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양혜영,김경미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2

        Th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gender typing of self, and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in 582 college students, which were 165 male students and 292 female students of colleges, and 125 female students of a college for wome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ssess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and the self perception in three domains: occupations, activities, and traits. Female students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across domains. In gender typing of sel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gender-typed self-endorsemen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showed that the flexibility of gender schema appeared among female students.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nd activities showed greater endorsement of masculine items for self.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ctivities, or traits showed less endorsement of feminine items for self.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of others and self measures revealed the three meaningful factors, which were gender attitudes, feminine self, and masculine self. Although the factor loadings varied slightly in the three groups of college students, the three factors were identical for the three group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그리고 그 둘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남학생 165명, 공학여대생 292명, 여자 대학의 여대생 125명 총 582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한 타인과 자신 척도는 두 개의 문항 유형인 남성형, 여성형과 세 개의 영역인 직업, 활동, 특성에 대한 문항들을 담고 있었다.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에서 여학생(공학여대생과 여대생)이 남학생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였다. 자신의 성 전형화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성 전형화된 반응을 보였다. 타인척도와 자신척도 간의 관계를 보면 여학생 집단에서 성 도식의 유연성의 증거가 나타났다. 남성적 직업과 활동에서 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공학여대생은 남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높았다. 남성적 직업, 활동, 혹은 특성에서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여학생은 여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낮았다. 타인과 자신의 문항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세 집단에서 동일한 세 개의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문항의 내용에 상관없이 타인에 대한 성 태도를 묻는 문항들은 하나의 단일한 요인을 구성하고, 자신의 성 전형화를 묻는 문항들은 여성형 문항들과 남성형 문항들이 각각 다른 요인을 구성하였다. 즉 타인에 대한 성 도식보다 자신의 성 도식이 보다 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젠더평등원칙 확립을 위한 EU법의 구조와 특징 -젠더 스테레오타입 해소를 중심으로-

        채형복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Gender stereotypes are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that people have about sex and sex roles. Sex and sex roles are gender, and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about sex or gender are stereotypes. Gender stereotypes based on biased perceptions about sex or gender cause serious problem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The EU paid atten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that justify discrimination and reinforce inequal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internal market. If the gender stereotypes are left unresolved,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that hinders european integ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eventually 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internal market and generates positive effects that expand and deepen integration. Considering these effects, the EU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Gender Equality Strategy 2020-2025」 from March 5, 2020. The Treaty of Lisbon and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 require the guarantee of gender equality in all areas of EU activity. What is the reason that the EU has various provisions to realize a gender-equal Europe in the basic treaties? Because it does achieving gende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changes in gender relations by eliminating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the EU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EIGE)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젠더 스테레오타입이란 성, 성별 및 성역할 등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다. 성, 성별, 성역할 등은 젠더이고, 성에 대한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은 스테레오타입이다. 성 혹은 젠더에 대한 편향된 고정관념에 바탕을 둔 젠더 스테레오타입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 사이에 심각한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EU는 역내시장 초기부터 차별을 정당화하고, 불평등을 강화하는 젠더 스테레오타입이 가진 부정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만일 젠더 스테레오타입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면, 유럽통합을 저해하는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한다. 젠더평등원칙의 확립은 결국 역내시장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통합을 확대·심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 점에 착안한 EU는 2020년 3월 5일부터 「젠더평등전략 2020-2025」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다. 리스본조약과 EU기본권헌장은 EU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남녀평등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리스본조약을 비롯한 기본조약에서 EU가 젠더평등유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조항을 두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전통적인 젠더 고정관념을 철폐함으로써 젠더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남성과 여성 간 성 평등을 달성하는 것이 유럽사회의 발전은 물론 미래세대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젠더평등원칙을 실현하기 위하여 EU는 독립기구의 하나로 유럽젠더평등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KCI등재

