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주연(Joo-Yeun Park),전범수(Bum-Soo Chun)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방송의 접근성이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기존 방송사들은 소셜 미디어를 보완 미디어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는 참여, 개방과 공유의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콘텐츠 제작과 소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방송 콘텐츠 공유를 확산한다는 차원에서 전통적인 방송에게 보완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입소문과 평가가 전통적인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그 융합의 형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로서 영향력을 확산하고 있는 환경에서 방송이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접목하고 활용하며 그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지 국내외 방송사들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사례를 유형별로 탐색해보았다. The social media service in Korea is growing very rapidly. This study attempts to outlin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media and analyzes the types of social media contents regarding broadcasting companies, especially broadcasters. Broadcasting companies are eager to develop the strategy of social media contents to maintain their power in the field of new media. Broadcasting companies uses social media as the tool for channel PR, news source and contents platform. But social media contents distribu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due to the lack of clear business models in the broadcasting area. Since social media can connect different resources and broadcasters to make the network a visible entity, it seems that there is an imperative to integrate social media components in the current broadcasting system. To satisfy the audiences’ needs and to maintain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e media companies should develop new business models and cooperate with other market participants to reduce the barriers in the new media service.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공공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정애리(주저자) ( Ae Ri 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오늘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양산되는 수많은 콘텐츠는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 등을 아우르며 우리의일상생활과 학문, 비즈니스 영역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더 이상 사적 미디어로 바라보지 않고 소셜 미디어가 표방하는 개방.공유.참여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공적 미디어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 등장 이후 공공성 담론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공공성 구현을 위한조건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literature review)방법을 사용하여 소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공공성개념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살펴보고 소셜 미디어의공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구현을 위해서는 첫째, 이용주체와 정보의 신뢰성, 둘째, 정보의 정확성, 셋째, 내용의 공정성, 넷째, 디지털 시민성 등의 조건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의 공공성 실현을 위해해결되어야 할 문제들도 발견되었다. 공적 미디어라함은 소외계층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사회구성을 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요인으로 피로감, 사회적 부담감,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폭력과 사이버 불링 등이 해결되어야 할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을 위해 공공 콘텐츠의 디자인 방향으로 보편성, 독립성,우수성, 다양성, 책임성, 혁신성 등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셜 미디어 관련 연구가 사적영역의 이용 패턴 및 효과 연구에 치중하여 왔음을 직시하고 소셜 미디어의 공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론적 프레임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oday, lots of contents produced by social media make a huge effect on our daily life and academic and business field all over the politics;economics; society;culture;art, etc.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sider social media as a public media which can realize values of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itated by social media, not a private media. To achieve it, it examined current position of publicness discourse after the appearance of social media and suggested conditions for embodiment of publicness from an angle of social communication. Furthermore, it suggested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concept of publicness has been evolved in the environment of social communication by literature review and confirmed public values of social media. And then, it suggested that first, confidence of using subject and information, second, accuracy of information, third, fairness of contents, fourth, digital citizenship, etc. should be necessary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roblems which should be solved to realize publicness of social media during the process. Public media should minimize negligent classes and embrace lots of social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fatigue, social burdensome, privacy violation, cyber violence, cyber bulling as the obstacles for using social media. Based on the discussion, it suggested conditions of universality, independence, excellence, variety, responsibility, innovation, etc. as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contents for public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suggest theoretical frame exploring possibilities of public application while considering that studies on social media have been biased on using pattern and effects of private area.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전략 제안

        김다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17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8 No.2

