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계상태설계를 위한 단일 쇄석다짐말뚝의 목표신뢰도지수

        유영권(Youngkwon You),임희대(Heuidae Lim),박준모(Joonmo Par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2

        목표신뢰도지수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 안전여유의 지표가 되며, 부분계수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계상태설계법에서 필요로 하는 목표신뢰도지수의 결정을 위하여 쇄석다짐말뚝이 적용된 6개소의 설계-시공사례를 조사하였다. 쇄석다짐말뚝의 주요 파괴모드인 팽창파괴에 대한 한계상태함수를 정의하고, 일계신뢰성해석법(FORM)을 이용하여 극한지지력, 이론식별, 신뢰도수준을 평가하였다. 현행 쇄석다짐말뚝의 신뢰도지수는 허용응력설계법에 의해 산정된 안전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 신뢰도지수는 β=2.30으로 평가되었다. 신뢰성해석에 의해 평가된 신뢰도 수준과 기존 구조물 기초에 대한 목표신뢰도지수를 비교?분석한바, 쇄석다짐말뚝 기초는 말뚝기초 및 얕은기초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안정성 수준이 요구되며, 쇄석다짐말뚝의 현재 신뢰도수준은 보강토옹벽, 쏘일네일링에서 제안된 목표신뢰도지수와 유사한 범위를 보이므로 쇄석다짐말뚝의 목표신뢰도지수를 βT = 2.33으로 제안하였다. Target reliability index in the limit state design indicated the safety margin and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partial factor. To determine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which is needed in the limit state design, the six design and construction case histories of gravel compaction piles (GCP) were investigated. The limit state functions were defined by bulging failure for the major failure mode of GCP. The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first order reliability method (FORM) and the reliability index was calculated for each ultimate bearing capacity formulation. The reliability index of GCP tended to be penportional to the safety factor of allowable stress design and average value was β=2.30. Reliability level that was assessed by reliability analysis and target reliability index for existing structure founda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GCP was required a relatively low level of safety compared with deep and shallow foundations and the currd t reliability level were similar to the target reliability i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and soil-nailing. Therefore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of GCP suggested as βT =2.33 by various literatures together with the computed reliability level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 미치는 실증연구: 30대 위험군을 중심으로

        이윤석 ( Yun Suk Lee ),서영수 ( Young Soo Se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4

