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포털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최은실(주저자) ( Eun Sil Choi ),전양덕(교신저자) ( Yang Deok Chu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4 No.-

        미디어의 등장은 변화의 속도를 가속화 시켰다. 최근의 혁신적인 기기는 손 안에 있는 작은 컴퓨터인 스마트폰 이다. 무선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고, 우리의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위치에 놓여 있다. 현재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앱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앱을 사용함에 있어 각자의 편리성에 맞게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기기가 다양해진 만큼 웹의 구조도 변하기 마련이다. 그러한 이유는 각각의 화면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이다. pc의 웹의 화면은 넓고 시원한 구조로 되어있지만 스마트폰의 기기는 화면 사이즈가 작다. 따라서 좁은 화면에 너무 많은 텍스트가 존재한다면 가독성이 떨어지며 복잡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많은 모바일 웹들은 각 기기에 맞는 해상도와 사용자들의 편리성이 우선시 되는 모바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원활한 모바일 앱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의 대표적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앱의레이아웃 구조를 연구해 보았다 A pace of the change has accelerated with the advent of a media. A recent innovative device is a ‘smartphone’ which is a small-computer in hand. People get a lot of information through smartphones. Now, therefore, those smart devices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lives of human. These days, the number of mobile app users is dramatically increasing with a development of mobile device and network technology. People choose among different smart-devices when they use a variety of apps. This provide a lot of convenience for them. As devices are highly diversified, however, a structure of Web changes. It’s because size of each screens are different. The screens of smart phones are much smaller than the PC’s screen. Too much texts on these tiny screens not only drops the readability of written materials but also make people feel complicated.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 customized display-resolution and convenient mobile-web-interface design. This research mainly analyzes the layout structures of apps on ‘NAVER’ and ‘DAUM’ to increase mobile apps’ usability.

      • 미디어 현상학적 관점의 디자인 고찰

        이유진(주저자) ( You Jin Lee ),전양덕(교신저자) ( Yang Deok Chu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4 No.-

        플루서는 미래의 지배적 코드가 디지털 코드(기술적 그림)이며, 문자 중심의 선형적 사고에서 벗어나 탈 역사적 탈 구조적 네트워크 사회로 이양한다고 보았다. 그의 주장대로 미디어는 디지털 기술로 확장되었고, 디지털 시대의 진리는 상호주관적이 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은 산업화 시대의 디자인과 방향성이 다르다. 이에 플루서는 디자인에 대해 예술과 기술의 두 가지 방식을 토대로 고민해야 하며, 디자인의 가치와 윤리문제에 실존적 성찰을 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논지로 볼 때 HCI(Human-ComputerInteraction)의 세 가지 디자인은 인간에 대한 실존적 성찰을 토대로 해야 하며, HCI의 목적인 ``사용성``의 의미 역시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전제로 해야만 한다. ``사용성``이 편리와 효율에 집중한 산업화 시대의 도그마에 빠진다면 미디어가 인간을 넘어서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제 디자인은 다원적인 사고와 미래를 통찰할 수있는 인문적 역량이 필요하다. 디자인이야 말로 ``실존적 인간을 위해 생각을 앞으로 던지는`` 선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Vilem Flusser believed that a digital code (technical image) would become the mainstream in the future, and a modern society would evolve into a post-historical and post-structural network society, escaping from the letter-centered linear thinking. As he insisted, media have extend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truth in the digital era became inter-subjective. In term of orientation, therefore, design during in the digital age differs from design during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Therefore, the theorist argued that both art and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design, and existential reflection has to be added to design value and ethics. According to his contention, three design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should be created based on existential reflection on human. In addition, the meaning of ‘usability,’ the purpose of the HCI, should also be analyzed based on a deep insight on human nature. If ‘usability’ cannot get out of dogma in the age of industrialization in which convenience and efficiency are concentrated, media can make a mistake which goes beyond human itself. Therefore, it is needed to have a design standpoint with which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future insights can be developed. After all, design with ‘pioneering thoughts for existential human’ could eventually have the genuine value of usability.

      •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 시각화 특성 분석

        이유진(주저자) ( You Jin Lee ),전양덕(교신저자) ( Yang Deok Chu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5 No.-

        이번 연구는 소셜 미디어 기반의 정보콘텐츠가 데이터 이미지 중심, 시각 정보 중심의 콘텐츠로 나아갈 것이라는 추론 하에 정보제공자가 정보수용자의 선택을 이끄는 시각정보콘텐츠디자인의 특성과 방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는 이미지 중심의 시각화 특성이 두드러졌다. 소셜 미디어에 노출된 정보콘텐츠는 시각언어가 곧 음성언어의 역할을 하며. 사진, 이미지, 타이포그래피의 조화, 단문의 아포리즘, 시각적인 시, 시각 에세이, 포토에세이와 같은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공된 정보 콘텐츠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허구가 혼융된 내용과 형식, 인접 정보의 유도를 이끄는 광고 정보와 개인이 선택한 사적 정보의 혼재가 어우러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도 상호텍스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한눈에 정보를 알리고, 정보를 해독할 수 있는 시각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시각화, 경량화, 연성화, 혼융화의 흐름은 미디어 현상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contents design in which information providers induce information receivers to make a choice in assumption that social media-based information contents would develop into data image- and visual information-centered cont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oriented visualization were mostly found in social media. In the information contents exposed to social media, visual language plays the role of verbal language. In addition, emo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ex: Harmony between imager and typography, visual poetry, visual essay, photo essay, etc.) have been the mainstream. In the information contents, in addition, there has been the development of texts among the following information: contents where objective facts and subject fictions are mixed; advertising information which induces form and adjacency information;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private and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mixt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visualization of social media contents between public and personal information in an easy-to-understand-and-decode manner, it is forecasted that the visualization, simplification and mixture of contents would be the mainstream in media phenom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