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정보통신망 정부규제 및 자율규제 현황

        양지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가천법학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government and market regulation as well as industry's self-regulation in achieving the information network security system in the U.S. This paper reviews the U.S. government regulation for our reference, and then reviews the market regulation to check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same goals through a market regulation before the government steps in, and then reviews the industry's self-regulation for more efficient allocation of government resources in case the network security could reach a certain level of comfort through industry's technical innovation. The review of the U.S. federal legislation and the government's studies on cyber security indicates that the U.S. government's approach toward the cyber security tries to strike a sensitive balance between the two important values, the privacy protection and the deterrence of cyber crimes and punishment. The U.S. government study calls for strong government leadership in cyber security, but only through a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The review of U.S. market regulation also indicates that it may be more efficient to achieve cyber security through identifying industry best practices and user education than introducing the government regulation before the market gives its honest and best efforts for self-regulation. Given the very fast moving nature of the IT industry, rather than taking a more proscriptive approach, the U.S. government has taken the position that the government's role is to focus on ways to minimize risk and identify critical inter-dependencies to help lessen the threat and to identify the best practices of each industry and service providers. The proscriptive regulation led by the government, especially, the government taking an action in monitoring user computing environment, always has an inherent risk of endangering the trust model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users, and as a result, the government will end up taking on the unnecessary burden of balancing two conflicting values, the protection of user privacy and the building the trus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users. It appears that based upon industry-wide and government-sponsored user education, the government regulation will achieve the most efficiency when it is complemented with the market regulation and is used for punishment after the market regulation fails. 본 글은 미국의 정보통신망의 보호에 대한 정부규제와 자율규제, 그리고 업계의 자발적인 노력에 대한 실태 조사를 목적으로 쓰였다. 미국의 정부규제에 비추어 우리가 차용할 수 있는 정부규제와 정부규제를 적용하기 전에 자율규제를 통하여 같은 목적을 성취할 수는 없는지, 또한 기술적인 부분에서 업계의 노력이 더해진다면 정부의 효율적인 자원의 이용이 될 수는 있지 않은지 살펴 보고자 한다. 미국의 자율규제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호주와 일본의 모범사례를 발견하여 두 사례도 간략히 다루었다. 미국의 사이버보안에 대한 연방법과 미국정부 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미 연방법에서는 타인의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타인의 컴퓨터나 시스템에 손상을 입히는 여러 행위들을 규정하되 사생활의 보호와 범죄의 방지와 처벌이라는 두 가치의 공존을 위한 균형을 조심스럽게 찾고 있다. 정부보고서에서는 미 정부가 강력한 리더쉽을 가질 것을 제안하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에 의한 사이버보안보다는 정부와 민간기업의 공조를 통한 사이버 보안을 이룰 것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의 자율규제 환경을 살펴보면, 정부주도의 규제보다는 모범 사례의 발굴 및 홍보를 통하여 사용자 보안을 추구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미국 정부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그 어떤 분야보다도 발전의 속도가 빠른 IT산업의 특성상, 정부는 네트워크의 위험을 줄이고 치명적인 의존 상태가 어디에 있는지 찾아내어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역할에 충실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에 대해서는 각 산업별로, 그리고 서비스제공자별로 모범 사례를 찾아서 널리 장려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미국 정부는 보았다.정부 주도의 규제 방식, 특히 정부가 주체가 되어 사용자 컴퓨터 사용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에는 사용자와의 “신뢰 모델”을 깨뜨릴 수 있다는 위험이 상존하며, 그러한 경우 정부로서는 “사생활의 보호”와 “정부와 사용자간 신뢰 구축”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그러한 이유로 미국 정부는 “신뢰 모델”과 “사후 조치 모델”이라는 기조를 취하게 된 것이다. 충분한 사용자 교육을 전제로 하여, 업계의 자율적 규제를 보충하고 사후 처벌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때 정부 규제는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AI 위험인식이 규제 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통한 탐색

        김나리(金나리),유한별(劉한별) 한국지방정부학회 2024 지방정부연구 Vol.28 No.2

        As AI-based technologies become more sophisticated, concerns about the side effects that may arise from AI are increasing. Problems caused by AI can lead to direct damage to individuals and society, leading to strong demands for regulation. However, risks posed by AI cannot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government regulation, alternative regulatories such as co-regulation, independent agency 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are being discussed, but related empirical research has been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I risk perception(social and ethical risks and technical risks) and preference for regulation types(government regulation, co-regulation, independent agency 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government and co-regulation model, there can be a shift from government regulation to preference for co-regulation due to risk awareness of technology abuse, job loss,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system control failure. Second, in the government and independent agency regulation model, there can be a shift from government regulation to preference for independent agency regulation due to the perception of job loss, security incidents and inaccurate results. Lastly, in the government and self-regulation model,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opacity were found to influence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regulation to self-regulation.

      • KCI등재

        경제적 규제에 있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과 역할

        최승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3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3 No.4

