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 연구

        김지은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family motifs in a Lee Yeon-ju poem. Discussion on the existing Lee Yeon-ju poem has focused on metadiscourse. Critically, it focuses on the details of the poem, in particular providing an exploration of family motif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in discussion but that have not drawn attention as a research theme. Family motifs have a major position in the literary genre, a phenomenon not only of narrative genre but also of poetry. However, study of family motifs in modern poetry is currently in its early stages. Revealing the family motifs in the poems of Lee Yeon-ju, who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writer of modern women's poetry, will expand the areas of study of this writer’s poetry. At the same time, it will serve as a reminder of the necessity of studying family motifs in modern poetry. Therefore, using Freud's family romance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as the basis,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the family motif in Lee Yeon-ju’s poem. In the poem, family motifs are suggestive in that they deviate from universality. They appear in the form of sexually corrupted mothers, absent or incompetent fathers, and denied and rejected children, and are used to reveal to the world negative perceptions of poetic subjects. The motif of sexually depraved mother is used to recreate her refusal to be a mother.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Lee Yeon-ju’s poem is such a mother motif. Mother motifs, as prostitute and eloper due to extramarital affairs, are used either as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the family community or as a prevention to the formation of a family community. The absent or incompetent father is also a frequent motif. Father motifs are also used as a cause of failed family community. The inability to exist as an anonymous object from the outset reproduces the loss of the father’s function of forming a family community. A baby or fetal motif that is abandoned as soon as it is born or appears as a symbol of denial represents the prior moral degradation of family members. This is because Lee Yeon-ju’s family member motifs are inappropriate and presuppose failure to form a normal family community. Fetal or baby motifs are the result of failure. Beyond this universality, the appearance of family members eventually leads to skepticism about life itself. Lee Yeon-ju's poem is about portraying negative perceptions of the world and skepticism about life through family motifs that reproduce failures. 본 논문은 이연주 시에 드러난 가족 모티프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빈번하게 드러나면서도 연구 대상으로는 조명되지 않았던 가족 모티프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가족 로망스 이론과 선행 연구를 기조로 삼아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연주의 시에서 가족 모티프는 보편성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성적으로 타락한 어머니, 부재하거나 무능력한 아버지, 부정되고 거부 되는 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들은 세계에 대한 시적 주체의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성적으로 타락한 어머니 모티프는 어머니 되기를 거부하는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연주 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어머니 모티프를 들 수 있다. 매음녀, 외도로 인한 가출 주체 등으로 표현되는 어머니 모티프는 가족 공동체의 붕괴 원인으로 등장하거나 가족 공동체 구성의 실패를 예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부재하거나 무능력한 아버지 또한 빈번하게 등장하는 모티프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아버지 모티프도 가족 공동체를 유지할 수 없게 하는 원인이다. 아버지 모티프는 무능력하거나 처음부터 익명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가족 공동체를 구성하기에는 아버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어 특징적이다. 태어나자마자 버려지거나 탄생에 대한 부정의 상징으로 나타나는 아기 혹은 태아 모티프는 앞선 가족구성원들의 도덕적 부정성의 결론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정상적인 가족 공동체를 이루기에는 이연주 시의 가족 모티프로 드러나는 구성원들은 부적절했으며 실패를 전제하고 있었다. 태아 혹은 아기 모티프는 실패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보편성을 벗어나는 가족 구성원들의 모습은 결국 삶 자체에 대한 회의로 연결된다. 이연주 시는 실패를 재현하는 가족 모티프를 통해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삶에 대한 회의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 플롯과 모티프, 그리고 소설의 독창성

        문흥술(Heung sul Moon)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6 No.-

        The criteria that can argue the originality of the work of fiction is two ways. First, when the work of fiction that has been created by the world view of the writer as an exceptional individuals has preoccupied the correct historical directionality, the work has secured the originality. Second, when the work has had its unique plot, the work has secured the originality. The originality of plot is determined by the use for motif. Motifs are the elements that form the sujet and are the smallest unit that can not be decomposed into smaller units. There are two kinds of motif. First, 'motifs libres' can be omitted without breaking the continuity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motifs associes' can transform the causal relationship if it is omitted. Second, 'motifs dynamiques' convey a change in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motifs statiques' don't change the situation. The originality of plot is determined by the use for 'motifs libres' and 'motifs statiques'.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work of fi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lot, it is important to grasp motifs that bestow originality in the work.