        21세기 다양한 매체, 콘텐츠가 예술과 융합되고, 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가 허물어진 현 시대에서범람하는 콘텐츠는 대중들이 잘 해석하고 선별할 수 있는 ‘창의적 감성’과 ‘상상력’이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된다. 즉, 우리는 기존의 지식에 상상력이 융합된 ‘개념의 시대(Conceptual Age)’를 살아가고있다.1) 정보의 시대를 넘어선 고도의 ‘개념’이 중요해진 현 시대에서 소셜미디어 콘텐츠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에 의해 인간의 두뇌가 대체되어 가고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4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컫는 디지털 시대에서 마케팅의 방식 또한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혁명 시대에 소셜미디어는 이미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소셜미디어(Social Media)는 개방, 참여,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웹(web)상의 소셜 네트워크의 기반 위에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는 디지털 시대의 유동성에 기인해 급속도로 확산되었는데 그것은 소셜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콘텐츠(contents) 생성과 자체적인 창발 시스템에 희한 파급에 그 이유가 있다고 본다. 사용자들의 참여에 의한 콘텐츠에는 상호작용적(interactive) 특성이 내재하는데, 그것은 모든 예술작품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다.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이전의 거대 내러티브 시대의 모더니즘적예술을 경험할 때 상호작용성은 관람자의 정신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국한되었다면, 디지털소셜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적 특성은 향유자(관람자)의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접근과 적극적인 기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범람하는 마케팅 콘텐츠 또한 상상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그것을 만들어내는 기본 원리에 따라 예술, 특히 미디어 작품에 내재하는 특성인 상호작용성과 관객의 참여라는 작품의 구성 원리가 작동한다는 점에서 그 구분이 모호하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의 디지털 세상에서 상상력이 기반으로 한 마케팅 콘텐츠의 전략 또한 예술작품이 그러하듯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감성영역에 기반하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전략이필요할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소셜미디어 환경의 마케팅 플랫폼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변화를 적극적으로 읽어내고, 그것들을 사용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개방적이고 누구나 참여 가능한 플랫폼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커뮤니티 플랫폼을 만들고, 그들이 브랜드나 콘텐츠 관련 이야기들을 나눌 수 있는장치들을 만드는 것이 좋다. 디지털 세상의 사용자들의 심리 특성은 콘텐츠 사용자에게 특정행위를지나치게 강요할 경우, 사람들은 기업이 원하는 행동에 정확히 반대되는 행동을 보인다. 억지로 무언가를 강요하면 그 반대로 행동하고 싶어 하는 것이 바로 청개구리 심리다. 현 시대 대중에게 사랑받고 있는 기업들은 독특한 진정성을 담은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즉, 디지털 시대에는 진정성만이 고객들의 영혼을 감동시키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여 제품이나 콘텐츠를 사게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도록 진정성을 얻는 방식은 무엇인가? 첫째, 소비자들이 진정성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을 기 ... Humans communicate, study, shop, spend leisure time, and spend much of their lives in the digital world on digital web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PCs. As a new world created by the digital environment, cyberspace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driving force of our daily lives. In the cultural arts, the boundaries of the arts are lowered as the artists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spectators through the social media platform. As a result, the audience who received only the artwork became able to share the process of work, the story, the intention to be created, the emotion of the artist, and share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with the audience. The social media based environment outside the geographical and time limits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aily life including the ways of human relations, the way of thinking, and the way of collaboration. Social media re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environment, art, consumers, and creators in the process of proposing new art forms. Social media and arts clearly point out different things, but one works in conceptual social media content. The distinction between original and duplication in painting disappears with the repetition of the same thing in the image of the media environment. In the digital image stage, the original and duplication can be constantly superimposed, reinterpreted and re-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world, everyone can produce images, and anyone can easily create and market content on a daily basis.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y that frees content users and attracts a lot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from users who enjoy the content. If you give users more freedom in a digital environment, they will be more loyal. By passing the option to the user, users can get a favorable feeling. The more interest and affinity you get, the more positive the positive word-of-mouth effect you get. When control and choice are passed to content users, user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results they choose, and authenticity is naturally achieved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rather than being forced. In a digital environment, a strategy with authenticity is more important. I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exists with humans and machines, and the era when the human realm becomes a machine replacement becomes important, securing a unique realm that only humans can do will become important. The real emotional and emotional realm that only human beings can see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t penetrate.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move the mind of users who consume the human mind and contents, and the authenticity to gain empathy naturally. Self-organizing and emergence, which is the complexity princi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nvironment, is more prominent in the SNS platform. In the social media age contents, it is necessary to make devices that utilize the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and emergence principle in the social marketing platform i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of contents is blurred and created together. It is time for a smart marketing strategy that will lead to genuine support of content users who utilize nudge, authenticity and UGC (User Generated Contents)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content user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와 정당지지 의도에 미치는 유튜브의 뉴스·시사 및 오락 콘텐츠 이용의 영향 : 21대 총선을 중심으로

