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 상호작용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심리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 Lim Hyun-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가족 상호작용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심리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유아와 가정 변인에 관한 복합적인 본 연구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가 2017년에 발표하여 전국적 데이타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 자료를 사용하였다. 1차 년도의 연구대상은 2,150 가정이며, 7차 년도의 연구대상은 72∼79개월의 유아 1,620명과 그 가족이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신뢰도, 데이터의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살폈다. 가족 상호작용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심리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는데 모델의 적합도는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유아의 심리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정환경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유아의 심리를 매개로 한 간접 영향력은 약한 부적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유아의 심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 작용을 하고 있었다. 이에, 가족 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많이 만들고 가정환경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지원과 교육기관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family interaction,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ata of 1,620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7) was used for this study. We first ran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mong key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associations of family interaction,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The model 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amily interaction is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s mediated by children’s psychological variables. Home environment is also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ut its indirect association via children’s psychological variables was weak and negative. In addition, children’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ocial competence. Thus, we suggest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ositive family interactions and offering social support and educational efforts of to fill the gap resulted from socio-economic disparity.

      • KCI등재

        신체활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생태변인들의 인과적 관련성

        강수진 ( Soo Jin Kang ),김영호 ( Young Ho Kim ),박인경 ( In Kyoung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e current study explored physical activ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a random sample of community adults, and tested causal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Methods: A total of 812 adults over 30 years old who reside in Gangbuk-gu, Nowon-gu, and Seongbuk-gu, Seoul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Standardized scales were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social ecological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of the social ecological variables. All of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direct path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physical activity, an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availability of facilities and physical activity was substantially mediated by perceived barrier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promote greater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 aged adults.

      • KCI등재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정여진(Jeong Yeo Jin),유나영(Yu Na Yung),김비아(Kim Bi A),신현정(Shin Hyun Jung),정영숙(Chong Young Sook)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4

        본 연구는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2014년 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93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공적 노화 관련 변인들을 하위군별 그리고 각 하위군 내 상세 변인별로 평균효과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하위군 별 평균 효과크기에서 심리적 변인군의 평균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변인군과 신체건강 및 인지기능 변인군, 기타 변인군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은 가장 약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각 하위군 내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군에서는 경제적 상태, 종교, 학력, 결혼상태, 연령, 세대의 순으로 모두 약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건강 및 인지기능 변인군에서는 인지기능, 생활양식, 건강상태, 신체기능, 인지적 책략, 그리고 질환수의 순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변인군에서는 초월, 목표의식, 자기효능감/자아존중감, 지혜,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 우울/고독감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노화불안, 노화에 대한 태도, 탄력성, 죽음준비, 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사회적 변인군에서는 가족기능과 가족 지지가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자녀관계, 지역생활환경, 사회적 지지, 친교활동, 배우자 관계, 형제자매 관계,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 가족 관련 활동, 유급활동이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회적 지원 제공은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기타 변인군인 은퇴준비와 차별은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93 paper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14 in Korea to systematically integrat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elders. Standardized average effect sizes were computed for each factor and their group variables. Results presented the largest average effect size for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medium average effect size for the social variables,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factors, and the residual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e smallest average effect sizes. Average effect sizes were then computed for each individual factor. Amo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showed the smallest average effect size, economic statu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religion, education, marital status, age, and generation. Among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cognitive function, lifestyle, physical status, physical function, cognitive strategy, and number of diseases showed medium amount of effect sizes. Among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showed the largest average effect sizes, transcendence, purpose of life, self-efficacy/self-esteem, wisdom,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strategy, and depression/ loneliness showed large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ging anxiety, attitude toward aging, resilience, death preparation, stress, and grateful disposition showed medium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mong social variabl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displayed large average effect sizes; relation with children, local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activities related to friendship, family, leasure, volunteering, and payroll, along with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brothers/sisters showed medium amount of average effect sizes. Among the residual variables, preparing retirement and discrimination showed medium average effect siz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 사회적 요인의 성별 차이