        지금까지 주로 표준체인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보험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유병자와 표준체를 구분하여 두 집단 간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런 차이점은 상품마케팅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30대 유병자 군과 표준체 군을 구분하여 이들 집단 간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두 집단 간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전국 30-40세의 남녀 일반인 4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요인 적재 값은 0.40 이상, 요인수를 2로 했으며 신뢰성 분석에 필요한 Cronbach’s α 값은 0.7 이상으로 설정했다. 유병자 집단과 표준체 집단의 가설검증은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보험구매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병자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1.324, t=1.273으로 나타났고 P-value는 보험회사 신뢰도 .189 보험서비스 만족도 .206으로 유의확률 값이 p>.05로 가설이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표준체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2.004, t=2.551, P-value는 보험회사 신뢰도 .046, 보험서비스만족도 .011로 p < .05 나타났다. 그러므로 표준체의 경우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t값은 모두 (+)이므로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보험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의 각 변수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험회사신뢰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0으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고 t값은 2.758로 보험회사 신뢰도에 대한 지각이 유병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3으로 유병자 여부에 따른 집단의 분산이 같다고 가정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그러므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에서 확인결과 t값은 1.460, 유의확률 .146으로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지각은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에서 집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회사 신뢰도의 평균값은 유병자군 2.92, 표준체군 2.68 수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유병자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회귀분석 결과까지 감안할 때 표준체 군에 비해 신뢰도는 높지만 보험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체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병자 군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모두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유병력자의 실손의료보험 인수조건이 제한적이고, 보험회사 역시 유병자보험의 판매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유병자들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유병자보험의 상품마케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책당국이 유병자보험에 관한 홍보매체를 제작, 배포하고 이를 통해 가입할 경우 우대하되 역선택으로 판명시 가중 처벌하는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유병자와 표준체 집단 간 차이는 없었지만 보험회사 신뢰도는 유병자 군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여 유병자군이 표준체보다 보험회사 신뢰도를 더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기존 유병자보험의 활용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험가입당시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했을 때 그동안의 건강상태를 종합해서 보험료 및 보장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이나 유병자보험에 가입한 후 건강상태가 호전될 경우 표준형 보험으로 변경해주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유병자 입장에서 건강관리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고 표준체에 근접해질수록 보험회사에 청구하는 보험금도 줄어들어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모두에게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젊은 층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특화된 전용상품을 적극 개발하여 이들의 선택폭을 넓혀 주되 역선택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기존 간편심사보험을 세분화하여 고지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유병자용 상품을 구매한 경우라도 일정기간 평가기간을 거쳐 표준체에 해당된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일반심사보험으로 전환하여 보장을 두텁게 하고 보험료를 표준체 수준으로 낮추는 방식의 언더라이팅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병자들이 자신들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편향을 벗어나서 자신의 위험을 인지하도록 다양한 안내와 지속적인 매스미디어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Until now,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how insurance purchases affect only healthy people, the standard. However, with the prevalence rate increasing, it is believed t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o verify whether the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istinguishing the patients from the standard, and this difference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oduct market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tri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30s patients and the standard group, to find out how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these groups affect insurance purchas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that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18 men and women aged 30 to 40 nationwide in April 2019. This study used the SPSS 18.0 program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ponse data. The factor loading values were 0.40 or higher, the factor number 2 was set as well as the Crombach’s α value required for reliability analysis was set at 0.7 or higher.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groups of patients with diseases and the groups of standard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surance compan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patients group showed that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ere t=1.324 and t=1.273, respectively, while P-value had a significant probability value of .189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206. All hypotheses were rejected as p > .05. Therefor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seen as not affecting insurance purchas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standard group,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were t=2.004, t=2.551, and P-value showed p < .05 as 0.046, 0.011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case of a standard, the reliability of the insurance compan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service can be regarded as having an effect on the insurance purchase. In addition, because t values are all (+), the insurer’s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view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insurance purchases under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each variable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body group showed that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not assumed to be equal variances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 of the value F, and the t value was 2.758, whic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the patient or not. The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is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F value .003,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group is the same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ill or not. Therefore, in ‘No equal variance assumed’ the t value was 1.460,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146,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 of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from group to group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group. The average value of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is 2.92 for the patients group and 2.68 for the standard body group, indicating that patients confidence in the insurance company is higher. However, give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li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group, but it does not affect insurance purchase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group’s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insurance purchases, but in the case of patients, neither had an effect on insurance purchases. It is believed that the conditions for the acquisition of loss-making medical insurance by those with disabilities are limited, and that the insurance company has also responded passively to the sale of the disease-ridden insurance, expressing discontent among the sick. Therefore,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 marketing for the patient insurance. For example, the policy authorities may produce and distribute promotional media on the insurance of the sick and have preferential treatment when subscribing through it, but impose heavier punishment if it turns out to be a reverse choice. Second, in the case of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standard group, but the insurer’s reliability showed a higher average value in the group, indicating that the group recognizes the insurance company’s reliability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body,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For example, if the insurance premium is calculated based on the health condition at the time of insurance subscription and the insurance coverage is adjus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or if the health condition improves after subscribing to the policy, the insurance can be changed to the standard insurance. This can be a motivation for health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ck, and the closer you get to the standard, the less insurance sum you charge to the insurance company, which is believed to be beneficial to both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ance company.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ace of the recent increase in prevalence among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add high-level items by segmenting existing simple screening insurance to expand their choice by actively developing specialized products. Second, if it is proved that existing products for the sick fall under the standard after a certain period of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underlining technique that reduces insurance premiums to the standard level by switching to general audit insurance. Third, various guidance and continuous mass media publicity will be needed to help the sufferers recognize their own risks beyond the bias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ir own diseases.

