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고립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박찬웅 ( Park Chan-ung ),김노을 ( Kim Noeul ),유부원 ( Liu Fu Yuan ),윤민지 ( Yoon Minj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회적 고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립의 수준을 차원별로 살펴보고, 어떤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고립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이 단순히 사회적 관계로부터 배제되는 것뿐 아니라, 삶에 필요한 자원의 유형 별로 생활, 경제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차원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라는 논의에서 출발한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원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차원 별로 사회적 고립에 빠지기 쉬운 집단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과 사회적 요인에 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섯 번의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3세 이상, 163,332명의 전체 인구집단을 분석했다. 사회적 고립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이항 로지스틱 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각 차원에서의 고립 여부와 고립의 중충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고립 수준이 차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둘째, 고립의 차원 별 요인의 경우, 나이가 많고 이혼 혹은 사별을 경험했으며 가구원 수가 적은 사람이 생활 차원의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고, 소득이 낮은 사람이 경제적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으며, 학력 수준이 낮으며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남성이 정서적 고립에 빠질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의 차원에 따라 위험군이 다를 수 있으며, 1인 가구나 노인층에 집중된 사회적 고립의 분석을 보다 다양한 집단이 경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차원별로 해당 차원의 고립에 노출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social isolation in the Korean societ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uch isolation. We start from defining social isolation not only as an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 but also as the lack of required resources in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Furthermore, we contend that the risk of falling into social isolation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in term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 utilize the sample of 163,332 individuals from the pooled data of 2009-2017 < Social Survey >.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isolation was divided into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isolated in each dimension was predicted through logit regression model. Furthermore, the number of isolated dimensions was predicted using ordered logit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were different across the three dimensions. Those prone to falling in isolation on the daily life dimension were ones who were old, divorced/bereaved, living with fewer family members. Those under the highest risk of experience isolation in the economic dimension were those of low-income, while those under the risk of emotional isolation were low-educated, unemployed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the risk group differs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social isolation. Therefore, we claim that social isolation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n issue of one-person household or the elderly group, but also as a potential problem that diverse group might experience. In addition, as different people are at risk of separate dimensions of social isolation, different policy measures are required to prevent and resolve such isolation.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박주택 ( Park Ju-tae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After Kim Su-young started his literature career in 1945, he wrote a prose of percent-filled cries with insights to confirm his identity by showing his isolation and helplessness in his struggle with himself and reality. Especially, since April 19, Kim Su-young has continued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by actively singing freedom to escape isolation and alienation, calling the situation as sorrow. With the dehumanization of modern world, Isolation has an important side of putting human issues on the table and means that humans must maintain their own nature. This paper divided the isolation of Kim Su-young into 'Isolation from literary world and himself’s poem', 'Isolation from life', 'Isolation from himself'. After these works, this paper want to figure out that to overcome these isolation, Kim Su-young has valued on < harmony and unity >. Isol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modern issue from Hegel and Marx to Heidegger and Eric Fromm. Heidegger believes that the situation of technology civilization is bound to fall into vain and unstable when it does not recognize being. And also he said that individuals would encounter isolation indulging thinking that relationship is vain. When Kim Su-young expressed his feud with Park In-hwan and his lack of power over his poetry in the early days of his debut, Kim Su-young displayed his sense of isolation. While working as a translator for his life, he called it “contract translation” and while raising chickens after moving to Gusu-dong, Mapo-gu, he called himself as “Outsider life”, because of his isolation. On the other hand, self-isolation has neurological syndrome in that he sees himself negatively.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liberation, April 19, and May 16 called for metaphysical notion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conscience as well as emotional awareness such as sadness and sorrow to Kim Su-young. But the reason that Kim Su-young fall into isolation is, finally, a non-equally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isolation is different. Kim Su-young was a poet who deeply reflected on himself. He never neglect himself for a moment. He did not stop struggling with himself like struggling with reality. He made himself constantly to explore relative and absolute completion of reality and poetry. Through this course, he sought to overcome isolation by making harmony and unification a principle of reality and poetry. Kim Su-young’s balance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was also possible because he took harmony and unification as the ultimate principles of reality and poetry.

