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화와 자전적 기억: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김영경,진영선,이장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자전적 기억은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인 기억으로, 주관적인 의식경험이 수반되며 자기도식에 의해 재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인터뷰(Autobiographical Interview: AI)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일화 및 비일화적 요소의 인출 양상에서의 연령차를 인출지지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사상의 정서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회상량의 연령차를 살펴보았다. 노인은 탐문회상에서 청년보다 일화의 회상량이 적었고, 인출지지는 노인과 청년 모두에게 일화 및 비일화의 회상을 촉진시켰는데, 인출지지로 인해 증가한 일화기억의 범주유형 중 시간, 지각, 사고/정서에서 연령차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일화 회상에서는 연령과 회상유형 간 상호작용이 없었고, 자전적 기억의 회상에서 정서의 이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특성과 연령에 따른 기억체계의 변화, 정서와 기억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as people get older, the episodic information in our auto biographical memory should be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emantic aspect of it. To examine the 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probed retrieval performances of young and old group i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using a technique called, Autobiographical Interview(AI). It was also examined if the probed retrieval was in any way effected by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vents recalled.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as clear age deficits in episodic memory but not in semantic memory. (2) Retrieval support helped young adults more in recalling episodic memories than older adults and this trend was quite visible in the category of time, perception and thought/emotion. (3)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advantage in recalling the emotional events in both episodic and semantic aspec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4) The recall for negative events in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rehearsal. It can be safely argued that the nature of tools and techniques administered to study cognitive aging will determine the level of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 KCI등재

        아동의 수줍음 경향, 면담자의 사회적지지, 출처 감찰 훈련이스트레스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nterviewers’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training on the accuracy of children’s memory of a potentially stressful event. Children (N = 128) aged 3-12 year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a minor dental procedure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and extend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social support improved the accuracy of children’s source monitoring. Younger children were more easily influenced by an interviewer’s social support than older children. Furthermore, for children who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more shy than others in the same-age group, the accuracy of their report improved considerably when an interviewer provided social support. By creating a naturalistic situation (i.e., dental operative procedu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way children report stressful experiences and found out ways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children’s reports might be facilitated by a supportive interviewer. The finding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ren’s motivation and ability to give a reliable report of a stressful ev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particularly helpful in providing guidelines for interviewing children in legal settings. 본 연구는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아동의 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실험실을 벗어난 상황을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불안이나 긴장,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가 자연스럽게 유발되는 치과 진료를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 그리고 아동의 기질적 특성이 자유 회상 보고의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경험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즉 면담자의 개방적 질문에 따른 자발적 보고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기억 역시 선행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게 미취학 아동들은 취학 아동보다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취학 아동에게 기대되지 못했던 출처 감찰 훈련의 효과도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이 기질적으로 수줍음이 높은 아동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가 유발된 사건에 대한 아동 기억의 정확성이 면담자의 태도와 인지 훈련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진술 조사 맥락에서 피해 아동의 수줍음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면담 실시와 면담자 태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유 메모리형 패킷 교환기의 QoS 기능 지원을 위한 가중형 동적 임계치를 이용한 버퍼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김창원,김영범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9 No.1

        Existing buffer management schemes for shared-memory output queueing switch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he first type, some constant amount of memory space is guaranteed to each virtual queue using static queue thresholds. The static threshold method (ST) belongs to this typ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ype of approach tries to maximize the buffer utilization in allocating buffer memories. The complete sharing (CS) method is classified into this type. In the case of CS, it is very hard to protect regular traffic from mis-behaving traffic flows while in the case of ST the thresholds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varying traffic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uffer management method called weighted dynamic thresholds (WDT) which can process packet flows based on loss priorities for quality-of-service (QoS) functionalities with fairly high memory utilization factors. We verifi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공유 메모리 관리를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가상 큐 길이의 정적 제한을 통해 일정 크기의 버퍼 할당을 보장하려는 방식과 전체 버퍼 공간의 할당 측면에서 공유 버퍼의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공유 방식의 경우 낮은 트래픽 부하에서 높은 메모리 공유 효과를 보이나 트래픽 부하가 높아지면 특정 가상큐가 공유 메모리를 과다하게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미에서의 보호 효과를 거의 기대하기 힘들다. 반대로 정적 임계치 방식의 경우 트래픽 조건 변화에 따른 적절한 임계치 설정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메모리의 공정 할당이라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는 동적 임계치 방식을 확장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높은 메모리 이용률과 서비스 품질기능 측면에서 우선 순위에 따른 차등적인 패킷처리 기능을 갖는 가중형 동적 임계치 방식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테마파크 내 체험에 따른 인지적,정서적 구성개념의 영향력 검증

