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기반 창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김환중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CT-Based Creativity Program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was developed the basic experimental tool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was proved this program through validity verification and ICT-Based Creativity Program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was divid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to two groups such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CT-Based Creativity Program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in 30minutes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30 times from October 4, 2016 to January 13, 2017. The test was conducted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dot-to-dot connection’, ‘shape classification’, ‘understanding of regularity’, ‘cop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showed the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an participate fully in ICT education activities for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ICT 기반 창의 프로그램, 발달지체유아, 인지 문제해결력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CT-Based Creativity Program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was developed the basic experimental tool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was proved this program through validity verification and ICT-Based Creativity Program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was divid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to two groups such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CT-Based Creativity Program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in 30minutes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30 times from October 4, 2016 to January 13, 2017. The test was conducted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dot-to-dot connection’, ‘shape classification’, ‘understanding of regularity’, ‘cop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showed the positive influence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an participate fully in ICT education activities for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는 ‘ICT 기반 창의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일반 유아용 기초 실험도구를 선행 개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타당도 검증을 통해 ‘ICT 기반 창의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인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데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지체유아를 36명의 실험집단과 36명의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2016년 10월 4일부터 2017년 1월 13일까지 실험집단에 30분씩 주 2회 총 30회기의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발달지체유아의 인지 문제해결력은 ‘점조직 연결’, ‘도형 분류’, ‘규칙성 이해’, ‘문제 상황 대처능력’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ICT 기반 창의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ICT교육 활동에 발달지체유아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일반 유아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에 따른 가족건강성 비교 연구

        박정민,정훈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mily strengths toward parenting attitudes and burden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The questionnaire including parenting attitudes, burden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and family strengths scale was distributed. 110 questionnaire papers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responded and 113 questionnaire papers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swered were us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without. Affec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ttitude among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with general preschoolers are more positive than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had higher parenting burden in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burden factors than those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Second, in correl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s, parenting burden, and family strengths factors that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had, physical burden decreased as affective parenting attitudes among sub parenting attitudes variables increased. As positive evaluation attitude increased, parenting burden decreased. Third, for the effective factors giving relative impact on parenting attitude and burden of parents with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it was found that parenting burden, affective attitude, and social burden among parenting attitude factors for mothers aged above 36 years with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family strengths. This study implicated the necessary of the execution of policy and welfare support system for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to decrease parenting burden and increas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s enhancing family strengths of parents. 본 연구는 양육기 일반 유아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에 따른 가족건강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과 가족건강성 척도를 사용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일반 유아 부모 110부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 11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유아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과 가족건강성의 집단 간 차이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와 긍정적 평가태도에서 일반 유아 부모가 발달지체 유아 부모 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양육부담감에 있어 발달지체 유아 부모가 일반 유아 부모보다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감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 유아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과 가족건강성 요인 간 상관관계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 중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부담감은 감소하였고, 긍정적 평가태도가 높을수록 양육부담감이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유아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부담감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36세 이상의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가 양육태도 요인 중 양육부담감, 애정적 태도와 사회적 부담감요인이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녀 양육기 부모의 가족건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양육태도와 양육부담감의 경감을 위한 발달지체 유아 양육 정책 수립 및 복지 지원 시스템 정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분석