      • KCI등재

        제1군 법정감염병 환자격리 방법에 대한 감염내과전문의 의견 조사

        이무식,김의석,김홍빈,홍지영,이진용 대한감염학회 2012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llect the opinions of doctors who are specialists in infectious disease with regard to the current method used for isolation of patients with group 1 nationally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7 to July 7, 2011. Relevant questions included:1) adequacy of the current policy of forced hospital isolation; evaluation of current guidelines for release from hospital isolation; and 3) priority for policy switching from forced hospital isolation to home isolation. The rate of response to the survey was 28.4% (40 out of 140). First, the majority of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s in Korea believed that the current method of forced hospital isolation for patients with group 1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changed to the home isolation method. Second, if the Korean government changes its policy to home isolation, the top priority of the policy switch would be typhoid fever, followed by paratyphoid fever,shigellosis, cholera, and EHEC (enterohemorigic Escherichia coli). Regarding current guidelines for release from hospital isolation, in cases of shigellosis, EHEC, and hepatitis A,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upported the current guidelines, while they were not able to make collective opinions in cases of cholera and typhoid/paratyphoid fever.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majority of specialists want to change the current isolation method.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switching their policy from forced hospital isolation to home isolation.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의 예방적 코호트 격리정책 평가

        오승환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3

        With Covid-19 continuing, academic discussions to counter Covid-19 at the social welfare site have just begun.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preventive cohort isolation, which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social work institution. Specifically,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concept of preventive cohort isolation? Is there any utility of cohort isolation?" need to be analyzed in detai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specific details were examined through the local government's documents and media data on the plans and results of the preventive cohort isolation policies for social work institution in Gyeonggi-do,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edical concept analysis of preventive cohort isolation showed that the two concepts for prevention and follow-up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were synthesized and available as administrative terms but not suitable for academic terms. Second, in terms of human rights, preventive cohort isolation caused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violated the freedom of the body for both residents and workers of social work institution, and lacked specific explanations and guidance on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Thir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Disaster Management Act,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preventive cohort isolation, was inappropriate to carry out cohort isolation for preventive purposes at social work institution where no confirmed infectious diseases were found. Fourth, based on the application criteria of 'immediate enforcement of administration'. the preventive cohort isolation policy has been shown that it does not meet the standards in legal grounds, administrative obstacles, and urgency. Fifth, it was analyzed that the preventive cohort isolation policy was not effective because there were no confirmed cases in both the institution that conducted cohort isolation and the institution that were not isolated. It was also found that cohort isolation without pre-examining could rather cause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코로나19가 계속되면서, 사회복지 현장에서 코로나 19가 미친 영향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이제 막 시작되었지만, 사회복지시설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예방적 코호트 격리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예방 코호트 격리의 개념은 무엇인가? 코호트 격리의 효용성이 있는가?"라는 내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예방적 코호트 격리 개념과 예방적 코호트 격리에 대한 정책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적 코호트 격리에 대한 의학적 개념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염병 사전 예방과 사후 치료를 위한 개념 두가지를 합성한 용어로서 행정적 용어로는 사용가능하나 학문적 용어로는 부적합하다는 점이 나타났다. 둘째, 인권적 측면에서 예방적 코호트 격리는 사회복지시설 거주자와 종사자 모두에게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 인권침해를 발생시켰으며, 기본권 침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안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자체의 행정명령을 통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낙인현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방적 코호트 격리의 근거가 된 법률을 분석한 결과 감염병예방법과 재난관리법 두법 모두 감염병 확진자가 발생되지 않는 사회복지시설에 예방적인 목적으로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는 것은 부적합하여, 행정명령의 근거로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넷째, 행정명령을 통한 기본권의 제약이 행해진 예방적 코호트 격리 정책을, ‘행정상 즉시 강제’의 적용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법적인 근거나 행정상의 장해 그리고 시급성 등에 있어서 그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예방적 코호트 격리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코호트 격리를 실시한 시설과 격리하지 않는 시설 양자 모두에게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아 예방적 코호트 격리 정책의 효과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전검체검사 없는 코호트 격리는 오히려 감염병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 19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예방적 코호트 격리는 시설 거주자와 종사자에 대한 인권침해를 발생시키는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정책일 뿐 실효성있는 정책은 되지 못하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해서는 안된다. 예방적 코호트 격리 정책을 폐기하고, 안전취약계층이 거주하는 사회복지시설에서 감염병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적 정책을 강화하여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김영범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ocial isolation level in elderly Korean. The author classified the social isolation into the structural isolation and contact isolation. Structural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no spouse or no children and the contact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absence of contact with children, friends or social association. Author conducte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5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Number of sample was 3,971.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as lower according to level of social iso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friends/neighborhood isolation, and social activity isol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gnitive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 suggested that to protect the elderly from negativ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we needed the policy to promote elderly's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The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isolation was also needed.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3,971명을 대상으로 다변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수록 인지기능 수준이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고립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친구∙이웃 고립, 사회활동 고립이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노인의 인지기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고립의 영향을 고려할 때 향후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이상철(Lee, Sangchul),조준영(Cho, Joonyou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핵심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들의 역동성과 관련한 논쟁이 존재하고, 두 번째는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이 과연 선형적인 관계인가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가와 관련한 논쟁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을 설정한 상호작용모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객관적・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주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아울러 이질적인 연령집단에 따른 관계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 개념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KSHAP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한 반면, 주관적 사회적 고립은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과 이질적인 연령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신체적 건강에 대해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객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전기노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후기노인의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집단에 따라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과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객관적 사회적 고립과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long with the well-established evidence on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isolation. One line of study on social isolation has discussed different pathway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nd health. Another stream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ossibly non-linear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health by age cohort groups. Drawing from the two lines of research, this study aimed at empirically examine to what extent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ependently and how the associations vary by three age cohorts(i.e.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the old-old). Data came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N= 814). Findings showed 1) objective subjective isol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wors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terestingly,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a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nly, 2)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physical health varied by age cohorts.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with higher objective social isolation exhibited lower level of physical health, while the old-old with higher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ere likely to experience lower physical health.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relevant policy/program development for amelior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 ‘코호트 격리’ 및 ‘예방적 코호트 격리’의 위법성과 사회안전망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 : ‘(예방적) 코호트 격리’의 피해 현황을 중심으로

