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광주·전남 화단-'구상과 추상 논쟁'에 관한 비평-

        김허경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1

        한국현대미술사에서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로 이어지는 시점은 기존가치에 대한 전면적인 도전과 저항, 변혁의식이 표면화된 전환기에 해당한다. 당시 한국화단은 전후 추상미술인 앵포르멜이 급격히 대두됨에 따라 전통적 자연주의 계열의 작가들이 지향하는 구상과 추상의 대립양상이 고조되었다. 광주·전남화단은 해방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위를 상징하는 비구상, 추상미술 나아가 앵포르멜 회화로 확장하면서 구상과 추상의 양립구도를 이루었다. 전위적 회화는 대상을 묘사하는 데 치중한 인상주의 화풍, 자연주의 전통, 모든 사실적 경향을 일컫는 구상과 전면적으로 대치되면서 예술의 존재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본 논문은 서울화단에 앞서 구상 대 추상의 논쟁을 제기하였으나 지금까지 조명되지 못한 1960년, 광주화단의 ‘구상과 비구상 논쟁’을 주목하였다. 구상과 비구상에 관한 추상시비가 광주화단에서 촉발된 이유는 무엇이며 시대적 상황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가? 라는 논점을 근거로 광주화단을 중심으로 전위적 회화의 등장과 전개과정 속에 유발된 구상과 비구상의 논쟁을 비평적으로 고찰하였다. 광주·전남 작가들은 일본유학의 직접적인 체험을 발판삼아 서양화단을 형성하면서 1930년대 오지호와 김환기의 활동을 통해 구상과 비구상의 미의식을 전개하였다. 이는 1950년대 강용운, 양수아가 추구해 나간 전위적 회화의 자양분이 되었으며, 한국현대미술의 태동기에 앵포르멜을 선도적으로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오지호의 「현대회화를 논한다」와 강용운의 「현대 회화론」은 평론가와 논객이 드문 지방화단에서 현대 회화에 대한 작가의 확고한 조형이념을 개진했다는 점에서 매우 예외적인 논쟁이었다. 특히 해방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조형이념의 대결’이자 예술적 사유와 실천에 관한 미학적 의식이 드러난 담론이기에 한국현대미술의 발전과정에서 반드시 재고해야할 논쟁임을 방증하였다. 따라서 1960년대 논쟁의 꽃을 피운 광주화단의 현상은 구상과 추상의 양립구도 속에 예술의 본질과 회화의 형식, 작가의 태도, 창작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함으로써 근본적인 미학의 문제를 다루었을 뿐 아니라 동시대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을 모색해 가는 과정에서 전개된 미술논쟁이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transition from the late 1950s to the 60s in Korea was a transformative period when the challenge and resistance against existing values came to the fore. Korean art scene at the time witnessed the rise in Informel art of the post war period which led to a higher tension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After experiencing Korean War, Gwangju and Jeollanam-do art scene saw the expansion of non-figurative, abstract art, representing avant-garde, into Informel art which created the parallel composition of abstraction and figuration. In various aspects, avant-garde art is at the opposite of figuration which involves impressionism, naturalistic tradition and orientation on realism as it focuses on describing the subject and avant-garde painting transformed the modes of the existence of art.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bate between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in Gwangju art scene in the 1960s which rouse the question prior to Seoul but has not been shed light on. What is the reason that the question of abstraction, in relation to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started in Gwangju art scene and how does it link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Starting from this point, the debate between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that was stemmed together with the advance and development of avant-garde art is critically explored, mainly focusing on the Gwangju art scene. Based on their time in Japan, Gwangju and Jeollanam-do artists formed a Western art circle and developed the aesthetical thinking of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through practices of those such as Oh Ji Ho and Kim Hwan Ki in the 1930s. These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avant-garde paintings that Kang Yong Woon and Yang Soo Ah pursued in the 1950s, which again drove Informel in the early stage of Korean contemporary art. Discussion about Contemporary Painting by Oh Ji Ho and Contemporary Painting Studies by Kang Yon Woon were exceptional cases in that they claimed the artists' strong ideas in figurative studies in the regional art scenes where critics or commenters are not so common. The importance of revisiting them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is apparent as they are discourses that mark the beginning of the 'debate in figurative studies' after the war and shows aesthetic thinking about artistic ideas and practices. Thus the significance of these phenomenon in Gwangju art scene in the 1960s where the discussion was highly active is not only in that it dealt with the substantial aesthetic issues by exploring the nature of art, painting formats, attitudes of artists or future direction of artistic practices but also in that it was in the path of seeking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1980년대 「상(像)81」그룹 활동과 ‘새로운 형상성’: 임영길의 형상작업을 중심으로