        송영희 ( Young Hee Song ),조윤경 ( Youn Kyung Ch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발달에 문제가 있는 영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들에 대한 적합한 지원을 빠르게 제공하는 것은 영아기라는 발달기의 특성상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를 보육중인 영아반 보육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영아기 발달지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선별 과정, 지원 실태, 요구를 알아보고자 질적면담을 시행하였다. 서울시 노원구와 중랑구, 도봉구 지역의 민간·가정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중, 발달지체 영아를 보육중인 교사 12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내용 분석 결과, 교사들은 첫째, 사회·정서, 의사소통, 인지, 적응행동 등 발달 영역 전반에서 발달지체 양상을 보고하였다. 둘째, 발달지체 영아에 대해 주로 관찰법으로 선별하였으며 체계적, 객관적 선별도구 사용 경험은 거의 없었다. 셋째, 영아의 발달지체에 대해 입소 초기부터 인식하였으나 낙관적으로 수용하였고, 발달지체 진단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발달지체 선별 후 반복설명하기, 과제 난이도 조절하기, 가정 내 지도방법 제시 등으로 영아와 부모를 개별지원 하였다. 다섯째, 발달지체 영아 지원 시 영아기 발달 및 발달지체에 대한 전문지식의 부족, 부모상담의 미숙, 관련자원의 부족 등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여섯째,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과 조기개입을 위해 교사교육, 부모교육, 영유아 건강 검진의 체계적 관리, 연계기관 간 네트워크 조성, 인력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영아반 보육교사를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Early screening of congenital or acquired developmental delays and providing early intervention is critical to minimize the impact of developmental delay. The study was implemented the interviews with 1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one or more areas as measured by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K-DS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reported by teachers showed delays in one or more developmental areas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child rearing. Second, teachers attending to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evaluated them generally by observation, were to be lacking in the capacity to use objective and systematic screening methods. Third, they recognized developmental delays as soon as early admission, but they had a tendency to discount the results, and to avoid developmental delay diagnosis. Fourth, after K-DST, teachers provided the supports in a number of ways: repeating instructions, increasing patience, adjusting task difficulty levels appropriately, parental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home activities. Fifth, they felt the difficulties i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with development delayed infants, in the lack of time, expertise and support, the parental indifference and the difficulty of the counseling process. Sixth, they were required teacher training, parent education, the ongoing health and development monitoring, the networking among the relevant agencies, the supporting personnel for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아에서 Denver II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전민철(Min-Cheol Jeon),김영훈(Young-Hoon Kim),정승연(Seung-Yun Chung),이인구(In-Goo Lee),김종완(Jong-Wan Kim),황경태(K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목적: 덴버발달선별검사(DDST)는 1967년 발표되고 한국에서는 1987년 한국판 DDST가 만들어져 사용되었고 1992년에는 덴버 II가 발표되어 더 개선되고 표준화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정기검진아 및 발달지체아들에게 덴버 II가 이들을 평가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3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약 3년 6개월간 발달지체를 주소로 강남성모병원 소아발달 클리닉을 방문한 244명으로 운동발달지체주소군(I군), 언어발달지 체주소군(II군) 및 기타군(III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덴버 II는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검사자는 훈련된 동일인으로 하였으며 각 군에 덴버 II를 검사하여 이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덴버 II로 검사한 소아는 총 244명이었는데 남녀비는 2.4:1로 남아가 많았으며 검사시 평균연령은 25.1개월이었다. I군은 68명이었고, 남녀비는 1.6:1, 평균연령은 11.8개월이었으며, II군은 84명, 남녀비는 4.6:1, 평균연령은 35.6개월이었고, III군은 92명으로 남녀비 13:1 평균연령은 25.4개월이었다. 2) 덴버 II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 정상, 의심의 분포를 보면 I군은 각각 76%, 13%, 10%, II군은 76%, 10%, 14%, III군은 38%, 53%, 9%이었다. 3) 덴버 II를 시행한 소아 중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환아는 I군 75%, II군 74%, III군 39%이었으며 질환은 I군은 뇌성마비, 중추성 근긴장저하증, 영아연축, 근병증 등의 순이었고 II군은 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으며, III군은 정신지체,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다. 4) 덴버 I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I군 각 각 0.88과 0.41, II군 0.90과 0.27, II군 0.81과 0.77이며, 전체적으로 0.87과 0.59이었다. 결론: 덴버 II는 발달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에게 있어서 민감도에 비하여 특이도가 낮았으며 특히 언어지체 주소군에서는 위양성률이 높아 발달지체아의 발달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덴버 II는 발달지체아를 주소로 내원한 우리나라 소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우리나라 소아에게 적합한 발달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Purpose :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are in widespread use, but few reliable and valid tests are available. One of the oldest and best know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recently restandardized and revised as Denver II. Because the Denver II was published without evidence of its accuracy in developmental screening, we evaluate its accuracy in chi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see whether it can be used on Korean children. Methods : The Denver II was translated and was administered to 244 children attending the child development clinic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d motor delay(Group I, n=68), language delay(Group II, n=84) or other problem(Group III, n92) Results: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ere 2.4:1 and 25.1 months overall, 1.6:1 and 11.8 months in Group I, 4.6:1 and 35.6 months in Group II, and 1.3:1 and 25.4 months in Group III 2) The distribution of results(abnormal, normal and questionable) were 76%, 13% and 10% in Group I, 76%, 10% and 14% in Group II, and 38%, 53% and 9% in Group III. 3) The neurologic problems were determined 75%(cerebral palsy, central hypotonia, infantile spasm, myopathy etc.) in Group I, 74%(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epilepsy, cerebral palsy etc.) Group II and 39%(mental retardation, epilepsy, cerebral palsy etc.) in Group III. 