      • KCI등재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최병현 영남고고학회 2011 嶺南考古學 Vol.- No.59

        Developments in the chronological study of Silla pottery have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vely stable chronology for early Silla style pottery, and the chronological outline has also become clearer for late Silla style potte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ormulate a chronological framework for the entire scope of late Silla style pottery based on a review of the research that has been accumulated up to the present day. A four-phase relative chronology can be established for late Silla style pottery based on the emergence of new pottery types and developments in pottery form. Phases I and II were established based on ceramic material which came from burial contexts; diachronic change in pottery form was examined for each pottery type. As for Phases III and IV, diachronic change was identified for ceramic material which came from non-burial contexts as well, since burial evidence from these phases is sorely lacking.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6th century CE, the mounts of Silla mounted bowls became shorter due to the influence of low-footed Chinese ceramics and metal Buddhist vessels, and a new ceramic type - the bowl with cover (hab) - emerged. These events represent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late Silla style pottery. Stamped decoration had yet to be used in Phase I so the covers of mounted bowls etc. were decorated with a row of incised triangle and dotted semi-circle motifs framed by a pair of parallel lines. Phase II witnessed the use of stamped decorations consisting of individual motifs. In the late part of the 6th century CE, stamped decorations of a double circle motif were used. It is possible that this was influenced by a similar mode of decoration which, along with the lotus pattern, was applied to the ceramics that came from the Hongzhou Kiln (currently located in Jiangxi province, China) of the Southern Dynasties. As a result of this, triangle and various circle motifs were also translated into stamped decorations. Appearing next was the waterdrop motif which was mainly used in the early part of the 7th century CE. It is possible that this motif appeared as the result of the embossed lotus pattern which decorated the ceramics from the Hongzhou Kiln; in Silla pottery, the same motif was expressed in intaglio. Until Phase II, a single row of stamped motifs framed by a pair of parallel lines was used to decorate Silla pottery. In Phase III, standardized bowls with covers came to be decorated with stamped patterns consisting of multiple double circle or double dotted semi-circle motifs which were spread out. From the late part of the 7th century