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5·18, ‘진실’의 레짐과 계보학

        김봉국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6

        This paper argues on the reasons of coexistence of distortion and indifference to ‘May 18’ resides in the horizon of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Korean society that have been watching and talking about the May 18 so far. In particular, this paper asserts the reasons are the (un)conscious consequence of the framework of debates on the ‘truth’ of May 18. The keyword of discourses on May 18, that has been diversified after democratic struggle and triggered researches thereon, was the ‘clarification of truth’. What is problematic with the keyword is that the debates on the axis of truth became constantly structured. One axis that has been the one of basic streams of investigation and researches on May 18 was the struggle to construct the ‘Regime of Truth’ against the ‘Distorted System’ coerced by the ‘New Military Regime’. In this struggle, researchers have been watching and talking about May 18, the democratic struggle, on the standpoint of anti-thesis against the anticommunism and regionalism covered the May 18 by the ruling authority to criticize the anticommunism and regionalism. Thereby, the system of truth, intended for the construction of counter-memories different from official memories introduced by the ruling authority, has been stating the truth of May 18 by anchoring on the framework of anticommunism and regionalism. In other words, the people, practice of democracy, death, and emotion of May 18 has been stated on the framework and in the horizon of perception preoccupied by ruling authority in a way to repeat the languages and logics of the ruling authority. In due courses, the experiences and gestures of May 18 has been acclimated constantly only to be reproduced on the roads guided and allowed by a nation under the flag of ‘democracy’. Thereby, the truth of May 18, restrained by the ‘distortion’, still remains behind the walls of regionalism and generations that prohibits the communication of the truth with people beyond the walls. The ‘Truth of May 18’ has been realigned nationally however the healing of wounds of remaining people is neglected by hiding behind the institutionalized historical rectification. Upon entering the 40th anniversary of May 18, we need to reconstruct another hidden or forgotten ‘Truth of May’ castrated twice via instances of ‘distortion’ and ‘national acknowledgement’. Thus, it is the time to introduce the ‘May 18’ into the history. 본 연구는 오늘날 5·18에 대한 왜곡과 무관심이 병존하게 된 이유가 지금껏 5·18을 바라보고 말해왔던 한국 사회의 인식지평과 시각 자체에 있음을 논한다. 특히 5·18의 ‘진실’을 둘러싼 논쟁의 틀이 (무)의식적으로 파생시킨 결과라고 주장한다. 항쟁 이후 다기한 5·18담론과 연구를 촉발하고 가로질렀던 키워드는 ‘진실규명’이었다. 문제는 이 진실을 축으로 한 논쟁이 일정하게 구조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동안 5·18에 대한 조 사와 연구의 근간을 이룬 한 축은 항쟁 당시부터 신군부세력이 강제한 ‘왜곡의 체제’에 맞서 새로운 ‘진실의 체제(regime of truth)’를 구축하는 싸움이었다. 이 투쟁에서 연구 자들은 지배 권력이 덧씌운 반공주의와 지역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그 안티테제하에서 항쟁을 바라보고 말해왔다. 이로 인해 지배 권력의 공식기억과는 다른 대항기억을 구축 하고자 했던 진실의 체제 역시 반공주의와 지역주의의 틀에 정박한 채 5월의 진실을 진 술해 왔다. 다시 말해 지배 권력이 선점한 틀과 인식지평 위에서 그 지배의 말과 논리를 반복해 5월의 사람과 실천과 죽음과 감성을 진술했다. 이 과정에서 5월의 몸짓과 경험 은 일정하게 순화되었고 ‘민주주의’라는 깃발 아래 국가가 허용하고 안내한 길 위에서 만 재현되고 말았다. 그 결과 ‘왜곡’에 긴박된 5월의 진실은 그토록 소통하기를 원했던 지역과 세대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국가로 정향된 5월의 진실 역시 제도화된 과거 청산에 안주한 채, 남겨진 자들의 상처에 대한 치유를 방기하고 있다. 40주년 이후 ‘왜 곡’과 국가적 ‘인정’이라는 이중의 심급이 거세한 5월의 또 다른 ‘진실들’을 찾고 재구 성해 가야 한다. 이젠 5월을 역사화할 때가 되었다.