        이효성 ( Lee Hyoseo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유튜브의 뉴스 및 시사 콘텐츠 이용이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와 정당지지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했다. 또한, 유튜브의 오락콘텐츠 이용은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와 정당지지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가 정당지지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했다. 분석에 따르면, 유튜브에서 뉴스 및 시사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 유권자들은 소셜미디어상에서 정치나 선거관련 댓글달기, 공감표시, 토론 등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와 특정 정당(여당) 지지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의 오락 콘텐츠를 많이 이용할수록 이용자들이 정당지지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의 오락 콘텐츠 이용이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유튜브의 뉴스 및 시사 콘텐츠 이용이 각각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 및 특정 정당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뉴스 및 시사 콘텐츠 이용은 정치적 상호작용 참여 변인을 매개로 정당지지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의 오락 콘텐츠 이용은 정당 지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uses of YouTube’s news and current affairs contents positvely affected the participation in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and the vote intention to political part(ruling party). Also,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uses of YouTube’s entertainment contents negatively affected the participation in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and the vote intention to the party. Finally, the study explored whether the participation in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positively affected the vote intention to the political party. According to the results, voters who used news and current affairs contents on YouTube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to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and wanted to positively vote for the ruling party. Voters who used entertainment contents on YouTube wanted to negatively vote to the ruling party. Ye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tertainment contents uses on YouTube and the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were not significantly verified in terms of statisics significance level. In conclusion, the uses of YouTube’s news and current affairs contents positvely affected the participation in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and the vote intention to party support. Also, the uses of YouTube’s news and current affairs contents positvely affected the vote intention to party support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political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uses of YouTube’s entertainment contents negatively affected the vote intention to party support.