        정제형 ( Jeong Je Hyung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21 공익과 인권 Vol.21 No.-

        본 연구는 한국에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요양시설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하여 주로 시행된 ‘코호트 격리’와 ‘예방적 코호트 격리’가 위법한 조치임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위법한 ‘(예방적) 코호트 격리’가 시행될 수 있었던 구조적 원인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ㆍ외 보건지침에서 코호트 격리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피고 한국에서 ‘코호트 격리’와 ‘예방적 코호트 격리’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코호트 격리’와 ‘예방적 코호트 격리’가 법적 근거 없이 시행되었으며 비례의 원칙에 위반하여 위법한 조치임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위법한 ‘(예방적) 코호트 격리’의 시행의 배경에 미흡한 공공의료체계와 시설 중심의 복지체계의 문제가 있음을 밝히며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cohort isolation” and “preventive cohort isolation” mainly enforced on nursing facilities and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the case of COVID-19 crisis in Korea were illegal measures. In addition, it seek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cause that led illegal “(preventive) cohort isolation” to be implemented. The study examines how cohort isolation is defin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health guidelines and look into how “cohort isolation” and “preventive cohort isolation” have been being implemented in Korea more specifically. Based upon this, it reviews that “cohort isolation” and “preventive cohort isolation” are illegal measures because they were implemented without legal basis and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conclusion, it points out that incompetent public health care system and facility-oriented welfare system has given rise to “(preventive) cohort isolation,” and suggests improvements.

