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가구의 건강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1인가구와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하지경 ( Ji Kyeung Ha ),이성림 ( Seonglim Lee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2

        Recently, one-person households have surpassed nuclear families. On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have many problems with health due to an irregular life style and a tendency to be more isolated from society. In addition, we need to divide the generations and survey each generation due to differences in one-person household factor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unique physical conditions of each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s survey examined health behavior differences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generation (respectively) as well as studied how one-person households and health behavior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he major result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First, one-person households reveal a higher rate in the negative health behavio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of all households reveals a high rate of non-activity. Third, health scores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that of non-one-person households; consequently, the analysis of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and non-one-person households indicated that the middle age health scores for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lowest in generations. Fourth,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ndicated that one-person household and health behavior has meaningful influence; in addition,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one-person households are lower than non-one-person households under controlled health behavior.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조례 분석: 1인 가구 지원 조례와 1인 가구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조례 비교를 중심으로

        장정문,정민자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109개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129개의 1인 가구 지원 조례의 조항을 분석하였다. 1인 가구에공통으로 포함되어 있는 ‘목적, 기본 이념과 기본 원칙, 책무, 기본 계획과 시행 계획, 지원 사업, 지원 대상, 전달 체계’의 조항을분류하고, 유목화⋅서열화⋅수량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1인 가구 지원 조례 조항이 가진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급격히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으로 지자체에서는 1인 가구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고, 매년 1인 가구를위한 조례를 제정하는 지자체가 증가세에 있으나 현재 조례 제정은 전체 지자체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1인 가구 지원 조례조항을 통해 본 1인 가구 지원 조례의 특성은 첫째, 다양한 1인 가구의 형태에 부합되는 정책이 부족함을 들 수 있다. 둘째, 조례의내용 면에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기보다 일률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셋째, 1인 가구의 복지 측면보다 예방 차원의 조항과 내용이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1인 가구 지원 조례 제정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1인 가구의 특성에 부합되는 조례의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of January 2023, this study analyzed the provisions of 129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s implemented by 109 local governments. The provisions of “purpose, basic ideology and basic principles, responsibilities, basic plans and implementation plans, support projects, targets for support and delivery systems” were classified.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through the process of nomadicizing, ranking, and quantifying the classified provisions. As a policy support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local governments enact and implement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s, and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enacting ordinances for one-person households is on the rise every y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as seen through the one-person household support ordinance were first lacking policies suitable for various one-person households, Second, it contains more uniform cont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ordinance, and thirdly, preventive provisions and content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welfare of on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enactment of an ordinance supporting on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 KCI등재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이질성과 공간적 분포특성

        김재익(Jae-Ik Kim)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는 1인가구가 동질집단이 아님을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 1인가구로 구분하여 입증하고, 그들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여 인구주택총조사중 10% 표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다항로짓모형으로 연령대별 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각 연령대별 1인가구는 주거조건, 교육수준, 혼인상태, 통근수단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공간적 분포도 청년층 1인가구는 도심, 산업단지, 대학촌 등에 집중 거주하며 노년층 1인가구는 도심과 농촌지역에 집중 거주하는 경향이 관측되었다. 장년층은 도심과 농촌지역의 중간지역에 거주하는 특성이 있었다. The household structure of Korea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from traditional large family type to nucleared or single family type. In particular, The share of one-person household has been increased from 9.0 per cent in 1990 to 23.9 per cent in 2010. The increase of the share of one person household requires changes of housing policy. However, current housing polices for one person households assume that all of the one-person households are homogeneous. In fact, the one person households consist of different group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rital status -- unmarried young, divorced, and separated by death. They have differen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ousing conditions, and thus different housing demand. This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housing industry and government. However,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by socio-economic status has not been considered in private and public sector and/o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by academic society.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household by different age groups -- young(age below 35), prime age(age between 36 and 64), and old(age above 65)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follows. First, one person household is unique with respect to housing typ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mode of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one person households should not be assumed as homogeneous group. Second, the young one person households show a strong tendency to locate the city center, university villages and near industrial sites. The old one person households tend to be clustered in/around the city center as well as rural areas. Prime aged one person households reside between the city center and rural areas.

