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5D와 3D 입체동영상 시청자의 뇌파 반응 비교 연구

        김석희,김달영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1

        목적: 본 연구는 2.5D와 3D 동영상에 대한 시각 인지과정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10명의 피검자들이 2D, 2,5D, 3D 동영상을 관람하는 동안 뇌파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감마(Υ) 파와 알파(a)파의 평균상대강도를 계산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2D 동영상을 시청할 때와 비교하면 Υ파의 경우는 3D와 2.5D 동영상을 시청할 때 모두 강도가 증가하였지만, a파의 경우는 2.5D동영상을 시청할 때 강도가 감소하는데 반하여 3D동영상을 시청할 때는 강도의 변화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2.5D 동영상의 시각 인지과정이 3D동영상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Purpose: This work was performed to compare visual perception of the 2.5D and 3D motion pictures. Methods: We measured brain wave intensities of ten subjects watching the 2D.2.5D, and 3S motion pictures by the EEG. Time-averaged relative intensiti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t y- and a-frequency bands. Results: Compared to the EEG intensity of 2D motion pictures, those of both 3D and 2.5D increased at y-frequency band, However, the EEG intensity of 2.5D decreased at a-frequency band while that of 3D remained as unchanged. Conclus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visual perception of the 2.5D motion pictures in brain is not just same to that of 3D motion pictures.

      • KCI등재

        EuroQol-5 Dimension에서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에 대한 각 영역들의 영향요인 평가

        김선하,조수진,조민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 No.2

        Background: The EuroQol-5 Dimension (EQ-5D) is the most frequently used questionnaire in cost-utility studies such as the quality-adjusted life year measure. Nevertheles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EQ-5D dimens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Q-5D and VAS quality of life measure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ch is a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Q-5D dimensions on the VAS. The known-group construct validity of the VAS was assessed by factors that included age, income and comorbidities. The ordinary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to test for the effect of the EQ-5D dimension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Results: We found that the VAS showed good construct validity. The VAS significantly declined as age increased,and as education and income levels decreased. VAS scores decreased for all EQ-5D dimensions as the response level ro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S increased from 23.0% in the first model, which included only the EQ-5D dimensions and levels, to 25.0% in the full model, which included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Conclusions: While the EQ-5D dimensions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VAS, they did not, however,explain a sufficient amount of variance in the VA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adding more dimensions to the EQ-5D preference-based instrument. 배경: EuroQol-5 Dimension (EQ-5D)은 질 보정 수명측정 같은 비용-효용 분석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도구임에도 개인들의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와 EQ-5D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한국 일반인구집단에서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보정한 후에시각아날로그척도로 측정한 삶의 질 점수와 EQ-5D 영역들 간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방법: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에 대한 EQ-5D 영역들의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 대표 표본인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시각아날로그척도에 대한 알려진 집단에 따른 구성 타당도는 연령, 수입, 동반질환 같은요소들로 평가하였다.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에 대한EQ-5D 영역들의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임상적 요인을 보정하여 다중 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시각아날로그척도는 좋은 구성 타당도를 보였다. 시각아날로그 척도 점수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과 소득 수준이 감소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시각아날로그 척도 점수는 모든 EQ-5D 영역에서 응답 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EQ-5D 영역들과 수준만을 포함한 모델 1에서 시각아날로그척도의 설명력은 22.9%였고, 모델1에 인구학적 그리고 임상적 요인까지 포함한 모델 2에서는 시각아날로그척도의 설명력이 31.3%로 증가하였다. 결론: EQ-5D 영역들은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의 유의한 요인이었지만, 시각아날로그척도 점수의 변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선호도 기반 삶의 질 측정도구인EQ-5D에 다른 영역을 더하는 것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EQ-5D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컴퓨터 보조프로그램을 이용한 표준도박

