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般論文 : 유교의 “충서(忠恕)”를 통해 본 다문화교육의 원리

        신창호 ( Chang Ho Shin ),김영훈 ( Young Hoon Kim ),홍기표 ( Kee Pyo H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본고는 유교의 충서(忠恕)를 현대 다문화교육의 기초 원리로 구명한 것이다. 다문화사회는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공동체를 기초로 한다. 따라서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여 조화와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은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의 변화를 추구한다. 특히,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인은 하나 이상의 문화 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서로 다른 문화집단과 상호 연결됨을 알아야 한다. 서구의 다문화사회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상당 수준 높지만, 한국의 경우, 이제 겨우 개념을 정립하고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수준이다. 이런 시점에서 유교의 충서(忠恕) 정신은 다문화교육의 기초 원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충(忠)은 자기 최선을 다하거나 자기충실을 이루는 작업이고, 서(恕)는 자기충실을 바탕으로 타자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일이다. 이러한 충서(忠恕)의 실천행위는 서로 다른 개인이 모인 공동체 안에서 배워야 하는 교육의 길을 구체적으로 일러준다. 충(忠)을 상정한다면, 자기완성을 향한자기학습의 길이고, 서(恕)를 존중하는 경우라면 다른 문화를 가진 타자에게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다. 따라서 충서는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에 자부심을 갖고 자신에게 성실히 하는 동시에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다문화교육의 핵심이 될수 있다. 즉 충서의 정신은 다문화사회에서 나의 상황을 성찰하는 자기확인과 다른 사람의 환경과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교육의 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loyalty(忠, Chung) and reciprocity(恕, Seo) in Confucian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is based on a community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So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to respect and consider the cultural difference as problems for balance and harmony. Multi-cultural education seeks the change of educat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Especially, those should respect various cultures and see mutual-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roups while involving more than one cultural group. Although multi-cultural society in western society is very interes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case of Korea it is a beginning level to seek a teaching method and to correct the concept. In this time, the spirit of loyalty and reciprocity in Confucianism would contribute to provide the basic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Loyalty is for achieving self-devotion and reciprocity is for car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 upon self-devotion. This practicing of loyalty and reciprocity concretely shows the way of education which we should learn in the community. Loyalty is the way of self-learning for self-completion and reciprocity is a considering and caring mind for others who have other cultures. So loyalty and reciprocity could be those who are doing self-devotion with self-respect of unique cultural tradition, and co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respecting and caring others who have other cultures at the same time. In final, the spirit of loyalty and reciprocity could reflect our circumstance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work as the principle of education enough considering situation and nature of others.

      • KCI등재후보

        설화에 형상화된 영주(榮州)문화권의 특질

        하경숙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8 동양문화연구 Vol.28 No.-

        유불(儒彿)문화의 역사가 면면히 흐르는 전통문화의 도시 영주는 유가(儒家)의 후예들이 전통적 유풍(儒風)을 소중히 하며 살아가는 '선비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영주지역은 젠더적 관심, 종교 문화적 관심, 이념적 특성에 대한 관심에서 소외되었다. 이에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설화에 대한 주목은 지역문학의 텍스트 확보 및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주문화권을 중심으로 한 설화는 대체로 주변의 경관을 간결하게 설명하면서 개인적인 미적 체험이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명칭과 관련된 인물을 끌어와 역사적 사실을 부여하는 등 단순히 지리적 지식만을 전달하지 않는다.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표현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심미적 감수성을 알 수 있다. 영주문화권은 옛길 문화나 선비 문화와 지역성을 향유할 수 있는 수많은 전설과 설화가 남아 있어 문화 관광자원으로서의 역사적, 민속적 의미가 크다. 영주문화권이 지닌 상징성 내지 표상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지리적, 인문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영주문화권과 관련한 설화는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거칠 것 없이 자유로운 의식과 인간 본연의 실천을 강조하는 다양한 이야기는 다채로운 문화를 생성하고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으로 작용하고 있 The city of traditional culture Yeongju, where a history of Confucian (儒) and Buddhist (彿) culture flows ceaselessly, is well-known as 'an area of Confucian scholars' where descendants of Confucianism (儒家) live cherishing traditional Confucian customs (儒風). The Yeongju region was excluded from interest in genders, religions, culture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Hence the attention to the folktales mainly concerning the region will also be able to contribute to securing and constructing texts of the regional literature. Folktales mainly concerning the Yeongju (榮州) cultural area generally explains the surrounding landscape briefly - individual esthetic experiences depicted in the folktales. Also, they do not simply convey geographical knowledge. For instance, they involve the figures related to geographical names to provide historic facts. In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is expressed, and we can know human esthetic sensitivity toward nature through them. The area as cultural tourism resource is highly significant in terms of history and folk - numerous legends and folktales that can help you to enjoy old road culture, Confucian scholarly culture, and regionality are left in the region. An understanding of its geographical and humanistic environments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an understanding of its symbolism or representativeness. Folktales related to the area - the local residents' feisty liberal consciousness and their various stories emphasizing practice based on human nature - are creating various cultures and are serving as a hope of a new world.