      • KCI등재

        소셜미디어 중개자의 법적 책임

        노동일(Noh, Dong-Ill),정완(Choung, Wan) 경희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vigorous movement to eradicate illegal content on the cyber space by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the operators and service providers on the Interne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social problems caused by a flood of illegal contents such as fake news through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Specifically,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bills that significantly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intermediaries, including imposing separate responsibility for deleting and blocking illegal content of intermediaries and imposing hefty fines in addition to the responsibility of intermediaries unde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the Youth Protection Act and the Copyright Act. Germany s network enforcement act imposes an unimaginable amount of fines and other charges, effectively handing over all of its online regulatory responsibilities to intermediaries. However, the move could have side effects in many ways. Economically great social medias are likely to take steps to delete content if it is questionable, and in legal terms it could strengthen private censorship that infringes on freedom of expression and could result in the transfer of the country s inherent power of law enforcement functions to private companies to exercise their private sector. A number of measures can be proposed to avoid this controversy. First, there is a way to leave the function of assessing whether or not illegal content is individually handled by social media companies to an independent group of experts from outside. It is a way for large companies to invest their money to create autonomous bodies, which include legal experts, government officials, non-governmental civic groups and social media users, to evaluate the contents of the illegal contents in question.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such as anonymization and processing of data for content, will be created by autonomous bodies. The introduction of an authentication system can also be considered as a positive system. The authentication system can be seen as a kind of incentive, which allows online intermediaries, such as social media, to spread it ahead of other content if it is certified as a good content by creating an independent certification authority like the existing authentication system. The plan is to create a system that allows content producers as well as online intermediaries to receive certain preferential treatment in online advertisements if they are certified. It can be a recipe for illegal content to lose power by favoring better content than trying to exclude fake news and other bad content, allowing users to access it more. Contrary to efforts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intermediaries such as online service providers, some say institutionalizing a near-complet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could be a way to eradicate illegal content. In the United States, under the Communication Decency Act, Internet service providers are exempt in principle from responsibility for the distribution of illegal content. Exceptions are that online service providers function as providers of information, or the Telecommunications Act,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or the Child Protection Act, which excludes the application of the exemption under the Communication Decency Act. When active and free exchange of opinions is achieved without fear of punishment or disadvantage through full immunity, such as Wikipedia s example, it i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of false information, such as false information, can be corrected through immediate cleanup within the community.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most fundamental right in achieving a free and democratic society. These basic rights can function properly when the exchange of views in public chapters is free and active without fear. 최근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각종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정치적 사안이나 코로나바이러스 등에 관한 가짜뉴스가 사이버공간에 매우 범람하고 있어 사회문제화하고 있다. 이러한 불법콘텐츠에 대한 대책으로 그 운영자와 서비스제공자 등 인터넷상 중개자에 대한 책임을 가중시킴으로써 사이버상 불법콘텐츠를 근절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신망법, 청소년보호법, 저작권법 등에 규정된 중개자의 책임에 추가하여 중개자의 불법콘텐츠 삭제 및 차단 책임을 별도로 부과하고 거액의 과태료를 물게 하는 등 중개자의 책임과 의무를 크게 강화하는 법안들을 상정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독일의 네트워크 법집행법은 상상하기 힘든 거액의 과태료 등을 부과하여 온라인상 불법콘텐츠에 대한 규제책임을 사실상 중개자에게 모두 떠넘기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움직임은 여러 측면에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 거대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혹시 부과 받을지 모를 거액의 벌과금을 피하기 위해 콘텐츠 내용이 ‘의심스러울 경우 삭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고, 법률적 측면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사적인 검열’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국가의 고유권한인 법집행 기능을 사기업들이 행사하도록 이전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논란을 피하기 위하여 여러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우선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담당하는 불법콘텐츠 여부에 대한 평가기능을 외부의 독립적 전문가집단에 맡기는 방법이 있다. 거대기업들이 비용을 출연하여 법률전문가, 정부관계자, 비정부 시민단체와 소셜미디어 이용자 등이 함께 참여하는 자율기구를 만들어 문제되는 불법콘텐츠의 내용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콘텐츠의 데이터는 익명화하여 처리하는 등 구체적 평가기준은 자율기구에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인증시스템 도입도 긍정적 제도로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인증시스템은 일종의 인센티브로서 볼 수 있는데, 현존 인증시스템처럼 독립적 인증기관을 만들어 좋은 내용의 콘텐츠로 인증될 경우 소셜미디어 등 온라인중개자가 이를 다른 콘텐츠에 앞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콘텐츠 생산자는 물론 온라인중개자도 인증을 받을 경우 온라인 광고 등에서 일정한 우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가짜뉴스 등 나쁜 콘텐츠를 배제하려는 노력보다 좋은 콘텐츠를 우대하여 이용자들이 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레 불법콘텐츠가 힘을 잃을 수 있도록 하는 처방이 될 수 있다. 온라인서비스 제공자 등 중개자의 책임을 강화하려는 노력과 반대로 오히려 거의 완전한 책임면제를 제도화하는 것이 불법 콘텐츠를 근절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의 경우 통신품위법에 따라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는 원칙적으로 불법 콘텐츠의 배포에 대한 책임을 면제받는다. 예외적으로 온라인서비스 제공자가 정보내용 제공자로서 기능하거나, 통신법・디지털밀레니엄저작권법・아동보호법의 경우 통신품위법상 면책규정의 적용을 제외하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뿐이다. 위키피디아의 예와 같이 완전면책을 통해 처벌이나 불이익에 대한 우려 없이 활발하고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이루어질 때 오히려 거짓 정보 등의 유통이 커뮤니티내의 즉각적 정화작용을 통해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이다.