        조민우,권동섭,김선하,길선령,이상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3

        연구배경: 건강상태별 효용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표준도박법을 적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표준도박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한 바 없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해 인터넷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가치 평가하는 작업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먼저 EQ-5D 건강상태에 대해서 표준도박법으로 가치 평가하기 위하여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할 연구참여자는 경주시 인명전화번호부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10세 단위로 남녀별로 3명씩 모집하였다. 43개 건강상태에 대해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 번째 조사 4주 후에 두 번째 조사를 진행하였고, 두 번째 조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타당도는 각 가치 평가 방법에 따른 모순값의 수를 살펴보고, 더불어 각 방법으로 구한 가중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가치평가작업을 위해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1차 조사에서는 29명의 참가자가 참여를 하였고, 2차 조사에는 이 중 22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였다. 1차 조사에서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에서 4개 이상의 모순값을 보인 참가자는 각각 2명, 9명, 그리고 5명이었다. 더불어 표준도박법과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표준도박법과 시간교환법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는 0.867과 0.894였고, 유의확률은 모두 0.001 미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인수준에서의 급내상관계수는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에서 각각 0.919, 0.701, 그리고 0.805로 나타났다. 결론: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평가작업을 수행한 결과, 모순값과 수렴타당도 측면에서 살펴본 타당도는 받아들일만하다고 판단되었고, 조사-재조사 방법으로 살펴본 신뢰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인터넷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해 가치평가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고 신뢰도가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The Standard Gamble (SG) method is the gold standard for valuing health states as a ut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Q-5D valuation task using a computer-assisted SG metho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s: An internet-based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to allow respondents to conveniently conduct a valuation of EQ-5D health states with SG. For the first survey, 29 persons were recruited randomly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Gyeongju city. Of these, 22 participated in the second survey. Direct valuation was elicited for 43 health states (42 EQ-5D health states and ‘unconscious’ state) during face-to-face interviews through an internet program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VAS), time trade-off (TTO), and SG method. Validity was assessed using the number of respondents with 4 or more inconsistenc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S, TTO, and SG valu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Of the 29 respondents in the first survey, 5 had 4 or more inconsistent responses compared with 2 in VAS and 9 in TTO.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SG-VAS and SG-TTO were 0.867 and 0.894, respectively (P<0.001). The relational formulas were SG=1-(1-VAS)0.962 (R2=0.926) and SG=1-(1-TTO)0.932 (R2=0.868). The medians of individual ICC of VAS, TTO, and SG were 0.919, 0.721, and 0.860, respectively.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internet-assisted SG method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valuing EQ-5D health state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KCI등재

        EQ‐5D로 측정된 소득 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분해

        이준협,윤병준,정형선 한국보건사회학회 200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6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widely used as a measure of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asur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in the overall index of the EQ-5D which is o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as well as the contributions from each of its 6 dimensions included dimension of dysfunction. The study used data(N=24,169) collected from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survey of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as a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and a health value set for the 243 health status of EQ-5D which estimated by Kang et al.(2006). Regarding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overall health concentration index was 0.035, indicating that health is concentrated among higher income groups. The concentration indices for 6 dimensions of the EQ-5D scales varied with each dimension, which was ranged from 0.0106 for dysfunction to 0.0014 for mo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each dimension of the EQ-5D scales did not contribute equally to the overall health inequality. Pain/ discomfort and dysfunction contributed 29.8% and 30.3%, respectively, to the total health inequality, which are contrasted with small contributions of mobility(3.9%) or self-care(4.4%). The study implied that these results should be taking into account in policy deliber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among South Korean. 집중지수는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종합지표인 EQ-5D를 이용한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고, EQ-5D의 6개 건강영역별(기능악화 영역 포함)로 건강불평등에의 기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EQ-5D 자료와 EQ-5D를 이용한 243개 건강상태에 대한 건강가치 추계 자료(강은정 등, 2006)이며,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24,169명이다. 소득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크기는 0.035이었다. 이는 건강이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 미한다. EQ-5D의 6개 건강영역별 집중지수의 크기는 0.0106(기능악화 영역)에서 0.0014(운동능력)까지 건강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EQ-5D의 6개 개별 건강영역이 소득계층별 전체 건강 불평등에의 기여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EQ-5D의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에의 기여 도를 보았을 때, 기능악화 영역(30.3%)과 통증/불편감(29.8%)의 기여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으로 불안/우울 17.2%, 일상활동이 14.4%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능력과 자 기관리의 건강불평등 기여도는 각각 3.9%, 4.4%에 지나지 않았다.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시행시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의 기여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어, 건강불평등이 큰 건강영역 중심으로 건강불평등 해소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HAQ)을 이용한 EuroQol (EQ5D) 추정의 타당성

        조수경 ( Soo Kyung Cho ),성윤경 ( Yoon Kyoung Sung ),이혜선 ( Hye Seon Lee ),배상철 ( Sang Cheol Bae ) 대한류마티스학회 2010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7 No.3

