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발달에 따른 음악창작교육의 지향

        박은비,양종모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school music education to respond in a situation where knowledge and methods for music creation are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10 excellent music generators recommend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 experts were selecte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musical knowledge and functions required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were analyzed.functions required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were systematiz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arranging the musical knowledge, functions, and goals presented in the creative area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n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are variously presented in the creative area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econd, in order to utiliz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 basic knowledge about genre, mood, and music elements is basically required. Third, the learning method of students should consider a method similar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method learn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 Fourth, with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the learning method for music creation will change, and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organize the curriculum accordingly. Fifth, the music creation curriculu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usic generators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can foster self-direction or imagination that music education currently pursues. 이 연구는 인공지능 음악생성기의 발달에 따라 음악 창작에 관한 지식과 방법이 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 음악 교육이 대응하는 방향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인공지능 음악생성기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우수한 10개의 음악생성기를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음악생성기 활용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음악적 지식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에 제시된 음악적 지식과 기능 그리고 목표 등을 정리하여 인공지능 음악생성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음악생성기를 활용할 수 있는 근거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에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둘째, 인공지능 음악생성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장르, 무드, 그리고 음악요소 등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방법은 인공지능 음악생성기가 학습하는 인공신경망 학습방법과 유사한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인공지능 음악생성기의 출현으로 음악 창작을 위한 학습 방식이 변할 것이고, 이에 따른 근본적인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다섯째, 인공지능 음악생성기를 활용하는 음악 창작 교육과정은 현재 음악 교육이 추구하는 자기주도성이나 상상력을 기를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 창작 영역의 내용과 AI 음악생성기의 창작 방식 간의 관계성 분석

        박은비 ( Eun-bi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AI 음악생성기가 학교 음악교육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내용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 성취 기준과 AI 음악생성기의 작동내용과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세 개의 AI 음악생성기를 선정하여 그 작동 내용과 창작영역의 주요 어구를 추출하여 어구를 연결하여 관계성을 이해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세 개의 AI 음악생성기는 창작 영역 성취 기준과 관련을 맺고 있다. 이는 AI 음악생성기가 학교 음악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그러나 AI 음악생성기에 따라 성취 기준의 관련 정도는 차이가 난다. Chrome song maker는 가장 많은 성취 기준과 관련성이 있고, AIVA가 그다음이며, Soundraw가 상대적으로 관계가 낮다. 셋째, 성취 기준 중 생활 주변의 소리 모방에 대한 것이 가장 관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간단한 악보에 대한 부분은 AI 음악생성기가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창작에서 악곡의 일부 변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연결성이 비교적 낮게 나온다. 세 가지의 생성기를 분석해 본 결과, AI 음악생성기의 종류에 따라 성취 기준의 관련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전체 성취 기준을 모두 지도할 수 있는 AI 생성기도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가 여러 가지 종류의 AI 음악생성기를 활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고, 성취 기준에 따라 적절한 AI 음악생성기를 선택하고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an AI music generator in achieving the goals of school music educat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area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AI music generato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types of AI music generators used in this study are related to creative area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ing that AI music generator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achieving school music education goals. Second, the degree of relevance to achievement criteria varies across AI music generators. Chrome song Maker is the most relevant, followed by AIVA, and Soundraw is relatively less relevant. Thir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mitating sounds in daily life appeared to be the least relevant. Fourth, there are limitations to using AI music generators for simple notation. Fifth, although parial modification of composition is important in the creative process, connectivity appears to be relatively low. Analyzing the three generators, it is clear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relevance to the achievement criteria depending on the type of AI music generator. We also found that no AI generator can perfectly solve all achievement criteria. This means that music teachers must select and guide appropriate AI music generation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알파(α)세대 초등학생의 음악소비 실제 및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김효정,손민정,김다영,김윤정,민송희,박세희,조경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media usage patterns and music consumption in the dail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the alpha gener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Alpha started YouTube about two years earlier than Generation Z.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mobile games and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content and game characters. They preferred subscriptions over algorithms on YouTube. They knew what to watch out for on YouTub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onsumption of the alpha generation, they selected and listened to a variety of music while playing games. They preferred hip-hop rather than Newtro, and they wanted to pursue music in various ways online. As implications of music education, first, digital literacy was formed in them, but excessive dependence on smart devices and expression of hate should be cautio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flect their online music activities in music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individual music consumption habits so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sic listening through subscriptions and algorithms. Z세대 이후로 디지털 기기와 온라인 소통에 능숙한 알파세대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세대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변화를 이해하고 음악교육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현재 알파세대인 초등학생의 일상에서 미디어 활용 양상과 이에 따른 음악 소비 실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과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알파세대 초등학생 139명과 비교 그룹으로 Z세대 중⋅고등학생 160명이 참여하였고, 이들 중 알파세대 25명과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알파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면에서는 알파세대 응답자가 Z세대보다 약 2년 정도 일찍 미디어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바일 게임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으며 콘텐츠 생산과 캐릭터 공유 등을 통한 자기표현 욕구도 강했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보다는 구독을 선호하였고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디어 사용시간, 시청영상 선별 등에서 주의할 점을 알고 있었다. 사생활 노출에도 주의했다. 이에 따른 알파세대의 음악소비 특징으로 먼저 게임과 음악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게임을 하는 동안 다양한 음악을 선택하여 감상하였다. 뉴트로보다는 힙합을 선호하는 경향도 두드러졌다. 빠르고 중독성 있는 리듬,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힙합을 선호했다. 또한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 활동을 하고자 하였다. 앱창작, 챌린지 등이 그것이다. 음악교육의 시사점으로 첫째, 알파세대 학습자에게서 자정적인 디지털 리터러시가 형성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나 혐오와 방어적 태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둘째, 알파세대 학습자는 디지털기기를 활용하여 온라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음악적 표현 욕구를 표출하고 싶어 하므로 이를 반영하는 유연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의 선호를 더욱 증폭시키는 구독과 알고리즘 시스템 하에서 제한된 음악적 접촉이나 음악에 대한 선입견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이른 시기부터 개인의 음악소비 습관을 반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Come back home>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집’의 의미와 성격 - 서태지와 아이들, 방탄소년단 작품에 대한 세대론적 접근 -