      • KCI등재

        May-Thurner 증후군의 진단과 혈관내 치료

        허균,이재욱,신화균,원용순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1

        Background: There are limited number of reports on May-Thurner syndrome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in Korea, We analysed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tic modalities and endovascular treatment of May-Thurner syndrom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12 cases of May-Thurner syndrome between March 2001 and June 2003. Mean age was 57.6±2 years. We were used in venography, color doppler and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as diagnostic modalities and in thrombolysis, thrombectomy, angioplasty and stent insertion as endovascular treatment. Result: Clinical features showed edema of lower extremities in 4 patients, pain of lower extremities in 1 patient, edema with pain in 5 patients, and all in 1 patient. In one patient, he did not have any pain and any edema of lower extremities but was diagnosed as May-Thurner syndrome using venography due to varicose veins on lower extremities. Diagnostic modalities included venography,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in all patients with clinical presentation except in one patient and color doppler was only performed only in 4 patients. Four kinds of endovascular treatment were performed for May-Thurner syndrome, angioplasty in 11 patients, stent insertion in 10 patients, thrombectomy in 9 patients and thrombolysis for 7 patients. Nine patients were followed up and we can show good blood flow in Left iliac vein for 7 of 9 patien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May-Thurner syndrome in Deep vein thrombosis patients and we should use a variety of modalities to diagnose May-Thurner syndrome. Finally, endovascular treatment is a safe and effective therapy for May-Thurner syndrome. 배경: 하지심부정맥 혈전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 증후군(혹은 장골정맥 눌림증후군)의 임상 증상, 진단 및 혈관내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7월까지 May-Thurner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1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방법으로는 정맥조영술, 정맥초음파,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였고 혈관내 시술은 혈전용해술, 혈전제거술, 혈관성형술, 혈관내 스텐트삽입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양상으로는 하지부종이 4예, 하지의 통증이 1예에서 보였으며 5예에서는 하지부종과 통증이 동반되었고 하지부종과 통증과 압통이 동반된 경우도 1예였다. 1예에서는 부종이나 통증은 없었으며 하지정맥류로 인해 시행한 정맥조영술에서 May-Thurner 증후군이 발견되었다. 진단방법으로는 임상양상과 더불어 1예를 제외하고는 모든 환자들이 정맥 조영술과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중 4예에서는 정맥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혈관성형술을 11예에서 시행하였고, 혈관내 스텐트 삽입은 10예, 혈전 제거술은 9예, 혈전용해술은 7예에서 시행되었다. 9예에서 추적관찰을 하였고 이중 7예에서 혈관내 원활한 혈류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하지의 심부정맥 혈전증 환자에 있어서 May-Thurner 증후군의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여야 하며 이의 진단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며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내 시술이 안전하면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5월 소설에 나타난 복수 서사의 형상화 연구