        김지희 ( Ji Hee Kim ),윤설민 ( Seol Min Yoo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희적 관광목적지로서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에 따른 방문객의 감정(각성, 즐거움), 기억, 만족도, 행동의도, 지지도 간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검증을 토대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성과 즐거움 간 영향관계(연구가설 1)에 따르면, 각성이 즐거움에 정(+)의 영향(설명력=76.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움과 기억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3과 4는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즐거움과 기억은 만족도를 69.3% 정도 설명하는데, 그 중 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즐거움이 기억보다 더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설명력=94.4%)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의해 연구가설 5는 지지되었다. 넷째, 행동의도와 지지도 간 영향관계(연구가설 6)에 따르면, 행동의도가 지지도에 정(+)의 영향(설명력=12.8%)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초외생변인과 최종내생변인 간 매개변수(예: 즐거움, 만족도, 행동의도)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relationships among affect(arousal, pleasure), memory,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of visitors, based on experience of the theme park as a hedonic destination. Some suggestions deduced from quantitative evaluations are as following. First, after examining the effect relationship(hypothesis 1) between arousal and pleasure, arousal had a positive(+) effect(explanatory power=76.5%) on pleasure. Second, hypothesis 3 and 4 were supported by result that pleasure and memory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Concretely, pleasure and memory explain 69.3% of satisfaction, and pleasure i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memory to explain satisfaction. Third, hypothesis 5 was supported by result tha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explanation power=94.4%)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according to the effect relationship(hypothesis 6) between behavioral intention and support, behavioral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explanatory power=12.8%) on support. Meanwhil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of mediation effect, mediating variables(e.g. pleasure,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primary exogenous latent variable and last endogenous latent variables found to be a full mediation role.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행동과 팀원들의 학습행동 및 교류기억의 관계: 팀 효능감, 혁신성향 및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박희진,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 o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transactive memory (TTM) through mediated factors. We examined whether team efficacy, support for innovation, and trust to leader among team members mediated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 o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TM, using 568 individuals from 112 teams in nine local companies and five multinational compan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powering leader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efficacy, support for innovation, and trust to leader. In addition, team efficacy and support for innov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team learning behavior and TTM. However, trust to leader was significantly relevant to team learning behavior, but not to TTM. Therefore, team efficacy, support for innovation, and trust to leader mediated between empowering leader behavior and team learning behavior. Also, team efficacy and support for innovation mediated between empowering leader behavior and TTM, but trust to leader didn'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공유 메모리형 패킷 교환기의 QoS 기능 지원을 위한 가중형 동적 임계치를 이용한 버퍼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김창원,김영범,Kim Chang-Won,Kim Young-Beom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7 No.3