        길혜빈,안숭범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is study compares in depth the song <Come back home> performed by two groups, one by ‘Seo Taiji And His Boys’(X Generation) and the other by ‘BTS’(C Generation) based on the discourse about the ‘X Generation’ in the 1990s and the ‘C Generation’ in the 2010s. It will specifically focus on the nature of ‘home’ tha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music video and will fin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it. Based on the analysis, the original performance by ‘Seo Taiji and The Boys’ demonstrated the vertical structure of enlightenment and discipline and narrated the story with the plot of ‘maturity’. The meaning of ‘home’ in the original version shifts from a target of resistance to a subject of internalization. The remake music video of BTS demonstrated a horizontal structure of empathy and solidarity and narrated the story with the plot of ‘pursuit/discovery’. The ‘home’ here can be considered the life itself of a person who maintains one’s self identity. 본 연구는 1990년대 ‘X세대’ 담론과 2010년대 ‘C세대’ 담론 한복판에 존재하는 ‘서태지와 아이들’(X세대)과 ‘방탄소년단’(C세대)의 <Come back home>을 심층적으로 비교한다. 특히 뮤직비디오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집’의 성격을 탐색하며 사회문화적 함의를 추수할 것이다. 논지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 소통 모델과 토비아스의 플롯 유형론을 방법론으로 택했다. 분석 결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원작은 계몽과 훈육의 수직적 소통 구조를 보여주며 ‘성숙’의 플롯을 따라 이야기를 전개됐다. 원작에서 ‘집’의 의미는 저항의 대상에서 내면화의 대상으로 변화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X세대의 당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탄소년단의 리메이크 뮤직비디오는 공감과 연대의 수평구조를 보여주며 ‘추구/발견’의 플롯을 따라 사건이 전개되었다. 방탄소년단은 C세대를 대변하면서 팬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여기서의 ‘집’이란 자기 정체성을 전유한 자의 삶 그 자체로 파악된다.

