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L을 적용한 창의공학설계 교수설계 방안 연구

        이근수(Lee, Keun-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21세기 교육은 객관적 지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서 학습자들의 비판적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 로 바뀌고 있다. 더욱이 대학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이 졸업 후 진출하게 될 분야에서 담당하게 될 실제적인 업무를 미리 경험 하게하고 자기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PBL은 현재 학습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 PBL에서 학습자는 일방적인 지식을 습득하기보다는 다양한 생각과 배경지식을 가진 동료 학습자들과 시식을 공유하고 의미를 협상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협력적 지식을 구축하는 사회적 학습을 경험한다. 이러한 PBL의 장점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PBL방법 의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에서는 PBL방버비 활동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 상황을 개선하 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나 방안들을 개발하거나 도입하여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의공학설계 교과 목에 대한 PBL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5가지 절차로 구성되어 있는데 즉,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로 구성된다. 개발한 PBL 교수설계 모형에 기반하여 창의 공학 설계 교과목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공학 설계 수업을 위한 PBL 교수 설계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교수 설계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많은 강의 현장에 적용해 보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university education is changing from an objec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Moreover, university education should change rapidly towards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because it has an educational goal to have college students experience authentic tasks they will be in charge of after graduation, and improv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PBL is a pedagogical strategy for posing significant, contextualized, real world situations, and providing resources, guidance, and instruction to learners as they develop content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problem based learning, the students collaborate to study the issues of a problem as they strive to create viable solution. For these advantages of PBL, the application of PBL in school has been enlarged.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education has not been enlarged. To improve these instruction methods, the development or applications of new instructional methods will be needed. This study examined the PBL instructional design of a creative engineering design subject, which aims to foster talent. The PB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 plan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subject was developed based on PBL, and focused on the process of PB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s model, studies applying this instructional design to many lecturer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PBL 수업의 학습성과 유형과 단계별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우,강인애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2

        Knowledge-based Society requires drastic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throughout its diverse fields. In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have made many efforts to adopt new learning and teaching models appropriate for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And PBL based upon constructivist approaches has been recently considered as a new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 for higher education ever since early 90s. In this context, this stud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a business class attempted to design and implement PBL class. Unlike many PBL research which focused on showing learning effects of PBL as a whole, this study tried to define specific learning characteristics in each stage of PBL class and as a result, seven categories of learning outcomes were extracted. For this result,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course evaluation survey and observation notes of the researcher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th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Nvivo 9.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instructional tips for novice PBL instructor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expand use of PBL in more diverse fields of higher education. 지식정보화 사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육환경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위하여 적합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을 도입하여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구성주의에 기반한 교수학습 모형으로서 PBL은 9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대학 교육에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경영학 수업을 PBL로 개발하여 한 학기 동안 적용하였다. PBL 수업이 종료된 이후에 나타난 학습 성과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의 PBL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PBL 의 각 단계에서 나타난 학습성과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7가지의 학습성과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성찰일지, 강의평가 질문지,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를 수집한 뒤, 이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 9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BL 에 미숙한 교수자에게 유용하고 실제적인 수업 요령을 제시하여주고, 동시에 대학 교육의 좀 더 다양한 분야에서 PBL 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PBL 수업설계 중심의 창의적 디자인 수업 적용 교육에 관한 연구