        규제란 국가가 특정영역을 선택하고 동 영역에서 특정한 행위를 영위하고자 하는 자에 대하여 일정한 요건을 정하고 그 준수의 여부에 따라 이를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규제의 개념은 법적인 측면에서 헌법 제37조 제2항, 행정규제기본법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과 연관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규제의 발현은 각 개별법에 의한다. 규제는 경제적 규제, 사회적 규제, 행정적 규제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비중이 큰 규제가 경제적 규제이다. 경제적 규제는 다시 진입규제, 가격규제, 품질규제로 나눌 수 있다. 규제는 행정규제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규제법정주의에 따라 그 기본적 출발점은 법률에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법률의 위임에 의해 자치단체의 사정에 부합하게 조례제정을 통해 규제를 구체화하고 집행하게 된다. 자치입법권이 발현될 수 있는 것은 고유사무와 단체위임사무이며, 기관위임사무의 경우에는 법령에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만약 전국적으로 통일성이 필요한 분야이거나, 규제완화시 ‘규제쇼핑’이 가능한 경우에는 자치입법권이 제한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자치입법법원의 형성에서 법령위반이 발생하는 경우는 법령상 규제기준을 조례가 초과하는 경우, 법령상 위임의 근거가 없는 규제가 설정되는 경우, 상위법령에서 위임한 범위를 벗어나 규제를 형성한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법령의 상한 내에서 조례로 제재기준을 구체화하거나 차등화하는 경우에는 일률적으로 위법가능성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우며, 각 개별적 상황에 따라 판단된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규제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중앙정부에 의한 규제심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이 이루어지게 되며, 지방규제개선위원회를 통해 규제이슈가 점검된다.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규제개혁을 위한 기구를 두고 있으나, 그 실질적 활용성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그치고 있다. 규제분야에서 자치입법권의 확대와 관련하여서는 그 장․단점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된다. 지방자치단체간 규제경쟁이 발생할 경우 전체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견해와 자치입법권의 확대는 지방자치제도의 취지에 부합하고 당연하다는 견해이다. 최근 판례의 입장은 규제현장의 특성에 부합한 규제 조례의 성립과 집행여지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하는 규제관련 조례에 대해서는, 규제개선을 위해 표준조례와 같은 모델제시나 일정한 규제기준의 제시 및 그 개선이 필요하다. 이는 중앙정부차원에서나 지방자치단체 차원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민참여에 의한 방법도 포함한다. 규제의 수를 줄이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규제의 질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방의 현실에 부합한 규제설정과 집행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이 중요하며, 아울러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간 협력 역시 필요한 부분이다. Regulation means to determine certain requirements for those desiring to carry out a particular conduct in a particular sector selected by the nation and to provide approvals or refusals on such depending on the compliance level. The concept of such regulation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matters regulated in Article 2 of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Article 37 Clause 2 of the Constitution from a legal perspective,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specific rules depend on each individual law. Regulations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regulation, social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the regulations with the largest weight is economic regulation. Economic regulation can further be divided into entry regulation, price regulation, and quality regulation. The basic starting point of regulations is based on law pursuant to the regulation laws that is provided i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 Local governments specify and execute such regulations through enacting ordinances conform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local government through power delegated by law.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may be revealed through autonomous affairs and mandated delegated affairs, however, agency delegated affairs only pertain to situations where there are regulations in the laws. If there is an area requiring national uniformity or if ‘regulation shopping’ is available by alleviating the regulations,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may be restricted. The situations where laws are violated upon forming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are when an ordinance exceeds the level of regulations under the laws, when a regulation having no basis of delegation under the laws is established, and when a regulation is formed by exceeding the scope delegated by superior laws. On the other hand, when materializing or differentiating the restriction levels within the limits of the law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etermine the likelihood of violation, thus, each individuals situation is determined separately. When regulations are established in the local government level, a regulation evaluation is made by the national government. In this case,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s formed, and the regulation issues are examined through the local regulation improvement committee. There are organizations for regulation reformation in each local government, however, only some of the local governments actually utilize such organizations.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regard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lating to the expansion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n the regulations sector. Some opine that there may be negative effect on the nation and all local governments if a competition of regulations occurs between local governments, whereas some opine that the expansion of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is reasonable. The stance taken by recent case law is to form regulations ordinances conform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ion site and to expand the likelihood of enforcement. Regarding the current ordinances relating to regulations enacted by local governments, there is a need to suggest certain regulation standards or models such as the standard acts for regulation improvement and to actually make such improvements. This should be realized both in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include methods of resident participation. The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regulations is important,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enhance the quality of regul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for establishing and enforcing regulations conforming to the reality of local areas is important, and cooperation between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is also required.

      • KCI등재

        공정경쟁 실현을 위한 자율규제의 역할과 방향

        백대용 ( Daeyong Baek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1

        Self-regulation is an example of a way in which the ordinary public duties of a government administration to use its authorities to create legislation to implement policies is passed unto a private citizen to carry out those tasks in the administration’s stead. As a result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which had formerly taken full responsibility of creating,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different policies designed for and under specific purposes and restrictions, allows the non-government figure(s) to be responsible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their own policies. In this way self-regulation which is a method of allowing the public to regulate themselves is essentially a transference of some of the responsibilities of an administration over to the aforementioned public. However, despite calls for an increase of self-regulation, workers currently working under areas designated for self-regulation have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interfering “too much” and desire a legalization of self-regulation laws to discuss the justifiability of the government’s actions in interfering. As a response to the multiple issue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business and in the economy businesspeople argue self-regulation to be the solution, whereas the government questions the effectiveness of self-regulation and believes instead in implementing stronger governmental policies in the form of a “larger” government. The democratization of the economy is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in today’s world in the realm of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ies, and its aim is to provide as much economic fairness and freedom to the individual provided under the constitution as is possible without hurting the efficiency or the stability of the economy. Taking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to achieve further democratization of the economy it is impossible to ignore the advantages of self-regulation and we must collectively strive to seek more effective solutions involving self-regulation.

      • KCI등재

        한국 지방규제의 변화 특성 분석: 신설・강화・완화를 중심으로

        엄영호,손선화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4

        As an active measur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regulatory regime and the field, local government-led improvement efforts are essential to successful regulatory reform. The regulatory reform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re likely to be inconsistent with local regulatory enforcement. In promoting reform, however, local governments are still the agents of the central government not as subjects and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of regulation creation, tightening, and deregul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examines the dimensions of the change of local regulations instead of the dichotomy of existing deregulation and strengthening regulations.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dynamic features of local government regulation, we analyzed 5,722 changes in the regulation of newly-established, tightening, and deregulation among total local regulations in regulatory information portal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ynamics of local regulation, the economic regulation has gradually eased and the new regulation of social regul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 comparing the regional regulatory chang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and financial budget of the region and the number of regulations were not related. Although local governments have continuously made efforts to improve local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regulatory reforms, the level of regulatory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is still insufficient, suggesting that local governments need to expand their regulatory discretion. Finally, we derive the implication that regulatory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achieve public interest gains and enhance the quality of reg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ocal regulatory reform governance. 지방정부 중심의 개선 노력은 규제 제도와 현장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성공적인 규제개혁에 필수적인 요소다. 중앙정부 주도의 규제개혁은 지방정부의 집행현장과 유리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혁을 추진함에 있어서 지방정부는 여전히 주체이자 참여자가 아닌 객체로서 중앙정부의 대리집행자 역할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규제 신설, 강화, 완화라는 변동의 특성에 주목하여 기존의 규제완화와 규제강화라는 이분법적 접근 대신에 전체 지방규제 변화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지방정부 규제변화의 실태와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규제정보포털의 전체 지방규제 38,776건 중 신설, 강화, 완화의 규제 변화 5,722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지방규제 동태적 변화의 분석 결과, 점차 경제적 규제는 완화되고 사회적 규제의 신설이 급증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또한 광역의 지방규제 변동을 비교한 결과 지역의 인구 및 재정 규모와 설치된 규제의 수는 비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정부의 규제 개혁에 따라 지방정부의 지방규제 개선 역시 과거에 비해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질적 수준을 높이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한 성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사회적 규제는 지역간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자율의 수준이 여전히 미흡하여 지방정부의 규제재량권 확대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더불어 지방규제 개혁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공공의 이익 증진을 달성하고 규제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으로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적 규제 노력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 공동규제(Co-regulation)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I)