        자연재난과 젠더 : 개도국 양성평등 제고 가능성과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

        장은하(Eun-Ha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Since 1990s,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mega disasters around the globe are on the rapid rise. The destructiv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is vast. They not only destroy personal life, health and wellbeing but also devastates livelihoods, social services and environments. Disasters are also gender discriminatory. Due to their biological/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nequal status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life, women's vulnerability increases when disaster occurs. Despite such destructiveness however, disasters sometimes act as an opportunity for change towards a more gender-equal society. The demise of existing infrastructure and influx of external resources may create a positive opportunity for a chang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undamental changes toward gender equality can take place during the reconstruction phase of a disaste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lso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of South Korea. The author examines several cases studies, using Caroline Moser's gender planning theory, focusing on practical gender needs and strategic gender needs. The case studies reveal that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grams work towards satisfying both practical and strategic gender needs, and the effect is greater when the assistance organization has high gender sensitiveness. Nonetheless, taking a strategic gender approach did not directly resulted in more fundamental or structural change. In some case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women's organization, men's resistance, trauma therapy were identified as importanc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n effective change.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gender-conscious disaster management policy. 1995년 일본 한신 대지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2010년 아이티 대지진, 20011년 일본 쓰나미 등 1990년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재난은 사망, 부상, 질병 등의 물리적 인명 피해 뿐 아니라, 생계기반을 파괴하고, 사회 서비스를 마비시키며, 사회경제적 혼란, 환경파괴를 불러오는 등 개인과 사회의 전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재난의 영향력은 또한 성차별적이다. 여성들은 생물학적/생리학적 특성과 한 사회 내에서 차지하는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불평등한 위치와 차별로 인해 재난 발생 시 취약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괴력에도 불구하고 재난은 양성평등적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재난으로 인한 기존 질서의 붕괴와 복구 과정에서의 자원의 유입은 해당 사회의 여성의 지위 향상과 양성평등을 위한 긍정적인 변화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자연재난 복구 과정을 통해서 양성평등을 위한 근본적이고도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개도국의 사례에 비추어 고찰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양성평등적 변화를 위해서는 모저(Moser)의 실제적 젠더 요구(practical gender needs, PGN)와 전략적 젠더 요구(strategic gender needs, SGN) 모두 충족되어야 하나, 보다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전략적 젠더 요구가 충족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검토한 대부분 사례에서 여성의 실제적 젠더 요구와 전략적 젠더 요구에 부응하는 지원이 이루어 진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지원 단체의 젠더 민감도가 높은 경우 전략적 젠더 요구가 효과적으로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그러나 전략적 젠더 요구 충족을 위한 접근이 시도되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구조적이고도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오히려 부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보다 구조적인 양성평등적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난 복구 시기에서의 여성조직의 역할, 남성의 저항에 대한 대응, 트라우마 치료 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성평등 제고를 위한 내재적, 외재적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Gender Roles, Accessibility, and Gendered Spatiality

        Hyun-Mi Kim(김현미)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젠더차별적인 접근성 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회적으로 구축된 성역할이 어떻게 남성과 여성간의 접근성 경험을 다르게 만드는가를 특히 자녀를 가진 맞벌이부부의 비교를 통해 다루었다. 미국 Portland 지역의 개인통행데이터 및 시간지리학에 토대를 둔 시ㆍ공간 접근성의 GIS기반 지오컴퓨테이션 결과를 이용해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성평등적인 사회로 변하고 있다는 일반적 기대와는 달리 가정 내 성별 분업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성역할이 여성과 남성의 접근성 경험을 차별적으로 구조화하는 방식과 그러한 접근성 경험이 다시 젠더화된 공간성의 형태를 띠게 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젠더화된 공간성, 특히, 집-중심적이고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여성의 특징을 활동공간 및 접근성공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양자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남성 배우자보다 많은 가사 부담과, 더 중요하게는, 퇴근 후 탁아시설/학교에 가서 자녀를 데려오는 행위의 시간적 제약이 여성의 가능한 활동공간을 보다 집 근처로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성 공간의 시공간적 맥락 분석은 젠더화된 공간성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행위결과는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제약들에 대한 명확한 인식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실현된 활동공간은 제약의 산물일 수도 있지만, 또한 선택의 결과물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행위결과를 제약수준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행위결과가 제약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기대나, 발현된 결과로부터 제약수준을 그대로 유추해낼 수 있다는 가정은 문제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manifold dimensions of gendered accessibility experiences. How gender roles (household responsibilities) differentiate accessibility experiences between women and men is explo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married dual-earner couples’ parental status, using the US Portland activity-travel diary dataset with GIS-based geocomputation results of (time-geography based) space-time accessibility. First, this study shows how gender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household still permeates current society, despite the widespread belief of the social change toward a gender-egalitarian society. Then, the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way gender roles structure individual accessibility experiences of women and men differently, and, in turn, the way such accessibility experiences take a form of gendered spatiality. Gendered spatiality i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ccessibility space as well as activity space in order to ascertain women’s home-attached and spatially entrapped characteristics. More household responsibilities throughout a day and, even more, the time constraint of picking up children at the daycare centers after work lead women’s possible activity space to be more home-centered. The analysis of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accessibility space makes gendered spatiality visible. However, the findings suggest that behavioral outcomes should be understood with an explicit awareness of constraints individuals face. It is because the revealed activity spaces can be not only an outcome of constraint but also an outcome of choice. Behavioral outcomes should not be treated as a straightforward expression of the level of constraints. It is problematic to expect that behavioral outcomes directly mirror the level of constraints. It is also problematic to suppose that the level of constraints can be straightforwardly elicited from revealed behavioral outcomes.

