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황인호,임종혁,이종세 한국지진공학회 2006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0 No.4
최근 들어 지진발생 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초고층 빌딩, 장대교량 등과 같은 대형구조물의 경량화, 유연화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물의 과도한 동적거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진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자기장에 의해 역학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재료인 자기민감 고무(Magneto-Sensitive Rubber)를 이용한 반 능동 기초격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초격리 시스템은 기존의 LRB(Lead-Rubber Bearing)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면진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몇 가지 역사적 지진들을 이용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자기민감 고무를 이용한 반 능동 기초격린 시스템은 기존의 수동 시스템보다 기초전단력이나 상부구조물에 가속도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기초변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므로 자가민감 고무를 이용한 반 능동 기초격리 시스템은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as large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 and long span bridge become lighter and more flexible, the necessity of structural control for reducing excessive dynamic response due to seismic excitation is increased. In this study, a semi-active base isolation system using Magneto-Sensitive (MS) rubbers is proposed to effectively protect structures against earthquakes. MS Rubber is a class of smart controllable materials whose mechanical properties change instantly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is device, the MS Rubber isolation system is compared to Lead-Rubber Bearing (LRB) isolation systems and judged based on computed responses to several historical earthquakes. The MS Rubber isolation system is shown to achieve notable decreases in base drifts over comparable passive systems with no accompanying increase in base shears or in accelerations imparted to the superstructure. The proposed MS Rubber system is shown to perform better than the passive isolation system.
정보보안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과 모호성이 정책 불확실성과 미준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쟁적 심리 분위기의 역할
황인호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5
많은 국가가 조직에게 소유한 정보 자원을 엄격하게 지킬 것을 법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조직 내부자에 의한 정보 노출 가능성까지 통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 내부자의 정보보안 미준수 행동의 원인이 정보보안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인식과 경쟁 중심의 업무 환경에 기인한다고 판단하고, 불확실성 강화 요인과 경쟁 분위기의 역할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 및 모호성과 경쟁적 심리 분위기를 적용하여, 정보보안 정책 불확실성 및 조직원의 정보보안 미준수 행동 원인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조직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확보된 429건의 표본을 AMOS 22.0과 Process 3.1 툴에 반영하여 가설검정을 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정보보안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과 모호성이 정보보안 정책 불확실성 인식을 통해 정보보안 미준수 행동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 내 경쟁적 심리 분위기가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 및 모호성, 그리고 정책 불확실성과 상호작용 효과를 가져 미준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안 미준수 원인을 정보 제공성과 업무 환경 관점에서 존재함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내부자의 미준수 행동 억제를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한다. Many countries have implemented legal requirements for organizations to maintain strict information security (IS) measures.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manage the risk of information exposure caused by insiders. In response to this, we have proposed a mechanism that incorporates IS communication uncertainty and ambiguity, as well as the competitive psychological climate, to address non-compliance behavior related to IS. We collected 429 samples and performed a hypothesis test using AMOS 22.0 and Process 3.1 tools. The results revealed that IS communication uncertainty and ambiguity increased IS non-compliance behavior through the perception of IS policy uncertainty. Furthermore, the competitive psychological climate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the antecedent factors of IS non-compliance behavior.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IS non-compliance behavior among organizational insiders, by addressing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 work environment.
메타버스의 심리적 거리와 신뢰의 영향: 지속적 이용 의도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실재감과 기술 준비도의 역할
황인호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2
최근, 우리 사회는 온라인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다. 코로나19는 온라인에서의 사람들의 활동을 반강제로 요구하였으며, 사람들은 현실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중, 3D로 구현된 개인이 매개된 아바타와 가상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재감을 제공하는 메타버스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스에 대하여 사용자의 지속적 활동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가 제공하는 기능 측면(사회적 실재감, 원격 실재감)과 사용자의 심리적 거리 인식, 그리고 개인의 기술 준비도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신뢰 및 이용 의도로 이어지는 매커니즘을 밝힌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관련 플랫폼과 가상 현실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제페토 플랫폼을 경험한 20세 이상의 사용자에게 설문하였다. 확보된 표본은 AMOS 22.0과 SPSS 21.0 패키지에 적용하여 경로 간의 가설 검증에 활용하였다. 검증결과, 사회적 실재감이 메타버스 심리적 거리를 통해 플랫폼 신뢰를 높였으며, 지속적 이용 의도까지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용자의 기술 준비도가 심리적 거리,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원격 실재감과 상호작용 효과를 가져 플랫폼 신뢰를 강화하였다. 결과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사용자에게 제시해야 할 신뢰 강화 조건 관점에서, 연구는 사회성을 강화한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기 위한 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