        이은주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본 논문은 1980년대 한국화단에 등장했던 ‘새로운 형상성’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고, 주요 미술사조에 가려져 있던 「상(像)81」그룹 활동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젊은 세대에 의해 결성된「상(像)81」그룹의 창립 개념을 형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한 작업으로 표출해온 임영길의 형상작업을 통해 분석한다. 「상(像)81」그룹은 김영순, 박철호(박모, 박이소), 신원섭, 임영길, 이종원 등 6인에 의해 창립되었다. 극사실주의 회화 이후 새로운 형상에 대한 논쟁적 이슈가 대두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총 4번의 전시를 개최했다. 이 그룹은 말 그대로 ‘형상’ 연구를 전면에 내걸었다. 반추상, 안티-재현주의 등을 내세우며 구상과 추상의 미묘한 경계를 탐구했다. 「상(像)81」의 중심활동은 《동아미술제》에서 내세운 ‘새로운 형상성’ 탐구 문제와 직결되었다. 이들은 추상미술 이전의 구상, 현실을 재현하는 극사실주의 회화와 거리를 두었으며 부조리한 사회현실을 순식간에 옮겨냈던 민중미술 형상과도 달랐다. 「상(像)81」동인은 화단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새로운 형상성’을 조용히 탐구했다. 이들은 추상을 안티테제로 두고 사실을 그대로 재현하길 거부했다. 상상과 기억 등 내면의 의식을 시공간의 문제로 환원시켰다. 개인의 체험에 입각한 형상성을 추구했다. 임영길은 「상(像)81」이 해체되고도 1990년대 초반까지 자신의 작품 제목을 줄곧 <상(Image)>이라 붙였다. 「상(像)81」을 통한 형상 연구는 작업을 하는 내내 중요한 화두로 작동되었다. 「상(像)81」회원들은 화면을 분할하거나 기하학적 선으로 화면을 완성했다. 임영길 역시 초기 형상 연구에서는 스프레이 질감으로 대상을 기하학적 도형으로 구축했다. 이 시기 판화는 산업화로 몰개성화된 인간의 표상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매체였다. 1992년 뉴욕 시기 이후 형상 연구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그는 작품 제목을 <상(Image)>에서 차츰 변경해 나가기 시작했고, 움직이는 대상에 대한 표현은 시간을 매개로 하는 비디오 매체로 확장되었다. 1990년대 탈모던, 포스트 모니더즘 논의가 한창일 때 그는 전쟁에 무방비로 노출된 문명 비판적 작업에 몰두했다. 임영길은 과학기술의 그늘진 이면을 표현하기 위해 석판화를 선택했고, 전쟁의 잔재, 지뢰, 살상무기, 군사물 찌꺼기 등 인간을 위협하는 요소를 박제하듯 찍어냈다. 임영길 작품의 주요 개념은 ‘형상성’과 ‘시간성’이다. 이 형상성과 시간의 문제는 개인 내면적 체험에서 사회적 문제로 점차 전이되었다. 또한 기술 발전의 시대상을 담아내면서 판화에서 영상매체로 표현영역을 확장시켰다. 임영길의 ‘시간판화’는 그가 오랫동안 추구해온 형상 연구의 완결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New Figuration”, which emerged in the Korean art scene during the 1980s, and the activities of “Sang(像)81”, an art group formed by young artists overshadowed by major art movements. It also analyzes the founding concept of Sang-81 through the figurative works of Yim Youngkil, a member of the group who incorporated the study of figures into his artistic pursuits. The group ‘Sang(像)-81’ was founded by six artists including Kim Youngsoon, Park Cheolho(Bahc Mo, Bahc Yiso), Shin Wonseob, Yim Youngkil, and Lee Jongwon. It held a total of four exhibitions from 1981 and 1983, amid controversies over new figures that followed hyperrealism. Their key activities revolved around the study of figures, exploring the subtle boundary between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They distanced themselves from representational and hyperrealistic styles that preceded abstract art, as well as from Minjung Art, which exposed the absurdity of social reality. The members of Sang-81 quietly explored the ‘new figuration’ that was the newly emerging trend in the the art world of the time. They refused both abstract expression and faithful representation of reality; rather, they restored inner experiences like imagination and memory to the realm of time and space. In short, they pursued the kind of figuration that was rooted in personal experiences. Even after Sang-81’s disbandment, Yim Youngkil continued to title his works IMAGE until the early 1990s. The exploration of figures remained his main artistic goal. The group members often divided their canvases or filled them with geometric lines. Early in his figure research, Yim Youngkil too constructed his subjects into geometric figures using spray textures. During this period, prints were a suitable medium to portray humans de-individualized by industrialization. His exploration of figures underwent a significant shift in 1992 after his time in New York. He gradually abandoned IMAGE as the title for his works, and adopted video as the medium for representing moving subjects. In the 1990s, amidst fervent debates on post-modernism, Yim Youngkil immersed himself in artworks that criticized the vulnerability of civilization during war. He chose lithography to portray the dark sides of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ng images that captured threats to humanity like landmines, lethal weapons, and military waste. The key concepts in Yim Youngkil’s art are “figure” and “temporality”, which gradually moved from being individual inner experiences to become broader societal problems. In addition, Yim Youngkil went on to expand his artistic approach, from printmaking to video. It is fair to say that Yim Youngkil’s “Time Prints” represents the culmination of his extensive research into figurative art.

