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 선정기준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양혜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ty-fou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hildren's Literature' clas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materials were personal reflection papers, personal presentation contents, discussion contents, and the instructor's class reflection notes, which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picture books that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picture books that make the heart happy to read, and picture books about people living precious daily lives as the picture books they were interested in. In addi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picture books about germs (viruses) that help with hygiene management, picture books that help ‘children communicate naturally with nature,’ and picture books that can 'extend the concept of pla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me mo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through the active process of selecting picture books. The qualitative change in class du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teaching methods of the instructor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propo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panding the class activities for selecting picture books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genuine interest in picture books and have time to discuss interesting picture books during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자아이미지 탐색연구

        양혜영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develop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ag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elf-image. In this study, participants' self-analysis method and in-depth interview were adopted to analyze th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 image. Also, the narrative of pre-service teachers' a famous painting analysis were re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self-image analysis work made pre-service teachers more enabled them to expend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image of role in relation to their career decision and future their teacher's job. Moreover,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analysis work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eir own ability to build up unique and healthy image. To foster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self- image, special class teaching methods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evoking them to have more positive self-image. This study suggested that self-image analysis work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in university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교사의 이미지 그리고 현재 자아이미지와 미래 본인들의 보육교사 이미지를 수업(명화 분석지, 조별토론, 자아이미지 성찰지)과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어떻게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은 자신들의 현재 자아이미지를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깊이 있게 인식해보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들은 현재자신의 자아이미지가 보육교사직 선택에 대한 갈등 중이며,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없어진 자아이미지, 열심히 보육교사직을 준비 중이지만, 불안한 자아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을 솔직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를 위한 자신의 자아이미지를 위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은 스스로 자아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보육교사직을 희망하고 있기에 앞으로 본인들에게 필요한 건강한 자아이미지를 위해 현재시점에서 구체적인 실천들을 계획했으며, 더나아가서 미래에 만나게 될 동료 보육교사들과 함께 보육교사의 올바른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습으로까지 자아이미지가 성장하고 변화되었다. 한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사실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것은 본인들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존중해주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는 교사교육자의 역할이었다. 이는 교사교육자인 본 연구자에게도 시사하고 있는 바가 매우 크다.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교사교육자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관심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수업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해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재인식해야 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가르침과 돌봄이 핵심어가 되는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가 먼저 모범으로 실천해야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미술관 관람 경험을 통해 나타난예비 보육교사의 미술에 대한 인식 및 미술수업 계획 변화에 대한 탐색 연구

        양혜영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changes of pre-service nursery teachers' awareness for art, after visiting art museum. In this study, the narrative of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found out the inherent meaning of art and constructed their own art teach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 three aspects. Findings indicated that art museum visiting experience made pre-service teachers more enabled the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role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s art awareness. Most importantly through art museum experience,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their own art teaching practices and had opportunities to enjoy art images. To improve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art appreciation, new art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evoking them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art and art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both art viewing and art making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in art class for pre-service teachers. Studies on how to encourage and suppor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rt appreciation toward rich and meaningful art teaching in their everyday classroom were recommended.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 경험이 예비 보육교사의 미술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수업의 질적 변화를 위해서는 예비 보육교사의 미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우선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연구결과, 예비 보육교사들이 미술관 관람 경험을 통하여, 미술을 조금 더 쉽게 일상적 경험과 연결 지을 수 있게 되었고, 거리감을 느꼈던 미술작품과의 심리적 거리가 좁혀지는 변화를 보여 주었다. 또한, 미술관 관람 경험을 통하여, 예비 보육교사들은 자신의 미래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을 반성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다양한 미술재료와 미술 기법을 미술 수업계획에 반영하고자 하였고, 유아들의 관점에서 미술을 바라보려는 시도와 새로워진 미술수업을 생각하게 되었다. 단 한 번의 미술관 관람의 경험이지만, 미술을 만들거나 그려야 한다는 것에서 벗어나,‘미술을 본다’라는 특이한 경험과 심미적 공간인 미술관에서의 미적 체험이 예비 보육교사들에게 미술인식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들을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자 역시 그동안 아동미술 수업에서 집합형 일제 수업방식으로, 아동미술기법만을 많이 가르쳐주는 것에서 탈피하여, 예비 보육교사들이 먼저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미술교수법과 진정한 의미의 미술 수업력을 실질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수업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양성과정의 아동미술 수업에 새로운 제안을 제기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경기 일부 지역 초등학생과 어머니의 프리미엄 간식에 대한 인식 및 이용 실태