      •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 시각화 특성 분석

        이유진,전양덕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contents design in which information providers induce information receivers to make a choice in assumption that social media-based information contents would develop into data image- and visual information-centered cont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oriented visualization were mostly found in social media. In the information contents exposed to social media, visual language plays the role of verbal language. In addition, emo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ex: Harmony between imager and typography, visual poetry, visual essay, photo essay, etc.) have been the mainstream. In the information contents, in addition, there has been the development of texts among the following information: contents where objective facts and subject fictions are mixed; advertising information which induces form and adjacency information;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private and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visualization of social media contents between public and personal information in an easy-to-understand-and-decode manner, it is forecasted that the visualization, simplification and mixture of contents would be the mainstream in media phenomena. 이번 연구는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가 데이터 이미지 중심, 시각 정보 중심의 콘텐츠로 나아갈 것이라는 추론 하에 정보제공자가 정보수용자의 선택을 이끄는 시각정보콘텐츠디자인의 특성과 방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는 이미지 중심의 시각화 특성이 두드러졌다. 소셜 미디어에 노출된 정보콘텐츠는 시각언어가 곧 음성언어의 역할을 하며. 사진, 이미지, 타이포그래피의 조화, 단문의 아포리즘, 시각적인 시, 시각 에세이, 포토에세이와 같은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공된 정보 콘텐츠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허구가 혼융된 내용과 형식, 인접 정보의 유도를 이끄는 광고 정보와 개인이 선택한 사적 정보의 혼재가 어우러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상호텍스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한눈에 정보를 알리고,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시각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시각화, 경량화, 연성화, 혼융화의 흐름은 미디어 현상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우수등재

        항공관련 소셜미디어 콘텐츠유형과 참여수준이 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지숙,오익근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7

        본 연구는 항공사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유형, 소비자의 참여수준과 정보수용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유형과 참여수준이 정보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콘텐츠유형과 참여수준이 정보수용의 영향관계에서 성별과 연령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유형과 참여수준은 정보수용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과 연령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수용에 미치는 변인이 콘텐츠유형과 참여수준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뜻하며, 특히 항공사에 대한 소셜미디어 콘텐츠 유형 소비자의 참여수준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항공사 소셜미디어의 정보 수용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인구통계학적 특성도 함께 고려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항공사에 대한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n this study, the types of content on social media for airlines and consumer participation levels identify the influence between information accepta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In the results, the types of content and participation levels of social media were found to influence information accepta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and age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ntents acceptance and social media content types. In other words, content types and participation levels of social media influenced information acceptance, meaning that gender and ag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for using airlines. These results are worthwhile as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social media marketing for airlines. We confirmed the role of airline social media in controlling for gender and age. Based on this, we also consider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were applied in general marketing whe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using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 시각화 특성 분석

        이유진(주저자) ( You Jin Lee ),전양덕(교신저자) ( Yang Deok Chu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5 No.-

        이번 연구는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가 데이터 이미지 중심, 시각 정보 중심의 콘텐츠로 나아갈 것이라는 추론 하에 정보제공자가 정보수용자의 선택을 이끄는 시각정보콘텐츠디자인의 특성과 방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는 이미지 중심의 시각화 특성이 두드러졌다. 소셜 미디어에 노출된 정보콘텐츠는 시각언어가 곧 음성언어의 역할을 하며. 사진, 이미지, 타이포그래피의 조화, 단문의 아포리즘, 시각적인 시, 시각 에세이, 포토에세이와 같은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공된 정보 콘텐츠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허구가 혼융된 내용과 형식, 인접 정보의 유도를 이끄는 광고 정보와 개인이 선택한 사적 정보의 혼재가 어우러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상호텍스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한눈에 정보를 알리고,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시각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시각화, 경량화, 연성화, 혼융화의 흐름은 미디어 현상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contents design in which information providers induce information receivers to make a choice in assumption that social media-based information contents would develop into data image- and visual information-centered cont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oriented visualization were mostly found in social media. In the information contents exposed to social media, visual language plays the role of verbal language. In addition, emo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ex: Harmony between imager and typography, visual poetry, visual essay, photo essay, etc.) have been the mainstream. In the information contents, in addition, there has been the development of texts among the following information: contents where objective facts and subject fictions are mixed; advertising information which induces form and adjacency information;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private and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visualization of social media contents between public and personal information in an easy-to-understand-and-decode manner, it is forecasted that the visualization, simplification and mixture of contents would be the mainstream in media phenomena.