      • KCI등재후보

        1인가구의 특성에 따른 재무구조의 특징

        신민경(MinKyung Shin)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1

        본 연구는 2012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특징에 따른 재무구조를 조사하고 이러한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1인 가구주가 많았으며 사별의 형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미혼, 이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 가구의 경우 자가 거주 비율은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아도 40% 미만으로 월세 등의 비율이 높아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1인 가구의 주거 상태의 불안정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43.2%가 비취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1인 가구의 취업상태는 매우 중요하지만 개선되지 못하고 근로빈곤화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노년층의 문제가 가장 심각한데, 노후소득보장시스템도 미비하여 노인 1인 가구가 겪게 되는 경제적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넷째, 1인 가구의 다양한 형성요인은 그에 따른 다양한 복지수요를 생성하게 된다. 기존 2세대 4인 가족 중심의 정책기조는 변화해야 하는 중요한 현대 복지정책의 과제이다. 다인 가구 중심의 주거공급 정책에서 벗어난 소형주택공급 및 1인 가구의 주거비 지원정책이나 1인 가구의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 등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1인 가구의 자산 배분구조는 금융기관의 금융상품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소득계층에 따른 금융자산 투자목적에서 기본적인 노후 및 주거 대책이 목적이었지만 하위계층일수록 사고질병대비가 목적이었고 상위계층 중 결혼자금마련이 투자 목적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1인 가구내 계층별 특별한 요구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여섯째, 다인 가구들의 선행연구들에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비중의 기준과 1인 가구의 기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자산의 비중이 60%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안정집단으로 분류되는 다인 가구와 달리 1인 가구는 40%선 미만에서 안정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인 가구의 경우는 금융자산의 비중이 40% 정도여도 되지만, 1인 가구는 60%선이 금융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안정집단에 속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향후 1인 가구 특성별로 합리적 자산배분을 통해 재무안전성을 도모하는 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금융 시장의 마케팅 측면에서 경제력을 갖춘 1인 가구를 타겟으로 하는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1인 가구가 갖는 다양한 문제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변화해야 하는 정책의 수립?결정?집행의 기초자료로도 활용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and on what kinds of factors affect this financial structure using the data from the 2012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 the one person households were female-headed households whose heads were widowed, followed by households whose heads were single, and were divorced. Second, as the previous study on one person households suggested, not many households owned their home, indicating that less than 40% own their home. Third, as many as 43.2% of one person households were unemployed. Although the employment is critical for one person households, their employment status has not been improved so their poverty rate remained unchanged. Especially, this situation is more severe for old people. Korea does not have sufficient social safety net, thus, the elderly one person households suffer from economic difficulties. Fourth, sinc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orming one person households are various, this requires diverse kinds of demand for welfare systems.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focusing on a conventional form of household with two generations and 4 people should be changed for fulfilling more diversified modern welfare needs. The government should put more emphasis on the supply of small houses to accommodate the needs for one person households and on employment policy to support for those households. Fifth, the results on the structure of assets of one person households can be used for basic data when the financial institutions develop financi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purpose of investment, most households invested their money for house and for wellbeing for their later life. However, the purpose of investment was totally different by the income segmentations. For those in the lower income bracket, most households invested their money for preparing for future accident or disease. For those in the higher income bracket, the purpose of investment was mainly for funding for marriage. Thus,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know these information and develop financial instrum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different income segmentations. Six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real assets and financial assets was different between one person households and multiple person households. The multiple person households were classified to a financially stable group if the proportion of real assets were below 60% of the total assets but the one person households were deemed to fall on a stable group if real assets were below 40% of the total assets. Therefore, in the future, policies to support the financial stability of one person households are needed that accommodat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financial institutions when they make strategies targeting one 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also would be beneficial for government for establishing, deciding and implementing the financial policies for one person households.