      • KCI등재

        국어과 수행 평가의 평가자 신뢰도 보고 방안 탐색 -고등학생 요약문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최숙기 ( Sook Ki Choi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수행평가의 확대 시행을 위하여 평가자 신뢰도 정보를 추정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탐색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신뢰도 산출 방안에 정보를 마련하고, 평가 상황에 적합한 신뢰도 산출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9명의 현직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 40명의 요약문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 정보를 다양한 신뢰도 추정 방법등을 통해 추정하였다. 또한 각 신뢰도 추정 방법의 특징과 신뢰도 계수 간의차이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계수, Cronbach α, 급내상관계수인 ICC와 FACETS 프로그램과 EduG 프로그램을 통해 Rasch 모형에 기반한 평가자 신뢰도 분석과 일반화 가능도 이론에 기반 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 간 신뢰도는 상관계수, Cronbach α, 급내상관계수인 ICC를 활용할 수 있고, 평가자 내 신뢰도는 Rasch 모형에 기반한 평가자 신뢰도 분석과 일반화 가능도 이론에 의한 계수 값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평가자 간 신뢰도는 평가자 일치도 정도에 기반을 한 분석으로 상관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계수 간 비교가 다소 용이한 편이다. 그러나 Cronbach α의 경우 그 일치도가 과잉 추정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평가자 내 신뢰도 정보를 함께 활용하거나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함께 제시하여 줄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thods used for estimating reli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summary writing assessment. 19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40 summary writ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ating data was analyzed by the computer program FACETS (ver 3.66.1, Linacre, 2004). In this study, Reliability of ratings was examined several ways, including generalizability analysis, rasch model analysis, coefficient alpha,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earson r.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1) Coefficient alpha,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earson r under Classical Test Theory (CTT) were used to estimate inter-rater reliabilit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and the many-facet rasch model were each used to estimate intra-rater reliability. Especially, MFRM provides information about rater`s the severity/lenience measures and consistency explaining intra-rater reliability. (2) Cronbach`s alpha tended to overestimate reliability coefficient. To adjust of the over-estimation,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and reliability of MFRM can be used for alternative reliability indices.

      • KCI등재

        성능치 접근법을 이용한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강수창(Kang Soo-Chang),고현무(Koh Hyun-Moo)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0 No.3A

        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서 작용하중, 재료특성 및 제작오차 등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해결방안으로서, 불확실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이를 구조물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확정론적 최적설계와는 다르게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는 요소 확률구속조건 및 시스템 확률구속조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요소 신뢰도 지수 및 시스템 신뢰도 지수를 매 확률구속조건을 평가할 때마다 산정해야 하므로 대형구조 해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과도한 계산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형구조해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SRBDO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성능치 접근법을 이용하여 보다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된 성능치 접근법은 직접적으로 신뢰도 지수 및 파괴확률을 산정할 수 없어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시스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알고리즘을 요소 신뢰도 해석만을 수행하는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부분과 시스템 신뢰도 해석만을 수행하는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 부분으로 나누어, 요소 신뢰도 해석만을 수행하는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에 성능치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시스템 신뢰도 지수가 목표 시스템 신뢰도 지수를 만족할 때까지 각 요소 한계상태에 대한 목표 신뢰도 지수를 변경하면서 신뢰도 기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수학적 문제 및 트러스 문제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수렴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Structural design requires simultaneously to ensure safety by considering quantitatively uncertainties in the applied loadings, material properties and fabrication error and to maximize economical efficiency. As a solution, system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SRBDO),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uncertainties and economical efficiency,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and numerous attempts have been done to apply it to structural design. Contrary to conventional deterministic optimization, SRBDO involves the evaluation of component and system probabilistic constraints. However, because of the complicated algorithm for calculating component reliability indices and system reliability, excessive computational time is required when the large-scale finite element analysis is involved in evaluating the probabilistic constraints. Accordingly, an algorithm for SRBDO exhibiting improved stability and efficiency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large-scale problems. In this study, a more stable and efficient SRBDO based on the performance measure approach (PMA) is developed. PMA shows good performance when it is applied to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RBDO) which has only component probabilistic constraints. However, PMA could not be applied to SRBDO because PMA only calculates the probabilistic performance measure for limit state functions and does not evaluate the reliability indic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decoupled algorithm is proposed where RBDO based on PMA is sequentially performed with updated target component reliability indices until the calculated system reliability index approaches the target system reliability index. Through a mathematical problem and ten-bar truss problem, the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convergence and efficiency than other approaches.