      • KCI등재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 Hyowon Song ) 현대영미어문학회 2023 현대영미어문학 Vol.41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Korean college students recognize the replacement of gender-biased terms with gender-neutral on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study argues that in the EFL situations like Korea, learners of English need to be informed about these social changes in the use of gender-related terms to avoid socially-sensitive language. This study used a survey to test th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bout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The results show that most participants have never been educated about the replacement of gender-biased terms, and although they seem to be more easily aware of gender-neutral terms than gender-biased ones, they use both gender-biased and gender-neutral terms interchangeab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anguage educators should more emphatically inform language learners about gender-related issues in the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 정체성 표현

        김규연 ( Kim Kyu Yeon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4

        현대 패션은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발적인 동시에 사회문화적인 규범으로부터 영향받으며 특히 복식과 젠더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부분적 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성소수자의 일상적 상황에서의 복식 활용 특성에 주목하였다. 일상적 상황에서 복식을 활용할 때 젠더화된 복식의 규범과 문화 내적인 규범이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규범이 작용하는 양상을 확인하며 이에 내재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한국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따른 특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는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대응하는 태도를 형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복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소수자의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대한 태도는 순응, 개성과 타협, 비순응, 이탈로 구분되었으며, 대응 태도에 따라서도 복식 스타일 표현 양상을 개성 추구형, 신체 관리형, 관습적 젠더 모방형, 중립적 젠더 이미지 추구형으로 나뉘었다. 비교적 공통적으로, 성소수자는 사회적 인식의 흐름을 바탕으로 복식을 통해 집단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개인의 젠더를 표현한다. 일상적 상황에서 다양한 젠더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복식을 활용하며,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 수행은 젠더화된 복식의 규범 가운데 틈을 만들고 확장하며 새로운 규범의 등장 가능성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의 일상적인 복식 스타일 활용 방식을 고찰함으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패션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성소수자가 복식을 활용하면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고민에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성소수자 범주와 세대 내에서 보여지는 세분된 특징을 밝히지 못하였으며 ‘벽장’에 속한 참여자를 다수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While fashion is a major medium of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identity, it also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norm. This might be the reason that the discussions about fashion and gender have been made steadily. In this study, we purposed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clothing of gender minorities in everyday situations, from the viewpoint of focused ethnography. Hypothesizing that gendered clothing norms and cultural norms will affect the use of clothing in everyday situations,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aspects of how the norm works in gender minorities’ everyday lives and revealing its specificity of Korea’s social-cultural influence. According to the study, gender minorities express their clothing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gendered clothing norms, which has been developed over time. The attitude of gender minorities toward gender-based clothing norms was divided into compliance, individuality and compromise, non-compliance and deviation. At the same time the costume express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ity-oriented, physical-management, customary gender-imitating, and neutral gender-image-seeking types depending on the response attitude. Relatively in common, the candidates clothed based on the social awareness reflect their collective identity through clothing and express individual's gender at the same time. By using clothes to perform gender in everyday situations, candidates’ gender performativity through clothing creates cracks among gendered clothing norm and extend it, implying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new norm.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he study has expanded the potential of fashion to express sexuality and gender, by inspecting costume styles of various Korean gender minoriti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fashion products that can express various gender and sexuality by approaching the concerns experienced when using clothes in daily life. But there still to be identified mor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gender minority category and the segment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couldn’t include many participants from the ‘closet’, so the results can’t be generalized for all the gender minorities.