      • KCI등재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고독사 예방을 위한 법제 개선

        선은애(Eun-Ae Se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100 No.-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1인 가구는 다양한 정책의 방향을 바꿔 놓을 만큼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인 가구는 2017년 5,618,677 가구에서 2021년 7,165,788 가구로 5년 만에 약 27.5%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증가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통계청(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C1517&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 - 시군구, 최종 검색일 : 2022.10.12 1인 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 또는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말하는데 1인 가구의 증가는 결혼에 대한 의식의 변화, 별거나 이혼, 졸혼 등에 따른 가족의 해체, 경제적 빈곤함, 그리고 고령화에 따른 노인 1인 가구의 증가 등이 그 원인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고독사는 노인의 고독사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그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1인 가구 중 인적 관계가 단절되어 사회적 고립이 된 경우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고 1인 가구 증가는 고독사가 더 이상 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아닌 전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2021년 4월 1일부터 시행 중인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고독사 예방을 위하여 고독사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및 체계적인 조사ㆍ연구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등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함에 있어 그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고독사의 명확한 정의, 그리고 실태조사를 하기 위한 조사의 기준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아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고 5년마다 실시하고 있는데 1인 가구가 5년 만에 27.5%가 증가하여 다양한 정책의 방향을 바꾼 것을 볼 때 실태조사의 기간이 길어 1인 가구의 실태조사에 따른 맞춤형 정책에 있어 그 실효성에 의구심이 든다. 또한 1인 가구 중 고독사위험자의 조기 발견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여야 하는데 이런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나 그에 대한 시책 강구를 위한 노력에 대해서 근거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전문성 제고를 위한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고독사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1인 가구의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5년마다 실시하고 있는 실태조사를 3년으로 변경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하며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고독사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고독사의 현황을 파악 후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법제 개선이 이루어져야 고독사의 예방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마련될 것이다. 또한 전담 전문인력의 확충과 전문성 제고를 통한 복지 사각지대에 따른 문제를 줄여야 하며 고독사 예방을 위한 획일화된 지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법제 개선을 통해 1인 가구의 고독사를 예방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게 함으로서 국민의 복지증진을 실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One-person households that are rapidly growing these days brought about so many changes enough to alter the direction of various policies. One-person households increased by about 27.5% in five years from 5,618,677 households in 2017 to 7,165,788 households in 2021. This growth appeared to be an increasing trend overall in their 10s, 20s, 30s, 40s, 50s, 60s, and their 70s and older. A one-person household implies the one that a household of living on his or her own or one person of living alone independently earns a living such as cooking, sleeping and so on. An increase in one-person households can be considered to be shown by the causes such as a change in consciousness about marriage, the family dissolution and financial poverty due to separation, divorce, graduation from marriage, etc., and the the grow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owing to aging. The existing lonely death was focused on the issue of the lonely death in the elderly. Thus, the policy efforts have been made against it. However, the likelihood of dying alone is mounting recently in case of the social isolation due to the disconnection of personal relationships among one-person households. A rise in one-person households is suggesting that the lonely death may be seen from all age groups, not the problem according to aging any more.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April 1, 2021, established a legal basis for it as there is a need for the integrated and systematic policy promotion at the national level such as arranging a support system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accurate survey, the systematic survey and research of the lonely death to avoid the lonely death. But a confusion is being created because of being not specified the clear definition of lonely death, and the criteria for conducting a fact-finding survey. With being carried out every five years, the direction of diverse policies was changed due to a rise in one-person households by 27.5% in 5 years. In light of this, there is a doubt about the effectiveness of a customized policy depending on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because the fact-finding period is long. Also, a necessary measure should be taken with regard to the early detection of people at risk of dying alone among one-person households. Still, to enforce this action, the relevant professionals must be cultivated. Nevertheless, just with the grounds for an effort to devise a measure against it, there is a lack of specific contents to strengthen expertise. Accordingly, through revising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legal basis available for preventing the lonely death in one-person households and to heighte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by changing the fact-finding survey of being conducted every five years to three years. Effective policies will be in place to block the lonely death only when analyzing a cause for it and improving legislation suitable for it after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lonely death through the fact-finding survey on this with recognizing the lonely death according to a rise in one-person households as a social issu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problems caused by a welfare blind spot through expanding the dedicated professionals and enhancing the expertise an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guidelines to combat the lonely death. This legislative improvement will lead to preventing lonely death in one-person households and to making it possible for living a human life, resulting in being capable of realizing the promotion of the welfare of the people.