CE, vertically continuous stamped motifs came to be used, forming continuous horseshoe patterns. In Phase IV, from the late part of the 7th century to the mid 8th century CE, a new type of bowl with cover which had a outwardly curving rim emerged and came to join the previous type which had a straight rim. Vertically continuous stamped motifs were the most popular in this period and formed continuous horseshoe patterns, vertical dotted patterns, and vertical wave patterns. Stamping techniques utilized in making such patterns consisted of zigzag stamping and ‘ㅅ’stamping. From the mid 8th century CE, the use of stamped decorations began to wane and pottery surfaces began to be left plain. The general position of the archaeological community until now has been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above established Phases I~II and Phases III-IV, and to maintain that a stylistic transition occurred between the two.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hase II and Phase III derives, above all, from a difference in the context from which the ceramic material comes from (following the dramatic decrease in burial sites from Phase III) and that it need not be regarded as representing a‘ stylistic change’per se. 신라토기에 대한 편년연구는 많이 진척되어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편년은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편이고, 신라 후기양식토기의 편년도 점차 윤곽을 드러내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신라 후기양식토기 전체의 편년틀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신라 후기양식토기의 상대편년에서는 새로운 기종의 출현과 기형의 변화를 기준으로 모두 4기로 나누고 각분기의 소기를 세분하였다. 1~2기는 고분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기종별로 토기형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본 다음 분기별로 종합하였으며, 3기와 4기는 고분출토 자료가 거의 없어 야외유적 출토 자료를 포함하여 분기별로 토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용 가능한 국내자료를 통해 그 절대연대를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신라토기는 6세기 전반기 중에 굽이 낮은 중국 도자기나 金屬佛器의 영향으로 추정되는 고배들의 단각화와 새로운 유개합의 출현으로 전기양식에서 후기양식으로 전환된다. 1기는 아직 인화문이 출현하기 이전으로고배 뚜껑 등에 침선대를 사이에 두고 삼각문과 반원점문을 그어 시문하였다. 2기는 단위문양이 인화문으로 시문되는 시기로, 6세기 후반의 중기에 먼저 2중원문이 찍은무늬로 출현하였다. 이는 중국 江西省洪州窯의 南朝時期도자기에 蓮瓣과 함께 시문되던 것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삼각문과 각종 원문류도 찍은 무늬로 바뀌어 갔다. 이어서 수적형문이 출현하여 주로 7세기전반기에 시문되었는데, 그것은 남조시기 홍주요 도자기의 陽刻연판을 신라토기에서 陰刻線文으로 재현한것일 가능성이 있다. 2기까지의 단위문양은 기면에 두른 침선대를 따라 한 줄로 배치되었다. 3기는 7세기 전반의 늦은 시기부터로 정형화된 유개합에 침선대에 의한 기면분할 없이 2중원문이나 2중반원점문 같은 단위문양을 흩어찍기하여 문양대를 구성하다가 7세기 후반부터 종장연속문이 출현하여 연속마제형문의 문양대를 구성하였다. 4기는 7세기 후반의 후기부터 8세기 중엽까지로 종래의 직립구연 유개합 외에 외반구연 유개합이 새로 출현하였으며, 종장연속문이 가장 발달하는 시기로 연속마제형문, 종장점선문, 종장파상문 등을 ㅅ자형찍기와지그재그찍기로 반복 시문하여 문양대를 구성하였다. 8세기 중엽부터는 인화문이 퇴조하기 시작하여 무문화도 진행되어 갔다. 학계에는 대략 본고의 1~2기와 3~4기를 분리하여 다시 양식이 전환되었다고 보는 견해들이 있으나, 2기와 3기 사이는 고분의 급감으로 출토자료상의 단층이 있을 뿐 토기 자체에 양식을 갈라야 할 만큼의 큰 변화는 있지 않았다.