        최유성,이민호,조창현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본 연구는 공동규제의 시론적 연구로서 수행한 한국행정연구원의 2008년 「공동규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에 이은 후속연구로서 공동규제 연구의 종합적이고 심화된 정책연구를 지향하고 있음. ○ 2008년도 연구는 국내외의 공동규제 논의를 종합하면서 공동규제의 개념 및 이론적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공동규제적 성격이 강한 일부 분야에 적용하여 향후 공동규제 도입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를 안고 있었음. - 첫째, 공동규제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골격을 구축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이론적 연구의 성격이 강함. - 둘째, 제한된 사례연구로 인해 공동규제 거버넌스의 구조와 거버넌스 참여자들의 역동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지 못해 우리나라 공동규제의 현황과 특성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함. 거버넌스(governance) 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변화와 기존의 명령지시적 규제방식의 한계 등으로 인해, 전통적 규제와 자율규제 방식이 안고 있는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절충적 장점을 갖는 `공동규제`라는 새로운 규제방식에 대한 실용적ㆍ학술적 필요성에 근거하여, 공동규제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2008년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동규제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는 전 분야를 대상으로 공동규제의 참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공동규제방식의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공동규제시스템의 행위자들간의 인식 차이와 현재 운영방식의 장단점 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여, 공동규제방식의 도입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우리나라 공동규제 실태 분석 ○ 본 연구에서는 공동규제의 주요한 네 가지 행위자라 할 수 있는 정부, 자율규제기구(SRO), 회원사,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우리나라 공동규제의 실태를 분석함. ○ 정부와 자율규제기구(SRO)간의 관계 - 첫째, 우리나라 공동규제체제에서 정부 개입의 정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예) SRO인 사업자단체에서 자율규제를 제정하고 정부의 승인ㆍ허가 등을 받는 경우가 83.2%에 달함. - 둘째, 정부와 SRO와의 관계에 대해서 SRO와 공무원은 대체로 `수평적`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회원사와 시민단체는 `수직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 셋째, SRO가 정부로부터 위탁이나 대행, 위임의 형태로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우리나라 정부기관과 SRO간 관계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남. ○ SRO와 회원사간의 관계 - 첫째, 우리나라의 SRO와 회원사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SRO의 독점성과 지배성의 수준이 높다는 점이며, 산업분야별로 1~2개의 SRO가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둘째, SRO는 소속 회원사에 대해 단순한 사업상의 편의 이상의 것을 제공함으로써 회원사에 대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셋째, SRO의 바람직한 재정적 기반에 대해서는, SRO의 경우는 `회비`와 `사업을 통한 자체수입,` 공무원은 `회비를 통한 수입,` 회원사는 `정부보조금,` 시민단체는 `회비`와 `자체수입` 등을 중요하게 생각함. - 넷째, SRO의 회원사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과 자율규제방식의 실효성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SRO의 회원사에 대한 실질적 제재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부정적인 응답을 보임. - 다섯째, SRO가 자율규제를 제정하는 과정에서 회원사의 의견을 반영하는 수준에 대해서, SRO는 그 수준이 높다고 한 반면, 회원사는 낮다고 상반된 인식을 보임. - 여섯째, SRO와 회원사간의 갈등에 대해서, SRO는 갈등 수준이 높지 않다고 답하여, 회원사, 공무원, 시민단체의 경우와 상반된 인식을 보여줌. ○ SRO와 시민단체간의 관계 - 첫째, SRO와 시민단체간의 접촉은 빈번하지 않음. - 둘째, SRO와 시민단체간 관계의 우호성에서, SRO는 `우호적`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나, 회원사나 시민단체의 경우 `적대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셋째, 시민단체가 현재 SRO가 주도하는 `자율규제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SRO와 회원사는 반대 입장이 상당히 높은 반면, 시민단체와 공무원은 매우 긍정적임. - 넷째, 바람직한 SRO의 역할에 대해서 SRO, 공무원, 시민단체는 `공익의 관점에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강조한 반면, 회원사는 `자신이 속한 전체 업계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대변하는 역할`을 선호함. ○ 공동규제의 효과성 인식 - 첫째, 공동규제 체제의 효과성에 대해 응답자 집단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은 공무원집단이며, SRO와 시민단체도 긍정적인 응답이 우세하나, 회원사의 경우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남. - 둘째, 공동규제 운영과정에서 정부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공무원의 경우 과반수가 긍정적인 반면, 시민단체가 가장 부정적이었으며, SRO와 회원사의 경우는 1/3 정도만이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음. - 셋째, 공동규제의 단점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가 존재함. SRO 의 경우 다수가 `자율규제 집행의 지연 부분`을 지적하였고, 공무원, 회원사, 시민단체의 경우에는 `자율규제기구의 자율성 훼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특히 회원사의 경우 `개별 사업자의 부담 증대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높게 나타남. - 넷째, 정부개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도 집단간 차이가 큭 나타남. SRO의 경우 `자율규제와 관련한 정보제공 기능,` 공무원과 회원사의 경우는 `기본적인 규제 방향의 설정`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음. □ 우리나라 공동규제의 특성 ○ SRO의 유형 분류 - 공동규제의 중심축을 이루는 정부와 SRO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국가개입 정도`와 `SRO의 소속 회원에 대한 지배력`을 기준으로 SRO의 유형을 분류함. - `국가 개입 정도`:SRO의 정부로부터 자율성 정도`SRO의 소속 회원에 대한 지배력`:SRO가 소속 회원들에게 부과하는 규칙이나 기준의 법적ㆍ실질적 강제력 정도 ○ `SRO 유형`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공동규제의 특성 -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공동규제의 성격은 대체로 강한 국가개입을 특징으로 하는 바, 우리나라의 SRO는 국가 개입 정도와 SRO들의 회원사에 대한 지배력이 모두 강한 `유형 1`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아울러, 국가개입 정도는 강하나 SRO의 지배력은 약한 `유형 2`와 SRO의 지배력은 강하나 국가개입의 정도는 약한 `유형3`도 높은 비중을 차지함. - 그러나, 우리나라 SRO의 특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응답자 집단간의 상당한 인식 차이가 존재함. 즉, SRO는 `유형1`과 `유형4,` 회원사는 `유형2,` 공무원은 `유형3` 그리고 시민단체는 `유형1`을 우리나라 SRO의 특징적 유형으로 인식함. □ 우리나라 현행 공동규제의 문제점 ○ 첫째, 공동규제의 핵심적 주체로서 SRO의 충분한 역량과 대표성이 미흡할뿐더러 개별 조직마다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음. - SRO 내부 임원의 구성이나 이사회 운영에 있어서 정형화된 형태를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며, 해당 업계의 대표성을 인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회원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경우도 상당 수 파악됨. ○ 둘째, SRO의 정부에 대한 밀착도 내지 친밀도가 상당히 높으며, 이로 인해 일방적 의존 관계의 형성이 우려됨. - SRO에 대한 정부의 관여 수준을 묻는 대부분의 질문에서 SRO 들은 정부의 관여 수준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오히려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수준보다도 낮은 것으로 응답하는 경우까지 발견되고 있음. ○ 셋째, SRO와 정부간의 긴밀한 관계 수준에 비해, SRO와 소속 회원사들간의 인식 수준이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음. - SRO는 대부분 정부와 SRO간의 관계를 `수평적` 관계로 인식하는 반면, 회원사들은 대부분 정부의 일방적인 수직적 관계로 인식함. - 자율규제 내용의 타당성이나 집행의 공정성 등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SRO는 긍정적으로 응답하는 데에 비해 회원사들의 불만은 상당히 높은 수준임. ○ 넷째, 정부에 대한 외부적 책임성에만 민감한 SRO의 한계로 인해, 자율규정을 위반한 회원사에 대한 실질적인 제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내부 회원사들을 감독하고 지도할 실질적인 영향력이 미흡하여 공동규제의 효과가 저하되고 있는 실정임. - 실제로 SRO와 회원사들이 인식하는 공동규제의 효과성이 그리 만족스럽지 않게 나타난 부분도 이를 반영하고 있음. ○ 마지막으로, 공동규제를 둘러싼 각 이해관계집단들의 이중적인 태도와 그에 따른 실질적인 해결방안 모색의 어려움이 존재함. - SRO나 회원사들은 정부 개입에 따른 불만을 제기하면서도 정부보조금을 통한 단체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 반대로, 공무원들은 자율규제기구가 회원의 자율성을 훼손하지 않고 회원의 회비를 통한 조직 운영을 희망하면서도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음. - 이러한 이해관계자 집단들의 이중적 태도로 인해 공동규제를 둘러싼 실질적인 문제와 그 해결방안이 적절히 대응되지 못하고, 하나의 이념적 가치로서 공동규제에 대한 막연한 인상만을 심어줄 우려가 적지 않음. Ⅲ. 