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케어링 및 동기 분위기는 태권도 선수들의 도덕행동을 예측하는가?

        강명구 ( Kang Myeong-koo ),임태희 ( Lim Tae-hee ),장창용 ( Jang Chang-yong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케어링 분위기와 동기 분위기가 그들의 도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및 대학교 태권도 선수 420명(고등학생: 184, 대학생: 236)이었다. 측정도구로는 케어링 분위기, 동기 분위기, 스포츠 도덕행동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였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어링 분위기는 동료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과 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상대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과 상대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달 분위기는 동료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 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 그리고 상대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상대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 분위기는 상대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과 상대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 그리고 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동료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들의 운동 분위기 조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며, 케어링 분위기와 동기 분위기가 스포츠 도덕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지도자들은 선수들을 지지해주고, 수행중심의 분위기 보다 숙달중심의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caring and motivational climate on moral behavior in the Taekwondo athletes. Participants were 420 Taekwondo athletes(184 high school and 236 university students). Measures were the caring climate, the motivational climate, and the moral behavior in sport.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reliability,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model were assessed by using SPSS and AMOS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aring climat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the teammate, but did not influence the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the opponent. Second, the climate of mastery similarly affected the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the teammate and the antisocial behaviors to the opponent, but did not affect the prosocial behaviors to the opponent. Third, the performance climate similarly affected the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s to the opponent, and the antisocial behaviors to the teammate, but did not affect the pro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he climate that the coaches who are leading the Taekwondo trainees form. Also, it proved that the caring climate and the motivational climate similarly influence the moral behavior in s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oaches should support the athletes, and that they should conduct studies and try hard to form a performance-focused climate rather than a mastery-based climate.

      •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Employee Creativity

        Altantuya Tsogtbaatar(알탕토야),Hwang Ho Young(황호영)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Creativity has been considered a key compon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supporting or inhibiting individual’s creative behavior. Drawing o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achievement goal theory, this research hypothesized and tested a medi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employee creativity in the Mongolian public sector context. The research was administered on 649 employees nested in 30 teams from eleven public schools in Mongolia.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IBM SPSS, Amos 18.0, and Bootstrapping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revealed that (1) goal orientations (learning/performance) and (2) explici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mastery/performance) and employee creativity. Additionally, the results found that explici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employee creativity. However, the results showed no mediating effect of implici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employee creativ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employee creativity.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율적 교육풍토,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간의 구조관계 규명

        임현진 ( Hyunjin Lim ),강명희 ( Myunghee Kang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ㆍ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창의ㆍ인성을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 변인을 창의ㆍ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상정하였으며 수도권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변인각각은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2)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변인이었으며, 메타인지 변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자율적 교육풍토는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이 세 변인들을 통해 창의ㆍ인성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창의ㆍ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과과정 내에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를 촉진하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전략으로 미시적으로는 팀 단위 수업에서부터 거시적으로는 교과융합 등 실천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creativity and integrity. From this study, we tried to draw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teaching program and implementation strategy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creativity and integrit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301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conduct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metacognition, mastery-approach goal,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reativity. While mastery-approach goal, and communication skills also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integrity, metacognition did not.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showed a direct effect on metacognition, mastery-approach goal and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the creativity and integrity by mediating metacognition, mastery-approach go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moting metacognition, mastery-approach goal, communication skills, and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within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integrity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유소년축구 TARGET 코칭 프로그램이 내적동기와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상범,허정훈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4

        본 연구는 개인의 숙련과 과제의 향상을 강조한 TARGET 프로그램이 아동의 내적동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숙련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Epstein(1988, 1989)이 제안한 동기유발 지침을 토대로 유소년축구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참여자는 유소년 축구클럽에 참여중인 초등학교 2학년 아동 23명으로 TARGET 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1명을 선정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초등학교 2학년에 맞는 적합성 등을 검증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하였다. 실험설계는 준실험설계의 비동형 전후검사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하였다. TARGET 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사전측정을 한 후, TARGET 집단에게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어떠한 처치 없이 지도자의 경험적 지식에 의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모두 1주에 3회씩15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후 두 집단 모두 사후측정을 하였고 TARGET 집단에게만 추가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TARGET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유능감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TARGET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긴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ARGET 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학교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 결과 첫째, 아동들은 TARGET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숙련분위기를 지각하고있었다. 둘째, ‘즐거움’, ‘재미’, ‘행복’, ‘노력’, ‘꿈’ 등의 내용을 통하여 아동들의 내적동기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자신감 상승’, ‘활발해짐’, ‘의사 표현하기’ 등의 내용을 통해서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먼저 사과하기’, ‘말다툼 감소’, ‘친구 사이가 좋아짐’ 등을 통해서 또래관계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면, TARGET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내적동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소년축구 현장에서 아동들의긍정적인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전략으로 삼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TARGET program, which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skills and tasks, affects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First of all, the youth soccer TARGE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otivation guidelines proposed by Epstein (1988, 1989) to create mastery climate. 23 participants,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youth soccer club were selected as 12 TARGET group and 11 comparative group.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its suitability for the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the control group design of the non-isomorphic post-test of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After the pre-measurement of both the TARGET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program was put in place only for the TARGET group,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only based on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the coach. Both groups proceeded a total of 15 sessions three times a week. After the post-measurement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ly for the TARGET group. For data analysis, 2 way mixed design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perform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TARGET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compet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TARGET group was found to have lower tens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rd, the TARGET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school self-esteem than the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first, children considered TARGRT program positive and perceived a mastery climat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through contents such as 'joy', 'fun', 'happiness', 'effort', and 'drea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improved through contents such as 'increased confidence', 'become active', and 'expressing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peer relations also changed positively through 'apologizing first', 'reducing quarrels', and 'getting along with friends'. To summarize, the TARGE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intrisic motivati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and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the positive growth of children in the youth soccer field.