        김수정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6

        80년 ‘5월’은 시작부터 왜곡되었고 거짓으로 증폭되었고, 이제 망각으로 역사화되고있다. 시작의 왜곡에 저항하기 위해서 재현과 증언은 필수적 과정처럼 보였고, 거짓의증폭에 대항하기 위해서 부끄러움의 자기 고백적 서사는 당연한 듯 보였다. 그러나 재현과 증언의 글쓰기로 ‘부끄러움’을 치유하기에는 ‘그때 너는 어디에 있었는가’에 대답할수 없었고, 일인칭 고백체 역시 ‘무고함’을 증명하기에는 무기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5월은 언제나 옳고, 혁명적이고, 진보적이고, 민주적이어야 하기에 5월과 복수를 연결하는 것이 그리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단죄의 기능을 상실한 국가로 인하여 끊임없이유예되었던 복수는, 이제 소설에서나마 그것이 사적 복수임에도 불구하고 정당성을 지니려 하고 있다. 의문은 ‘국가적 폭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80년의 물리적 폭력에서 이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 폭력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의심 때문이었다. 국가적 폭력은 계속되는데 개인적 폭력(사적 복수)은 철저하게 봉쇄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사적 복수를 이야기한다면 그 역설적 의미로 인하여 복수는https://doi.org/10.31929/namdo.2022.46.91 92 남도문화연구 제46집(2022.8) 정당성을 얻게 될지도 모른다. 이 5월의 복수가 지닌 공공성, 대체(불)가능성, 낭만성의특성을 토대로 사적 복수의 정당함을 이야기하는 것, 그것은 공공의 영역에서 배제되었던 개인 주체들의 경험을 소환하는 것이다. 공공 담론의 영역에 있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사적인 영역으로 배제되어 개인이 풀어야 할 것으로 바뀌었듯이, 5월의 복수 역시 공공의 영역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이해경의 사슴 사냥꾼의 당겨지지 않은 방아쇠 (2013)에서는 개인의 기억과 역사적 기억이겹치는 현상, 즉 복수(複數)적 복수를 통해 5월의 복수가 공공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공공성은 5월에 대한 기억을 끊임없이 재생산하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또한 죄의식과부끄러움에 사로잡혔던 5월의 주체들은 거대한 5월에 억눌려 주체적인 인간으로 살지못했으나, 김경욱의 야구란 무엇인가 (2013)에서는 아이러니적 복수를 통해 5월 복수의 대체(불)가능성이 인물의 성찰과 화해를 이끌어 내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낭만주의적 혁명성이 제거된 채 순수와 향수만 남았을지라도 낭만은 언제나 체제 바깥을꿈꾸게 하여 ‘악’을 막을 수 있게 하듯이, 손흥규의 「최초의 테러리스트」, 「최후의 테러리스트」(2008)에서는 끊임없이 실패하고 지연되는 5월의 낭만적 복수를 통해 5월의역사화를 막아내고 희망을 이끌어내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아직도 5월을 이야기하는 이유는, ‘미완의 해결’에 대한 억울함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인간이 인간일 수 있었던 찬란했던 시간에 대한 기억도, 그때의 아픔도, 그때의 기쁨도 공유되고 있지 못한 현실 때문일 것이다. 그 기억의 보존을 위해서, 그 공감의 정서를위해서, 이제 5월 문학은 새롭게 변신할 것을 믿는다. ‘May’ in 1980 was distorted from the beginning and duplicated falsely, and now it is being historicalized as oblivion. In order to resist the distortion of the beginning, representation and testimony seemed essential processes, in order to counteract the amplification of lies, the self-confessed narrative of shame seemed natural. However, the writing of representation and testimony could not answer ‘where were you then’ to heal ‘shame’, and the first person confession was also helpless to prove ‘innocence’. Nevertheless, linking May with revenge was not easy, as May should always be right, revolutionary, progressive and democratic. But revenge, which has been constantly suspended due to a state that has lost its function of conviction, is trying to have justification, even though it is private revenge in the novel.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scribe the revenge narratives of the May novels, which talked about the reason why private revenge has no choice but to have justification. The question began with the fact that ‘national violence is not over yet’. It was because of the suspicion that mental violence, which is now invisible, continues from 80 years of physical violence. With national violence continuing and personal violence (private revenge) being completely blocked, 5월 소설에 나타난 복수 서사의 형상화 연구 121 someone may gain strength if they talk about the legitimacy of private revenge. Therefore, I would like to recall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subjects who were excluded from the public domain through multiple narratives of May novel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y’s revenge,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and romance. Just as many problems that should be in the realm of public discours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rivate sphere, so has May’s revenge, too, been excluded from the public realm. However, Lee Hae-kyung’s Unpulled Trigger (2013) tells that the revenge of May has publicity through the overlapping of individual and historical memories, and this publicity constantly reproduces memories of May. In addition, May’s subjects, who were obsessed with guilt and shame, were suppressed in May and could not live as independent humans, but Kim Kyung-wook’s What is Baseball (2013) says that the possibility of revenge in May is leading to reflection and reconciliation. And just as romance can always dream outside the system to prevent evil, even if only purity and nostalgia remain removed, Son Heung-kyu’s 「First Terrorist」(2008) says that the ever-failing and delayed May’s romantic revenge is preventing May’s historicalization and drawing hope. The reason why we are still talking about May is probably not just because of the resentment of the ‘unfinished resolution’. It is probably because of the reality that neither the memories of the glorious times when humans could be human nor the pains of those days nor the joys of those days were shared. For the preservation of that memory, for the emotion of sympathy, I believe that May literature will be transformed anew.

      • KCI등재

        오월 시학과 포에톨로지(Poetology)‘오월광주’