4)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Denver II were 0.88 and 0.41 in Group I, 0.90 and 0.27 in Group II, 0.81 and 0.77 in Group III, and 0.85 and 0.59 overall. Conclusion : Although the Denver II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 has a excellent sensitivity, it has a poor specificity, especially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language del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nver fail to reliably identify children in need of developmental delay evaluation. So the Denver II should be standardized and modified to be used o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발달지체의 정체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정용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의 정체성을 비판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특수교육 전개과정에 가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의 개념, 장애위험군 또는 경도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 기회의 제공 그리고 발달지체 출현율의 증가 이유 등을 연구문제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검토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발달지체는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등 다른 특수교육대상자를 하위 장애영역으로 포함하는 개념인 반면에 미국의 발달지체의 개념은 이들 하위 장애 영역에 속하지 않는 특수교육 요구를 가진 학생들로 개념화될 수 있다. 둘째, 발달지체를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함은 장애위험군 또는경도장애학생의 교육기회를 갖게 하는데 긍정적 효과가 없다. 오히려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발달지체 출현율이 증가한 이유는 발달지체가 지적장애 등을 하위장애로 포함하는개념으로 인식되고 있고, 9세 미만이라는 연령제한이 9세 미만의 아동에게는 지적장애나 자폐성장애 등의 기존존재하는 장애가 아니라 발달지체로 선정해야 한다는 신념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로부터 우리나라 발달지체 관련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에 대한 개념을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등의 현재 존재하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제외한 특수교육에 대한 요구가 있는 아동으로 수정해야 한다. 둘째, 발달지체의 출현율 증가와 더불어 학습장애와 정서장애 출현율이 급감하였는데, 이에 대한원인을 밝히는 일이 시급하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critically ident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and suggest valuable implications on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dent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at to give opportunities to, and to study the reason of increase in appearance rat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it is thought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aged 3 through 9, consisted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emotional disturbance etc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may consist of who excep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emotional disturbance etc in US. Second, it is not seem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ith mild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re not increased, though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since 2007. Rather, the number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disturbed are decreased. Third, the reason of increasing prevale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re suggested that first, it’s concept include other disabilities like autism as subgroups, second, its age limit force various disabilities to categorize 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have to be modified into its concepts of US. Second, se need to study the reason of decreasing of children with mild disabilitie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emotional disturbed.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련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김슬아,홍석주,임화성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in order topresen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actical and cooperative program for theeffective evaluation of and coping strategy for behavioral features of young childrenwith developmental delays. For measurement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the variableand sub-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questionnaires werecreated. The validity of this study tool was confirmed by testing content and facevalidities in a total of two tests. The finally selected participants were 78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83 child care teachers and 84 early childhood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leading to following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for the behavioral features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for teaching profession and career for teaching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ing coping strategies for thebehavioral featur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ccording to thetypes of teacher,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for teaching profession and careerfor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resulting coping strategies among the teachers working in institutions related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importances of developing practicaland cooperative program for coping strategy for behavioral features of young childrenwith developmental delays which are effective and consistently established amongteachers are emphasized given the results. The needs for qualitative study onbehavioral featur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s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관련 교사의 효율적인 대처 전략을 제안하기위해 일차적인 실태파악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245명(유아특수교사 78명, 보육교사 83명, 일반 유아교사 84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21.0을 통해 분석되었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행동특성에대한 인식에 교사의 유형, 학력, 교직경력, 발달지체유아의 교육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유형, 학력, 교직경력, 발달지체유아의 교육경력에 따라발달지체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대처전략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관련 교육기관에 종사하는 교사 간 인식에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대처전략 사용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발달지체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대처전략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교사 간 공통된 방향으로 정립되도록 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협력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이를 위해 향후 발달지체유아의 행동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는 물론 현재 현장에서 