정책대안 □ 향후 정책의 방향성 ○ 규제개혁 관점에서 공동규제는 `탈규제`(de-regulation) 개혁방안으로도 논의될 수 있고, `재규제`(re-regulation) 개혁방안으로도 논의될 수 있음. (Vogel, 1998). ○ 연구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자율규제체제에서 정부의 개입정도가 매우 높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공동규제는 정부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향보다는 정부의 엄격한 명령지시적 규제를 시장화 하는 `탈규제` 방향에서 기본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음. - 다만 기존의 자율규제기구가 지나치게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측면에서만 `재규제` 방안이 제한적으로 모색되어질수 있을 것임. ○ 우리나라 SRO의 책임성 확보를 통해 공동규제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 □ 규제거버넌스 관점에서 민ㆍ관의 역할 분담 체계 구축 ○ 공동규제에 있어서 민ㆍ관의 역할 분담의 중요성 - 공동규제는 공적 규제기구와 민간의 자율규제기구가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해 규제거버넌스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적절한 민ㆍ관의 역할분담 체계 형성이 공동규제 성패의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음. - 특히, 다수의 연구들은 공동규제가 효율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정부와 자율규제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관계를 지적하고 있음. (Michael,1995; Budnitz, 1999; Treasury, 2000; Machill & Rewer, 2001). ○ 유럽연합 공동규제의 민ㆍ관 역할 분담 경험 활용 -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공동규제는 정부의 개입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수의 SRO가 시험, 검증, 조사 등의 사무를 위탁 수행하여 운영비용 및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정부와 SRO간의 지나친 유착관계를 낳을 우려가 있음. - 이런 점에서 유럽연합(EU)의 사례에서처럼 민간 SRO에 규제 재량권이 상당히 위임될 필요가 있음. 즉, 정부는 규제의 기본적인 틀을 수립하고 사후적으로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자율규제기구는 실제 영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세부적인 규제집행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 그러나 민관간의 역할분담의 형태는 규제영역에 따라 상당히 상이할 것으로 예상됨. ○ 효율적인 공동규제체제를 위한 바람직한 정부의 역할 - 정부에 의한 공적규제는 규제 목표의 기본원칙과 큰 흐름을 잡아주면서 규제의 실효성 확보 및 엄정한 시장 질서를 유지하는 큰 축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함. - 정부의 공적규제기관은 `사전적 위임`(prior delegation) 뿐만 아니라 `사후적감시`(post oversight)를 통해 민간의 자율규제기관의 권한 행사가 공익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기존 이익의 유지 및 신장을 위한 업계의 반경쟁적 행위를 방지하며, 자율규제기관의 조치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어야 함. - 정부의 공적규제기관은 효율적 감시를 위해 민간부문의 자율규제기구 설립요건의 심사권, 자율규제의 제정 및 개정 요구권 또는 직접적인 제정 및 개정권의 보유, 감독 법규 및 자율규제에 대한 독자적 집행권, 자율규제기구의 자율규제 및 집행조치에 대한 심사권, 그리고 이와 같은 감독의 실행을 위해 자율규제 준수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가진 인력과 역량을 충분히 보유해야 함. ○ 규제 세부규정의 재ㆍ개정권 자율규제기구로 위임 - 규제에 대한 세부사항은 자율규제기구에 의한 자율규제로 위임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 자율규제기구는 정부의 행정기관에 비해 영업행위 관련 정보와 전문성에서 우위를 지니고 있으므로 영업행위에 관한 자율규제권을 행사함. 따라서, 자율규제기구가 일차적으로 시장 및 소속 회원(사)에 대한 규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영업행위 부분에 대한 규제를 담당하도록 함. - 이는 자율규제기구가 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영업행위 규제와 전문인력 관리의 연계로 규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때문임. ○ 자율규제기구의 정책참여를 위한 `정책협의회`의 활성화 - `정책협의회`의 실질적 활성화를 통한 정부와 자율규제기구간의 수평적 협력관계 증진이 필요함. - 연구 결과에서도 보았듯이 정부와 시민단체에서 강조하는 자율규제기구의 정책 참여방식은 공식적인 `정책협의회`를 통한 수평적 관계에에 근거한 협력적 관계에 기반함. 물론 정부의 의도는 다를 수 있겠지만, 이러한 `정책협의회`를 통해 보다 쌍방향적인 자율규제기구의 활동이 중요성을 가져야 함. - 실제에 있어서 자율규제기구들이나 소속 회원사들은 `정책협의회`를 정부기관의 들러리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는 그간의 `정책협의회` 운영이 상당히 형식적이었다는 점을 의미함. 따라서 자율규제기구들이 참여하는 `정책협의회`의 실질적 활용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기관과 친밀한 특정 자율규제기구만이 아닌 다양한 자율규제기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진작시킬 필요가 있음. □ 공동규제의 실효성 확보 방안 모색 ○ 공동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동규제 삼발이모형`의한 축을 구성하는 자율규제기구의 영향력이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오랜 정부 주도의 경제성장의 제도적 유산의 결과로 지금도 시장에 대한 강력한 정부개입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 공동규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카운터파트가 되는 자율규제기구의 영향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함. ○ 자율규제기구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 - 자율규제기구가 영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분야의 기업 혹은 개인들의 폭넓은 가입이 전제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가입강제 등과 같은 실질적인 영향력 확보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음. - 현재 여러 개로 분산되어 있는 자율규제기구를 통합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음. 자율규제기관이 영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해당영역에서 독점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회원들에게 규제권을 행사할 수 있음. 그리고 여러 자율규제기구가 난립하는 것은 일종의 중복규제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 ○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추진될 필요가 있음. - 첫째, 공동규제의 필요성이 높아 법적인 설립근거를 가지는 자율규제기관의 경우 그 영향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가입을 강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음. 예를 들어, 현재 증권업협회의 경우 그 설립근거가 증권거래법에 마련되어 있으나 금융회사의 협회 가입이 강제되어 있지 않아 자율규제의 실효성에 문제가 있음. 미국과 일본의 증권업협회 및 거래소는 관련법에 자율규제기구의 설립 근거가 명시되어 있어, 사실상 증권회사의 증권업협회회원 가입을 법적으로 유도하고 있음. - 둘째, 현재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는 자율규제기구를 통합하여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자율규제기구의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현재 많은 분야에서 자율규제기구들의 중복규제로 인한 책임 소재의 불명확성, 규제의 일관성 및 형평성 저하, 그리고 피규제자의 과중한 규제부담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음. □ 자율규제기구의 선별과 차별적 협력방식 도입 ○ 공동규제 성립 이전의 사전적 단계에서 공공성의 정도 및 조직의 수행 역량에 따른 자율규제기구의 선별과 함께 차별적 협력방식이 적용되어야 할 것임. ○ 현재의 공동규제 수행과정에서 자율규제기구의 선정은 해당 업계의 충분한 대표성을 확보하고 있을뿐더러 회원사들로부터의 내부적 책임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그리고 이를 통해 공동규제의 효과적 수행을 기대할 수 있는 단체들을 대상으로 엄격한 선별이 필요함. ○ 현재와 같이 급박한 규제입안과정에서 어떠한 자율규제기구에 규제 업무를 위탁할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질적 역량이 부족한 자율규제기구를 잘못 선정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구체화되고 정형화된 기준 및 지침의 마련이 요구됨. ○ 아울러, 이러한 기준에 따라 위탁되는 규제업무의 내용도 단체의 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어질 필요가 있을 것임. - 예컨대, 아직 확산되지 못한 신기술에 대한 규제에 대해 대규모 자율규제기구를 통한 획일적인 표준의 적용 보다는 소규모 전문업체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자율규제기구 단체들에게 상당한 집행의 재량권을 부여하는 수준에서 공동규제를 운영할 수 있을 것임. - 반대로, 업계의 대표성이 높은 단일의 대형 자율규제기구에 대해서는 그에 따라 적합한 규제 업무를 위탁하고 공동규제의 형식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임. ○ 그리고, 기존의 정부를 통한 외부통제의 방식을 자율규제기구에 속한 회원사들을 통한 내부통제의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율규제기구의 구성 및 운영등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필요함. - 다시 말해, 구체적인 공동규제의 내용이나 집행과정에 대한 직접적 정부의 개입 보다는 해당 공동규제를 수행하는 자율규제기구의 건전한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의 개입 양태가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임. - 정부의 규제 위탁이나 지원 및 협력이 이루어지는 자율규제기구에 대해서는 일정 수준의 단체요건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단체요건은 주로 회원들을 통한 자율규제기구의 내부적 책임성 확보가 가능할 수 있는 지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임. 물론 이 과정에서 오히려 정부 개입의 정도가 더욱 강화될 우려가 제기될 수 있으므로 과거와 같이 상시적인 보고와 감독을 통한 방식은 지양되어야 할 것임. - 또한, 개별조직이 아닌 전체 자율규제기구에 적용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침과 규정을 제시함으로써 개별적 간섭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임. □ 자율규제기구의 공익성과 독립성 확보 ○ 공동규제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율규제기구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해상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 - 즉, 자율규제기구는 정부에 의한 공적규제를 보완하며 규제의 효율성을 담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자율규제기구는 기본적으로 회원으로 조직되어 있는 구조상 자율규제의 기능과 회원 지원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이해상충의 문제를 내재하고 있음. 다시 말해, 업계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이해상충 문제가 지적되지 않을 수 없음. - 그러나, 이러한 이해상충의 문제는 자율규제기관의 역할을 확대하는데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 - 요컨대, 실효성 있는 공동규제를 위해서는 피규제의 사익 추구를 위한 자율규제가 아닌, 공익적 성격을 담보하는 장치와 이러한 장치의 미비시 그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보완조치 및 장치들이 확보될 필요가 있음. ○ 이처럼 자율규제기구의 내재적인 한계인 이해상충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율규제기구가 원래 의도했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공익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율규제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현재 많은 분야의 자율규제기구들은 내부에 자율규제 전담조직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기구별로 전담조직의 권한에 차이가 있고, 회원사 직원 및 시장운영 기능과 자율규제기능이 분리되지 않는 실정임. 