      • KCI등재후보

        번역을 통해서 들여다 본 동⋅서양문화의 비교 연구

        정길화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7 No.-

        This study puts emphasis upon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 translation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language, between the British & the Americ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 better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per translation, I investigate into the main features of the Western culture with its tradition and code in literature and in daily dialogue, as well, comparing with the language pattern of Koreans who learn and use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simultaneously, living in the Far East which is within the Chinese cultural influence.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in the era of hybridity, the literary circles should aim at creative translation which is, also, to be based upon the original text, as well. This study is made up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cultural exchange can be expanded through the creative translation by understanding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and in doing so conversel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literary tradition and its convention, and so forth, between the two languages. Thus, I pursue the possible way to solve th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may happen in translating the sociolinguistically different languages. Consequently, I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 creative translation in both Korean and English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sociolinguistic background and to communicate better. Along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nd its main stream, I also compare them with the thinking of Hellenism and of Hebrais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herent in English and Korean, per se, and by looking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n translation, Hallryu, the Korean Wave, is expected to have more expansive, progressive, and positive effects. 본 논문은 번역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가 영어와 한국어, 영미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에 깊이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이 지닌 서양 문화의 전통과 규범에는 어떤 특색이 있으며, 이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배우며, 또한 동시에 한자문화권에 속한 한국인들의 언어문화의 패턴과는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필자는 혼종의 시대를 살아가는 21세기 초의 문학인들이 창의적 번역을 통하여 동·서양 간의 문화 교류의 물꼬를 더욱 틀 수 있다는 신념에서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필자는 한글과 영어, 이를 매개로 한 한국 문학과 영미 문학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문제점들이 한국인과 서구인의 언어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이와 같은 의식(意識)이나 생활 구조상의 차이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통하여 이런 차이들을 극복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럼으로, 필자는 여러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의 한역(韓譯), 또한 그 정반대의 경우인, 한국어나 한국 문학의 영역(英譯)에서 각각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와 문학적 전통과 규범의 차이 등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분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상의 여러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필자는 영역과 한역의 쌍방향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번역이 필요함을 몇 가지 예를 들어서 인정한다. 본 논문 전반에 걸쳐서, 필자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기반으로 한 세련된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민족(韓民族)의 정신사적 흐름이나 한글 발명과 관련된 언어문화 발전의 배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서구 영미 문화권에 대한 언어 문화적 이해 또한 중요함을 지적한다. 영어나 영미 문학을 통한 타 문화의 수용 시에도 이와 같은 언어 문화적 배경의 이해는 수반되어야 한다. 언어 문화적 접근과정에서, 필자는 한민족(韓民族) 신화와 사상(思想)의 원류(原流)와 헬레니즘이나 헤브라이즘 문화와의 비교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필자는 한글의 발명과 그 고유한 언어 구성적 특색이 영어를 기반으로 한 영미 문학과의 근본적 차이를 설명한다. 필자는 또한 한류의 확산은 타 언어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번역 상의 체계성이나 질적 수준에 있어서의 향상을 통하여 더욱 점진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리라고 예견한다.