        전동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감성연구 Vol.0 No.18

        ‘May Gwangju’ is a topological name that combines ‘May’ of time with ‘Gwangju’ of space. ‘The ten days community’ of ‘May Gwangju’ was an absolute community. Language of an absolute community was also the first appearance, and poetics was bound to be new. The sad thing was that language had also disappeared from reality with the ten days of community. The language of May is not the same means of human communication as we already know. It is not the language of purpose that lyric poetry pursues. The language itself is a language of practice that is 'knowing' and 'being'. It is necessary to try writing that can be directed beyond reality by using the performance of language as a motive power. So I proposed topological writing. Topological writing is writing beyond structure. May Gwangju needs to distort verbal events in political events. In the past, We have gathered strength to uncover the reality truth, fact. Now it is time to secure a variety of aesthetic truths.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language of May. However, no one can deny the reality of the ten days community. We must try to comprehend the language of May in various dimensions. In the meantime, we should explore the aspect of May poetics as a anti-poetics in the contrapuntal position of traditional poetry. The power of approaching the May-poetics can be derived from the ‘act of language’, the emergence of powerful consciousness. Linguistic action acquires empirical truth through the integrated orientation of subjective truth and objective fact. We can acquire a topological place when we solidify this open horizon of meaning. It is the spirit that flows in the depths of topological places. The 'spirit of Gwangju' has also flowed into a change of some historical distortions, vagaries and gaze. The power of the spirit flows smoothly through the directionality. When the flexibility of Gwangju spirit is stylized through the plot, colorful stories have a uniform orientation, and one spirit can spread into a colorful life. It is poetology that weaves and worsens a new place (language) through the place (language) formed by colorful stories spreading ‘together and apart’ ‘apart and together’. The most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the most delicate, and the most gigantic place of spreading is ‘May Gwangju’ as poetology. ‘오월광주’는 ‘오월’이라는 시간과 ‘광주’라는 공간을 합하여 장소화한 위상학적 명칭이다. ‘오월광주’에 펼쳐진 ‘열흘의 공동체’는 절대 공동체였다. 언어 역시 처음 등장한 것인 까닭에 시학도 새로울 수밖에 없다. 안타까운 것은 그 열흘의 공동체와 함께 언어 역시 현실에서 사라졌다는 것이다. 오월의 언어는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것과 같은 의사소통의 수단은 아니다. 서정시가 추구하는 목적의 언어도 아니다. 언어 자체가 ‘앎’이며 ‘함’인 수행의 언어이다. 언어의 수행성을 동력으로 삼아 현실 너머로 지향할 수 있는 글쓰기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위상적 글쓰기는 구조를 넘어서는 글쓰기이다. 오월광주는 정치적 사건에서 언어적 사건을 변곡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실체적 진실 곧 사실을 밝혀내는 데 힘을 모았다. 이제는 미학적 진실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로 나가야 한다. 오월의 언어를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그 열흘 공동체의 실체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오월의 언어에 대한 다가섬을 다양한 차원에서 시도해야 한다. 그러면서 전통 시학의 대위적인 자리에서 반시학으로서 오월 시학의 면모를 탐색해야 한다. 오월 시학에 접근하는 동력은 ‘언어의 행위’ 곧 강력한 의식류의 발생에서 얻을 수 있다. 언어적 행위는 주관적 진실과 객관적 사실의 통합적 지향을 통해 경험적 진실을 획득한다. 이렇게 열린 의미의 지평을 입체화할 때 우리는 위상학적 장소를 획득할 수 있다. 위상학적 장소의 심연에 흐르는 것이 정신이다. ‘광주정신’은 어떤 역사적인 왜곡과 질곡 그리고 시선의 변화에도 도도히 흘러왔다. 정신의 힘은 지향성을 통해 유연하게 흐른다. 광주 정신의 유연성이 플롯을 통해 양식화할 때, 다채로운 이야기는 한결같은 지향을 갖고, 하나의 정신은 다채로운 삶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함께 따로’ ‘따로 함께’ 펼쳐지는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형성하는 장소(언어)를 통해 새로운 장소(언어)를 직조(織造)하고, 모전(毛氈)하는 것이 ‘포에톨로지(poetology)’이다. 가장 입체적이고, 가장 섬세하고, 가장 거대하게 펼쳐지는 장소가 이러한 포에톨로지가 가장 입체적이고 가장 섬세하고, 가장 거대하게 펼쳐지는 장소가 포에톨로지로서 ‘오월광주’다.