따라서, 자율규제위원회의 설치근거 및 업무범위를 법령에 명시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자율규제기구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음. - 첫째, 현재와 같은 협회 산하 위원회로 조직하되, 인사권과 예산권의 독립성을 현재보다 대폭 강화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음. - 둘째, 자율규제위원회를 협회에서 완전히 독립하는 방안으로 가장 강력한 독립성 확보 방안이나 실제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여러 어려움이 예상됨. □ 자율규제기구 업무 수행의 투명성 확보 ○ 공동규제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인은 자율규제기구업무 수행의 투명성이라고 할 수 있음. - 자율규제기구는 정부에 대해서는 규제 권한을 위임받은 입장이고, 회원사에 대해서는 규제자이자 지원자, 조력자라는 상충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만큼, 투명한 업무 수행을 통해서 균형감과 신뢰감을 확보해야 함. ○ 이를 위해 공동규제체재 내에서 민간분야의 규제주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임. - 이러한 모니터링 수단으로는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보다는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고, 구성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업계의 영향 하에 있지 아니한 외부의 제3자가 참여하는 방식을 적극 권고해야 함. - 한편, 자율심의기구의 자율심의 및 규제 현황을 공개하는 것도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임. ○ 구체적으로, 자율규제기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함. - 첫째, 자율규제의 제정 및 개정 절차를 공개할 필요가 있음. 특히 이해관계자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규제 변경 예고 및 의견수렴 절차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제정ㆍ개정된 자율규제에 대하여 회원사 및 소비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그 내용을 공표 또는 인터넷 등에 게재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자율규제기구의 의사결정절차를 공개할 필요가 있음. 자율규제기구에 의한 담합행위, 불공정거래행위 방지를 위해 의사결정 의사록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야 함. - 셋째, 자율규제기구의 정보공개를 의무화해야 함. 자율규제 활동과 관련된 모든 정보에 대해 일반 국민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를 의무화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될 필요가 있음. - 넷째, 효율적이고 간소화된 분쟁조정 절차가 마련되어야 함. 자율규제를 운용함에 있어 소비자와 기업, 또는 기업간의 분쟁 해결을 위한 조정 및 합의절차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함. □ 자율규제기구 업무 수행의 자율성 및 전문성 확보 ○ 자율규제기구의 다원화를 통한 자율규제기구의 자율성 및 내부적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과거 국가조합주의적 정책체계에서 단일 대표의 원칙이 정책과정의 효율성이라는 긍정적 기여를 하였다면, 향후의 자율규제기구를 통한 공동규제의 방식은 정부주도적인 일방향적인 형태와는 달리 아래로부터 형성되는 자발성과 다원성을 통해 정책과정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향을 강조해야 할 것임. - 다시 말해, 공동규제와 관련해서도 정부 주도적으로 규제업무를 위탁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자율규제기구와 회원사를 통해 자발적으로 형성된 규율을 정부가 정당성과 합법성을 부여하여 공식화하는 방안까지 포함할 수 있을것임. ○ 그리고 이러한 부분은 일원화된 대표체계에서의 자율규제기구보다는 다양한 회원사들의 의견을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다원화된 자율규제기구의 존재를 가정할 때 가능할 수 있는 부분일 것임. -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도구로서 자율규제기구를 이해하는 공무원의 인식이 전환될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직접적인 자율규제기구의 형성과 운영에 간섭하기보다는 다양한 자율규제기구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 건전한 조직의 토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정자의 역할을 제고하여야 할 것임. □ 공동규제를 위한 시민사회의 참여 확대 ○ 규제거버넌스의 이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공동규제의 삼발이모형`의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모임으로서의 시민사회의 참여가 강조될 필요가 있음. - 인터넷 및 금융 등과 같이 빠른 환경 변화에 처해 있는 분야의 경우는 효과적인 감독을 수행하기에는 전문성과 인력이 부족함. 또한 자율규제기구는 피규제자인 개별회사의 연합체가 할 수 있으므로 항상 산업의 이익에 경도될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관련 분야 학자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한 시민사회가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 ○ 정부는 이처럼 시민단체의 참여를 제고하여 이들을 정부와 자율규제기구 간의 객관적 중재자로서 활용해야 할 것임. - 앞서 언급한 `정책협의회`의 운영과 관련해서도 자율규제기구와 공무원뿐만 아니라 관련 시민단체 대표들의 참여를 통해 자율규제기구는 물론 공동규제에 참여하는 정부 기관의 책임성에 대해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또한 공동규제에 대한 개념 역시 규제기관과 피규제기관인 정부와 자율규제기구, 소속 회원사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규제수혜집단으로서 시민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시민단체들의 참여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임. - 물론, 과거 일부 친정부적인 일부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한정된 참여만을 활용했던 부분이 한계로 제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민단체들에 의한 적극적인 참여의 수용 노력이 필요할 것임. ○ 시민단체의 직접적인 참여가 곤란한 경우는 자율규제기구 내의 자율규제위원회의 구성에서 시민사회의 참여를 의무화한다면 삼발이모형이 간접적으로 나마 충족될 수 있을 것임.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Background of the Research ○As a sequel to the 2008 KIPA Research Report, `A Study on Introduction of Co- regulation into Korea,`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and in- depth study on co- regulation systems in Korea. ○The 2008 Report was intend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oregulations systems and to redefine and analyze current regulatory systems in the major areas which had been operated under the title of `self- regulations` in Korea. - For the purpose, it reviewed the co- regulatory systems in EU countries and found lessons from their experience in systems and operation of the co- regulations. Utilizing the frames for analysis in the EU studies as a research tool, it diagnosed the regulatory systems and operating mechanism in the areas of Internet Contents, Internet Advertising, and Stock and Finance Markets in Korea. □Objective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2008 Report, this 2009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co- regulation systems in Korea by conducting survey research. ○The survey poll of participants (Self- Regulatory Organizations(SROs), SRO members, relevant public officials and citizen groups or NGOs) in the co- regulation systems, specifically, was designed to find out recognition gaps by the participants, the pros and cons of the current co- regulation systems, and ways and suggestions to reinvigorate the co- regulation systems.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as the current situation of co- regulation systems in Korea?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and SROs: it appears that the government is heavily involved in SRO operations by means of control, approval, and permiss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members of SROs and NGOs or citizen groups regard the relationship as `vertical` rather than `horizontal.` Most of the SROs do business for the government, or by delegation and trust of the government. ○Relationships between SROs and their members: the SROs provide members with more than the interests for their business so that they have substantial influence on them. It would be an exaggeration, however, to say that they have a strong hold on their members because they lack effective ways and means to impose sanctions against violators of self- regulation. On the contrary, compared to the SROs, the majority of their members think that the relationship is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SROs and NGOs: basically,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ROs and citizen groups or NGOs because the contacts are rare. Synthetically, since the SROs and their members tend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citizen groups or NGOs` capabilities and roles, it appears that they commonly do not want the citizen groups` involvement in their business. ○In sum, the co- regulation systems in Korea are characterized by strong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in the SROs and the SROs` strong hold over their members.