        박현욱,김미정,신창엽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2 No.-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for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the PBL (Project Based Learning) class model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curriculum that foster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ith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impact of social change is stimulating the study of teaching methods for learner-centeredness. In particular, class research through the teaching method of PBL, which is problem-centered learning, is expanding. In this study, students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work on projects by setting problems that they will experience in society. They develop the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in the field. Therefore, we intend to apply the on-the-job practice-type curriculum to the class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rgence design class. Design curriculum requires more creative ideas and a variety of problem-solving methods. The PBL teaching model presents problems developed by the instructor that will motivate learners sufficiently. It is important to have a curriculum process that is closely linked to the field, where practitioners can help learners in their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this PBL curriculum, students can share their ideas with each other and be creative.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we share creative thinking and vision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ir completeness. The PBL curriculum covers the process of discovering problems in the field and solving projects. You should also be able to find ways to put the results into practice. In the fourth industry, it will be realize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ety. Therefore, a systematic and specific PBL model should be developed. It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structure to foster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창의・융복합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 및 교육방식 중 PBL(Project Based Learning) 수업모델은 다양한 경험과 실용적인 학문을 습득하고 교육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는 효과적인 교육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식기반 사회로 도래하면서 사회적 변화의 영향으로 학습자 중심을 위한 교수법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교육의 중요한 수업모델로 발돋움을 하고 있다. 특히 문제중심학습인 PBL의 교수법을 통한 수업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에서 실제로 경험하게 되는 문제를 설정하여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현장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현장실습형 교육과정을 융합디자인 수업과 연계하여 수업에 적용하고자 한다. 디자인의 교과수업은 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들이 요구되어지는데 PBL 수업모델은 학습자들이 충분히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문제를 교수자가 직접 개발하여 제시하고 수업에서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문제를 활용하는 유형으로 가장 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되는 교육과정의 프로세스가 중요한 프로젝트 교육을 적용한다. 본 PBL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각자의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면서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의적 사고와 비전을 서로 공유하면서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PBL 교육과정은 현장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과정을 담은것으로 결과물에 대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면 4차산업에 있어 대학교육과 사회와의 연결로 실현될 것이다. 이에 체계적이고구체화된 PBL 모형을 개발하여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능력을 갖춰 궁극적인 문제해결능력을효과적으로 키울수 있는 교육적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플랫폼사회, 액체교양과 비주얼 글쓰기

        권유리야(Kwon, Juri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6 No.-

        네트워크 사회는 액체사회다. 디지털 사회에서 교양은 아무런 경계 없이 어떤 무엇과도 접속하여 세계를 재구성하는 융합의 플랫폼이다. 본고는 액체교양이라는 개념으로 PBL 글쓰기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1) 교양이 소통의 플랫폼이 되기 위해서는 지식에서 지식 콘텐츠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되어 접근성이 높아진 지식콘텐츠는 그 자체가 하나의 플랫폼이 된다. 2) 액체교양의 개념을 PBL 교재를 통해서 구체화 한다. PBL은 존재하는 일자가 아니라 존재하려는 다자를 탐구하는 강좌다. 이를 위해 PBL 교재는 번역 가능한 사건 중심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사건은 수많은 이질성이 하이브리드하게 뒤섞이는 갱신과 번역의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3) 디지털 매체사회에서 언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이라는 소통 영역 내에 통합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PBL 글쓰기는 문자의 영역을 넘어선 시각언어 · 음악 · 영상 · 이미지 등 다양한 비언어 영역과 통합된 복합양식의 리터러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Liquid liberal arts is based on spirit that there is not entirety in digital network society. This manuscript is communication platform that fuses everything of liquid liberal arts and under this precondition, this mamuscript checks PBL course that is being progressing. 1) For liberal arts in order to be communication platform, liberal arts must be changed form knowledge to knowledge content. To make accessibility high, knowledge content that processes knowledge with various ways is that itself is platform of one. 2) Problem of liquid liberal arts is embodied through problem of PBL textbook. PBL is not one to be but learner who studies multiple that seeks to be must leat. For this, PBL textbook consist of event drive that translation is possible. Event is beginning point that is needed for change to occur in system of preexistence and chance that truth is built. As event is platform of translation and renewal that a lot of difference is mixed hybridly. 3) In digital medium society, language doesn"t exist independently but exist in united condition in area of communication that is called digital. Language of PBL writing must become literacy of complex form that is combined nonverbal area and visual language, music, picture, image that is beyond area of individual letter expression.