      •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정진경 한국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1 No.2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re the only available subjects today for an empirical study of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One-hundred and fifty North Korean defectors, both female and male, and ages ranging from 14 to 62,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rean Sex Role Inventory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North Koreans are more gender-typed in their gender ro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outh Koreans.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mininity scores than men, and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sculinity scores than women, whereas South Korean data do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gender egalitarianism, North Koreans showed more conservative attitudes compared to South Koreans, and men were more discriminating than women.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however, were greater for women than men, and it was attributed to the rapid value changes towar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South Korean women. A close look at the items that North Koreans strongly agreed to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progressive attitudes mostly on formal and institutional issues, and to show conservative attitudes on personal and private issu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on th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f the North Korea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탈북자들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14세에서 62세까지의 남녀 탈북자 150명에게 성역할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KSRI)와 남녀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KGES)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북한사람들은 남한사람들에 비해 성역할 측면에서 더 성전형화된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사람들이 남녀간에 남성성, 여성성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하여, 북한사람들은 남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여성이 여성성이 더 높고 남성이 남성성이 더 높았다. 남녀평등의식의 측면에서는 남한사람에 비하여 더 보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가치관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남성이 여성보다 더 보수적이었다.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영역에서 남성이 유의미하게 더 보수적이었고, 교육생활 영역에서만 차이가 유의미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한사람과 비교했을 때, 남성들간의 차이보다는 여성들간의 차이가 훨씬 더 컸는데, 이는 남한여성들의 가치관이 진보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북한사람들은 사회제도나 공적 조치에 대한 태도의 표명에서는 성평등적인 가치관을 표명하는 한편, 남녀의 바람직한 성격과 행동, 몸가짐이나 개인의 사생활 영역에 대해서는 매우 성차별적인 가치관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외에도 연령, 학력, 결혼상태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에 따른 북한사람의 성역할 특성과 남녀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앞의로 연구에서 다루어야할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성별 분석 - 종교적 영역을 중심으로 -

        옥복연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buddhist men and women, especially in the religious area.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of Buddhist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conducted on 1,589 buddhists throughout the Jogejong templ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0. The study focuses on the sexual discrimination during the religious life, Buddhist teachings(dharma), gender-equality policy, and Jogejong order's law. Also the study focuses on the gender-equality education to understand how many buddhists are interested in the gender-equality, and search for the method of overcome sexual discrimination. Many buddhists believed that dharma does teach gender-equality and that it helps to have such behavior. In the Jogejong order's law area, most buddhist were agreed that the prohibition of bikuni's head of Jogejong's central organization(Chongmuwon), a Representative of the main branch temples, and the regulation of sexual ratio in the central meeting(Jongwhi) are gender-inequality. Therefore, both men and women were agreed that these sex-discriminative law should be amend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sex discrimination was the use of crude language only to women. In the policy area, the lack of women leaders in Chongmuwon is an example of sex discrimination, and Jogejong leaders and Buddhist men should recognize women's ability based on the Buddhist doctrine. Generally, men experienced the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more than women, and it indeed helped them. Since then, more people intended to tak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eople also said that in order to have the gender-equality spread throughout the religion, the buddhist people must have the gender-equal behavior,and that the monks and the leaders must be the examples. In conclusion, buddhists recognize that the Buddha is not represented as a misogynist, but buddhist traditions and a monastic order make androcentric text and context. Therefore, Buddhist should not discriminate against women, and that gender is an irrelevant category in the spiritual life. 이 논문은 종교영역에서의 남녀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의 실태와 성별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 전국의 조계종소속 사찰에서 신행활동을 하는 남녀불자 1,589명을 대상으로 한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종교 영역에서의 성평등 실태와 성평등의식의 확산을 위한 불교계의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많은 불자들이 불교 교리가 성평등을 가르치며, 성평등한 생활태도를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는데, 특히 여성에 비해 남성이 교리가 성평등하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하지만 조계종 종헌종법상 비구니스님의 총무원장/본사주지 불가/중앙종회의 비구 71명 및 비구니10명의 성비 규정등은 성차별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불교계에 여성리더의 부족은 능력보다 남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며,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성차별 중 가장많은 유형은 여성에게만 반말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평등교육 경험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경험했고, 교육 경험자가 교리적 성평등의식이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성평등 확산을 위한 과제로 일반 신도들이 스스로 남녀 평등한 생활태도를 가져야 하며, 스님을 포함한 교계 지도자가 남녀평등의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공립학교의 교가・교훈에 대한 성인지적 연구