      • KCI등재

        본풀이의 ‘경쟁 화소’와 ‘일월조정 화소’에 나타난 자원에 대한 인식과 분배 방식 연구 - '천지왕본풀이', '할망본풀이', '마누라본풀이'를 중심으로 -

        전주희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3 No.-

        본 연구는 제주도의 본풀이인 <천지왕본풀이>, <할망본풀이>, <마누라본풀이>에 나타나는 ‘경쟁 화소’와 ‘일월조정 화소’가 ‘자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논의한 것이다. 이들 이야기에서 주체들의 경쟁은 특정 신직(神職)을 차지하기 위해, 혹은 자기 신직의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일어난다. 이는 각각 인간이 가지고자 하는 어떤 것, 그리고 가진 것을 바탕으로 남보다 우위에 서려는 상황을 반영한다. 그리고 동시에 그것은 자원 획득과 자원 분배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인간 사회의 다양한 상황들을 은유하기도 한다. 2장 1절에서는 <천지왕본풀이>를 대상으로, ‘누가 더 좋은 것을 차지할 수 있는가?’를 논의한다. 이승이 저승보다 더 좋은 것으로 인식되는 이유를 찾고, 이승과 저승의 특성이 경쟁 주체의 행위에 연결되고 있음을 밝힌다. 2장 2절의 <할망본풀이>에서는 ‘누가 그것을 가질 수 있는가?’를 논의한다. 자원의 가치보다는 소유자의 자격 요건에 집중하는 이야기이므로 <천지왕본풀이>에서 문제되었던 자원 분배의 윤리적 부당성을 해결한다. 그러나 <할망본풀이>는 정당하게 자원이 분배되더라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불균형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공존과 상생의 필요를 강조한다. 2장 3절의 <마누라본풀이>에서는 ‘무엇을 가진 자가 우위에 설 수 있는가?’를 논의한다. 서로 반대되는 직능을 가진 생불할망과 대별상의 대립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자원 소유자 간의 다툼을 비유하며, 이들의 화해 과정은 갈등의 해소를 위하여 우리가 고려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한편, <천지왕본풀이>의 일월조정 화소는 해와 달의 과잉 상태를 다루는데, 해와 달은 획득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자원의 경쟁성과 배제성을 벗어나는 ‘공공 자원’이라 할 수 있다. 공공 자원은 특정한 소유자가 없지만 그 혜택을 받는 모두가 주인이 된다는 점에서 그 상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즉각적인 해결이 어렵다. 본풀이의 일월조정 화소는 공공 자원의 과소 혹은 과잉 상태에서 초래되는 자연환경의 문제 상황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새롭게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그것은 인류 공존에 필요한 균형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Rivalry motifs and the Adjusting numbers of Sun and Moon motifs appeared in Jeju island myths. Especially, I focused on the myths <Chonjiwang- bonpuri>, <Halmang-bonpuri> and <Manura-bonpuri> that have the above motifs. The Rivalry motifs are found in the competitions between agents to get a certain God’s status or to gain the upper hand. The competition of getting a certain God’s status means that people want to take something like resources and the competition of gaining the upper hand means the conflicts for their leadership between people. That is, these situations are metaphors for the various conditions of human society where occurred with an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Firstly, I discuss ‘Who can get the better thing?’ in chapter 2 section 1 focusing on <Chonjiwang-bonpuri>. And I show the reason why ‘this world’ is better than ‘the next world’, then I prove that these worlds’ features are related to the acts of agents in the story. Secondly, I argue that ‘Who can get the thing?’ in chapter 2 section 2 with <Halmang-bonpuri>. Here, the competition of agents is zoomed in o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 of the resource owner’ than ‘the worth of resource’ which they want to get. Therefore, the problem of the unjust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Chonjiwang-bonpuri> is solved properly in <Halmang-bonpuri>. But <Halmang-bonpuri>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coexistence, bringing up a problem of an unavoidable imbalance to be generated although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reasonably to each agents in <Halmang-bonpuri>. Thirdly, I discuss ‘What the one who has can occupy the upper?’ in chapter 2 section 3 focusing on <Manura-bonpuri>. Here, the conflict between god and goddess who each has opposite function means competition between the resource owners who have different purposes in human society. And the process of their reconciliation shows what kind of virtues should we consider for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Meanwhile, ‘the Adjusting numbers of Sun and Moon motifs’ in <Chonjiwang-bonpuri> implies excessive situation of resources. The sun and moon mean a kind of ‘public goods’ which can’t be objects of acquisition and do not have a rivalry and excludability of private goods as general resources. Although ‘public goods’ do not belong to anyone, they can benefit everyone. So ironically, it is difficult to solve it promptly when a problem occurs using them. And ‘The Adjusting numbers of Sun and Moon motifs’ of bonpuri can be interpreted newly because it suggests an issue about our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in the excessive and lacking situation of resources. Finally these motifs of the stories show the important of balance for our coexistence.

      • KCI등재

        백제관상징체계(百濟冠象徵體系)의 변천양상(變遷樣相)