대처전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실질적인 양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행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박재국,서보순,최은실,박희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ternal perceptions of happines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indings in this study woul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appines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e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help find the directions of supporting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Pusan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f the perception of the conditions of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the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present happines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were more likely to rate higher on the need of conditions of their children’s happiness than on the level of their children’s present happiness. In addition, maternal perceptions of happines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iffered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Maternal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present happiness differed according to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classification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and whether they were a double income family. Mothers who perceived their children happy were more likely to rate high on ‘flow’, ‘social, educ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independency’, and ‘positive emotions’ compared to mothers who perceived their children unhappy. The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ore factors of conditions of happines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addition, the findings has implications of supporting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행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발달지체유아의 행복한 삶에 대해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부모와 자녀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힘을 보태며, 발달지체유아와 그 부모를 위한 지원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영역, 관계영역, 성장영역으로 구성된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부산광역시의 발달지체유아 어머니들에게 의뢰하여 행복 조건의 중요도와 자녀 행복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발달지체유아의 행복 조건에 대해 중요도를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녀의 현재 행복감에 대해서는 중요도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머니들은 발달지체유아 행복 조건의 중요도를 어머니의 학력, 부모의 소득수준에 따라 달리 인식하였고, 자녀 행복감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연령, 학력, 맞벌이 여부, 소득수준, 자녀의 연령,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자녀 행복감에 대한 인식 상위집단은 하위집단보다 ‘몰입’, ‘사회ㆍ교육ㆍ문화환경’, ‘교육기관 적응’, ‘자립성’, ‘긍정적 정서’ 요소에서 인식수준이 특히 높아 이들 행복요소가 자녀의 행복감에 대한 인식형성에 주요한 요인이 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지체유아의 행복에 있어 중요한 조건들을 탐색하고, 그들의 행복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경향을 살피게 해준다. 또한 발달지체유아의 건강한 삶을 위해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할 요건들을 찾아내는 기초자료가 되며, 이들을 북돋기 위한 지원방향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그림책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촉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황선숙(Hwang Sun Suk),이혜숙(Lee Hea Suk),박경희(Park Kyoung-hee)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그림책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촉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통합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발달지체유아로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아동발달검사(K-CDI)에서 발달연령이 생활연령에 비해 1년 이상 지체된 발달지체유아 3명이다. 이들에게 주 3회, 30분씩 그림책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촉진 프로그램 중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를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의 발생빈도를 측정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그림책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촉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요구하기와 반응하기 관련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림책과 미술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촉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교수방법으로 사용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via the program for promoting communication skills by picture books and art play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ere from Y integrated kindergarten in K city and were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all of them are one year more delayed than their peers from PRES and K-CDI(Korea-Child Development Inventory: K-CDI).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intervention phase with each individual via the program for promoting communication skills by picture books and art activities. Each session was 30 minutes long and held three times per week in a comfortable art room: 28 sessions with Child A, 25 sessions with Child B, and 22 sessions with Child C.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prove the effect of this study, and it was conducted in this phase order: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The occurrence frequencies in collected materials were recorded with event recording for the results. For the procedure, the researcher used each picture book repeatedly 2-3 times in a total of 10 books, and the intervention phase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in requesting and responding in the process of drawing, decorating, and making with multisensory media related to art activities according to contents and roles in the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program for promo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y picture books and art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requesting (requesting objects, requesting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econd, the program for promoting the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y picture books and art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responding (accommodative responding, rejective respond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applying this program to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have difficulties in concentration, motivation and spontaneous communication skill. And it suggests