      • KCI등재

        PBL에서 플립드 러닝 적용 방법 탐색: 동영상 제공시기를 중심으로

        최정숙 ( Jeongsuk Choi ),최정임 ( Jeong-im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4

        최근 PBL과 플립드 러닝을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과는 달리 이미 구조화된 학습자 중심 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PBL 수업에서는 수업 전 강의 동영상을 적용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의 사전학습은 강의가 선행되는 전통적인 교수방법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문제로부터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PBL에 접목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에플립드 러닝을 접목할 때 어떤 효과가 있을지 동영상 제공 시기를 중심으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PBL에서 문제제시 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과 2) PBL 문제제시 및 이해 활동 후 동영상을 제공하는 집단을 비교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 학업성취도에서는 PBL 문제제시 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지만 문제해결력에서는 PBL 문제제시 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나은 성취를 보였다. 2) 두 집단 모두 수업만족도는 높게 나왔으나, PBL 문제제시 후 동영상을 제공한 집단이 더 수업에 호기심을 가지고, 더 흥미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3) 두 집단 모두 동영상 자료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PBL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bine PBL and flipped learning. Unlike general lecture classes, how to apply pre-class lecture videos can be an important issue in PBL that already apply structured learner-centered activities in the class. The pre-learning of flipped learning requires a careful approach when combined with PBL that induce self-directed learning from problems in that it maintains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lectur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PBL, focusing on the timing of video providing. To this en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by comparing 1) the group that provided the video before the problem presentation with PBL and 2) the group that provided the video after the PBL problem 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showed that 1)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 who provided the video before PBL problem presentation showed better results, but the group who provided the video after PBL problem presentation showed better achiev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2) In both groups, class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group that provided video after PBL problem showed more curiosity and more interest in class. 3)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video material was helpful for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effective PBL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PBL교수법을 활용한 학습자 만족도에 의한 수업효과성 분석:디자인전공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양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It has been significant that design education is based on creativity thinking at knowledge-based society. Especially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needs teaching method and truly aware of problem in the real world to solve various problems. Problem-based learning consists of small group that is able to solve problem through creative ideas and various ways. It is similar to design class.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PBL and to analyze effects and influence for idea derivation,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s, and applying PBL in the future. PBL is applied to design theory ‘special design theory’ and practice class ‘product interaction design’ in the second grade of 4-year college. As a result, applying PBL in both classes have positive response from learner satisfaction, idea derivation,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s, and applying PBL in the future. Students felt comfortable when they took more time to use PBL. In particular, using a draft of the plan of course material is very effective in theory class and practice class. Futhermore, students have a group discussion over three times. It helps them to be an active attitude. Therefore, the teaching method, PBL will improve the quality of design education as it extends time for students’ adaptation. 지식기반사회에 도래하면서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디자인 분야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올바른 문제의 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교육적 방법이 필요하다. 문제중심학습으로 알려진 PBL은 소그룹의 토의수업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디자인 교육에적합한 교수법이다. 본 연구는 PBL교수법의 특징을 이해하고 디자인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사전・사후검사를 비교분석한 학습만족도,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도출 용이성, 과제수행계획서도움여부, PBL활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들의 수업 반응 및 기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디자인 이론과목 중 ‘디자인 특론’과 디자인 실기과목 중 ‘제품인터렉션디자인 기초’에 각각PBL교수법을 동질집단인 산업디자인학과 2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이론수업과 실기수업 모두 학습만족도, 아이디어 도출 용이성, 과제수행계획서 도움여부, PBL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PBL프로세스 중 아이디어도출은 1차 과제 해결보다 마지막 과제에서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PBL에 대한 적응시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의 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PBL과제수행계획서 작성을 통한 문제해결은 이론수업과 실기수업 모두에게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정규수업이외에 3회 이상의 그룹토론을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능동적인학습태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PBL교수법에 대한 적응시간을 늘여 디자인수업에 적극 활용한다면 디자인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IC-PBL을 적용한 3D CAD 디자인 교육 활용 사례 연구