        김은혜,박은미,박순란,박효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and improve them in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we delved into all public schools’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Gyeongsangbuk-do.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Then they were analyzed by level and type of school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year of school found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urvey found male-designated expressions such as ‘geona(virile son)’ and ‘hwarang(male soldeir in Silla Dynasty)’ in all levels of schools. Second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school songs in female schools. Last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appeared in greater frequency in schools established before 2000, compared with those established after 2000. As the resulf of this study, we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Firstly,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needs to revise its Gender Equality Ordinance as a way of providing institutional suppor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to provide budget for correc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t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 supported by the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this province. Thirdly, it is needed to hold meetings, talk concerts, and exhibits so as to share common grounds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students, graduates, school employees, and pare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raw up guidelines for eliminating gender-discriminatory and human rights-violating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members of schools,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intend to propose way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in Gyeongsangbuk-do public school songs and precept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 753개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를 발견하고 양성평등한 관점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교육청 소속 753개 공립학교를 전수조사하여 교가・교훈 속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기준으로 맥락분석 및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는 ‘건아, 화랑’과 같은 남성 지칭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여학교 교가・교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립연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전에 설립된 학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교훈 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양성평등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가・교훈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교육청 지원을 통한 일괄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학생, 동문회, 교직원, 학부모회 등의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별 교가・교훈 성차별적 요소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성차별적 요소와 인권침해 요소를 포함한 교가・교훈 수정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평등한 교가・교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주 구성원인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한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인물 젠더 구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이론적 고찰

        최수현 ( Choi Suhye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3 先淸語文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process of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a character and to present specific educational pla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gender of character in novel rea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der of a character as an essential factor influe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It aims to devise novel reading education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focusing on the ambiguity inherent in the gender. Character is a critical element in the interpretation of novels, and even within literature education, novel education centered on characters has been discussed a lot. However, understanding a person is mainly based on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gender has no more meaning than one piece of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 However, even if the reader is not aware of it, the gender of the charact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which is essentially not transparent. Therefore, the gender of the character is not simply treated as a matter of fact judgment but needs to be an object of inquiry. This study, citing Judith Butler’s discussion, identified gender as uncertainty constructed of several signs. In addition, referring to Wolfgang Iser’s concept of blank, tried to discover a gender of character as a blank that has not functioned as such so far. The blank in text is an uncertain place in the novel that needs to be discovered and filled by the reader during the reading process. The blank also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Therefore, discovering the gender of a character as a blank makes it possible for the reader to interact more actively with the text filling the blank of “gender” and using the gender as a resource for text interpretation. In the end, “reading a novel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can be defined as a reading that discovers new meanings of the text by finding the gender of the character as blank in the novel and filling it out.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such gender construction through queer characters because queer characters whose gender is vague reveal the contradictions in the gender of character more directly. Through these queer characters, the learning reader will reflect again on gender that has been accepted as a fact without doubt and further, recognize the meanings newly discovered through gender construction for standard novels. Specifically, this study sets the process of reading novels through the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as 1) perception of ambiguity of gender of character 2)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3) appropriation of the text through gender construction of character.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expanded the scope of character interpretation and diversified the method of reading novels by using gender of character as a new resource for character interpret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new educational plan called gender construction to promote the active reading of learning readers, as it newly discovers the gender of character as a blank. Through this, learning readers will broaden their human understanding and have a new opportunity to appropriate novels, which will provide meaningful literary experiences to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