        양혜영,이효숙,정자용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4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use of premium snacks (PS) in school aged childre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s attitude toward the PS use on the children’s PS eating behavior was examined. Methods: 337 boys and 292 girls and their mothers (n=535)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ung-ki area.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requencies of general snack eating and associated factors, and the frequencies of PS eating and associated factors were obtain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frequency of PS eating were 1.12 times/wk in boys and 0.98 times/wk in girls. The PS eating frequen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eating general snacks in boys and the money spent on purchasing general snacks in girls. The main reasons for eating PS were ‘health’ followed by ‘taste’. The frequencies of general snack eating and those of PS use in mother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ies of eating PS in children. Further, the perceptions on PS in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ies of PS eating both in boys and in girls, althoug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omewhat weak.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mother’s snack eating behavior and perceptions can affect their children’s PS us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ducation toward the mother’s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are important in improving child’s eating behavior including reasonable and healthy snack choices. 연구배경: 올바른 간식의 선택과 섭취는 아동기의 적절한 정서적, 신체적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소위 프리미엄 과자에 대한 초등학생과 이들 어머니의 인식과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 제품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경기 지역 소재 초등학교 2 개교의 5, 6학년 남학생 337명, 여학생 292명과 이들의 어머니 535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일반 사항, 일반 간식 섭취 빈도 및 관련 사항, 프리미엄 과자에 대한 인식, 프리미엄 과자의 섭취 빈도 및 관련 사항에 대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프리미엄 과자 섭취 빈도는 남학생1.12회/주, 여학생 0.98회/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일반 간식의 섭취 빈도가 높을수록(P=0.023), 여학생은 간식에 사용되는 비용이 높을수록(P=0.010) 프리미엄 과자 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프리미엄 과자를 구매하는 이유로는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건강’이 가장 주된 이유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맛’, ‘원재료’ 순이었다. 자녀의 프리미엄과자 섭취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요인으로는 어머니의 일반 간식 섭취 빈도와 어머니의 프리미엄 과자 구매 빈도가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P=0.001), 어머니의 나이, 교육수준, 직업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초등학생의 프리미엄 과자 섭취 빈도는 남학생(r=0.163, P<0.01)과 여학생(r=0.137, P<0.05)에서 모두 어머니의 프리미엄 과자에 대한 인식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초등학생의 프리미엄 과자 이용에 있어 어머니의간식 습관 및 프리미엄 과자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 자녀의 올바른간식 선택을 위해 어머니의 식습관 및 영양 정보에 대한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양혜영,김혜리,김경미,구재선,정명숙,박은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1 No.1

        This study tested the links among children's theory of mind, social behaviors, and peer acceptance. It administered 146 fourth and sixth grades children mindreading and facial expression tasks, 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with Youngsters,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peer nominations. Children's social skill scores correlated most strongly with their empathy scores, and then with their mindreading ability and performance on facial expressions tasks. Peer popularity correlated most strongly with children's social skill scores, and then with their performance on facial expression tasks and empathy scores. Children's empathy scores and performance on facial expression tasks were the best predictors of social skill scores, while their social skill scores and performance on facial expression tasks were the best predictors of peer popular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social skills and ability of recognizing correctly facial expressions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ir peer relations. 본 연구는 마음이론, 사회적 행동, 인기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4, 6학년 아동 146명에게 마음읽기와 정서읽기 과제, 아동 사회적 기술 평가 척도, 또래평정법, 정서공감척도를 실시하였다. 마음읽기 과제는 마음이론을 구성하는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정서읽기 과제는 사람의 얼굴표정에서 정서 인식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은 공감능력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 그 다음 정서읽기, 마음읽기 순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마음이해와 관련 있는 공감능력은 사회적 기술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 그 다음 정서읽기, 마음읽기와 정적 상관, 부적합한 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인기도는 사회적 기술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 그 다음 정서읽기, 공감능력 순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마음읽기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공감능력과 정서읽기가 사회적 기술을 예측하였고, 사회적 기술과 정서읽기가 인기도를 예측하였다. 즉 마음이해 관련 능력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설명하였고, 사회적 기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히 인식하는 능력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