      • KCI등재

        한일 양국 1인가구의 증가요인이 무연사회에 미치는 영향

        정희순 ( Jeong Hee-s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1

        한일 양국 1인가구의 증가요인이 무연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족의 해체이다. 가족구조의 변화는 고령자에서 1인가구는 일본이 한국보다 높지만, 증가 속도에 있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은 결혼하지 않아 자녀가 없는 점이 중·장년 1인가구의 특징이다. 따라서 노후를 의지할 가족도 없다. 그리고 집안 영속성의 붕괴에서도 1인가구 시대를 맞이하는 거대한 사회의 흐름 속에서 해체되어 버린 가족은 가계의 영속성마저 흔들리는 사회적 현상은 점차 무연사회 문제를 확산시키고 있다. 다음, 전통적 공동체의 붕괴이다. 미래에 대해 불안함과 위기감은 미혼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면 무연사회 예비군이 된다. 그리고 혼자가 되는 개인주의의 심화는 각종 신조어를 양산해내며, 인터넷이 보유율과 입시경쟁과 취업경쟁은 한국이 일본보다 높다. 경쟁이 높다는 것은 대부분 비정규 고용 형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 청년 1인가구의 모습이다. 이들이 자연스럽게 1인가구로 노년을 맞을 때, 전통적인 유대관계에 결핍을 가져와 무연고 상태에서 고독함은 오늘에 비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빈곤화이다. 젊은층의 고용불안에서 일본보다 경제활동 참가율과 실업률에서 한국이 높다. 한국이 시기적으로 늦은 감은 있지만, 일본과 비슷한 경제발전 양상을 보인다. 청년기에 고용의 기회를 잃은 이들은 30대, 40대로 이어져 사회에서 고립된 1인 가구가 되고 만다. 그리고 한일 양국 모두 노인의 직접 소득원은 높지만, 후생연금·공제연금 수급자가 높은 일본에 비해 한국은 직접 소득원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 안정성이 낮은 저임금 부분을 중심으로 일한다는 입증이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가족의 해체, 전통적 공동체의 붕괴, 경제적 빈곤화는 1인가구의 요인이 되며, 빈곤과 정서적 외로움 등으로 1인 가구에 처해있는 노인을 비롯하여 전 세대에 걸쳐 사회 저변에서 무연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playing a role in the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in both Korea and Japan, and to explore how these socio-cultural factors have been influencing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factor is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The number of elderly one-person households in Japan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but the number of unmarried or single, middle-aged people is rapidly increasing in both of these countries. Since these people have no children, the breakup of the family, which prevents the continuity of households, is gradually establishing a no-relationship society. The second factor is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xiety and a sense of crisis over the future caused by this second factor make it difficult for the young generation to get marri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We are now witnessing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and the coinage of newly-created words related to individualism. Young one-person households suffer from job insecurity in Korea, where Internet access is good, and competitions for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are higher than in Japan. If they grows up to be a one-person elderly household, the loneliness from lack of traditional ties with no relationships will be felt more deeply in the future. The third factor is economic poverty. Job insecurity felt by the younger generation is more problematic in Korea, where the unemployment rate of the younger gene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Japan, The unemployment status experienced during their youth can continue until they reach their 30s and 40s, and eventually they can become economically isolated one-person households. In the case of one-person elderly households, senior citizens earning low wages are common in both the countries. However, while Japan has more recipients of welfare and tax-free pensions, Korea has a high percentage of wage earners. This result illustrates how senior citizens are employed in low-wage areas with a lack of job security. In summary, the dissolution of families, the collapse of traditional communities, and economic poverty ar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in both Korea and Japan, and this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produced throughout the generations, not to mention elderly one-person households, i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and the spread of a no-relationship society.