      • KCI등재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 구성요소와 성과지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윤민,김은정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ol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social isolation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The review revealed that social isolation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mprising relational, informational, spatial, and psychological isolation. It is also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factors at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levels. Thus, projects to prevent or alleviate social isolation inevitably have a complex nature, as they must address all these multi-layered risk factors. For the success of such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lear final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effectively guide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major components of the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1) intervention projects aimed at mitigating personal isolation risk factors, (2) projects emphasizing community-level responses to strengthen local community cohesion, and (3) projects building institutional system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lutions to isolation problems. We also proposed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ultimate achievement of objectives for each project area. We hope that the project areas and performance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useful guidelines for designing future projects aimed at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의 주요영역과 성과지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고립의 개념을 검토하고, 생애주기별로 사회적 고립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검토결과 사회적 고립은 관계적, 정보적, 공간적, 심리적 고립 등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구성되고, 개인적, 커뮤니티적, 제도적 원인 등과 같은 다층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사업은 다층적 위험요소들 모두에 대응해야 하는 복합적이고 복잡한 성격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성격의 사업이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과 실행, 관리와 평가의 전 과정에서 최종 목표와 성과지표가 사업 진행의 나침반 역할을 제대로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다룬 기존의 실천적, 정책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핵심 구성영역과 성과지표들의 속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구성영역을 다음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개인적 고립위험 요인을 완화하고자 하는 고립대상 개입사업, 둘째, 커뮤니티적 차원의 대응을 강조하는 지역공동체성 강화사업, 셋째, 고립문제 해결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체계 구축사업이다. 이와 함께 각 사업영역별로 궁극적인 사업목표 달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들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업영역과 성과지표들이 향후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한 사업 설계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Shaking Table Study of the Three-Dimensional Isolation of a Cylindrical Reticulated Shell

        Gui-bo Nie,Chenxiao Zhang,Zhi-yong Wang,Yu-jie Shi 한국강구조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Vol.22 No.2

        A set of shaking table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single-layer cylindrical reticulated shell (SLCRS) with three-dimensional column-top seismic isolation. The infl uence of infi lled wall on the seismic and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was investigated. The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with and without seismic isolation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 ects of seismic isolation. The dynamic responses of lower-frame models with and without an infi lled wall were also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 ects of the infi lled wall on the seismic iso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hree-dimensional column-top seismic isolation improved the seismic safety of infi lled wall. At the same time, the three-dimensional column-top isolation bearing can signifi cantly reduce the acceleration and stress of the structure. The excellent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isolation bearing promises outstanding application prospects for this isolation bearing in highly seismic areas. In addition, under a small earthquake, the acceleration of the second fl oor with the isolation bearing was unfavorably magnifi ed. Therefor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acceleration-sensitive nonstructural components should be improved when the three-dimensional column-top seismic isolation is applied in the areas of low seismicity. The test data and conclusion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can provide theoretical and technical support for the actual engineering application of such three-dimensional seismic isolation bearings.

      • KCI등재

        운동 동아리 참여와 우울감, 사회적 및 정서적 고립감과의 관계

        한지영(Ji Young Ha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emotional isolation of sport participation and club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re were 337(participation), 381(non-participation) used for the analysis. The total was 718.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Radloff(1977) translated by Lee, M. K.(1992) and ESLI(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Vincenzi & Grabosky (1987) translated by Lee, H. L.(1997) was measured the participation.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2-way ANOVA, 2-way MANOVA, T-test. The conclus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depression and social/emotional loneliness and isolation at sport participation and gender. In sub-factors of social/emotional loneliness and isolation, the sport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isolation, emotional isolation, social loneliness and emotional loneliness. The effects of sport participation and gender interacted to a significant degree on social loneliness. 2) The effects of sport club participation and gender interacted to a significant degree on social/emotional loneliness and isolation. In sub-factor, the sport club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isolation, emotional isolation. The effects of sport participation and gender interacted to a significant degree on social isolation, emotional isolation, social lonel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