      • KCI등재

        오행론에 근거한 전통 태교음악의 구성

        최정준,김인호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9 No.-

        Traditionally in the East, many academic fields have been based on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When it comes to life activities, the energy of the five elements is the key to the five elements theory. Music as a genital short with long low, high clear and turbid, ‘voice and spint[聲氣]’ and ‘marrow[精氣]’ and fine and the sound that forms the fetus are both energy,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s established as a category that deals with this energy. As can be seen from the music hall of 禮記 , humans, including fetuses, respond between foreign objects and inner objects, and traditional music theory was formed based on this sensitivity logic. The same goes for prenatal music. When music affects one’s ‘body and mind[身心]’, and conversely, when sound comes out from within a person and is regularized, interactive interaction and action, which becomes music, are also premised on prenatal music. There are content and forms of mutual response. In the case of prenatal music, it will be important to classify the energy of music’s rhythm, rhythm, and solicitations into five elements, and to write or select songs suitable for the five elements. However, as long as it is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ory, what is no less important is its formal composition. Existing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prenatal music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ory argue that prenatal music should be divided into five equal parts for 10 months in the order of ‘Mok[木], hwa[火], to[土], geum[金], su[水]’ and number and applied in turn. In this paper, a different order is presented at the theoretical level. Essentially,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the fetus is a process of being created rather than a concept in which completion is operated. In addition, in theory of dynamics, the application of misadventure was different in terms of generation and operation, so in this case, it was considered reasonable to apply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In this way, it would be reasonable for 1, 2, 3, 4, and 5 months when the fetus is created to complete the process of life by linking the music energy and the music and instruments corresponding to ‘Su[水], hwa[火], mok[木], geum[金], to[土]’ respectively, and for 6, 7, 8, 9, and 10 months, it would be reasonable to complete the process by linking the music energy and the music and instruments corresponding to ‘Su[水], hwa[火], mok[木], geum[金], and to[土]’ Since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raditional prenatal music is a part that requires the expertise and experimentation of music, this paper only presents theoretical principle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linical trials on this.

      • 청소년(靑少年)과 민족정신(民族精神) : 신세대(新世代)와 대중음악(大衆音樂)의 관련성(關聯性)에 대한 연구(硏究)

        정수연 ( Soo Yun Chung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0 청소년과 효문화 Vol.16 No.-

        An interest in a new generation of global interest in South Korea as well as actively in the research are being conducted. Today a new generation of awareness and behavior patterns characteristic of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time only can exist among young people a unique value-oriented and behavior, the meaning and that the older generation,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coexist with should be conducted. Therefore, the value of a new generation of our consciousness and the concept and the type of behavior should be understood correctly. ``New generation`` as a new generation of 10-30 youth and young adults ranging from early covers and X generation, N generation, P generation are separated by. Success and career-oriented new generation of video as a popular TV star, the followers of three, and a new emphasis on computer and Internet access to culture and has a unique personality. Sensory and also easily falling out of curiosity is more likely. Most of today`s popular music genre of the Western secular world view, and resistance has spread to a new generation of emotions. Therefore, the suppression of the older generation for a new generation with the new generation is only possible to block the area for the older generation of the new generation does not completely deny the alternative to self-indulgence is bound to flow. In other words, the power of logical thinking of the older generation of the liberal idea of a new generation of fully integrated two dialectically when will this society can develop properly. The prevalence of modern pop culture is very short term. Our popular culture is busily pursuing a new trend is foreign. A result, a new generation of our popular culture in a foreign country were subject to. Therefore, a new generation of our own resources, taking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creativity alive and the subject of Korean pop culture is important to create a flower.

      • KCI등재SCOPUS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박은비(Eunbi Park) 한국음악교육학회 2024 음악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AI 음악생성기가 만든 음악 작품을 분석하고, 음악 교육적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AI 전문가들이 추천한 대중적 음악생성기 중에서 자동으로 음악을 생성하고, 다양한 성부를 가지며, 입력값의 내용이 음악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3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4개의 음악생성기를 선정하고, 각각 3개씩 음악 작품을 만들어 이를 분석하였다. 작품 분석은 서양 음악 분석에서 전통적으로 활용해 온 요소 분석에 근거하였으며, 하위 분석 요소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리듬, 가락, 화성, 형식의 4가지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자면, 첫째, AI 음악생성기를 활용해 만든 음악 작품들은 다양한 리듬과 가락 요소를 활용하고 있지만, 화성과 형식적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부조화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AI 음악생성기는 기계가 원하는 음악을 만들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 자신의 음악적 역량이 요구된다. 셋째, AI 음악생성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얻기 위해서는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나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을 매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AI 음악 리터러시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works created by an AI music generator, and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usic. The four music generators that satisfy following three conditions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study: create music automatically, have the variety of voices, and input contents contain musical elements. Then three music works were created by each chosen generator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music was based on the elemental analysis that have been using traditionally in Western Music. The sub-analysis elem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ose are rhythm, melody, harmony, and form. As a conclusion of the study, musical works created by an AI music generator utilize various rhythms and melodic elements, but there is partial mismatch in harmony and form. Another conclusion is that the AI music generator creates the music the machine wants, and the user's own musical capabilities are required to obtain the music the user wants. Lastly, an AI music generator demands the AI music literacy that accurately understand the elements and concepts to make music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media.