      • KCI등재

        1인 가구의 금융 포트폴리오 특성 분석

        조홍종 ( Hong Chong Cho ),이창민 ( Chang Min Lee ),손재희 ( Jae Hee S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4

        1인가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고령화와 더불어 전통적인 가족중심적인 경제활동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인 가구의 증가현상은 도시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20~30대 독신 여성층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문화와 소비의 주체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주요가구형태인 가족가구를 기준으로 행하지는 경제활동도 1인가구의 영향으로 소비패턴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주거공간에 대한 수요와 온라인 중심의 관계망, 그리고 소비양식의 변화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1인 가구의 금융상품 소비 특징은 시간이 지날수록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를 비교하여 1인 가구가 지니는 금융투자의 특성을 분석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노동패널을 이용(10~13차, 07~10년도)하여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특성을 다양한 방법의 통계적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각의 금융자산 중에서 안전자산(예/적금, 개인연금, 종신보험, 저축성 보험, 보장성 보험)과 위험자산(적립식 펀드)에 대한 투자행태에서 1인가구와 다인 가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1인 가구는 예/적금(보장성 보험, 저축성 보험)에 상대적으로 더(덜)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예/적금의 경우에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투자 비중이 줄어드는 경향이 1인 가구에서는 존재하나 다인 가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종신보험과 저축성 보험의 경우에는 1인 가구는 교육수준과 투자비중에 대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나지만, 다인 가구는 연관관계가 없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저축성 보험에 대한 투자비중은 1인 가구에서는 시간적 추세가 존재하지 않으나, 다인 가구에서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The population aging and increasing one-person-household are expected to influence on the change of conventional economic activities. Moreover, phenomena on increasing one-person-household are globally emerged, and specific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single women from twenties to thirties causes for them to make majority for new cultures and consumption. Also, due to the impact on one-person-household, economic activities composed of multi-person household will change their consuming pattern. For instance, it shows changes in demand for new living space, relationship network in online, consumption pattern, and so on. Above al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one-person-household’s financial products will make an impact on financial markets. In the view of this point, this paper shows the properties of one-person-households’ financial portfolio by comparing it with the portfolio of more than one-person-households. To analyze these properties, we will use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2007~2010). The results of comparis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one-person-household and multi-person-household are as follows. Foremo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e risk assets (deposit/installment savings, personal insurance, term insurance, saving insurance, Whole life insurance) and risk assets (installment Fund). Second, one-person-household is more(less) inclined to invest deposit/installment savings (term insurance, saving insurance). Third, the higher educated one-person-household tends to decrease ratio of investment in deposit/ installment savings. In one-person-househol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ratio of investment to whole life insurance and saving insurance, however, multi-person-household show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Finally, in saving insurance, there exist no time trends in one-person-household. Saving insurance of more than one-person-household has increasing trends.