        이귀영 ( Gwi Goung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이 글은 장식과 문양의 변화를 통해 백제 관의 상징체계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 본 것이다. 백제에서 관의 존재를 살필 수 있는 것은 석촌동 고분군 출토 금제보요이며, 이 보요는 관에 달렸던 장식물로 추정된다. 보요가 달린 관의 기원은 아프카니스탄 틸리야테페(Tillya-tepe)에서 출토된 여왕의 금관(기원전후)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모용선비족의 관, 고구려의 조우관 등으로 이어지고 백제에서도 관 장식으로 채용되었다. 백제의 관 형태는 弁형 내관(관모)과 입식을 세운 외관을 지닌 것으로 사료된다. 입식은 조우형에 보요가 달린 형태로 추정되는데, 이 들은 ``수목``과 ``새``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 금제 보요관의 출현은 왕과 다른 유력자들을 차별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 역사적 배경-예를들어 고이왕대-하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되며, 늦어도 4세기 중반 이전으로 본다. 4세기 말 수촌리 1호분 금동관에서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은 용문양이 주문양으로 등장하여 수촌리 4호분 금관으로 이어지고, 5세기 중반 서산 부장리 금동관에서 귀갑문이 채용되어 용과 봉황 문양이 같이 쓰이는 변화를 보인다. 한편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Leeum소장, 국립경주박물관 국은기증 금동관 등은 운기문 계열로서, 수촌리 금동관과 유사 시기에 공존하고 있다. 이 두 계열 중 용문양이 상위, 운기문이 하위 체계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생각되며, 모두 신성성과 권위를 상징하는것으로 이해된다. 웅진천도 후 입점리 1호분 금동관에 이르러 이 두 계열 문양들이 서로 합쳐져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용문이 없어지고 운기문이 약화되며, 처음으로 연화문계열의 연판문이 등장하여 점차 불교적 상징체계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무령왕릉 관식에 이르러 연화와 팔메트 중심의 불교적 도상으로 완전하게 자리 잡았다. 이후 사비기 귀족층의 은화관식은 보다 간략화 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웅진기, 사비기의 이러한 변화는 현세적 상징에서 내세적 세계관까지를 포괄하는 보다 고차원적인 불교적 상징으로 변하였음을 보여주며 동시기의 백제 불교 융성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symbol-system of the Baekje(百濟) crowns by focusing on the change in decorations and patterns on the crowns. The geumje boyo (the gold quivering ornaments) excavated from early Baekje stone tombs in Seokchon-dong is regarded as a decoration on a Baekje crown. The origin of the crown decorated with the boyo can be traced to the crown of the queen excavated from Tillya-tepe in Afghanistan. The boyo was later applied to the crowns of Murongbu or Moyongbu(慕容部), Jougwan(鳥羽冠, headwear of the men of the Goguryeo kingdom), and the Baekje crowns. I think that the Baekje crowns were shaped into a conical-form (弁) and the rim of the crown was decorated with the gold bird-feather-shaped boyo. The ornaments reflected the traditional ideas about trees and birds. The geumje boyo gwan (the gold crown with the boyo) first appeared to be used as the king`s coronet during the reign of King Goi(古爾王) of Baekje befor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t the latest, in order to distinguish the king from influential politicians. A dragon motif started to be used as a main pattern on a crown in the late 4th century, for example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the Suchon-ri(水村里) tomb No.1. The dragon motif continued to be used as the main design, for example the gold crown found in the Suchon-ri tomb No.4.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 turtle-shell motif was decorated on crowns along with the dragon motif and phoenix motif. This change can be found on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in Bujang-ri, Seosan. Also, there were gilt-bronze crowns decorated with a cloud motif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for example the crown found in the tomb in An-dong, Gildu-ri, Goheung, the crown in the Leeum Museum, and the crown in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donated by Dr Yi Yang-seon. All the above-mentioned motifs can be considered symbols of dignity and authority. Between the two motifs, however, the dragon motif would hold a higher rank and the cloud motif would hold a lower rank. After Baekje moved its capital to Ungjin, the Baekje crown started to feature a dragon-and-cloud motif combining the two motifs, for example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the Ipjeom-ri tomb No.1. The dragon motif was no longer used and the use of the cloud motif declined. And a lotus-flower motif appear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rown. The crowns gradually became to feature Buddhist motifs. The crown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has a lotus-flower motif and palm-leaf motif, which shows that the Buddhist designs were completely established as the symbol-system in the Baekje crowns. After Baekje moved its capital to Sabi, silver ornaments of coronets used by aristocrats became simpler. Consequently the symbol-system in the crowns changed from the motifs representing secular symbols to the Buddhist motifs expressing higher thoughts such as a spiritual view of the world during the Ungjin period and Sabi period, This change would be influenced by the growth of Buddhism in the Baekje kingdom.