      • KCI등재

        박효선 희곡에 나타난 ‘5·18 이후의 삶’ -<금희의 오월>, <모란꽃>, <청실홍실>을 중심으로-

        이정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This paper discussed three representative works of playwright Park Hyo-sun, <Geumhee's May>, <Peony Flower>, and <Cheongsil Hongsil>, who wrote a number of "Dramas of May 18" in the 1980s and 1990s. These three works have different personalities in terms of formality,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deal with "life after May 18." In addition,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that various settings and devices are set up to elicit the audience's subjective and active viewing attitude. This pap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focusing on these two commonalitie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rtist's intention to create. The summary of the contents of "Life After May 18" in each work is as follows. Parents of <Geumhee's May> have formed a bereaved family association and worked after losing their son during May 18. The female protagonist of <Peony Flower> has suffered psychological pain for 13 years since May 18. The female protagonist of <Cheongsil Hongsil> has suffered for 17 years while caring for her husband who suffered from mental illness since May 18. This reveals that May 18 is still an unfinished event for them at the present time of each work. Meanwhile, the audience participates or intervenes in the work through various dramatic devices set by the artist. Through this, the audience is asked to explore the current meaning of May 18. The artist hopes that the audience will understand the wounds and pain left by May 18 by showing ordinary citizens as the main characters and shows the situation they are currently in, and expresses a firm position that it should not be forgotten, dismissing it as a history past May 18. 이 논문은 1980-90년대 다수의 ‘오월극’을 집필한 극작가 박효선의 대표작 <금희의 오월>, <모란꽃>, <청실홍실> 세 편을 논의하였다. 이 세 편의 작품은 형식적인 면에서 서로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지만, ‘5‧18 이후의 삶’을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 관객들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관극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다양한 설정과 장치를 해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논문은 이 두 가지 공통점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작가의 창작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작품에 나타난 ‘5‧18 이후의 삶’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금희의 오월>의 부모는 5·18 때 아들을 잃은 후 유족회를 결성해 활동해왔다. <모란꽃>의 여성 주인공은 5·18 이후 13년간 심리적 고통을 받아왔다. <청실홍실>의 여성 주인공은 5·18 이후 정신질환을 얻게 된 남편을 보살피면서 17년간 갖은 고난을 겪어 왔다. 이를 통해 각 작품의 현재 시점에서 5‧18이 여전히 이들에게는 종결되지 않은 사건임이 드러난다. 한편, 관객들은 작가가 설정해 둔 다양한 극적장치를 통해 작품 내부에 참여 또는 개입하게 된다. 관객들은 이를 통해 5‧18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탐색을 요구받는다. 작가는 평범한 시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들이 현재 처해 있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5‧18이 남긴 상처와 고통을 관객들이 이해하기를 바라며, 5·18을 지나간 역사로 치부하고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는 단호한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과제