      • KCI등재

        1인 가구 성인의 가정간편식 이용과 식습관 실태

        최미경,박은선,김미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24 No.6

        Objectives: The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may have consequences for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use and eating habits among adults in their 20s-30s living in one-person households. Methods: A total of 247 adults aged 26-3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ne-person households (n=80), two-person households (n=49), and multi-family (three and more members) households (n=118). Their use of HMRs (classified as ready-to-eat, ready-to-cook, and fresh convenience foods) and their eating habits were all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0.5 years, 47.8% were mal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ender,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according to the type of household. The intake frequency of total HMR and ready-to-eat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ne-person households among the three groups. People in one-person households consumed more HMRs alone, and spent more money to buy HMRs. Undesirable dietary habit scores like unbalanced eating (p<0.05) and eating salty foods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ne-person households. Among the total subjects, the unbalanced eating scor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 frequency of ready-toeat foods, while the unbalanced eating scor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eference of fresh convenience foods. The scores for eating salty food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ready-to-eat foods and ready-to-cook foods, while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 frequency and preference of fresh convenience foods. Conclusions: Adults in their 20s-30s in one-person households consumed more ready-to-eat foods than those in multi-family households. In addition, people with one-person households had more unbalanced diets and ate more salty foods, and these undesirable eating habi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ready-to-eat or ready-to-cook foods. These results should be addressed for producing healthier ready-to-eat/ready-to-cook foods and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for making healthy food choices of one-person households, which are steadily increasing.

      • KCI등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비교 : 국민건강영영조사 자료분석(2013, 2015, 2017)

        신미아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2013, 2015,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성인 18,5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복합표본설계에 의해 Rao-Scott χ2-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인가구는 10.5%, 다인가구는 89.5%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소득수준, 주택소유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70세 이상, 미혼, 초졸 이하, 비취업자, 저소득 가구, 무주택자가 더 많았다. 건강행태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흡연, 음주를 더 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검진 수진은 더 낮았다. 정신건강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불충분한 수면시간, 우울, 자살생각이 더 높았으며 정신문제 상담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n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between one 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data of 18,576 persons over 19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2013, 2015, 201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X2-test considering complex samples analysis. As a result, the rate of one person households was 10.5% and multi-person households was 89.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and ownership of the hous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70 and older, unmarried status, graduation from elementary school, unemployed status, low-income household, and houseless people in one person households were high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The smoking, drinking in health behavior of one person households were high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medical checkup were low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The insufficient sleeping hour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ling in mental health of one person households were high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 KCI등재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뉴스미디어 이용 및 사회참여

        박노일 ( Nohil Park ),정지연 ( Jiyeon Jeong ),김정환 ( Junghwan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전체 가구 구성 중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급증은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동반한다. 커뮤니케이션학 차원에서 1인 가구의 뉴스미디어 이용과 사회참여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대 다인가구의 미디어 이용 및 사회참여 차이를 밝히는 동시에, 1인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속성, 사회계층, 정치 성향, 그리고 뉴스미디어 이용이 사회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조사한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5,128개의 답변자료를 분석한 결과,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낮은 수준의 사회참여를 나타냈으며, 1인 가구 중 남성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이 높고, 진보 성향이며 정치 성향이 뚜렷할수록 사회참여가 높았다. 또한 라디오와 모바일 및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량이 많고 온라인 메신저를 통해 접하는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사회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사회계층 및 정치 성향 외에 1인 가구의 뉴스미디어 채널별 이용량과 신뢰도에 따라 사회참여 수준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급증하는 1인 가구의 낮은 사회참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뉴스미디어의 역할 관련 후속 연구에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rapid rise of one-person households among entire households is accompanied by various social chang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ir usage of new media and civic particip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ivic participation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family household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one-person househol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class,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ir news media use on their civic participation. By analyzing 5,128 respondents survey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2016, this study found that one-person households showed lower level of civic participation than multi-family households. However, among the one-person households who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showed a higher civic participation level. Also, higher civic participation was shown among people who had higher credibility of the news through internet, mobile, and online news media, and who had a higher level of news consumption through internet, mobile, messenger, and social media. Beyond the influence of the demographic backgrounds, social class,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level of one-person households’ civic particip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ir news media use per channel and their credibility of the med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valuable guidelines for news media role and the follow-up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ow level of civic particip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