      • KCI등재

        이주홍 작품의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변모 양상

        류종렬(Rhyu Chong ryeol)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향파 이주홍의 기행보고문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와, 소설 「내 산아」(1943)와 동화 「메아리」(1959)의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화전민과 메아리 모티프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은 필자가 새로 발굴한 작품으로서, 1941년 11월 『半島の光』에 ‘(산지대)농(어)촌 현장 보고’라는 특집 연재물의 한 편이며, 화전민에 대한 향파의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화전민 모티프의 기행보고문이다. 이 기행보고문은 향파 자신에게 최초의 북선여행이라는 여로의 낭만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함경도 일대 화전지대의 화전민들의 생활상을 조사하여 알리고자 한 것이다. 향파가 관심을 가진 화전민 모티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그 내용은 주로 화전민들이 오늘날처럼 잘 살게 된 것이 조선금융조합연합회와 일제의 정책 덕분이라고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화전민과 화전민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조선금융조합연합회나 나아가 일제 총독부가 주창한 국민총력운동의 농산촌생산보국 정책에 따르는 대일협력적인 내용으로 일관하고 있다. 「내 산아」는 일제말기에 『야담』 1943년 8월호에 발표된 소설로서 앞의 기행보고문의 화전민 모티프를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메아리 모티프가 첨가되어, 두 모티프가 작품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의 화전민 모티프는 작품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작동하고 있다. 먼저 주인공이 관심을 가지고 방학 중에 연구를 하려고 찾아간 곳이 지리산의 화전민촌이고, 다음 그로 하여금 화전민 청년의 시국인식에 감격하고 그의 뒤를 이어 야학을 할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주인공이 야학을 하게 된 동기를 기술하는 가운데 대일협력의 내용이 드러난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에는 부인물인 혜련이라는 젊은 여성이 자연에 동화되고 순응하여 지난 삶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다는 의미와 삶의 간절함이 담겨있다. 「메아리」는 1959년에 『부산일보』에 수록되어 있는 동화이다. 이 작품은 앞의 기행보고문과 소설 「내 산아」가 지닌 화전민 모티프가 중요한 모티프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등장인물들이 살아가는 장소로서의 배경으로만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메아리 모티프가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는데, 앞의 소설 「내 산아」와는 달리 메아리를 부르는 주체가 젊은 여성에서 어린 남자 아이로 바뀌었고 그 내용도 동화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즉 메아리만이 어린 주인공에게 놀이의 동무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어 자연을 동무삼아 살아가는 아이의 산골생활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intertextuality of the travel report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1941),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1943) and the juvenile story 「The Echo(메아리)」 (1959) written by Hyangpa Lee, Juhong from the viewpoint of slash-burn farmers and the echo as motifs. 「People living in unexplored regions - Visiting Gapsan and Pungsan(비경에 사는 사람들- 갑산, 풍산을 다녀와서)」 was newly discovered by me, which is a travel report showing Hyangpa’s deep interest in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It was a part of special serial of ‘A Field Report on the Montan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The Light of the Peninsular(半島の光)』 in November of 1941. This essay says both the romantic journey of his first trip to the Northen part of Chosun and the reality of the slash-burn farmers’ life around Hamgyeong Province. It seems to focus on the story of the slash-burn farmers as a motif, however, it mainly thanks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Japanese policy for help the slash-burn farmers live better. This distorts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ontemporary slash-burn farmers and their villages and is consistent in cooperating with Japan following the policy of the Chosun Financial Society Association and the policy of the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 as a par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Campaign advoc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al General. 「Oh, My Mountain(내 산아)」 is a novel posted on the issue of August, 1943 of 『Yadam(historical tale,야담)』 was based on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from the previous travel report with additional motif of echo. The two motifs are the core of the novel and especially the slash-burn farmers motif works for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e motif of slash-burn farmers is meaningful in the viewpoint that the main character visited a slash-burn farming town in Mt. Jiri with interest during his vacation and was impressed by the recoginition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the young farmer there and then joined yahak(a night school). The motif of echo is also important containing the earnest life as the young female character Hyeryeon assimilated with nature to cure her past cruel pain. 「The Echo(메아리)」 is a juvenile story appeared in 『Busanilbo (Busan Daily Newspaper)』 in 1959. In this work, the slash-burn farming village loses its meaning in the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and only serves as a setting for living of the characters. The echo still works a significant motif,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vel 「Oh, My Mountain(내 산아)」, the main agent making the echo changes from a young woman to a young boy rather as the contents turns to be juvenile. That is, only the echo remains significant as a motif which helps depict the life of the young main character with the echo as his friend in the mantane region beautifully.