        김정호(Kim, Joung-H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8 인권법평론 Vol.- No.21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지 38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 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사회의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5・18 역사왜곡을 집대성한 전두환회고록이 출간되고, 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의 익명성 때문에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폄훼 시도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계속적인 왜곡과 폄훼 시도는 오히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하는 계기라고 할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왜곡과 폄훼를 막는 것이 가장 필요한 이유는 다름 아닌 국민통합을 위해서이다.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서 가해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피해자로서는 누구를 용서해야 할지 용서할 대상조차 모른 상황에서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 채로 국민통합을 주장하는 것은 합리성을 결여한 주장이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나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의 논란을 제기하지 않도록 팩트 체크를 위해서라도 ‘국가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가 필요하다. 만시지탄이지만 지난 2018년 3월 14일 5・18진상규명특별법이 제정되었 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의 제정은 5・18진상규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이후 진상규명을 위한 산적한 문제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인적 증거 확보방 안(동행명령제도의 개선)과 물적 증거 확보방안(압수수색검증 요청권한의 개선) 등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조사권한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정해야 할 내용이 존재하고, 시행령을 통해 보완해야 할 내용도 존재한다. 한편, 전두환회고록이 작년 4월 출판됨으로 인하여, 그 5・18 역사왜곡에 대한 형사사건으로 2018년 5월 3일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사건이 공소 제기되었고, 민사사건으로는 2017년 8월 4일과 2018년 5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출판 및 배포금지가처분신청이 인용되었으며, 위 가처분에 대한 본안소 송(손해배상청구와 출판및배포금지청구)도 제기되어 사법부의 판단을 앞두고 있다. 5・18 당시 북한군개입설이나 헬기사격, 암매장 등 상당한 쟁점에 대하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활동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부분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어서 객관성이 담보된 사법부의 판단이 5・18진 상규명특별법을 통한 진상규명활동의 디딤돌이거나 촉매제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두환회고록의 출판이 그 출판의도와 달리 오히려 5・18진상규명의 계기가 되고, 사법부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결코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고, 상식과 정의의 문제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는 문명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품격을 훼손하고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하는 시대착오적인 행위라고 할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은 정치적 문제가 아닌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여 국민통합을 위한 길이며, 우리사회의 품격과 민주주의의 성숙도와 법제도의 건강성을 지키는 길이 될 것이다. 역사의 교훈을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전두환회고록 관련 소송 등을 통한 사법부의 판결과 5・18진상규명특별 법에 의하여 구성될 진상규명조사위원회를 통한 진상조사가 상호 보완되어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작업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fact that 3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1980, the problem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remains an incomplete task in our society. Chun Doo-hwan s memoir, which compiles the history distortions of May 18, has been published, and the distortion and denigration to the May 18 democracy movement is still ongoing centered on the Internet due to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he continuing distortions and denigra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t is for the sake of national unity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identify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o prevent distortion and denigration. It is a lack of rationality to insist on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without knowing who the perpetrator is because the facts are not clarified, and the victims do not even know who to forgive and the wound remain unhealed. For the people who appreciat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official truth report at the national leve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its justification and for the fact check to avoid further controversy for those who distort and deny the May18th Democratic Movement. Although rather long overdue, on March 14, 2018,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was enacted.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s not the end but the beginning. Alth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ally strengthening the investigation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committee, such as measures for securing human evidence (improvement of cooperative order system) and measures for securing physical evidence (improvement of authority to request seizure verification).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and there is content to be supplemented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Meanwhile, due to the publica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n April of last year, a case of defamation of the dead by Chun Doo-hwan was filed as a criminal case against May 18 history distortion on May 3, 2018, two civil cases were filed on August 4, 2017 and on May 14, 2018 for applic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and the lawsuit against the above dispositions (claims for damages and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s also being filed and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is on the way. Most of the issues such as North Korean intervention, helicopter shooting, and secret burial during the time of May 18 can be judged by the judiciary before the May 18 investigation committee commences its activities, and it became more likely that the judiciary s judgment, which has been secured with objectivity, could act positively as a stepping stone or as a catalyst for truth-clar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t is an irony of history that unlike the publication inten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t provided the occasion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and the opportunity to be judged by the judiciary. The issue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not a question of liberal or conservative, but a matter of common sense and justice, and preserving democratic values. The act of distorting the histo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ould be an anachronistic act that undermines the quality of Korea as a civilized nation and threatens democracy itsel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 way to unite the people by identifying historical truths, not political ones, and it will be a way to maintain the dignity of our society, the maturi

      • KCI등재

        오월을 호명하는 문학의 윤리 -임철우의 『백년여관』과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강소희 ( So Hee K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오월광주가 제도화·사물화되어 가는 오늘날, 문학은 어떠한 방식으로 오월을 말할수 있을까. 이전까지 오월문학이 사건을 사실들로 복원하고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오월을 공식 역사에 기입하고자 했다면 이제는 다른 방향성이, 새로운 말하기 방식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임철우의 『백년여관』과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분석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오월문학의 방향성과 형상화 방식을 짚어보고자 한다. 『백년여관』과 『소년이 온다』는 오월의 ‘공백’을 소설화하려는 시도들이다. 임철우는 오월의 제도화에 맞서 산-죽음의 공간을 구성하고 ‘중음’을 살아가는 자들의 목소리를 복원하고자 한다면, 한강은 오월의 사물화에 맞서 동호의 죽음과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을 반복적으로 호명하며 이를 독자의 현재 속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이들의 글쓰기는 처음부터 불가능을 전제한 시도들이라고 할 수 있다. 공백을 지시하는 일이 언제나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것처럼, 이들의 소설은 언어화할 수 없는 오월을 언어화하려는, 즉 실패할 것을 알면서 씌어진 글이다. 지금 다시 오월을 쓰려는 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윤리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이 불가능성 위에 서서 오월의 공백을 가리키려 한다는 점이다. ‘말할 수 없음’이라는 불가능을 기꺼이 떠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월을 말하려는 이러한 고통스러운 시도들에서 문학의 새로운 형식이 ‘사건’처럼 다시금 발명된다. Today when Gwangju of May is being institutionalized and reified, in what way can we talk about May? If May literature has tried to put May in official history by restoring facts and giving meanings to the incidents, does it not need now to have a different direction and a new way of telling? With this question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directions and configuration methods of May literatu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 the past by analyzing Cheol.woo Lim’s A Hundred Years Inn and Han Gang’s The Boy Is Coming. Baeknyeonyeogwan and Sonyeonyi Onda are attempts for novelizing the ‘blank space’ of May. While Cheol.woo Lim, standing agains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ay, tried to form a space of life.death and to restore the voices of those living ‘death,’ Han Gang, standing against the reification of May, tried to recall Dong.ho’s death and the survivors’ pains repeatedly and to place them in the readers’ present. Accordingly, their writings were trials with assuming impossibility from the beginning. Like pointing a blank space always has to end up with failure, these novels were written for verbalizing May, which cannot be verbalized. That is, they tried what they knew was impossible. If there is ethics found by those who try to write May again, it is standing on the impossibility and trying to point a blank space of May. A new form of literature is invented like an ‘incident’ from the painful attempts to embrace the impossibility of ‘unspeakable’ and, nevertheless, to try to tell May.