      • KCI등재후보

        한민족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류와 창조적 계승방안

        김일환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3 No.-

        Whereas ‘globalism’ is the main stream in 21st century, most countries are joining in ‘globalism’ trend keeping with its own racial traditions. Tradition and creation shouldnt be in parallelism because tradition on which is based by means of right historic viewpoint and present perception can be a creative power for the future, Now that Korea is always situated in sensitive conflicts among the World Powers, keeping and preserving our history, our spirit and our culture needs more powerful thought support. In my thesis I'd like to set up our nation's identity and original ideas. It present some ways for its identity creatively. Firstly I will trace the historic phases of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were centered on the Hongsan Culture(홍산문화)and Dongi(동이) issue and Dangun(단군)'s national thought characteristics. Next I will research the ways how we should take over the national thought(ex:dongin-conciousness(동인의식), poongryu(풍류)) which is defined as ‘Han thought'(Hanism, 한사상). This step may be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be a major role in joining in the global times and in overcoming the flunkeyism(사대주의) or worship of the powerful. The study of Hanryu-culture(한류문화) tries to find some theoretical reasons that our traditional nation's thought can be ranked as one of the axis in the world history not as a closed nationalism but as a public philosophy of Cultured-country(문화국가). Therefore the attitude of unconditioned disconnection or acceptance without any criticism means giving up the important creative factors in presenting future visions. I assert that to make our country be one of the world axis the attitude for positive understanding and progressive re-creation will is urgently needed. 21C에 접어들어 ‘세계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는 나름대로의 민족적 전통을 유지하면서 거기에 동참하고 있다. 전통은 올바른 역사의식, 현실인식 등을 매개로 할 때 미래의 창조적 동력이 되므로 전통과 창조는 결코 평행선을 이루는 관계가 아니다. 한국처럼 늘 열강들의 역학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곳에서 우리의역사, 얼, 정신 및 문화를 지키는 것은 강력한 사상적 뒷받침이 되지않으면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함으로써 민족주체성의 정립을 시도하고 그 창조적인 계승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한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뿌리에 대한 적확한 탐구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 뿌리의 결과물인 줄기와 가지 등에 대한 분명한 사상적 정립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한민족의 사상적 원류는 최소한 단군조선의 실체에서 찾아야 하며, 홍산문화 등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참작하면 B.C. 4500년경까지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00년대에중국에서 진행되었던 일련의 사업인 단대공정(1996), 탐원공정(2003), 동북공정(2002)에 대해서도 정확한 현실인식과 민족문화사적 성찰도 필요할 때이다. 우리가 세계사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한민족의 정신문화의 실체와 근원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민족교육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단군신화를 단군역사로 규정하고 민족사상사적 연원을 상향조정하는 문제와 홍익인간, 재세이세, 풍류, 동이, 동인의식 등의 개념을 ‘한사상(hanism)’의 범주 내로 설정하는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한사상, 한류문화에 대한 학술⋅이론적 정립은 우리가 세계화시대에 주체적으로 동참하면서도 민족주의와 대립되어 왔던 사대주의를 극복하는 주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또 이것은 우리의 전통문화속에 담긴 민족정신이 국수주의적 폐쇄성이 아닌 글로벌한 문화국가의공공철학으로서 미래 세계사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이론적근거를 모색하는 작업의 하나가 될 것이다. 뿌리 없는 가지나 열매는 없다. 전통과의 무조건적인 단절이나 묵수적인 태도는 미래지향적 비전을 제시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창조적동인을 포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시대를 뛰어넘어 21세기 현실에서 보더라도, ‘한류’라는 문화적 흐름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정신문화의 소산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노력이 부단히 시도되어야 한다. ‘한류’가 더 이상 남이 붙여준 이름이 아닌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인류평화와 화합을 위한 소중한 문화적 유산으로 성장해 나가기위해서도 그러한 노력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것이 곧 민족적 주체성⋅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융화를 지향하면서 한류문화를 세계화의공공철학으로 정립하는 지름길인 것이다.

      • KCI등재

        企劃 : 문화예술과 동양사상;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윤종갑 ( Jong Gab Y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오늘날 문화 산업에 있어 핵심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문화컨텐츠와 스토리텔링 개념들을 이해하고 이를 불교문화와 접목시킴으로써 불교문화컨텐츠를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시킬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문화콘텐츠는 미디어나 기술을 전제로 하는 내용물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디지털기술에만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아날로그 콘텐츠도 가능하며 문화적인 소재를 기획하고 포장하고 상품화 시킨 것도 얼마든지 문화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스토리텔링과 결부될 때에 그 효과가 극대화 되는데, 스토리텔링이란 이야기성·현장성·상호작용성이 강화된 표현 전달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스토리 텔링은 객관적인 사실에 대한 단순한 보고가 아니라 사물이나 사람이 만들어내는 개인적인 의미를 이야기로 지어내어 말하는 것이다. 본질적인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스토리가 개입되며 이를 엮어서 창조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결국 스토리텔링이란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의 결합을 성백엽의 애니메이션 <오세암>(2003), 영화 주경중의 <동승>(2003)과 박철관의 <달마야 놀자>(2001)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불교의 문화유산으로는 팔만대장경과『삼국유사』가 불교문화콘텐츠 개발의 좋은 소재라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팔만대장경과 그리고『삼국유사』에 나타난‘이차돈의 순교’와 ``원효대사의 깨달음’을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의거해분석해 보았다. The study is about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Buddhist culture as the creative elements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by making it as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way how these subjects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Throughout this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overall cultural industry have been described to help understand the cultural storytelling itself and particularly presentation materials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people in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for the use later in real cultural storytelling field. Also,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in worldwide markets. Buddhist contents and motifs in animations, movies and storytelling were observed and organized. And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strategy to adapt tales of Samgukyusa(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for storytelling of cultural contents. Korean Buddhist culture can be considered as the treasure house of cultural contents resources and a comprehensive art refined over the past long years. Therefore, for the active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Buddhist culture contents, storytell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re-processed to create modem contents and continuous long term investment is required.