      • THE IMPACT OF FREQUENCY AND SPACING OF BRAND-GENERATED CONTENT ON THE DYNAMICS OF CONSUMER INTERACTION ON BRANDS’ FACEBOOK PAGES

        Evaldas Jankauskas,Abhishek Nayak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8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8 No.07

        Introduction Social media marketing is an attractive marketing method for fostering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bout 30% of social media users find social networking sites important when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brands as well as showing their support towards them (Nielsen, 2017). This engagement with brands on social media is one of the factors driving company outcomes. For example, consum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brand communitie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urchase spending (Goh, Heng, and Lin, 2013), brand equity (Christodoulides and Jevons, 2012), and brand attitude (Schivinski and Dabrowski 2016). Consumer engagement involves both consumer interaction and co-creation of the content (Smith and Gallicano, 2015). In order to enhance engagement with brand content, marketers must persuade consumers to interact with those messages by sharing, commenting or liking them (Chang, Yu, Lu, 2014). Hence, interaction is the crucial step towards improving consumer engagement. While marketers rely on experimenting in order to find elements that drive consumer interaction, researchers use vast social media data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messag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interaction with those messages. For example, (Vries, Gensler, and Leeflang, 2012) studied the impact of post’s vividness, interactivity, content, position of a post and valence of comments on brand post popularity as represented by number of likes and comments. Other researchers such as (Wang et al ,2016) examined the impact of topic, tone and the length of post on social media engagement defined not only by the number of likes and shares, but also by the likability of characters featured in the post. Chang, Yu, and Lu (2014) studied how argument quality, post popularity, and post attractiveness can lead to consumer engagement. Similarly, (Lee and Hong, 2016) investigated the impact of emotional appeal, informativeness and creativity of a message on positive consumer behavior towards brand message. However, little is known so far about the effects of the frequency and spacing of brand-generated content on the dynamics of consumer interaction. Advertising research shows that advertising frequency has an impact on various consumer behavior and attitude outcomes and suggests that there is an optimum level of exposure to advertising that yields greatest results (Schmidt and Eisend, 2015; Broussard, 2000). Moreover, research on advertising repetition in traditional channels suggests an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between ad repetition and message effectiveness. This happens because at a certain number of exposures negative factors, such as boredom and irritation (Heflin and Haygood, 1985), kick in and overweigh positive ones.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an ad starts diminishing. This effect is also known as the wear-out effect. On the other hand, (Lee, Ahn, and Park, 2015) suggest that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between repeti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brand does not hold true in online environments. This is the case because users can control their exposure to advertising, therefore they do not expose themselves to the ad to the extent that they feel adverse toward it. As firm-generated brand content on social media is a form of advertising, it is interesting to examine, whether wear-out effect occurs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and user inter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advertising repetition is found to depend on the time period, or space, between ad exposures (Janiszewski, Noel, and Saywer, 2003). Spacing between exposures affect learning (Sawyer, Noel, and Janiszewski, 2009), attitude towards the brand (Schmidt and Eisend, 2015), purchase spending (Sahni, 2015), attrition rate and customer response (Dreze and Bonfrer, 2008). Moreover, recent study by (Wang, Greenwood, and Pavlou, 2017), wh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osting on the propensity to unfollow the brand on the largest social media in China WeChat, found that posting leads to higher likelihood of unfollowing the brand, which in tur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ong term sales. However, WeChat may be considered to be more intrusive than Facebook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how followers get notified about new brand posts.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examine whether the same effect of posting holds true on Facebook. Finally, viral marketing research suggests that the growth rate of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depends on the rate of creation of other messages (Karnik, Saroop, and Borkar, 2013). Based on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it is evident that frequency and spacing ma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and growth rate of user interaction. Furthermore, two-sided advertising research suggests that inclusion of negative information in product related messages can yield better results in terms of persuasive power than if no negative information is included (Eisend 2006). In addition,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ers found that sentiment-carrying Twitter messages tend to be retweeted more often and more quickly (Stieglitz and Dang-Xuan, 2013).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message frequency and spacing on the level of consumer interaction is moderated by the sentiment of the message. In other words, the optimal level of message frequency is expected to be higher for emotionally-charged firm-generated brand messages as compared to neutral ones. He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RQ1: How does frequency and spacing of brand-generated content affect the dynamics of consumer interaction on social media and how is this effect moderated by the sentiment of the content? RQ2: How does posting on social media affect the unfollowing by brand followers? RQ2a: Does the spacing between messages help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posting on the unfollowing by brand followers (if such effect is present)? Research Design & Theoretical Developmen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wo data sets were gathered via Facebook’s API consisting of 6,471 and 932 brand posts respectively. Two separate data sets were needed to examine the frequency effects on the overall level of consumer interaction as well as on the growth rate of interaction. Therefore, post and page data for 7 international brands from 5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for the period of 2 year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frequency effec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ting on the growth rate of consumer interaction, 11 brands were tracked for the 7-week period in order to capture the development of the interaction. In addition, the impact of posting on the propensity to unfollow the brand was examined. Consequently, three separat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showed that frequency of posting and the level of consumer interaction has an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and that the level of consumer interac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pace between the posts. Further, findings suggest that posting on social media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unfollowing by followers and that the growth rate of interaction of the post depends on the rate of new message generation by the same brand. The conceptual model is presented below. Result and Conclusion The study has few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nswering to the call for research (Vries, Gensler, and Leeflang, 2012) to include the dynamic aspects of inter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ocial media literatur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rate of new message generation on the growth rate of interaction of the post. In addition, this study adds to the stream of research on the wear-out effects in online environments by including higher number of exposures and by testing the type of firm communication (social media communication) that previously has not been studied. Final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recent research (Wang, Greenwood, and Pavlou, 2017) by examining the effect of posting on the unfollowing by brand followers. As for practical contributions,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and spacing of posting.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a more moderate posting strategies in terms of frequency.