        이혜진(Lee, Hye Jin),이형규(Lee, Hyung Kyu)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4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변하는 산업 흐름 속에서 다양한 혁신기술을 통한 다방면의 기술 활용 영역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 변화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미래 세대를 위한 실질적 대비에 적합한 교육 방안 구축의 필요성이 높다고 사료됨에 따라 본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각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모든 분야에서의 기술 융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법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사회 흐름에 따른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학습자 중심의 주도적 참여가 가능한 PBL 교육 모델을 디자인대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다양한 지식 및 실무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연계하여 스스로 문제에 필요한 기술을 바탕으로 결과물을 제시하고 도출할 수 있도록 PBL 교육 모델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PBL 교육은 교과와 이론 위주의 기존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중점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지식에 관한 능력을 익힌다. 동시에 산업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젝트를 통해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을 경험하면서 필요한 현장 기술 및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실무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미리 경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에서 지식 및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함으로 다양한 경험과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창의적 실무 중심 교육으로 확인된다. 연구방법은 H대학 주얼리 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실기 수업이 진행되며 전공 실무 방향 및 PBL교육 방안의 활용 가능성 및 기대 효과를 파악하기로 한다. 현재 산업에서 요구되는 역량 중 3D 관련 프로그램 기술 습득은 중요한 역량이지만 기존의 주입식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교육 효과 및 흥미를 증진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전공실기수업에 PBL 교육 방식을 도입함에 따른 기존 교육과 차별화되는 학습효과 및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동기부여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식으로의 가능성을 도출한다. 학습자가 PBL 기반의 프로젝트를 통해 능동적으로 실제 산업의 기술 및 실무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산업 흐름에서 필요한 역량 향상에 효율적임을 확인하고, 자세한 교육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학습자의 설문조사와 개인성찰보고서를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개선이 필요한 점에 대해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얼리 디자인 관련 전공자에게 PBL 방식을 통한 3D CAD 디자인 교육의 효과와 실무의 연관성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3D 주얼리 산업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oday, in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flow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ange of technology utilization areas in various fields through various innovative technologies is expanding, and the ability to prepare for this is required. Reflecting the paradigm of industrial change, it seems that there is a high need to construct an education plan suitable for substantial contrast for future generations, so I would like to present this study.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each fiel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re emerging to grasp the social new industrial paradigm in which technology is fused in all fields and to develop the core ability to solve it. In this study, in order to train human resources who can adapt to the needs of rapidly changing social trends, we applied a PBL education model that enables learner-centered initiative participation to design university classes. As a result, learners can acquire various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link them with problems that occur in industrial fields, and present and derive results based on the skills necessary for the problems themselves. Try to actively utilize the model. PBL education breaks away from existing subject and theory-centric education and focuses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o lear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necessary to solve a given problem. At the same time, through project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industrial fiel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necessary field technology and knowledge while experiencing the process for solving a given problem. In this way, creative practice to acquire diverse experience and practical knowledge by experiencing the problems experienced in practice in advance and presenting them so that they can utilize their knowledge and skill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Confirmed as central educ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major practical skill class will be held for students of the H University jewellery design major, and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major,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PBL education plan, and the expected effect will be grasped. of the abilities required in the current industry, acquisition of 3D-related program technology is an important ability, but there is a limit to promoting the educational effect and interest of learners through existing infusion-type education, so it is a major practical lesson. By introducing the PBL education method, the existing education section will lead to the differentiated learning effect and the possibility of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that fosters sufficient 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for learners. To ensure that as learners actively experience real-world industrial technology and practical processes through PBL-based projects, they are efficient in developing the skills required in the industrial flow and analyze detailed educational effects.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learner s questionnaire survey and personal statement report, and grasp the points that need improvement.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it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jewelry design-related majors to apply the effects of 3D CAD design education by the PBL method and the relevance of practice, and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the 3D jewellery industry to help present standards.