      • 확률모델을 이용한 다중구조 시스템의 신뢰도 해석 기법 연구

        김성수,하철근,박춘배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비행제어시스템의 설계는 신뢰도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장허용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설계과정에서 다중구조 시스템의 신뢰도 해석을 위해 Reliability Block Diagram 기법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법은 이상적 고장허용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의미한다. 즉, 신호선택기와 같은 다중관리 소프트웨어 구조에 따른 신뢰도 영향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확률모델 기반의 몬테카를로 신뢰도 해석 기겁을 제안하였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 이를 신호선택기가 포함된 3중 다중구조 시스템에 적용하여 현실적 신뢰도 해를 제시하였다. High reliability flight control system design is composing fault tolerant system of redundancy base to satisfy reliability requirement. At this design process, use Reliability Block Diagram techniques to verify reliability correlation about redundancy composition. However, this techniques presents reliability about ideal fault. And do not present reliability about effect of fault tolerant program. Therefore, proposed monte-carlo reliability analysis techniques of hardware fault probability model base, and proved validity to solve these problem. And analyzed correlation of redundancy system and reliability that voter is included and presented realistic reliability solution.

      • KCI등재

        설계신뢰도 및 정기검사주기가 저장신뢰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일회성 군수장비 시스템을 대상으로

        추연원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7

        장시간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되는 일회성 군수장비 시스템의 경우, 저장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신뢰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용시점이 도래하였을 때 제품 사용에 있어 저장신뢰도가 중요한 품질특성으로 작용하게 되며, 기존의 연구들은 저장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최적의 정기검사주기 산출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검사주기 뿐 아니라 설계신뢰도를 포함한 분석을 통해 융합적인 관점에서 저장신뢰도에 두 인자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회성 시스템의 대표적인 제품인 유도탄에 기존의 Martinez 저장신뢰도 결정모델을 적용하여 각각 설계신뢰도와 정기검사주기가 미치는 정량적인 효과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현 제품의 설계신뢰도 범주 내에서는 설계신뢰도보다는 정기검사주기 관리가 저장신뢰도 향상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a one-shot logistic equipment system that has been stored for a long time, reliability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when the time comes to use, the storag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an important quality characteristic, and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search for calculating the optimal period inspection cycle to improve the storage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two factors on the storage reliability at the convergence point by analyzing the design reliability as well as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To do this, we applied the existing Martinez storage reliability model to the missile, a representative product of a one-shot system, and analyzed the quantitative effects of the design reliability and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tenance of the periodic inspection cycle is mo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orage reliability than the design reliability in the design reliability category of the current product.

      • KCI등재

        신뢰도 경로의 고장열거를 이용한 시스템 신뢰도 계산방법 연구

        이장일(Jang-Il Lee),박기준(Kee-Jun Park),천환규(Hwan-Kyu Chun),정충민(Choong-Min Jeong),신동준(Dong-Jun Shin),서명원(Myung-Won Suh)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6