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co- regulation systems in Korea? ○There are wide variations in the participants` evaluation of coregulation systems in Korea. ○While the SROs and citizen groups make a positive evaluation, it appears that the SRO members have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co- regulation systems, especially the role of SROs.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co- regulation system in Korea? ○The SROs as key actors in co- regulation systems not only lack representativeness and sufficient capabilities to play their roles efficiently but also show wide variation in their capabilities and resources. ○Since the SROs rely heavily on government, there are some concerns that they may belong to the government. ○There are wide differences in mutu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SROs and their members. The members of SROs have high level of complaints and dissatisfaction against the SROs in terms of validity of self- regulations (rules) and fairness in operating the systems. ○The SROs cannot impose sanctions against the violators of selfregulation rules properly and efficiently. In other words, they fail to secure actual influence on their members, so that it is doubtful that the co- regulation systems work efficiently. ○The actors in the co- regulation systems show double- faced attitudes. For instance, the SROs and their members place stro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while they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On the contrary, the public officials contend that the SROs restrict their members` decision- making rights, while they insist on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II. Policy Recommendations □Establishment of a division of roles among public- private sectors in the context of the co- regulation systems ○In the Korean case, strong government intervention in SROs runs a risk of resulting in their excessive reliance on the government, financially and operationally. It is, therefore, the proper and efficient ○Since the SROs rely heavily on government, there are some concerns that they may belong to the government. ○There are wide differences in mutu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SROs and their members. The members of SROs have high level of complaints and dissatisfaction against the SROs in terms of validity of self- regulations (rules) and fairness in operating the systems. ○The SROs cannot impose sanctions against the violators of selfregulation rules properly and efficiently. In other words, they fail to secure actual influence on their members, so that it is doubtful that the co- regulation systems work efficiently. ○The actors in the co- regulation systems show double- faced attitudes. For instance, the SROs and their members place stro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while they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strong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On the contrary, the public officials contend that the SROs restrict their members` decision- making rights, while they insiston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II. Policy Recommendations □Establishment of a division of roles among public- private sectors in the context of the co- regulation systems ○In the Korean case, strong government intervention in SROs runs a risk of resulting in their excessive reliance on the government, financially and operationally. It is, therefore, the proper and efficient division of functions among the government and SROs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co- regulation systems. It is desirable that the government frame and design the goals and general principles for regulation while the SROs elaborat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regulation and control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ion ○For efficient monitoring of SROs,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xtend the evaluation rights for SROs, including the right for evaluation of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lf- regulation by the SRO, to apply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of competent SROs, and to strengthen SROs` capabilities. □Empowerment of SROs in co- regulation systems ○To exercise the SROs` influence to their members, provide the SROs with institutional mechanisms to enforce on the membership in a relevant industry. ○It is urgent that current multiple SROs in an industry unify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In practice, dispersed SROs have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unclear responsibility through overlapping regulations, inconsistency and unfairness of regulations, and excessive burdens in relation to the regulated. □Sorting out the SROs and introducing a selective cooperation system ○Sort out the SROs which have qualifications such as representativeness in a relevant industry and the capability to satisfy the internal responsibility and operate a co- regulation system efficiently. ○For this purpose, set up specific and practical guidelines or standards to sort out qualified SROs. Based on the sorting mechanism, if possible, provide the SROs with differentiated missions and roles through a rating system of SROs. □Assuring the public roles and independence of SROs ○To invigorate the co- regulation systems, settle down the problem caused by conflicting double roles which the SROs have intrinsically situated as both regulator and helpmate of their members in the context of co- regulation systems. If the SROs lean toward a role as helpers to their members, it is hard to expect them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s that co- regulation systems are supposed to realize. On the contrary, if they commit themselves to the government`s orders or assignments, it will result in inefficiency by harming the SROs` independence. ○To establish the self- regulatory mechanism (SROs) with independence and discretion to guarantee its effectiveness, form `the self- regulation committee` under the SRO, which would include experts, scholars, public officials, and representatives from citizen groups (for instance, consumer protection NGOs). In addition, provide the SROs with considerable power of personnel and finance to strengthen their influencing power. □Assuring the transparency in management of SROs ○Transparency of SROs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co- regulation systems. To tighten the transparency of SROs, make it compulsory to open the processes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self- regul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SROs. □Expanding participation of NGOs in co- regulation systems ○To utilize citizen groups as mediators between government and SROs, make citizen groups participate in the `self- regulation policy committee` under the SROs.