      • KCI등재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승화 ( Seung Wha Chung ),임지선 ( Ji Sun Lim ),박선주 ( Sun Ju Park ),정예림 ( Ye Rim Chung ),박경민 ( Kyung Min Park ),최정혜 ( Jeong Hye Choi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성과와 한계점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SSCI급 저널에 게재된 437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분석 대상, 연구 방법, 핵심 참조학문, 그리고 이론의 성숙도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이를 기준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2008년부터 소셜미디어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소셜미디어의 이용 행태와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 왔다. 분석 단위는 주로 개인이었고, 양적 연구 방법론이 주를 이루었다. 심리학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소셜미디어 확산에 따른 사회의 변화 및 특성과 같은 시의 적절한 이슈를 다룸으로써 실질적 기여를 해온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 미디어의 확산으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분석 대상이 개별 참여자뿐만 아니라 구조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이론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론의 다양화와 데이터 수집에 소셜미디어의 강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학문의 이론과 학제간 이론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영역에서 이론적 기반의 구축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methodologies, and general trends in social media studies published in journals listed in the SSCI indexes from 2006 to 2013. A total of 437 articles published were examined with a content analysis. Our analysis focuses on the papers` topics, subjects of analysis, methods, perspective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published social media studie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2008. Descriptive analyses of users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in social interactions were the predominant subjects of the articles. Individual-level of analysi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used in social media researches. Social media researches have become independent fields in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Our study serves as the foundation from which to assess current findings and offer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media, including the rigor and diversity of research methodologi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eory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