        항공기, 철도, 선박과 같은 대형 시스템들은 전기, 기계적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졌으며 부품의 수명만을 고려한 기존의 유지보수에서 탈피하여, 고장분석의 시스템화를 통해 장치의 고유수명과는 관계없이 발생 가능한 우발고장도 대처할 수 있는 신뢰성 기반의 유지보수체계를 연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로 필요한 복합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복합 시스템의 신뢰도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시스템의 RBD(Reliability Block Diagram)를 구성하고 인접행렬을 사용하여 RBD(Reliability Block Diagram)를 행렬로 표현한다. 또한 RBD(Reliability Block Diagram)행렬을 통하여 신뢰도 경로행렬과 고장열거 행렬을 구성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자동화, 시스템화가 가능하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뢰도 정보관리 시스템 및 신뢰성 기반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활용될 것이다. Recently, systems such as aircraft, trains and ships have become larger more complex. Therefore, the reliability calculation of these systems is more difficult. This paper presents a reliability calculation algorithm for a complex system with a solution that is difficult to analyze. When the system has a very complex structu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 analytical solution. In this case, we can assess system reliability using the failure enumeration method of the reliability path. In this research, we represent the reliability block diagram by an adjacent matrix and define the reliability path. We can find any system status by the failure enumeration of the reliability path, and thus we can calculate any kind of system reliability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ult can be applied to RCM (Reliability-Centered Maintenance) and reliability information-management systems, in which the system reliability is composed of the reliabilities of individual parts.

      • KCI등재

        한국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에 대한신뢰도 일반화 검증연구

        이상희,남숙경,이상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진로연구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DSE-S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에 대해 보다 면밀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신뢰도 계수들의 평균, 신뢰도 계수들의 변산, 또한 이 척도 점수의 신뢰도 계수들 간의 변산을 설명하여 주는 변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의 일환인 신뢰도 일반화 검증(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한 총 92개의 연구가 조사되었으며, 이 논문들 중 77개(83.7%)의 연구는 자신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를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를 보고한 논문들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5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업정보 척도의 점수가 가장 낮은 신뢰도 계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가 높은 것은 성별(여성비율), 소속(고등학생과 대학생집단), 척도점수 구간(10점 척도), 평균, 표준편차 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the scores on a commonly used career scal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CDSE-SF). Reliability generalization, one of meta-analytic methods, was employed to identify typical average score reliability, variability of score reliability, and variables explaining this variability. For this purpose, ninety-two published research papers (i.e., journal articles, thesis, and dissertations) were obtained, all of which used the CDSE-SF. The results revealed that seventy-seven (83.7%) of them reported score reliability of their own data. Of the five subscales, Occupation Information subscale showed the lowest score reliability. In addition, higher score reliability was associated with gender (female), school grade levels (high and college students), scale types (10-point Likert scale),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 비복신경 전도검사의 신뢰도

        이경무,변재현,장요한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임상 신경연구에 있어서 신경전도검사의 사용이 증가되고 의료비용 증가에 따른 의료행위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신경전도검사 결과치의 신뢰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신경전도검사의 결과치 중에서 가장 신뢰도가 낮다고 알려진 비복신경에 대한 검사·재검사 및 검사자간 신뢰도와 정상 참고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말초 신경병증을 의심할 만한 임상증세가 없는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두 명의 검사자가 각각 한시간 간격으로 비복신경의 기시 잠시, 정점 잠시, 진폭을 구하였고, 첫 번째 검사자는 두 시간 후에 동일 대상을 한번 더 검사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및 검사자간 신뢰도를 구하였다. 결과: 검사·재검사와 검사자간 신뢰도 평가 결과 base to peak amplitude와 peak to peak amplitude는 신뢰도가 낮았고, 기시 잠시와 정점 잠시는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peak to peak amplitude가 base to peak amplitude보다 신뢰도가 높았고, 기시 잠시가 정점 잠시보다 신뢰도가 높았다(P< 0.01). 정상 참고치는 peak to peak amplitude가 8.67 μV, 기시 잠시가 3.24 ms이었다. 결론: 비복신경 전도검사에서 잠시는 검사·재검사 및 검사자간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으나, 진폭은 잠시에 비하여 신뢰도가 낮았다. 따라서, 비복신경 전도검사시 신뢰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방법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Nerve conduction stud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Given their widespread use, reliability of tests merits careful atten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and normal values of sural nerve conduction study.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ed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of sural nerve measures of amplitude, onset latency, and peak latency. Thirty healthy adults without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peripheral neuropathy were evaluated with sural nerve conduction study. Tests were performed on one leg of each subject twice, once by each tester. Tests were performed by one of the two testers on once more 2 hours later. Reliability was assessed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In the Intra-tester and Inter-tester examination, the latencies of the sural nerves showed high correlation. But, amplitudes showed poor correlation(P< 0.01). Normal values of the peak to peak amplitude and the onset latency were 8.67 μV and 3.24 ms. Conclusion: Measures of onset latency and peak latency had higher reliability than amplitude. Of the variables, the onset and peak latency of sural conduction can be used as reliable measures with reasonable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 KCI등재