        공유 메모리 관리를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가상 큐 길이의 정적 제한을 통해 일정 크기의 버퍼 할당을 보장하려는 방식과 전체 버퍼 공간의 할당 측면에서 공유 버퍼의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공유 방식의 경우 낮은 트래픽 부하에서 높은 메모리 공유 효과를 보이나 트래픽 부하가 높아지면 특정 가상큐가 공유 메모리를 과다하게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미에서의 보호 효과를 거의 기대하기 힘들다. 반대로 정적 임계치 방식의 경우 트래픽 조건 변화에 따른 적절한 임계치 설정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메모리의 공정 할당이라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는 동적 임계치 방식을 확장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높은 메모리 이용률과 서비스 품질기능 측면에서 우선 순위에 따른 차등 적인 패킷처리 기능을 갖는 가중형 동적 임계치 방식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Existing buffer management schemes for shared-memory output queueing switch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he first type, some constant amount of memory space is guaranteed to each virtual queue using static queue thresholds. The static threshold method (ST) belongs to this typ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ype of approach tries to maximize the buffer utilization in 머 locating buffer memories. The complete sharing (CS) method is classified into this type. In the case of CS, it is very hard to protect regular traffic from mis-behaving traffic flows while in the case of ST the thresholds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varying traffic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uffer management method called weighted dynamic thresholds (WDT) which can process packet flows based on loss priorities for quality-of-service (QoS) functionalities with fairly high memory utilization factors. We verifi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 KCI등재

        Support MOS Capacitor를 이용한 Current Transfer 구조의 전류 메모리 회로

        김형민(Hyung-Min Kim),박소연(So-Youn Park),이대니얼주헌(Daniel-Juhun Lee),김성권(Seong-Kweo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에서는 정적소비전력을 줄이며, 전류 모드 신호처리의 장점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전류 메모리 회로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전류 메모리 회로는 기존의 전류 메모리 회로가 갖는 Clock-Feedthrough와 Charge-Injection 등으로 인해 데이터 저장 시간이 길어지면서 전류 전달 오차가 심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며, 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Current Transfer 구조에 밀러 효과(Miller effect)를 극대화하는 Support MOS Capacitor를 삽입하는 설계로, 저장 시간에 따르는 개선된 전류 전달 오차를 보였다. 매그나칩/SK하이닉스 0.35𝜇𝑚 공정으로 칩 제작을 통한 실험 결과, 저장 시간에 따르는 전류 전달 오차가 5% 이하로 개선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rent memory circuit design that reduces static power consumption and maximizes the advantages of current mode signal processing. The proposed current memory circuit minimizes the problem in which the current transfer error increases as the data transfer time increases due to clock-feedthrough and charge-injection of the existing current memory circuit. The proposed circuit is designed to insert a support MOS capacitor that maximizes the Miller effect in the current transfer structure capable of low-power operation. As a result, it shows the improved current transfer error according to the memory tim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hip, manufactured with MagnaChip / SK Hynix 0.35 process, it was verified that the current transfer error, according to the memory time, reduced to 5% or less.

      • KCI등재

        단일 시행의 뇌파와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목격자 기억 분류

        함근수,김기평,정호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4

        The focus of this study was discriminating the eyewitness memory using single-trial electroencephalogram (EEG) evoked by memory cues composed of multiple words. We reanalyzed the event-related potentials (ERP) data (n=69) from Ham, Kim, & Jeong (2018) studies, and two-class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correctly witnessed objects vs unwitnessed objects trials using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SVM) algorithm. The single-trial classification analysis showed the post-stimulus EEG activity between 800 to 850 ms was the most accurate interval for the memory classification (57.43%).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EG during memory retrieval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witnessed. Finally, we discussed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using EEG for eyewitness memory classification. 본 연구는 여러 단어로 구성된 기억 단서에 의해 유발된 뇌파를 이용하여 목격 여부를 우연 수준 이상으로 구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Ham, Kim과 Jeong(2018)의 연구에서 수집한 사건관련전위 자료(n=69)를 재분석하여 선형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분류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했다. 참가자들마다 절도 범죄를 재연한 동영상에서 목격할 수 있었던 물건과 목격하지 않은 물건을 정확하게 분류한 적중 시행과 정확 기각 시행의 뇌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선형 SVM 커널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류한 결과, 기억 단서 제시 후 800∼850ms 구간에서 분류 정확률 평균이 57.43%로 가장 높았다. 이런 결과는 기억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 이 단서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 인출이 이뤄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구간의 뇌파를 분석하여 목격 여부를 구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수사 현장에서 뇌파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간적 근접성 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SVM 기반 음성/음악 분류기의 구현 방법

        임정수(Chungsoo Lim),장준혁(Joon-Hyuk Chang)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9 No.2