that the program in this study is applicable to the future educational arena as a valuable educational program for promoting communication skills in requesting and responding of the children with the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유아동시교육 실험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현숙,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is a study that examined tendency of poetry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and then searched for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 total of 78 master’s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oetry were analyzed depending on 11 standards,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case percentage were calculated by SPSS. As a result,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were actively studied in the early 2000s, and has been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again. Second, experimental researches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were designed as a form that teachers mostly carried out targeting 5-year-old children during 6-10 weeks twice a week in kindergartens. Third, in poetry education, total curricula were mostly reached in large and small groups, and elective activity time, and there were many cases to accomplish goals related to communication. Fourth, in the selection of poetry, reference could not be confirmed in about half of theses. As a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irst, it is necessary to be concerned about related areas for effective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an area that receives attention again. Second, when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s repeatedly carried out, an effect can be expected, but diversity of teachers, teaching environment, and object is pursued in practice. Third,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hould be also carried out as an integrated activity, and an education sharing not only a goal related to communication but also artistry of children’s poem is needed. Fourth, there is not much detailed standard or reference to select a children’s poem in poet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o a follow-up study is needed.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analyze advanced research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and then to seek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o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본 연구는 유아동시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동시교육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총 76편의 유아동시 관련 학위논문을 1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케이스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동시교육 관련연구는 2000년대 초반 활발히 연구되었다가 최근 다시 주목되는 분야이다. 둘째, 유아동시교육 실험연구는 주로 만5세를 대상으로 유치원에서 교사가 주 2회, 6-10주간 실행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셋째, 동시교육은 대소집단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과통합 형태의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며 의사소통영역 관련 목표를 달성하려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동시 선정에 있어 절반가량의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토대로 한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 방안으로는 첫째, 최근 다시 주목되고 있는 분야로 발달지체유아의 효과적인 동시교육을 위해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역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실행에 있어 교수자, 교수환경, 대상에서 다양성이 추구된다. 셋째,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역시 통합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의사소통 관련 목표 뿐 아니라 동시가 가진 예술성을 공유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동시교육 역시 동시를 선정하는데 구체적인 기준이나 참고할 자료가 많이 없으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동시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의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발달선별검사 결과 분석에 따른발달지연 유아 선별 및 지원 방안 탐색

        정혜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lect and support children with delays in development through analysis of the results of tests b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999 infants in the B metropolitan city were tested by childhoo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the infant was identified among the boundary development and delayed development rates that were below the normal age leve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boundary lines and the composition of children's families within the delayed development range was obtained through the responsible nursery staff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s as follows. First, It was not until the age of three that he was actively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developing children. This was confirmed b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On the other hand, analysis was possi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among those subject to the borderline and delay develop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each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sere related to the sex of infants and their relation to the year of bi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screening of developmental delay and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support system. 본 연구는 영유아발달선별검사 결과분석을 통해 발달지연 유아의 선별과 지원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B광역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ᆞ유아 999명을 대상으로 영유아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 상 또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계선 발달과 지연 발달 범위에 속하는 영ᆞ유아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경계선 발달과 지연발달 범위에 속하는 영ᆞ유아의 가족 구성에 관한 정보는 담당 보육교직원을통해서 얻을 수 있었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선별검사의 대상자의 분포에서 만 3세 유아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만 3세가경과한 뒤에야 발달지연에 대한 관심이나 우려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2014년생 집단에서 경계선발달과 지연 발달 범위로 평가되는 대상자 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일부 지연발달로 평가되는 영ᆞ유아에게 가족 구성원이나 가족유형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이발견되었다. 둘째, 발달선별검사 결과와 영ᆞ유아의 성별, 출생년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한 결과 출생년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발달지연 유아의 선별과 조기개입 서비스 지원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