      • KCI등재

        수업 동기 분위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발레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민주,이온,장창용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4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ballet major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1(male=25, female=186) collegiate students enrolled in ballet department. Measures were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PMCSQ)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stery climate who ballet majors percei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five subscales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y climate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autonomy, and purpose in life. Second, performance climate who ballet majors percei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five subscales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Performance climate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autonomy, and purpose in life. Model fit indices were acceptable(RMSEA=.070).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motivational climate who ballet majors perceive was a important situational factor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목적] 본 연구는 발레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발레 수업에서 지각하는 동기 분위기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발레 전공 대학생 211명(남학생 25명, 여학생 186명)이며 측정도구로는 동기 분위기와 심리적 안녕감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각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이 실시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발레 전공자들이 지각한 숙련 분위기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숙련 분위기는 개인적 성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레 전공자들이 지각한 수행 분위기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행 분위기는 개인적 성장,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모형은 적합한 모델적합도 지수를 나타냈다(RMSEA=.070). [결론] 발레 수업에서 인지하는 발레 전공자들의 동기 분위기는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상황적 요소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양골프 수업 참여 여대생의 지각된 동기분위기가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업만족의 매개효과

        노미영,이만령 한국골프학회 2016 골프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양골프 수업에 참여하는 여학생들의 지각된 동기분위기와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 수업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지역 3개 여대에서 교양골프 수업에 참여하는230명의 여대생에게 지각된 동기분위기, 수업만족, 운동지속의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결측문항이있거나 불성실한 응답 2명의 질문지를 제외한 22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3가지 척도의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행분위기와운동지속의도 간 관계에서 수업만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숙련분위기와 운동지속의도 간 관계에서수업만족의 매개효과는 존재하였다. 즉 숙련분위기에서 높은 수업만족은 참여의지를 증가시키고 무의지는 감소시키면서 결과적으로 운동지속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의 수업만족을 높이고 운동참여를 지속시키기 위해서 교수자는 수행분위기보다는 숙련분위기의 수업을 형성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golf.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students who participating golf in three different women’s universities. 228 data were analyzed. For data processing,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Cronbach’s 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S 18.0 Program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lass satisfaction was mediated in relation between mastery climat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whereas performance climate was not mediated between them. Therefore, class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mediator in promoting mastery climat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is findings suggest that instructors would consider to create mastery climate to improv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further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KCI등재

        개인과 집단의 특성이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

        강소라(Sora Kang),김민선(Min Sun Kim)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0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17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ress on knowledge creation. The goal stress of resource inadequacy and job stress had negative influences on knowledge creation. However. the cohesion and mastery climate of team had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Therefore this paper verifies the moderate role of the cohesion and mastery climate of tea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knowledge creation. The model developed was tes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knowledge based industry with 375 members in 69 teams in 12 different firm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generated from the model. Results show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as we expected but the goal stress didn't. The mastery climate of team affected knowledge creation positively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stress and knowledge creation. Furthermore, the team cohe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The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that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the stress when they design jobs for team members and suggest them the way to manage their job stress when they work.

      • KCI등재후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는 숙련분위기, 기본심리욕구, 자율적 동기의 인과관계를 조절하는가?

        유진 ( Jin Yoo ),김필중 ( Pil Jung Kim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7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5 No.1

        본 연구는 체육수업 상황에서 숙련분위기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기본심리욕구가 어떻게 매개하며 긍정적 정서가 이러한 매개적 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조사했다.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433(남:222; 여: 211)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조건부 과정모델(conditional process model; Hays, 2013)을 통하여 분석됐다. 분석결과는 숙련분위기와 자율적 동기와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정서의 조절효과를 증명해 주었다. 전반적으로, 숙련분위기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긍정적 정서가 높은 학생들에게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 정서는 기본심리욕구가 자율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시켰다. 이 결과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정서가 자기결정적동기화 과정에 역동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climate and autonomous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by positive emotion. A sample of 433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222 boys, 211 girls; mean age=14.8)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A conditional process model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between mastery climate and autonomous motivation. Mastery climate significantly enhanced autonomous motivation via basic psychological need when students had positive emotion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articular, positive emotion strengthened the moderate effect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autonomous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positive emotion reciprocally and dynamically influences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process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ontex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문성 분위기와 심리적 안전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 협력 지향성의 조절 효과

        황인호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2 기업과 혁신연구 Vol.45 No.3

        조직 내 파편화된 지식 자원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조직의 지속적 성과에 영향을 주면서, 조직들은 체계적 지식관리를 위한 각종 규칙과 시스템 등을 도입하고 있다. 지식관리가 지속해서 운영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지식을 소유한 조직원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그러나, 지식은 개인이 어렵게 확보한 무형의 정보까지 포함되므로 지식은폐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조직 업무 환경과 개인의 특성에 따라 지식은폐를 감소시키는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문성 분위기, 심리적 안전, 협력 지향성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확보한요인과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선정된 대상에게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373건의 표본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과Process 3.1을 활용하여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성 분위기가 심리적 안전을 통하여 암묵적, 명시적 지식은폐를 감소시켰으며, 협력 지향성이 전문성 분위기와 심리적 안전과 상호작용 효과를 가져 명시적 지식은폐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원의 지식은폐를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 개인 인식 및 특성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내부의 지식관리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