      • KCI등재

        1970~1980년대 신형상 세대의 한국화 - 극사실 경향에서 민중미술까지

        이민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After the mid-1970s, a new atmosphere was created in the Korean art world by the formation of a unique figurative art. This stream is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yperrealism, which was mainly spread out through consecutively held large-scale private sponsored exhibitions such as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Donga Art Festival, and Joongang Fine Arts Prize. These exhibitions all claimed to support ‘originality’ and ‘figuration.’ To begin with, they carry repellent meanings toward Informel, Dansekhwa, and other abstractive tendencies. These events were also called as ‘new figur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xisting and unchanging conceptions spread by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highlight that the emphasis on this ‘new figuration’ brought great differences to trends in Hangukhwa (Korean painting). Artists who sought for their direction to modern Hangukhwas from traditional paintings were awarded not only in private exhibitions, but also in The Grand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y submitting numerous hyper-real Hangukhwas. The combination of Hyperrealism and Hangukhwa seems incompatible in an instant, then what does this fusion mean? Such phenomenon cannot be interpreted solely by focused discourses on the existing combination of ink wash painting and abstraction. Therefore, this study retraces Hangukwha with the flow of ‘figuration’. In other words, it will compare and contrast how figure is expres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gukhwas. This examin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hyper-real Hangukhwas. By this, the study analyzes and understands Real-Scenery Landscapes and urban landscapes in the 1970s, the ink painting movement in the early 1980s, and Hangukhwa affiliated with Minjung Art in the context of art of the same period.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리 미술계에는 독특한 구상(具象)(figurative) 미술이 하나의 기류를 형성했다. 이른바 극사실주의로 대표되는 이 흐름은 당시 잇달아 개막한 《한국미술대상전》, 《동아미술제》, 《중앙미술대전》과 같은 대규모 민간 주최 공모전(이하 민전)을 통해 주로 전개되었다. 이들 민전이 표방한 것은 ‘새로움(New)’과 ‘형상성(Figuration)’이다. 여기에는 우선, 1960년대와 70년대 전반까지의 앵포르멜, 단색화와 같은 추상 경향에 대한 반발의 의미가 깔려 있었다. 또한 기존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만연한 구태의연한 구상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으로 지칭되었다.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새로운 형상성’의 강조가 당시 한국화의 경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전통회화에서 현대 한국화로의 방향을 모색하던 화가들은 민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미술대전》에 극사실 경향 한국화 작품들을 대거 출품해 입상했다. 언뜻 봐도 어울리지 않는 듯한 극사실기법과 한국화의 결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같은 현상은 기존의 수묵과 추상의 관계에 집중된 논의를 통해서는 결코 설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성’의 흐름으로 한국화를 다시 기술한다. 즉 전통회화에서의 형상 표현과 현대 한국화에서의 그것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극사실 경향 한국화를 기점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1970년대 실경산수화와 도시풍경화, 이후 1980년대 전반기의 수묵화운동, 그리고 민중미술 계열 한국화를 동시대 미술의 문맥에서 분석하고 파악한다.