      • KCI등재

        변형된 PBL 기반의 UX 디자인 수업 설계 연구

        김정이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PBL은 문제 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공과대학의 전공 프로젝트 수업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활발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UX 디자인 프로세스를 실습하는 전공과목을 대상으로 변형된 PBL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조정된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에서는 이론 강의와 함께 두 번의 PBL 실습을 실시한다. 변형된 내용은 문제 설계를 교수자가 아니라 매주 학생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한 점과 두 번의 PBL 프로세스가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공과대학만의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연구의 결과는 유사한 성격의 수업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직접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평가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PBL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e engineering project course that leads students to active learning in problem solving process. But it is not actively utilized because of various problems. In this study, modified PBL lectures were laid out for a course that practice UX design process. Modified PBL lectures provide theoretical class and two PBL practices. The variant is that the problem design is made by the students themselves on a weekly basis, rather than by the instructor, and that the two PBL processes consist of one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a basic data in PBL-based engineering college project class. Additional discussion of how to evaluate grades needs to be specified.

      • KCI등재

        PBL(Problem-based Learning)을 위한 조별토론 학습모델 연구: 만다라트(Mandal-art)와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활용한 협동학습 모델 개발

        류수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 educational model that can be used in group discussions of communication classes. The key issu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the 2010s is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However, in the course of expanding PBL education, it has been overlooked that it has some sort of resistance to the existing debate education, based on the pros and cons. What is important in PBL is ‘cooperation’ rather than ‘alternative’. Diversified discussions of detailed actions and practices among those who share a larg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are the critical speaking skills required in the PBL environment. From this fundamental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create an educational model that enables students to practically adapt to the PBL-based discussion environment and conduct self-directed debating activities. To this end, we wanted to actively introduce Mandal-art, which was created as an idea for teamwork, into the PBL discussion class model. In addition, the RPP(Role-play Presentation) concept was introduced from the concept of RPG(Role-play Game) so that students could actively derive social meaning from the discussion results. This increased the liveliness of the presentation and helped to specialize/objectify the discussion results. 이 논문은 의사소통 교과의 조별토론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모델을 설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0년대 대학교양교육의 화두는 다름 아닌 PBL(Problem-based Learning)이다. 그러나 PBL 교육의 확대과정에서, 그것이 찬반의대립에 근간한 기존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일종의 저항적 성격을 가진다는 점은 간과되어왔다. PBL에서 중요한 것은‘대립’ 그 자체라기보다는 ‘협업’이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큰 방향을 공유한 사람들 사이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세부적인 행위와 실천에 대한 다각적인 토론이야말로 PBL 토론환경에서 요구되는 비판적 말하기의 역량인 것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관점의 제고를 통해 본고는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PBL적 토론환경에 적응하고 자기주도적 토론활동을수행할 수 있는 학습모델을 마련하는 데 그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팀워크를 위한 아이디어 도출법으로창안된 만다라트를 PBL 토론수업 모델에 적극적으로 대입하고자 하였다. 또한 RPG(Role-play Game)의 개념에서착용한 RPP(역할연기발표, Role-play Presentation) 개념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해당 토론결과를 사회적 의미를 적극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발표의 생동감을 높이고 토론결과를 전문화/객관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 PBL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박경일,김안나,전형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learning process by applying PBL to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to find out what techniques are available 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PBL, We tried to find the effectiveness on improvement of 5 abilities. For this purpose, pro/pre-post test results of PBL classes were measured in 32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u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We explored five techniques those can be used in the six-step PBL process and verified tha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learners are improved through PBL.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way to apply PBL effectively in social welfare studies major.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육과정에 PBL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기법들은 어떤 것이 있으며, PBL을 통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팀 협력 능력, 의사소통능력의 향상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학생 32명의 PBL 수업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측정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6단계를 과정을 거친 PBL 진행과정과 RCA, 성찰저널 등 5가지 기법들을 PBL 수업 시 적용해 볼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PBL 적용 후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이 0.28점, 의사소통능력이 0.33점씩 향상되었고,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에게 더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공 수업에 효과적으로 PBL을 적용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6단계의 PBL 프로세스 구축과 고학년 대상의 소규모 교육과정 진행, 학습자의 확산적 사고를 도와주는 교수자의 촉진질문 사용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