      • KCI등재

        Motif dynamics in signed directional complex networks

        Park Youngjai,Lee Mi Jin,Son Seung-Woo 한국물리학회 202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8 No.6

        Complex networks evolve and vary their structure as time goes by. In particular, the links in those networks have both a sign and a directionality. To understand their structural principles, we measure the network motifs, which are patterns that appear much more than one would expect in randomized networks, considering both link properties. We propose motif dynamics, which is a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number of motifs, and applied the motif dynamics to an open evolving network model and empirical data. We confirm that a non-cyclic motif has a greater correlation with the system size than a cyclic structural motif. Furthermore, the motif dynamics can give us insight into friendship between freshmen in a university.

      • 마러이 샨도르(Márai Sándor)의 두 소설에 나타난 ‘여행’ 모티프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1

        헝가리 작가들 중에 여행모티프를 가장 많이 다룬 작가로는 마러이 샨도르(Márai Sándor)를 들 수 있다. 마러이 샨도르는 1900년에 헝가리에서 태어났지만 헝가리에서 보다는 외국에서 더 많이 시간을 보냈으며 1989년에 미국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초들이 동강까지 타고 있다(A gyertyák csonkig égnek)〉와 〈에스테르의 유산(Eszter hagyatéka)〉을 대상으로 여행모티프에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마러이 샨도르의 떠남과 기다림은 여타 여행모티프를 가진 다른 소설들과는 차이를 보여준다. 첫째는 수 십 년의 여행 시간에도 불구하고 떠나는 자의 존재론적 위치가 전혀 변하지 않는 점이고 둘째는 여타 여행모티프 소설들의 경우 떠나는 자의 관점에서 서사가 전개됨에 비해 마러이 샨도르의 소설들의 경우에는 기다리는 자의 관점에서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들 작품들을 통해 마러이 샨도르가 혼란한 조국의 현실을 뒤로 한 채 자신의 안전을 위해 조국을 떠나지만 그 자책감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흐른 뒤에도 작품을 쓴 현재(당시)까지 괴로워했으며 그에게 있어서 과거와 현재가 하나의 시간 개념으로 묶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계속되는 조국의 혼란한 현실로 인해 자신과 조국 간의 관계 설정과 정체성 문제에 있어서 해결할 수 없는 해결 불가능성을 느끼게 됨을 알 수 있다. 마러이 샨도르의 그러한 의식은 두 작품 모두에서 콘라드(Konrád)와 러이오시(Lajos)가 헨릭(Henrik)과 에스테르(Eszter)를 떠난 후 수 십년이 지난 후에 돌아왔음에도 모든 면에서 과거와 전혀 달라진 게 없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불가능성은 헨릭과 콘라드, 에스테르와 러이오시, 그리고 조국 헝가리와 자신의 미래시제의 부재 의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공간인 헨릭의 성(城)과 에스테르의 집은 조국 헝가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젠가는 자신을 기다리는 조국으로 돌아가고 싶고, 또 돌아가야 할 곳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스스로의 자책감과 죄책감으로 인해 둘 사이에 역시 해결 불가능한 한계가 있음을 고백하고 있다. 이러한 둘 사이의 해결 불가능성은 타향(미국)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마러이 샨도르에 대한 연구는 조국과 정체성의 관점이 아닌 사랑과 정열, 우정과 신의, 거짓과 진실, 인간으로서의 한계와 슬픔의 관점에서만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보았듯 마러이 샨도르의 작품은 단순히 떠난 친구와의 신의, 또 떠나간 연인과의 사랑의 문제를 넘어서 마러이 샨도르의 조국에 대한 자책감과 조국의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고 나약한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조국을 떠난 자신의 입장이 아닌 조국의 입장, 즉 기다리는 자의 입장에서 다룬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지금까지 마러이샨도르 작품 연구와 관련하여 전혀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Sándor Márai can be referred to as a person who most dealt with travel motifs among Hungarian writers. Born in Hungary in 1900, he spent more time abroad than in his fatherland and ended his life by suicide.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structures and meanings of the time and space seen in the travel motif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A gyertyák csonkig égnek (The Candles Burn Down to the Stump)" and "Eszter hagyatéka (Esther's Inheritance)." In terms of departure and waiting, his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with other travel motifs. First, the existential position of a departing being never changes despite tens of years of travel. Second, narratives move forward in the viewpoint of a waiting being in his works, unlike other works with travel motifs in which the narratives move forward in the viewpoint of a departing being. According to his works, he suffered from a guilty conscience till the time when he wrote them long after leaving chaotic Hungary in order to seek a safe refuge and showed that past and pres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ne concept of time in him. Also, he felt insolu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m and his fatherland and his identity due to the continuous chaotic realities in Hungary. Such consciousness is shown by the fact that there is no change in every respect, though Lajos and Henrik return to Eszter after tens of years of sojourn in foreign countries. Accordingly, such insolubility appears as the consciousness of absence of the future tense in Henrik and Konrád, Eszter and Lajos, and Hunary and him. It seems that his fatherland Hungary is symbolized by Henrik's castle and Eszter's house, the most important spaces in the both works. He would like to return to his fatherland and believes that he will have to do so, but owing to the pangs of guilty he confesses that there are insoluble limitations between the two. The insolubility is revealed by the fact that he committed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Till now, the studies of Márai Sándor have focused merely in terms of love and passion, friendship and trust, dishonesty and truth and limitations and sorrows as a human being, not in terms of fatherland and identity. Rather, his works address the senses of guilty and sympathy for the fatherland and the limitations as a weak human being, not simply ending in the faith with a friend left behind and the love with a lover split up with, from the standpoint of the fatherland, i.e. a waiting being, not of him who left his fatherland.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his works in a completely new perspective.