        한우 도체형질 육종가 신뢰도 추정을 위한 PEV와 MTEDC 방법의 비교 연구

        손지현,구양모,정용호,김정일,차대협,김성진,최태정,박미나,이득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가축 개량을 위해서 사용되는 육종가의 신뢰도를 PEV (Prediction Error Variance) 방법과 MTEDC (Multiple-trait Effective Daughter Contribution) 방법으로 각각 추정하여, 한우 육종가 신뢰도 수준을 평가·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혈통등록 거세우 중 결측치와 이상치를 제거하고 도축월령이 27-32개월령 1,391,141두의 도체자료를 이용하였다. 한우 농가의 도축기록이 있는 개체의 모집단(Population)에서 무작위 추출법(Random Sampling)으로 10번 반복하여 추출된 표본자료(Data 1)과 전국 한우농가의 전체 도체자료(Data 2)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한우 도체형질 추정육종가의 신뢰도는 PEV로 분석한 Data 1에서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가 각각 0.38, 0.39, 0.40, 0.42로 추정되었고 MTDEC로 분석한 Data 2에서는 0.45, 0.48, 0.48, 0.52로 분석되었다. 도체중의 후대 두수별(0-5두) 신뢰도는 Data 1에서 0.30-0.64, Data 2에서 0.42-0.52로 분석되었고 등심단면적에서 Data 1과 Data 2가 각각 0.57-0.67, 0.47-0.55, 등지방두께는 Data 1과 Data 2가 각각 0.31-0.67. 0.43-0.55, 근내지방도는 Data 1과 Data 2가 각각 0.43-0.60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표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암소 후대 수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신뢰도는 형매 기록 수가 늘어날수록 추정육종가의 신뢰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우 암소의 후대가 대부분 0-1두 사이로 개체별 높은 신뢰도를 갖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형매 두수가 100두 이상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해 육종가 추정을 위한 데이터 구성에서 강력한 혈연계수 행렬을 구현할 수 있는 전국단위 혈통자료와 그에 따른 능력검정 성적이 함께 분석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reliability of EBV (Estimated Breeding Value) used for animal improvement by PEV (Prediction Error Variance) and MTEDC (Multiple-trait Effective Daughter Contribution) methods respectively. The reliability of Hanwoo carcass traits EBV was evaluated and compared. The reliability of EBV was analyzed based on data extracted from random sampling by iterating 10 times at 1,391,141 animals. The reliability validation methods are compared by PEV and MTEDC. In Data 1 of PEV, the reliability of CW (Carcass Weight), EMA (Eye Muscle Area), BF (Backfat Thickness) and MS (Marbling Score) was estimated using PEV and the reliability of each traits was analyzed as 0.38, 0.39, 0.40 and 0.42. In Data 2 of MTEDC, the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MTEDC and the reliability of each trait was analyzed as 0.45, 0.48, 0.48 and 0.52. The estimated reliability of the cows progeny animals (0-5) of CW was 0.30-0.64 in Data 1 and 0.42-0.52 in Data 2. The reliability of the EMA was 0.57-0.67 in Data 1 and 0.47-0.55 in Data 2, the reliability of BF was 0.31-0.67 in Data 1 and 0.43-0.55 in Data 2 and the reliability of MS was estimated to be 0.33-0.73 in Data 1 and 0.43-0.60 in Data 2. It is difficult to estimate a reliability of 0.5 or higher due to the low progeny of Hanwoo cows.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100 animals related to pedigree are needed to improve reliability. To this end, it is considered important that the number of offspring of each sire is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more than 100 records in the data composition for estimated breeding value and reliability.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wide pedigree data and performance test data, which can implement robust relationship matrices in the data configuration for EBV evaluation, should be analyz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