        이수인 ( Sooin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자살생각의 영향 요인들인 심리적 변수들과 사회적 변수들의 효과에서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와 이러한 차이의 이유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 2012`를 사용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 요인들의 효과에서 뚜렷한 성별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에 대한 연구와 분석에서 성인지적 관점이 적극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외상 경험은 남성들이 많을지라도 자살생각에 대한 외상 효과는 여성들에게서만 나타났고, 여성들이 더 우울 할지라도 이것이 더 높은 자살생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부정적 사건들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우울에 더 허용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성역할 사회화에 따른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 때문이다. 셋째, 남성들의 경우 사회적 변인인 가정생활만족도, 정부신뢰, 가사노동시간이 모두 자살생각에 효과를 나타낸 반면 여성들은 가정생활만족도만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은 공적 영역의 담당자로, 여성은 가사담당자로 간주되는 남녀의 사회적 지위와 성역할 규범이 사회적 변인들의 효과에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he social variables for suicidal ideation which had gender difference, and explored the reasons of that difference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12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influencing variables for suicidal ideation have distinct gender differences. This results shows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is needed in the study of suicide. Second, though men had more trauma than women, the effects of trauma for suicidal ideation were only to women. The depression which is more prevalent among women didn`t indicate more suicidal ideation in women. These results come from the propensity of women not forgetting the memories of negative events and admitting the depression. Thi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sculinity and the femininity which are based on the sex role socialization. Third, all the variables like family life satisfaction, government trust, housekeeping labor time in men have the effects for suicidal ideation. but only family life satisfaction in women has the effects for it. These results mean that social position and gender role, which constitute men as a person in charge of public sector, women as a home laborer and a person in charge of the private sector, are linked with the effects of social variables for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만 3~5세유아의 컴퓨터 게임행동과 인구 사회학적, 심리·사회적 행동변인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김명화 ( Moung Fa Kim ),김세루 ( Se Ru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의 컴퓨터 게임행동과 인구사회학적, 심리사회적 행동변인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30명의 유아와 그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유아 공격성, 유아 불안, 컴퓨터게임 이용 빈도, 컴퓨터게임 이용 시간 순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컴퓨터게임 중독행동 및 환경과 불안과 공격성의 심리적 특성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의 컴퓨터교육에 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ociological variable, psychological social variable, and paternal variable related on young children`s computer game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For the empirical research, 330 young children`s between the ages of 3 to 5 were selected. As a result, young children`s computer game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did have signification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s aggression, anxiety, frequency of computer game and the game play time.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computer game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were in the order of psychology social behavior variables such as young children`s aggression and anxiety, age, and population-sociological variabl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and home based data on computer education of children.

      • KCI등재

        공군사관학교 출신 장교의 이직의도와구조적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사회화의 조절효과

        구륜회,임정인,정예슬,손영우 한국국방연구원 2018 국방정책연구 Vol.34 No.2

        A Study on Turnover Intention and Structural Antecedent Variables: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antecedent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s of the officers from the military academy. Factors examined by this study includes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job stress, procedural justice, payment, chance of promotion, and benefits of turnover.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also identified. As a result, autonomy, job stress, procedural justice, and benefits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benefit, autonomy and turnover int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관학교 출신 장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선행요인과 조절변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직무 특성 변인(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직무스트레스)과 조직 특성 변인(분배·절차공정성, 임금, 승진기회, 복리후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사회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공군사관학교 출신 장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자율성과 직무스트레스, 분배·절차공정성과 복리후생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절차공정성 및 복리후생과 이직의도 관계를 조절하고, 조직사회화는 자율성과 이직의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Choi, Hang-J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현상을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영아의 기질변인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어머니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 변인, 영아기질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을 종속변인으로 선택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으로 이미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PSKC) 2차년도(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총 1,904가구 중 후속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취업모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의미한 변인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양육스트레스였다. 매개변인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된 주요한 변인들의 경로 중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은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였다. 기질 중 정서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 부모 자녀가치 변인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경제활동변인과 자녀양육, 가족 및 친족 범위의 사회적 지원, 부부간의 가사 및 육아의 역할분담 경향,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인, 사회적 지원이었다. 특히 경제변인은 후속출산계획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w birth rate of working mothers with psycho-social factors within the family.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infant temperament variables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w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study were mothers who were working and raisi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which were related to the subsequent birth plan of working mothers. If the causes for the low birth rate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ffective policy making.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latent variables, which were abstract concepts rai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t was expected to build up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In this study, the data were from the second-year study of the Panel of South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by the Child 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PSKC study included 2,078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born at medical institutions (It is not clear whether you mean the children or the mothers were born at thes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except Jeju. 226 households dropped out from the first-year study and 52 households were added newly to the second-year study, so 1,904 households ended up participating in the study. SPSS 12.0 was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MOS 7.0 was used to fi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aths of variables on the mother"s subsequent birth plan.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s were analyzed step-by-step from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final model. The hypothetical model was used to presum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theories, and the final model was used to choose the rational selection model that was most appropriate for this study.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김지연,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factor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Method: Ninety-tw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mediating variables. Results: First,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humanization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deep act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duced personal achievement. Second,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hievement, while deep ac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hievement. Third, deep acting had an effect on the reduced personal achievement due to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informational support, and the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d an effect on dehumanization through the work related efficacy of teacher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proposed a support poli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suggested a follow-up stud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매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유아특수교사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사회적 지지, 교사 효능감 간 관련성 확인을 위해 상관분석,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인을 찾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와 정적 상관관계를, 내면적 행동은 개인적 성취감 저하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은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내면적 행동은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의 저하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김정노동의 내면행동은 정보적 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소진의 개인적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은 교사 효능감의 업무관계 효능감을 매개로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논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지원정책 및 조직문화 변화에 대한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행태와 사회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이준호(Joon-Ho Lee),안수근(Soo-Geun Ann),정용조(Yong-Jo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본 연구의 연구목적으로는 국내 이동전화 서비스의 최대 이용자들인 10대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동기와 이용량 등의 이용행태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서 사회심리적 특성들의 역할과 이용행태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가설을 세 가지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설문조사를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는데, 주요 설문내용은 첫째, 이동전화의 음성통화와 문자 서비스의 빈도와 대상 및 기타 부가서비스의 이용 관련 설문과, 둘째, 8개 차원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묻는 질문, 그리고 셋째는, 이용동기를 일반적 통화와 문자메시지 이용 부분으로 구분하여 충족의 유형별로 3-4개씩 구성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문자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나 가족들에게는 음성통화를 더 빈번히 하는데, 부모들의 연령대에서 문자메시지보다 음성통화에 더 익숙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친구들간에는 문자메시지 이용이 지배적인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 양식이다. 둘째, 금전적 부담이 가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용을 회피 또는 자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셋째, 문자서비스를 도구적 목적보다는 사교/오락적인 목적에 더 비중을 두고 이용하며, 전화의 이용동기의 양대축을 이론적으로 형성해 온 “업무/도구적 이용”과 “사회성(사교)/오락성 추구”는 청소년들이 이동전화를 통한 음성통화를 하게 되는 동기로서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이동전화 이용빈도의 관계는, “개인중심성”이 부가서비스 이용빈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집단중심성”은 음성통화와 문자서비스 이용빈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즉시성” “직접성”, “혁신성”, “타인지향형” 등의 특성은 이동전화 이용과 정적 상관관계 나타내는 반면, “내적지향형”과 “전통지향형” 성격은 부적 관계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 있어서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다양화와 일반화된 기능적 도구로서의 인식이 주목할 만하다. 문자메시지 이용은 음성통화를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고 그 동기의 강도가 더 높으므로 기능적 우월성까지도 전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전화와 이동전화 음성통화의 이용동기 간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가운데 도구적 이용과 인간적/정서적 이용의 동기가 이동전화의 타 미디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bile phone service usage patterns of Korean teenagers and their motivations to use i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enaget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traits of mobile phone usage. After reviewing prior theoretical studies, three hypotheses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s shown above were generated.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s. They were to answer three categories of questions, such as frequencies of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and the other mobile services, questions asking their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otivations for using mobile phone services. Findings show that the teenagers more likely to tend to use voice calls when communicating family members. They tend to avoid those services with high rate of use such as multimedia, game, and broadcasting services via mobile phones. The teenagers use mobile phone services for the similar purposes to conventional telephone uses. Therefore, the classical theories showing the alternative purposes or motivations to use conventional telephone usage, which divided the main purposes for phone uses in to two; work/instrumental and socializing/entertaining, proved to be reasonable. The cheap messaging services with texts are popular among the teenagers and are used for socializing/entertaining purposes rather than instrumental/functional purposes. In addition, the teenager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mobile phone uses. A characteristic of "individual-centeredness" is positively related with non-voice service uses, while "group-centeredness" explains heavy amount of using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Such characteristics as "immediacy," "directness," "innovativeness," and "other-direc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ies and amounts of mobile phone uses, while "inner-direction" and "tradition-direc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 KCI등재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메타분석