      • 지방정부의 능력과 자율성 측정에 대한 연구 : 충남 16개 시군을 중심으로

        이재현,고승희 충북연구원 2007 지역정책연구 Vol.18 No.2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is systematically guaranteed, however, there still exists the tendency of central power and dependency of local government on central government following the central government-led controls, and the self-regulation for local economy has been interfered from the increased influence of global companies and large companies. Therefore, under the situation,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undertake the role as the alternative government on the state (central government), the discussion on the self-regulation and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is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16 cities and countie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ith a goal in mind. above all, the correlation of self-regulation and capacity for local government is analyzed to prove that the self-regulation and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can be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verall conditions and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elf-regulation and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show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and reality of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

        한국의 공동규제(co-regulation) 효과성의 영향요인과 발전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Moo Hyun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본 연구는 실증연구가 부족한 공동규제 분야에서 참여자 대상으로 한 실증조사를 통해 한국의 공동규제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공동규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공동규제(co-regulation)를 “공적인 목표의 달성을 위해 국가가 규제의 법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민간의 자율규제기관이 실제로 피규제자를 규제하는 역할의 분담이 이루어지는 규제방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부와 SRO의 관계, SRO와 소속회원사의 관계, 시민사회의 관계가 공동규제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공동규제효과성은 SRO에 정부관여 정도가 높을수록, SRO의 운영합리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SRO-시민사회가 클수록 증대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들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공동규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규제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민관의 역할분담 체계 구축, ② 공동규제의 실효성 확보방안 모색, ③ SRO의 선별과 차별적 협력방식 도입, ④ SRO의 공익성과 독립성 확보, ⑤ SRO 업무 수행의 투명성 확보, ⑥ 공동규제를 위한 시민사회의 참여 확대 This study aims to study empirically the factors of effectiveness of co-regulation and to suggest measures for more utilizing co-regulation in Korea. The meaning of co-regulation is the regulatory modes that share to regulatory roles and cooperate between government and self-regulation organizations(SROs) for gaining a public goal. In co-regulation system, government gives legal bases and SROs are mid-actors that regulate actually regulatees. In this study, we find that i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co-regulation as increasing level of governmental interventions, SRO’s influences, and NGO’s influences in co-regulation system. We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more utilizing co-regulation: ① to establish a role sharing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in perspective of regulatory governance. ② to search measures for effectiveness of co-regulation. ③ to introduce sound SRO’s filtering and supporting systems. ④ to make sure SRO’s publicness, independence, and transparency. ⑤ to enlarge participations of NGO’s in their decision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co-regulation.