      • KCI등재

        문화 : 번역을 통해서 들여다 본 동,서양문화의 비교 연구

        정길화 ( Gil Wha Chu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번역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가 영어와 한국어, 영미 문학과 한국 문학 사이에 깊이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필자는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이 지닌 서양 문화의 전통과 규범에는 어떤 특색이 있으며, 이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배우며, 또한 동시에 한자문화권에 속한 한국인들의 언어문화의 패턴과는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무엇보다도 필자는 혼종의 시대를 살아가는 21세기 초의 문학인들이 창의적 번역을 통하여 동·서양 간의 문화 교류의 물꼬를 더욱 틀 수 있다는 신념에서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다. 필자는 한글과 영어, 이를 매개로 한 한국 문학과 영미 문학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문제점들이 한국인과 서구인의 언어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고, 이와 같은 의식(意識)이나 생활 구조상의 차이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통하여 이런 차이들을 극복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럼으로, 필자는 여러 실용 영어와 영미 문학의 한역(韓譯), 또한 그 정반대의 경우인, 한국어나 한국 문학의 영역(英譯)에서 각각 드러나는 언어 문화적 차이와 문학적 전통과 규범의 차이 등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분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상의 여러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필자는 영역과 한역의 쌍방향에 있어서, 언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번역이 필요함을 몇 가지 예를 들어서 인정한다. 본 논문 전반에 걸쳐서, 필자는 한글과 한국 문학을 기반으로 한 세련된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민족(韓民族)의 정신사적 흐름이나 한글 발명과 관련된 언어문화 발전의 배경에 대한 지식과 함께 서구 영미 문화권에 대한 언어 문화적 이해 또한 중요함을 지적한다. 영어나 영미 문학을 통한 타 문화의 수용 시에도 이와 같은 언어 문화적 배경의 이해는 수반되어야 한다. 언어 문화적 접근과정에서, 필자는 한민족(韓民族) 신화와 사상(思想)의 원류(原流)와 헬레니즘이나 헤브라이즘 문화와의 비교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필자는 한글의 발명과 그 고유한 언어 구성적 특색이 영어를 기반으로 한 영미 문학과의 근본적 차이를 설명한다. 필자는 또한 한류의 확산은 타 언어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번역 상의 체계성이나 질적 수준에 있어서의 향상을 통하여 더욱 점진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리라고 예견한다. This study puts emphasis upon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 translation between the English and the Korean language, between the British & the American literature and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 better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per translation, I investigate into the main features of the Western culture with its tradition and code in literature and in daily dialogue, as well, comparing with the language pattern of Koreans who learn and use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simultaneously, living in the Far East which is within the Chinese cultural influence.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it is in the era of hybridity, the literary circles should aim at creative translation which is, also, to be based upon the original text, as well. This study is made up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cultural exchange can be expanded through the creative translation by understanding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ranslating English into Korean, and in doing so conversely, there exist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sociolinguistic backgrounds, literary tradition and its convention, and so forth, between the two languages. Thus, I pursue the possible way to solve th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may happen in translating the sociolinguistically different languages. Consequently, I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 creative translation in both Korean and English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sociolinguistic background and to communicate better. Along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nd its main stream, I also compare them with the thinking of Hellenism and of Hebrais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olinguistic differences inherent in English and Korean, per se, and by looking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n translation, Hallryu, the Korean Wave, is expected to have more expansive, progressive, and positive effects.