      • KCI등재

        5월 서사와 여성 주체 연구 -5월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김수정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4 No.-

        The purpose of Sometimes the sense of stability of identity that is not different plays a paradoxical role in neutralizing existence. The reality of 5.18 trying to be confirmed that it is no different from global state violence is rather disappearing from memory due to its resemblance. Here is the May narrative that brings the fading 5.18 back to the magnetic field of memory, and there are women who have onl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resistance as victims and assistants. The marginalized and excluded narrative of women constantly has the gaze and gestures of women who want to go beyond "Gwangju," and the women's gaze and gestures are leading the May narrative as the subject of mourning, summoning, and continuing. In 「Woman Returning from a Farther Country」, the female subject is freed from the neutralized sense of helplessness that does not feel any pain in May and is able to think (love) again in May. In 「Holding the Chrysanthemum」, the female subject perceives May as an unfinished progressive form and accepts May through pluralistic values ​​without the standard of revolutionary and reactionary nature. In 「Then What to Call」, the female subject makes May continue by amplifying ambiguity and ambiguity rather than forgetting May by valuing May as an equal with global national violence. In all three works, the gesture of a woman wishing to go beyond ‘Gwangju’ is expressed. It would be the role of these women’s subjects to transcend the boundaries set by 1980 and Gwangju with ambiguity rather than unity and ambiguity rather than identity. And the role of these women could be an opportunity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May, which was closed with the sublime. 때로 다르지 않다는 동일함이 주는 안정감은 존재를 무화시키는 역설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5.18이 세계적인 국가 폭력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받으려 애썼던 현실은 오히려 너무도 닮음으로 인해 5.18을 망각 속으로 집어넣고 있다. 여기 희미해지는 5.18을 다시 기억의 자장으로 끌어오는 5월의 서사가 있고, 그 서사들 안에는 그동안 피해자와 보조자로 저항의 계기만을 제공했었다는 여성들이 있다. 하지만 주변화되고 배제되었던 여성 서사에는 끊임없이 ‘광주’를 넘어서기를 바라는 여성의 시선과 몸짓이 있다. 「더 먼 곳에서 돌아오는 여자」에서 여성 주체는 5월에서 어떤 고통도 느끼지 못하는 중성화된 무력감에서 벗어나고 생생함으로 5월을 다시 사유(사랑)할 수 있게 된다. 「국화를 안고」에서 여성 주체는 5월을 여전히 끝나지 않은 진행형으로 인식하며 혁명성과 반동성의 잣대 없이 다원적 가치를 통해 잉여성을 만들어 5월을 수용한다. 「그럼 무얼 부르지」에서 여성 주체는 세계적인 국가 폭력과 5월을 동등하게 평가함으로써 오히려 5월을 망각하게 되는 것보다는 애매함과 모호함을 증폭시켜 5월을 지속시킨다. 세 작품에는 모두 ‘광주’를 넘어서기를 바라는 여성의 몸짓이 나타나 있다. 단일함보다는 모호함으로, 동일성보다는 애매성으로 80년과 광주가 만들어 놓은 경계를 넘어서는 것이 이들 여성 주체들의 역할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여성들의 애도는 숭고함으로 폐쇄되었던 5월의 경계를 허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May–Thurner 증후군

        심창헌(Chang Heon Shim),박진우(Jin Woo Park),왕립(Lih 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3

        장골정맥 눌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 증후군은 May와 Thurner에 의해 1957년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좌측 하지에서 침습적인 처치 없이 심부 정맥 혈전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May–Thurner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좌측 하지의 급작스러운 통증, 부종 및 피부색 변화를 보여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 조영술 시행 후 May–Thurner 증후군을 진단 받은 중년 여성 환자의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간과할 수 있는 좌측 하지 May–Thurner 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which results in thrombosis of the left iliac veins, was first described by May and Thurner in 1957. May–Thurner syndrom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ep vein thrombosis-like symptoms appear, especially in the left lower extremities without an invasive procedure. The authors encountered an interesting case of a middle-age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sudden pain, swelling and skin color changes to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s diagnosed May–Thurner syndrome by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This case is of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early diagnosis of May–Thurner syndrome in the left lower extremity was made, which might have been overlooked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 KCI등재후보