      • KCI등재

        1960-1970년대 프랑스 신구상회화<SUP>Nouvelle Figuration</SUP>에 나타난 저항의식

        한승혜(Seunghye Han)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irit of resistance that appeared in the 1960s and 1970s French Art, Nouvelle Figuration. Nouvelle Figuration shares certain stylistic similarities with the American Pop art and Hyper-realism. However, the works of Nouvelle Figuration reveal more directly the critical thought of the time and seek to disclose the absurdity and inequality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nfluenced by the social condition and other artistic movements in France at the time. The artists of Nouvelle Figuration demonstrated their political opinions though various group exhibitions and activities of smaller scale. In order to express their political claims effectively, the artists used portraits of contemporary heroes, strong colors such as red as well as letters. They also adopted the rhetoric of satire by using humorous expressions found in cartoons. Furthermore, they used playful elements derived from parodies of the artwork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art history and famous trademark images. In addition, the artists installed their works in everyday places so that they would be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such discus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pirit of resistance present in Nouvelle Figuration is an artistic reaction to the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issues of the French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 KCI등재

        고시조(古時調)에서의 형상화(形象化)의 추상성(抽象性)과 구상성(具象性)에 대한 연구(硏究)

        양희찬 ( Hee Chan Ya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고시조의 형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추상성과 구상성을 해명하는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두 속성은 표현현상으로서의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상화의 방법적 요인으로 心理的 動因 세 가지를 想定하여 형상화의 구상성과 추상성을 설명하였다. 그 세 가지는, 첫째로 작품내용을 다 드러내어 보이려는 표현심리, 둘째로 하나를 보이면서 어떤 다른 것도 연상하게 하려는 표현심리, 셋째로 본뜻을 굴절시켜서 암시하고 함축한 표현을 사용하려는 표현심리이다. 구상성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인을 주된 속성으로 사용하고, 추상성은 세 번째 요인을 주된 속성으로 사용한다. 작품 분석 결과로 구상성과 추상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구상성은 일상 언어의 겉뜻에 치중한 설명적 寫實的 직유적 표현이며, 작의를 그대로 드러내거나 다른 사실을 연상할 수 있어도 그 겉뜻을 벗어나지 않은 형상화 성향을 일컬었다. 추상성은 언어의 상징성을 활용하고 본뜻을 굴절시켜서 은유적 상징적으로 미묘하고 교묘하게 표현한 형상화 성향을 일컬었다. 형상화의 이러한 성향만 아니라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 수행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 작업은 작품 전체 내용과 문맥 속에서 각 표현들의 의미와, 이 의미들이 표현들 상호간에 작용하는 관계를 동시에 파악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바로 포괄적이고 총체적으로 형상화 과정과 그 본뜻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This study focus on explanation of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that can be found in figuration in Old Sijo. These two properties are about a way of expression as phenomenon. Three psychological factors can be supposed as figuration method to explain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of figuration. The first one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try to show everything, the second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show the one and the other at the same time, and the third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try to use the implied expression with inflection and suggestion of the original meaning. Concreteness uses the first and the second factor, and abstraction uses the third as main attributes.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are explained through the work`s analysis. Concreteness is a explanatory, realistic and simile expression that set value on outward meaning of everyday language. Therefore, even if it can reveal writer`s intention as it is or remind the image of other thing, it is the tendency of figuration that doesn`t get out of outward meaning. Abstraction is the tendency of figuration that expresses symbolically, metaphorically, delicately and skilfully with utilizing linguistic symbolism, inflecting the original meaning.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Old Sijo exactly, we need perform the operations, such as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ach expression in the whole contents and context, and the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expressions. They make us grasp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process of figuration comprehensively and totally.