        박성은(Park, Sung Eun),임선아(Lim, Sun A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탐색한 개별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의 크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5년도 8월까지 인터넷 중독을 주제로 수행된 개별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결과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474편의 개별 연구물들을 메타분석을 위해 선정하였고 이 연구물들로부터 312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 효과크기는 .266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라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초등학생(ES=.283), 중학생(ES=.240), 고등학생(ES=.266), 대학생(ES=.254), 성인(ES=.233)으로 초등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중학생, 성인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관련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가족체계 변인(ES=.222), 개인 심리적 변인(ES=.276), 사회체계 변인(ES=.252)으로 개인 심리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위 25개 하위 유목화에 따른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불안(ES=.370)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학습동기(ES=-.368), 정신건강문제(ES=.340), 우울(ES=.330), 자기통제(ES=-.325), 사용동기(ES=.320), 충동성(ES=.304)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밝힌 개별 연구들로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관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size of the relevant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by analyzing meta-analysis which synthesize the existing studies about Internet addic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llected the related studies about Internet addiction from 1998 to August 2015, and integrated and analyzed the outcomes by meta-analysis. Through several screening processes, total 474 papers were selected and effect size of 3,124 from the 474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To conduct Meta-analysis, the CMA(The software Comprehensive Meta-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was .266, which showed upper middling effect size. Secondly, the respective effect size using the categorical variables were follows: the measuring result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ublished form was journals (ES=.267) and theses (ES=.263), effect size of journals appeared larger. The effect size of the level of school was show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283), middle school students (ES=.240), high school students (ES=.266), university students (ES=.254), adults (ES=.233) in order. Thirdly, the results of Meta-analysis which conducted by dividing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were follows: the family system variable (ES=.222),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ES=.276) and social system variables (ES=.252) influenced on Internet addiction the most as compared with effect size of Internet addiction-related variables. Specifically, anxiety (ES=.370) presente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study motivation (ES=-.368), mental health problems (ES=.340), depression (ES=.330), self-control (ES=-.325), utilization motivation (ES=.320), impulsivity (ES=.304) were shown in order. Therefore, this study may be able to be utilized as practical material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Internet addictio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dividual studies, Also, it is meaningful in looking for effective intervention ways and practices, and may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