        서포트벡터머신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음성/음악 분류기는 높은 분류 정확도로 주목받고 있으나 많은 계산 량과 저장 공간을 요구하므로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이 자원이 제한 적인 경우에는 효율적인 구현이 필수적이다. 특히, 서포트벡터 (support vector)의 차원과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 서포트벡터의 저장 공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캐시 (cache)의 크기보다 훨씬 크므로 캐시에 존재하지 않는 서포트벡터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는 캐시나 레지스터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긴 시간과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어 분류기의 실행 시간과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기의 데이터 접근 양식을 보다 시간적 근접성을 가지게 변환하여 일단 프로세서 칩으로 불려진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메모리의 접근 횟수를 줄여 전체적인 서포트벡터의 실행시간의 단축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메모리로의 접근 회수의 감소와 이에 따른 실행시간 그리고 에너지 소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Support vector machines (SVMs) are well known for their pattern recognition capability, but proper care should be taken to alleviate their inherent implementation cost resulting from high computational intensity and memory requirement, especially in embedded systems where only limited resources are available. Since the memory requirement determined by the dimensionality and the number of support vectors is generally too high for a cache in embedded systems to accomodate, frequent accesses to the main memory occur inevitably whenever the cache is not able to provide requested data to the processor. These frequent accesses to the main memory result in overall performance degradation and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because a memory access typically takes longer and consumes more energy than a cache access or a register ac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that reduces the number of main memory accesses by optimizing the data access pattern of the SVM-based classifier in such a way that the temporal locality of the accesses increases, fully utilizing data loaded into the processor chip. With experiments, we confirm the enhancement made by the proposed technique in terms of the number of memory accesses, overall execution time, and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정신적 취약성을 가진 범죄 피해자의 진술에 대한 심리학적 지원

        문성원 한국피해자학회 2018 被害者學硏究 Vol.26 No.3

        Korean society began to show overt concern for the crime survivors since the Victim Protection Act implemented in 2005. The essence of support for them is psychological in nature, because crime survivors mostly suffer psychologically compared to other ways. The experience of being a crime survivor adversely affec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ealthy people without mental disorders; it would worsen the vulnerabilit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The crime survivors with mental disorders were vulnerable cognitively and emotionally before being a victim to a crime, and experiencing the crime made them more vulnerable.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include help for their aggravated emotional and cognitive state evoked by the crime in order to prove that they are victims in their legal stat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mental vulnerability caused by the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crime, and the cognitive functioning including memory and emotion of crime survivors with mental disorders such as mental retardation, autism spectrum disorder, schizophrenia, and recurrent depression and those who are children.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sychological support related to court procedures including overall support system for crime survivors and in the verification process. Additionally, the real examples of cas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discussed, problems of current legal perspectives were analyzed, and current problem of the system that does not consider the mental disorders in the interview with crime survivors for the statement was identified. Finally, future prospects of the support of crime survivors were suggested including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in psychopathology and forensic servic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rotocols according to mental disorders, specific technique development for mental disorders using the exampl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providing supplementary tools for recording the statement of survivors of crime with mental disorders. 범죄 피해자가 되는 경험은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피해자들에게 끼치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심리적인 부분에 대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은 이러한 심리적 고통 속에서도 피해자들이 자신들의 피해 사실을 충분히 밝힐 수 있도록 돕는데서 시작한다. 범죄 피해 이전에 심리적으로 건강했던 사람들조차도 피해 경험을 통해 정신적 측면에서 곤란을 겪게 되는 만큼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의 범죄 피해 경험은 이들의 피해 진술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으므로, 국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특히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의무와 관련해서,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던 피해자들의 피해 진술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행하여졌다. 이를 위해 먼저 범죄 피해 경험으로 인해서 유발될 수 있는 기본적인 심리적 변화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인지 및 정서 특성을 정신적 장애별로 검토하여 이들의 피해자 진술 절차에서 유의할 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다음으로, 현행 피해자 지원 시스템이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 어떤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들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신적 장애를 가진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제언을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