      • KCI등재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의 초기 구상회화에 나타나는 언어적 요소와 평면 인식에 관한 연구

        김행지(KIM haeng-ji) 서양미술사학회 2012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7 No.-

        David Hockney succeeded the tradition of British realism and figurative paintings during a period in which abstract art such as Abstract Expressionism and Informel had achieved the international reputation both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ile most of the contemporary British artists were doing abstra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in stream in the postwar generation, Hockney’s early works drawn from late 1950s to the mid 1960s dealt with the tension and ambiguity between abstraction and figur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Hockney’s figurative language, which he developed from a combination of abstraction and figuration, as his own artistic response to both the contemporary trend and the figurative tradition. The contemporary, homosexual British artist Hockney not only was fascinated with the contemporary modernist painting, but at the same time tried to criticise the theoretical analysis of its concept of modernist painting, which had fallen into a crisis. In this very interesting way, Hockney employed various motifs, sty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modernist painting revealing combination with abstraction and figuration from his own point of view. This study considers Hockney’s early works in the context of the continuity of the British figurative tradition and the responses of the British modern artists to abstract paintings. I focus on the figuration and abstraction in Hockney’s works and regard it his very meaningful perception placed on in influences of Francis Bacon whose work’s characteristic could be its stronghold on the British realism itself. Such a realistic tradition and return of figuration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for the versatility of Hockney’s early work. In addition to Hockney’s conceptual approaches to drawing/etching/painting works that can be traced back to the concept of modernist painting, abstraction and figuration, demonstrations of versatility, and a marriage of styles, his borrowings from texts, codes, literatures and images relating to homosexual themes from the 1960s onward and his own creative response to those sources are considered.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carefully, thus, Hockney’s early works drawn from 1959 to 1962 will be put great emphasis on.

      • KCI등재

        전쟁 경험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 재고(再考)