      • Some Motifs Were Important for Myostat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Sheep (Ovis aries)

        Du, Rong,An, Xiao-Rong,Chen, Yong-Fu,Qin, Jian Kore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 2007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Vol.40 No.4

        Many motifs along the 1.2 kb myostatin promoter (MSTNpro) in sheep have been found by the MatInspecter program in our recent study. To further verify the role of the motifs and better understand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mechanism of the myostatin gene in sheep, the reporter gene EGFP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was selected and the wild-type (W) vector MSTNPro$^W$-EGFP or motif-mutational (M) vector MSTNPro$^M$-EGFP were constructed.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by detecting the fluorescence strength of EGFP in C2C12 myoblasts transfected with the ve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E-box (E) 3, E4, E5 and E7, particularly E3, E5 and E7, had important effects on the activity of the 1.2 kb sheep myostatin promoter. In addition, we also detected several other important motifs such as MTBF (muscle-specific Mt binding factor), MEF2 (myocyte enhancer factor 2), GRE (glucocorticoid response elements) and PRE (progesterone response elements) along the sheep myostatin promoter by the mutational analysis.

      • Adobe Illustrator 9.0을 이용한 의류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전통문양의 캐릭터화 사례를 응용하여

        곽태기,양수영 복식문화학회 2001 服飾文化硏究 Vol.9 No.3

        This study is focused on apparel textile design process applying pre-developed Korean traditional motifs. Since the fusion culture is in trend, Orientalism or Oriental look is the center of attraction in fashion. Under the circumstances, developing the traditional resources as sophisticated Korean-style is the goal of the BK21 team. This study makes a move to achieve the goal. As n method of accomplishing this study, 4 trendy motif samples such as stylized letter, butterfly, peony, and female face are selected after investigating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related websites. As a result pre-developed Korean traditional motifs are elected and revised using Adobe Illustrator 9.0. The newly revised motifs are applied to the textile pattern repeat farm. The completed textile patterns are simulated on the shawls to show their usages as one of souvenir items since the year of 2001 is the year of "Visit Korea" Key worlds: Korean traditional motifs(한국전통문양), fashion culture(퓨전문화), traditional resources(문화유산), textile pattern repeat form(텍스타일 패턴의 반복 배열 방법), souvenir items(관광상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