      • KCI등재

        대중음악축제의 산업적 의미: 대중음악축제를 통해서 살펴본 한국 대중음악계의 비전

        박준흠(Park Jun-Heum) 한국대중음악학회 2009 대중음악 Vol.- No.3

        대중음악축제는 지역예술축제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음악산업 활성화에 일조하는 역할도 한다. 1960년대 이래 서구에서 열린 거대 규모의 대중음악축제는 새로운 음반을 발표한 뮤지션들에게 음반 프로모션을 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공간 중 하나로 기능했다. 그래서 공연기획 측면에서 보면 대중음악축제는 음악산업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그러한 인식이 부족하고, 그런 역할을 하는 대중음악축제가 활성화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근본적으로 대중음악을 ‘이 시대의 대중예술’로 바라보는 관점이 일반인에게는 물론이거니와 정책 담당자와 매체 종사자에게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대중음악축제가 갖는 문화적인 의미를 간과하게 만들었고, 대중음악축제가 음악산업 안에서 할 수 있는 역할도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했다. 그럼에도 현재 공연시장에서 음악축제는 급격한 성장세에 있다. 2008년 대중음악계를 ‘페스티벌의 해’로 규정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음악축제가 열렸다는 점이 증거로 제시될 수 있다. 이는 단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시대적인 현상’에 가깝다. 기존의 음악축제들은 더욱 내실을 다져가고 있고, 신생 음악축제도 계속해서 생기고 있다. 이는 인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이나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의 성공 때문에 많은 지자체가 음악축제의 가능성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해서이기도 하다. 그리고 수용자 측면에서 본다면, 문화적인 여가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그 향유 대상에 음악축제가 올랐기 때문일 것이고, 또한 사람들이 1990년대 말부터 영화제를 통해서 경험한 ‘축제 참여의 즐거움’을 음악축제에서도 발견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는 경제적인 여건의 개선으로 문화비 지출을 ‘당연히’ 할 준비가 된 사람이 증가하고 있고, 그런 부류의 사람들이 영화제, 음악축제를 포함한 예술축제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주목받는 음악축제는 그런 시대적인 흐름 안에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대중음악 선진국일수록 다양한 장르의 음악축제가 음악산업의 한 축을 든든히 지키고 있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역으로 음악축제가 음반산업을 포함한 음악산업의 구조를 건강하게 만드는 데 일조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In addition to serving as regional art festivals, popular music festivals also serve to stimulate the music industry. The large scale popular music festivals that have been held in the West since the 1960s have functioned as one of the most suitable places for musicians about to release a new album to promote their work. Therefo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rt planning, popular music festivals have exerted a larg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In Korea, however, even now there is little appreciation of this point, and it is difficult to see any stimulation in the popular music festivals that are fulfilling this role. Fundamentally, this is because the view that popular music is “the popular art form of this generation” seems in-sufficient both to the general public and also to policy makers and the media. This has resulted in Koreans missing the cultural meaning held by popular music festivals, and the part that popular music festivals could play in the music industry has not been properly realized. Despite this, music festivals are in a position of rapid growth among performances currently on the market. As evidence for this, one could offer the variety of music festivals being held, making 2008 for the music world worthy of being designated the “Year of the Festival.” This is not merely a passing phase but is closer to a “generational phenomenon.” The established music festivals are becoming even more substantial, and new musical festivals continue to appear as well. This growth comes as a result of the many regional organizations which have begun showing interest in the potential of musical festivals since the success of the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and the Jarasum Jazz Festival. Further, view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music festivals have arisen as an object of consumption as a lifestyle of recreation and leisure becomes more widespread. Furthermore, it appears that people have discovered in the music festivals the same “joy of participation in a festival” that they have experienced at film festivals since the late 1990s. Now, with the improvement of economic conditions,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definitely’ ready to expend money on recreation is increasing. Such people are considered to be interested in art festivals, which include film and music festivals. It is our analysis that music festivals, which are currently receiving much attention, are part of this generational trend. In addition, let us keep in mind the fact that, the more musically developed the country, the more music festivals in a variety of genres are a pillar supporting the music industry. It is also our opinion that, inversely, music festivals aid in strengthen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 industry and the music industry of which it is a part.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 국악 가창수업에 있어 생성적 음악교수법의 적용 효과

        박주만 ( Park Joo Man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applying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theory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scholastic achievement through applying the theory and the change in class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72 5th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G Elementary located in Sungnam c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method was appli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had higher effect in scholastic achievement improve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which experienced normal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Also,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lastic ability level, higher ranked group of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effect for music scholastic achievement than middle or low ranked group of students. Meanwhile,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generative-approach music teaching method applied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class, the formation of the basic concep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musical expression exercises, the increase of interest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positive change of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class appeared.