      • KCI등재

        가짜뉴스 거버넌스: 정부규제, 자율규제, 공동규제 모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최지수,윤석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measure to combat fake news by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various regulatory measures discussed in politics and academia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Governance encompasses both the concepts of ‘old governance’(the traditional state-centered way of governing social matters) and ‘new governance’(which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governing social matt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fake news must not be confined to the old governance model bu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values of new governance. In order to find out the best model of coping with the problem of fake news,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hree different regulation models, namely legal/administrative model, self-regulation model, and co-regulation model, us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good govern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both the legal/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models conflict each other. The former is effective in directly controling fake news but it can threat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of speech, and the latter, vise versa. Co-regulation, a type of governance which encourages various stake-holders to intervene and collaborate, can be a feasible alternative measure in terms of tackling fake news effectively without endangering freedom of speech. The study reviewed the recent co-regulation case of European Union(EU), and used it as the reference to suggest an alternative measure of countering fake news problem in Korea.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정치권 및 학계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짜 뉴스 규제 방안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거버넌스는 조직, 사회체제, 또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조정 방법으로, 공권력에 의한 명령과 통제를 전제하는 정부 규제 중심의 구 (舊) 거버넌스와, 폭 넓고 유연한 사회적 협치를 의미하는 신(新) 거버넌스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 연구는 가짜뉴스 대응방안 논의가 공권력에 의한 직접적 개입 및 통제 중심의 논의에 갇히지 않고, 보다 다양한 사회적 규율 양식을 아우르는 신 거버넌스를 검토하는 차원의 논의로 확장될 때 사회적 합의 가능성 및 실효성 높은 방안 도출이 가능하다고 보고 신 거버넌스 기반의 평가기준(굿 거버넌스 요소)을 바탕으로 가짜뉴스의 법적 · 행정적 규제, 자율 규제, 공동규제 모형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정부의 법적·행정적 규제와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는 규제 주체의 과도한 권력 남용으로 인한 표현의 자유 침해 위험과 책임감 결여, 가짜뉴스 판단 및 심사의 참여성, 객관성 및 투명성 부족이라는 한계를 드러낸다.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협업하는 신 거버넌 스의 한 유형인 공동규제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유럽연합(EU)의 가짜뉴스 공동규제 방안을 사례로 참고하여 한국 상황에 적합한 가짜뉴스 공동규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환경규제 패러다임의 재편

        전재경 ( Jae Kyong Chun ) 한국환경법학회 2010 環境法 硏究 Vol.32 No.1

        신고전 경제학에 바탕을 둔 신자유주의는 정부규제에 바탕을 둔 환경규제를 폐지되어야 할 제도로 간주한다. 신자유주의는 최소한의 정부, 최소한의 규제, 재산권의 보장, 개인주의, 시장기구를 선호하고 법과 원칙 그리고 엄격한 제재에 바탕을 둔 법적안정성을 강조하고 사회주의를 배척한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사회주의와 대칭을 이루는 개념이 아니며 권위주의나 절대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사회주의와 대칭을 이루는 개념은 자본주의이다. 1987년의 헌법은 자유주의적 시장경제질서를 바탕으로 삼기 때문에 적어도 법적 영역에서는 자유주의나 사회주의의 대립이 문제되지 아니한다. 계약자유와 사유재산권 그리고 과실책임의 원칙 등은 근대법제의 확립된 골격이다. 자유주의는 막연하게 국토와 자원의 이용 또는 산업개발을 억제하는 환경규제를 문제삼고 규제완화나 폐지를 요구하지만, 현대 환경법제에서 더욱 문제되는 바는 오히려 자유주의가 그토록 갈망하는 재산권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환경비용이 내부화되지 아니한다는 점이다. 명령통제를 위주로 하는 규제 체계에서는 환경규제와 반규제가 서로 계산 없이 다투었다. 종래의 갈등관계에서는 환경파괴로 인하여 누구의 손실이 누구의 이득으로 귀결되는가를 산정하지 아니하고 환경오염과 환경복원으로 인한 비용을 누가 부담하여야 정의의 원칙에 적합한가를 따지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비경제적 구태를 극복하기 위하여서는 자유주의 진영이 갈망하는 바와 같이 생명과 생태계 및 자연자원을 둘러싼 재산권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각자에게 그의 비용과 책임을 정확하게 귀속시켜야 할 것이다. 재산권의 정립과 비용 및 책임의 귀속은 종래와 같은 정부모형에 따른 환경규제체계로는 해결이 어렵고 시장모형에 따른 환경규제 모형 즉 경제원리에 따른 환경규제체계로의 전환이 요청된다. 이는 규제 패러다임 재편에 해당한다. 신제도주의 학자들은 규제의 주체로서 시민사회와 시장을 인정하고 책임원리에 기초한 司法的 規制를 선호한다. 패러다임의 재편은 비규제화, 정부권한의 축소, 사후적 규제의 활용 및 규제 모형간 협력[協治]의 확대 등을 통하여 가능하다. 「녹색성장기 본법」에 따른 온실가스와 관리와 같은 새로운 정책목표들은 그 어느 부문보다 더 패러다임의 재편에 따른 정부와 시장 사이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Since the appearance of neo-liberalism in the 20th century late, the trend of environmental regulation reform worldwide has much influenced to the regulatory system 0f environmental law in Korea. Korean Government like the other countries` Government has tried to reform the regulatory system according to market-oriented mechanism. But the goals of economic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al policies are different from the goal of legal principles in some respects. Such differences has given rise to hindrance to the progress of regulation reform. There was basically a gap between economic policy and the legal system for a long time. Economy tries to achieve the efficiency whereas law tries to pursue the justice. Though economists are eager to alleviate the strict regulatory system but most legal scholars and lawy lo are reluctant to abolish the regulation heretofore because of legal stabilng tand equig. The tradition of administrative state theory which backed up the intervention by government into market adhered to endurance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But the regulatory reform in government regulation was driven unexpectedly by the failure of government. Many governments has endeavored to reform the whole regulatory system but could not succeed fully because new regulations showed up immediately after abolishing old regulations. So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top reforming only the regulatory system within the administrative area and to shift instead thereof the paradigm of regulation.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regulatory method under the command and control base at present into a new paradigm which recognizes the market or the community as partners. The government should allocate its regulatory matters suitable to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or governance to the market or the community. The market or the community also should have anorganization and capacity suitable to self-regulate or cross-regulate its regulatory matters together with the government as an equivalent partner. As the sample of paradigm shift in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reform, I would like to surrender the case of cap & trade system regulated by section 46 of the Basic Act of Green Growth toward Low Carbon Society 2009 in Korea which established the market-based emissions trade instead of command & control-based environmental tax system among stakeholders who emit GHGs into the air under the Kyoto mechanism principle. Such trend as flexible system should be expanded to another realms of land, energy, industry and environmental law for reforming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