의 효과성을 보다 높이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노후산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support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tenant companies as well as support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nd supply in order to strengthen reg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through clustering of industrial clusters. The government provides financial support for industrial complexes because there is a belief that companies in industrial complexes can achieve better productivity and profit margins than companies located outside industrial complexes by obtaining external effects such as agglomeration effect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ndustrial complex support policy based on objective statistical data at the enterprise level or on the ripple effect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on tenant compan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industrial complex support policy using panel data established through matching with KIS-Value corporate financi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group of companies moving into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is a policy beneficiary of the industrial complex support policy, generally has a higher operating profit ratio on sales than the group of non-resident companies, so it is judged that the effect of policy support for industrial complexes exists. Among the companies moving into the industrial complex,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moving into the industrial complex exists mainly in the middle technology industry group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ales and operating profit ratio of tenant compan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ntire industrial complex, confirming that the policy support effect for the old industrial complex was gre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investment by supporting existing industrial complexes along with the creation of new industrial complexes, an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portion of support polic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old industrial complex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