        장은영(JANG EUN 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3

        본 논문은 전쟁 경험에 대한 종군작가단의 문학적 수용과 시적 형상화 양상을 재고하기 위하여 『전선문학』에 발표된 평론들과 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전선문학』은 종군작가단의 기관지였던 만큼 문학을 무기로 삼아 전시체제가 요구한 반공이데올로기와 조국애, 전우애, 적개심 등을 형상화하여 전쟁에 일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당시 종군 작가들이 보여준 전쟁에 대한 문학적 수용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었으며,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역시 전면적으로 전시체제의 요구에 순응하는 것이라 단정할 수는 없다. 문학을 도구적으로 보는 견해에 따르면 전쟁을 형상화한 작품은 전장에서 싸우는 군인들의 고통을 공감하고 위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문학 자체의 의의는 사라지고 문학은 오직 전쟁이라는 목적에 복무해야 한다. 여기서 한 단계 나아가 문학이 전쟁의 도구가 아니라 국가라는 관념의 도구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전쟁의 경험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의 이상과 목표와 같은 관념이 더 우위에 있으며, 문학은 이러한 관념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입장은 승리 이후 도래할 국가가 그 자체로 절대적 정신이자 신성한 영혼이라고 봄으로써 국가를 초월적 대상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 정신의 심급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있다. 이와 달리 전쟁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입장도 있었다. 이 경우 체험한 것을 문학적 경험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형상화를 위한 시간과 거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완성도에 비중을 두고자 하였다. 전쟁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때 훌륭한 전쟁문학이 탄생할 수 있다는 관점은 전시체제의 요구로부터 문학의 독립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담론들을 전제로 전쟁 경험에 대한 시적 형상화 양상을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은유를 통해 전장의 비극적 상황을 신성한 임무로 형상화하고 전의를 고취하는 작품들이다. 적을 살상하기 위한 무기를 애국적 인격체로 환원하는데 동원된 문학적 은유는 철저히 도구화된 문학의 전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전쟁의 목표나 궁극적 도달점인 국가라는 관념을 상징화한 수사적 형상화이다. 전쟁 이후 남한 사회가 건설하게 될 국가는 경험되지 않은 세계였기 때문에 구체적 이미지로 제시될 수 없었다. 따라서 전쟁 이후에 도래할 세계는 순수한 이상향으로 그려졌고 여기에 적합한 것이 바로 상징적 이미지이다. 이와 달리 전쟁을 자기서사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은 전쟁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를 중지하고 사건의 형상화에 집중했다. ‘나’라는 시적 주체가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겪은 일을 서술하면서 이해할 수 없는 비극적 상황을 드러냄으로써 전쟁의 의미를 회의하게 하는 작품들은 자신의 전쟁 경험이 하나의 의미로 수렴되지 않는 파편화된 경험이라는 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형상화 방법은 전쟁이 초래한 비극적 삶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환기하고 있으며, 전쟁문학의 의의가 무엇인가를 되묻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the discourse of War Literature and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focusing on Korean army magazine Geonseon Munhak. Geonseon Munhak is an official magazine of the militery service during the Korean War. So the magazine controled by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aimed at making emotional figuration like as love of one"s country, love of brothers in arms, animosity. At that time some writers published critics about how figure war experience as literatury works. First opinion is that consider war experience as a tool. According to this opinion, literature is useful tool for empathizing and comforting the soldiers who fight on the battlefield. Second opinion is that emphasize literary figuration of the war experience. In this instance war is considered literary material. To make war experience as a literary work, it takes time for literary figuration. Third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spirit and soul are superior to the actual war experience. For example the ideals and objectives of the war are predominant, so literature should pursue such ideas. On the basis of three discourse, I Interpreted poems in Geonseon Munhak focusing on poetic figuration of war experience. Configuration method dividied into three ways, first way is metaphor, second way is symbol, third way is self-narration. Metaphor and symbol as literary rhetoric is used for making figuration of ideal of the nation. Self-narration as literary rhetoric is expression method for that war is just fragmented experience. Today war literature that express fragmented experience raise awareness of the war against us. We should reconsider value of literary work in war time.

      • KCI등재

        인간학으로서의 행정학을 위하여

        안지호(Ahn, Jiho)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3 No.4

        이 논문은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엘리아스가 발전시킨 결합태 사회학의 심층적인 이해와 결합태 사회학이 오늘날의 행정학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에서 연구된 엘리아스에 관한 논문들을 계보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엘리아스 사회학의 핵심 개념인 결합태 개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있는 인간과 사회의 관점 그리고 권력개념을 통해 결합태를 이해하였다. 행정학에서 결합태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해외문화교류 정책에 이를 실험적으로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합태 관점에서 최근 행정학 연구의 경향을 성찰함으로써 엘리아스의 결합태 사회학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엘리아스의 연구 성과를 성찰함으로써 오늘날 행정학에서 사라져 가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다시 살리고자 하는 데 있다. This study discusses Norbert Elias’ concept of figuration in depth along with ways in which the concept can be applied and give meaning to today’s public administration. To this end, the works of Norbert Elias are reviewed from a genealogy perspective, and the figuration concept, which lies at the core of the sociology of Elias, is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cience. Elias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the importance of power and time in social science, and of being a person who is balanced in their approach to others. The concept of figuration is applied to overseas cultural policy to rai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figur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more generally. Finally, I reflect upon recent trends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to highlight the utility of Elias’ figuration.