        5·18 30주년 이후 5월극 방향성 연구 -2011광주평화연극제 주제공연을 중심으로-

        최영화 ( Choi Young Hwa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이제 한 세대의 종결을 의미하는 30주년 이후의 시기에서 5월劇이 ‘예술가 사이에서 어떻게 자리하고 있으며 그 표현 양식의 선진화는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관객 등 일반 시민의 수용 태도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살피고자 함이다. 이는 ‘5월 광주’가 한국의 현대 예술사에서 6·25와 함께 경험한 아주 특별하고 소중한 연극적 소재로서, 향후 5월劇이 한국 연극 예술사에서 중요한 극 영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극에 있어서 한 영역의 지향점을 살펴내는 일은 그 시기가 지나치게 불규칙적이고 길게 펼쳐져 있어 수용 층과 연구 시점에 따라 시의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금희의 5월>에 직접 참여하고 최근 뮤지컬 <화려한 휴가>의 예술 감독을 역임하는 등 그간의 5월劇 진행 과정을 살펴보았고, 5·18 31주년을 맞이하여 ‘2011광주평화연극제’를 운영하면서, 앞에 거론된 방향성의 문제에 대해 임상을 통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5·18을 주제로 작품을 창작 공모하고, 광주지역 4명과 타 지역의 4명 등 모두 8명의 각기 다른 스타일의 연출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에게 주제 제시와 과제에 대한 설명을 거친 후 작업 초기의 접근 태도를 살폈다. 공연은 같은 시기, 같은 장소를 지정하였고, 공모를 통해 관객 평가단을 구성하였으며, 이들의 수용 태도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동일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작업과의 즉각적인 집중 비교를 통해, 향후 5월 소재의 연극적 수용에 있어서 발전적인 논의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검토 결과, 오늘의 관객들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극이나 경험자의 고백극 형식을 이미 거쳐 왔고, 이제는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접근을 기대하였다. 따라서 선례를 통해 이룬 성과의 지속, 끊임없는 오류의 점검과 변화를 거친 수정 발전, 다각적 충돌과 실험, 장르의 다변화를 꾀하면서, 심리적으로는 5월의 무게로 스스로를 짓누르지 말아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관점과 세대 간 오버랩을 통해 창출되는 자유로운 상상이 전제될 때 5월이 지니는 자유, 민주, 평화의 정신과, 연극예술이 지니는 자유와 평화 갈망의 정신이 중첩되어 발현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re play in May is located among artists at the three decades after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at the advancements of idioms are and how an acceptance of audience and publics has changed. With Korean War, May in Gwangju is a very special and precious topic in current art history in Korean, especially in play, because May play has a power to grow and it will be one of an important part of Korean play arts. However, an examination of directivity of one part in play has several restrictions to study. The duration of the play is irregular and long and acceptance layer of the play varies. Accordingly, I participated<Geumhee’s May>in person and recently was an art director of <Fantastic Holiday>. I witnessed the progress of play in May. I also managed the Gwangju peace theater festival tha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thirty-first anniversary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My participation made me reconsider the abovementioned directions through the performances. First of all, plays wi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opics were invited to public participation and eight directors were selected. The directors consist of four from Gwangju and the others from other areas. Each of directors has different styles. Then, the directors were provided the topics. I observed the psychological approaches of the directors at the beginning of a stage imagery, after the directors listened to the explanations of performances. The performances pointed the same period and location. The assessment audience was composed and asked them their acceptances. This trial is to know feedbacks between the audience and directors, also is to compare several performances, which are held at the same time and same place in depth. Therefore, it offers a basis of developmental discussion in terms of the acceptance of May topic. As a result, current audiences already experienced documentary plays dealt with historical facts and confession plays of an experienced hand. The audiences expect new approach to various forms and contents. The weigh of May should not press May itself. May’s freedom will achieved through an establishment from previous performances and continuity, an inspection of errors and changes, conflicts between new perspectives, variations of styles and finally freedom of real expression. When free imagination that is sprang out from the overlap between different viewpoints and generations is premised, freedom, democracy and peace spirit owned by May will be revealed in play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