      • KCI등재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에 대한 음악미학, 사회학적 해석 적용에 관한 연구

        김성배,장민호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이 연구는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음악미학과 음악사회학으로 해석하고 그 이해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가진다. 1980년대 한국교회는 경배와 찬양(Praise & Worsip) 운동을 시작으로 예배음악에 리듬악기인 드럼과 기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전통적인 예배 예전의 틀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면이 있어 세대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 1990년 이후 교회는 새로운 악기를 자연스럽게 수용했지만, 그에 따른 거부감과 불편함도 공존한 시기였다. 당시 현대 예배음악에 나타난 음악 현상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해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리고 이 갈등의 중심에는 예술음악과 대중음악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사고가 깔려있었다. 새롭게 생겨난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있던 유사 대상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세기 대중음악사에 나타난 유사 현상을 살펴보려 한다. 1960년 이후 등장한 록 음악(Rock Music)을 시작으로 음악비평가들은 대중음악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의구심과 논란을 제기했다. 이후 대중음악이 독립된 음악학적 해석이 가능한지를 연구하게 되었는데 그 중심에 아도르노(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달하우스(Carl Dahlhaus), 티보르 크나이프(Tibor Kneif)등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예술음악과 대중음악 사이에 일어난 미학적 논쟁 중 크나이프의 이론인 ‘제2의 미학’을 통해 수용자 중심으로 현대 예배음악을 해석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사회는 근대사회와 달리 무엇을 기준화하고 판단하는 것을 거부하기에 현대 예배음악을 기존의 예배 예전의 측면에서 해석하는 것은 음악학적으로 바라볼 때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대중음악은 예술음악과 달리 퍼포먼스와 상품성 등 상업적 아이디어를 그 미적 가치로 여기는 음악 현상이다. 현대 예배음악에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이 사용될 때 바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평가해야 한다.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는 E.D.M. (Electronic Dance Music)을 예배음악에 사용하는 등 그 음악적 시도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예배음악 현장에 새롭게 시도되는 음악 현상을 음악학적, 사회학적 현상으로 관찰하여 차세대 예배에 사용될 새로운 음악 형식에 대한 신학적 자리를 마련할 것을 제시하면서 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aesthetics of music and sociology of music perspectives and present what were understood. In the 1980s, Korean churches began to use drum and guitar, rhythmic instruments for worship music, starting with the Praise & Worship campaign. But this caused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be accepted 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worship service. But since 1990, churches have accepted new instruments naturally. But subsequent repulsion and inconvenience coexisted in this period. Th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henomenon in then-contemporary worship music had not been made properly. At the heart of the conflict was the dichotomous thinking against art music and popular music. So it would be desirable to study a newly emerging phenomenon through the existing similar targets. To understand the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objectively, this study looks at the similar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c. Music critics posed curiosity and controversy in terms of artistic value against‘rock music’and‘popular music’appeared after the 1960s. Since then, it had been studied whether popular music could be interpreted independently. At the center of this were Theodor Ludwig Wiesengrund Adorno, Carl Dahlhaus, and Tibor Kneif. Contemporary worship music came to be interpreted with audience-centered aesthetics of music through‘the second aesthetics,’Tibor Kneif’s theory, among the aesthetic arguments happening between art music and popular music. The society after the postmodernism refused to standardize or judge unlike modern society. Interpreting the contemporary worship music from the existing worship service perspective may not be enough from the musicological point of view. Popular music is the musical phenomenon that sees commercial ideas such as performance and merchantability as aesthetic value unlike art music. When popular music based modes of expression are us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the very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for evaluating the value and meaning. Recently, musical attempts such as using EDM (Electronic Dance Music) for worship music have been varied among young people. Accordingly this study concludes with observing the musical phenomenon newly attempted i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ields as musicological and sociological phenomenon and proposing to lay a place for theology to the new forms of music used in the next-generation wo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