      • 다문화 수용의 역사적·문화적 제네시스 : 포섭과 배제의 정치

        윤대식 ( Youn Dae Shi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동양문화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 담론과 행태에 내포된 역사적, 문화적 연원을 추적한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적 갈등의 양상 중 다문화 요소의 출현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불안과 적대감, 동화(同化)와 차별(差別)에 대한 강박 등 점증하는 양자 간 갈등에 초점을 맞출 경우, 한국사회의 불평등 문제 역시 경제적 불평등에서 비롯하기보다 이질적이고 다원적인 외부인의 유입에 따른 동화와 차별에의 강박에서 비롯하는 문제일 수 있음을 다문화사회의 갈등양상을 통해 규명할 수 있다. 그런데 과거 한국의 역사에서도 귀화 외부인들이 정치 공동체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원분배의 기회를 획득해야 하는 권리와 책무의 이행을 요구받았으며, 이를 위해 내부인과 더불어 정치적 경합과정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고려-조선에 이르는 역사-문화적 연원을 통해 찾았다. 또한 이러한 정치적 경합은 한국의 정체성이 다문화적 원천의 혼융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결국 현재 한국의 다원주의를 위협하는 도전 중하나의 사례로서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이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는 역사적·문화적으로 다문화 요소를 융합하거나 우리의 문화적 표준에 따라 동화하는데 오랜 경험을 지닌 연원(genesis)이 우리의 코드로 새겨져 있으며 그 단서의 재현(represent)을 통해 치유될 수도 있다. This study articulate how to recognize and accept these values through historical-cultural genesis in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behaviors. Korea enter the multicultural society now. From this, multicultural conflict becomes a part of xenophobia as social blowout. Koreans get fury. Why? Because koreans think they is treated as junior creditor in the process of redistribution of wealth. Does it still operate strong nationalism and homogeneous identity in koreans`s mind? or are koreans anti-libertarians alone? The clue of puzzle-resolving unexpectedly is articulated by intrinsic spirits and values of koreans. According to this, the problem of social inequality in Korea can be problem not from economic inequality but from obsession of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forward heterogeneous and plural foreigners. That is the critical point. Korean history show that naturalization policy in Korea and Choseon demanded the political competition for getting a chance to distribute resources in substance.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culture, coercive political competition by state proved the fact that Korean identity spring not from monocultural genesis but from hybrid of multicultural elements. Finally therapy for multicultural conflicts as a threat to plurality in Korean society can be humanistic approach from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hybrid gene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상과 역사 : 고려전기 대거란관계와 북방문화의 영향

        윤영인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고려와 거란은 몇 차례 대대적인 전쟁을 치렀고 대체로 적대적인 관계가 지속되었다고 본다. 나아가 고려와 만주지역에 정복왕조를 세운 북방민족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사료는 극히 드물고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도 소략하다. 하지만 전근대 시기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고려와 거란의 문화적 경계가 반드시 정치·군사적 국경만큼 엄격하게 차단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송 문화에 대한 고려의 동경심이 양국의 밀접한 정치적 협력과는 별도로 작용하였던 것처럼 거란에 대한 정치적 적대감역시 북방민족의 풍습과 문화를 차단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조선 초기편찬된 주요 사료들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중심적 경향이 거란의 문화적 영향을 무시한 것이며 사료의 부재를 곧 실제 교류의 ‘부재’로 잘못 인식한 것이다. 중앙유라시아 지역에 미쳤던 거란제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과 금의 “한족화” 과정 등을 감안한다면 북방민족의 문화와 풍습이 개방적 성격의 고려시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북방문화에 대한 경계심을 보여주는 「훈요십조」의 내용은 오히려 고려의 의복과 제도에 있어서 그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이 논문은 그 동안 소홀 시 되어온 고려와 북방 ‘정복왕조’ 사이의 정치관계와 문화교류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특히 고려에서 발견되는 거란의 문화적 영향의 몇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도자기나 금속공예 등 고고학적 유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거란과의 문화교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과 유물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였던 북방민족과 정복왕조와의 교류의 흔적을 복원하여 고려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문화교류를 재조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할 것이다. From the 10th to the 12th century, powerful and aggressive Khitan and Jin empires represented the greatest threat to Koryo’s security. Indeed, there were several major invasions into Koryo and frequent border clashes. Given these less-than-amicable relation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Koryosa, arguably the most important and often the only available source for many aspects of the period, portrays a very unfavorable and hostile picture of its northern neighbors who were considered to be culturally inferior “barbarians.” Koryo and Manchurian states maintained extensive and generally peaceful relations through regular diplomatic contacts in the guise of the “tribute system." However, historical sources provide little information on economic and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Koryo and its northern neighbors. The open conflicts, troubled political relations, and cultural prejudices that existed between Koryo and its northern neighbors would not have been conducive to non-political exchanges. The paucity of documentary evidence led scholars to assume that there were few cultural or economic interactions. Cultural boundaries, however, are often very fluid, and they do not always conform to rigid political borders. This paper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East Asian interstate relations and how they impacted cultural interactions. Recent archaeological findings now provide new insights into this important aspect of cross-cultural relations during the early Koryo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