      • KCI등재

        돈호법으로 본 시조의 시적 형상화의 특성

        정종진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3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 poetic figuration in Si-jo from a apostrophic perspective. I divided the method of a poetic figuration into six categories. They are invocation, foregrounding, confluence of poetic I and the world, emotion expression, automating of constructing a poetic frames and metonymic figu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figuration in Si-jo by the apostrophic perspective are summarized in two parts. By the apostrophe, Si-jo strengthens its custom and ensures genre stability. But at the same, the use of apostrophe turns out to add variety and dynamism and complements a weakened lyricism in Si-jo. 논문은 돈호법이 시조의 시적 형상화에 관여하는 방식과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시조의 시적 형상화의 특성을 찾아보려고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조의 장르적 성격과 돈호법의 수사학적 특성을 정리한 후, 돈호법이 시조의 시적 형상화에 관여하는 방식을 6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돈호법의 6가지 관여 방식은 대상의 환기와 시세계의 설정, 전경화, 정경교융, 감정의 표백과 시상의 전환, 시형구성의 자동화, 환유적 형상화 등이다. 돈호법이 시조의 시적 형상화에 관여하여 나타나게 된 시조의 시적 형상화의 특성은 대립되지만 상호보완적이기도 한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돈호법에 의해서 시조는 고정화, 공식화되는 방식으로 관습성을 강화하고 장르의 안정성을 취하게 하였다. 그러나 또한 동시에 돈호법은 시조에 다양성과 역동성을 부여하면서 시조의 약화된 서정성을 보완하였다.

      • KCI등재

        방사선 DICOM 영상을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출력물의 형상 비교에 관한 연구

        김형균(Hyeong-Gyun Kim),최준구(Jun-Gu Choi),김가중(Gha-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최근 3D 프린팅 기술은 의료에 여러 방향으로 접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영상의 표준인 DICOM 영상을 이용하여 만든 3차원 영상을, 3D 프린팅으로 출력하여 그 형상표면의 정밀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동물 뼈를 피사체로 의료영상을 획득하였으며, 3D 프린팅 출력을 위해 STL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 후 피사체 형상을 출력하였다. 최종적으로 원본 동물 뼈 와 3D 프린팅에서 얻은 3차원 형상을 3D Scanner로 획득한 후 3차원 모델링을 서로 병합(Merge)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분석은 시각적 형상비교, 모델링의 Scale 값에 대한 색상(Color)비교, 수치적 형상비교를 하였다. 형상표면은 시각적으로는 구분이 어려웠으며, 수치적 형상비교는 X, Y, Z 좌표가 있는 임의의 4곳에서 측정된 값으로 비교하였다. 병합된 모델링의 형상표면은 원본 피사체(동물 뼈)에 비해 평균 –0.49 ㎜ 만큼 3D프린팅으로 출력된 형상에서 작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형상 표면이 균일하게 작아지진 않았으며, 실험에서는 그 차이가 –0.83 ㎜ 내에 있었다. Recent 3D printing technology has been grafting onto various medical practices. In light of this trend,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figuration surface’s accuracy of 3D images made by using DICOM images after printing by 3D printing. The medical images were obtained from animal bone objects, while the objects were printed after undergoing STL file conversion for 3D printing purposes. Ultimately, after the 3D figuration, which was obtained by the original animal bones and 3D printing, was scanned by 3D scanner, 3D modeling was merged each other and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The result analysis was conducted by visual figuration comparison, color comparison of modeling’s scale value, and numerical figuration comparison. The shape surface was not visually distinguished; the numerical figuration comparison was made from the values measured from the four different points on the X, Y and Z coordinates. The shape surface of the merged modeling was smaller than the original object (the animal bone) by average of -0.49 ㎜ in the 3D printed figuration. However, not all of the shape surface was uniformly reduced in size and the differences was within range of –0.83 ㎜ on the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