        Objective: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has become important in health research. Health economists have used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o mathematically transform changes in HAQ scores into EQ5D data, which can be used to calculate 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s). We aimed to examine whether a given approach is justified. Methods: A total of 223 patients with RA were recruited from the Hospital for Rheumatic Diseases at Hanyang University. They completed the HAQ and EQ5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two instruments. We compared HAQ and EQ5D score changes for patients who completed the EQ5D and HAQ at first and second visits (n=159). Predicted EQ5D was estimated from the HAQ using the calculating method of Bansnack et al.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EQ5D from the HAQ and observed health utility score at the first visit and change during the study were tested by the paired t-test. Results: In the cross-sectional study, EQ5D scores were moderately inversely correlated with HAQ (r=-0.716, p<0.001). However, the predicted EQ5D from the HAQ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bserved EQ5D (p=0.001;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0∼0.079). The change in EQ5D was also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the HAQ (r=-0.615, p<0.001), and change in the predicted EQ5D scores corresponded well with changes in observed health utility scores (p=0.155; 95% CI (-0.0873∼0.0140). Conclusion: Changes in predicted EQ5D corresponded with observer changes in EQ5D, suggesting that it may be better to use predicted EQ5D form HAQ to identify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Diels-Alder 유도체화와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혈청 25-Hydroxyvitamin D3 및 25-Hydroxyvitamin D2의 측정

        김형석,전선희,김택수,송상훈,박경운,송정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2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2 No.4

        Background: Vitamin D has been recently sh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unctioning of various systems. Most of the current analytical methods for measuring vitamin D levels are based on immunoassays. We simultaneously measured the levels of 25-hydroxyvitamin D3 [ 25(OH)D3 ] and 25 hydroxyvitamin D2 [ 25(OH)D2 ] in human serum by perform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UPLCMS/MS) after Diels-Alder derivatization with 4-phenyl-1,2,4-triazoline-3,5-dione (PTAD)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our method. Methods: After liquid-liquid extraction, samples were dried under N2 at 50˚C for 1 hr followed by Diels-Alder derivatization with ethyl acetate containing 0.1 mg/mL PTAD. The samples were resuspended in 60 μL of methanol:10 mM ammonium formate solution (1:1, V/V). C18 UPLC column and positive ion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transitions such as m/z 558.35→298.1, 25(OH)D3; m/z 570.35→298.1, 25(OH)D2; and m/z 564.35→ 298.1, hexadeuterated-25(OH)D3 were used for UPLC-MS/MS. Results: The within-run imprecision (CVs) for 25(OH)D3 and 25(OH)D2 were 3.5-4.0% and 3.8-4.2%,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betweenrun CVs were 3.3-5.5% and 4.7-5.8%.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for 25(OH)D3 and 25(OH)D2 were 0.5 and 1.0 ng/mL, respectively. The curve for interassay calibration variability data obtained over concentrations of 0-120 ng/mL for 25(OH)D3 and 0-90 ng/mL for 25(OH)D2 was linear and reproducible [ 25(OH)D3, R2=0.993; 25(OH)D2, R2=0.998]. The total 25(OH)D levels in Koreans (average, 18.7 ng/mL) were lower than those in American Caucasians, and the percentage of people with total 25(OH)D levels under 10 ng/mL was 8.1%. Conclusions: Our method to measure 25(OH)D3 and 25(OH)D2 levels by performing UPLC-MS/MS after PTAD derivatization showed good performance as a sensitive and reproducible method for routine analysis of vitamin D status. 배경: 최근 비타민 D가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체내 비타민 D 수준을평가하는데 현재 면역검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phenyl-1,2,4-triazoline-3,5-dione (PTAD)를 활용한 Diels-Alder 유도체화와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UPLC-MS/MS)를 이용하여 25-hydroxyvitamin D3 [25(OH)D3] 및 25-hydroxyvitamin D2 [25(OH)D2]를 동시에 검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방법: 혈청에서 비타민 D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50˚C N2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0.1 mg/mL의 PTAD가 포함된 ethyl acetate 를 이용하여 Diels-Alder 유도체화를 시켰다. 이후 methanol-10mM ammonium formate (1:1 V/V) 60 μL에 검체를 재부유시켰다. C18 UPLC 컬럼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25(OH)D3, m/z 558.35→298.1; 25(OH)D2, m/z 570.35→298.1; hexadeuterated-25(OH)D3,m/z 564.35→298.1의 질량분석기 조건에서 정량하였다. 결과: 검사차례내 및 검사차례간 정밀도는 25(OH)D3의 경우 3.5-4.0% 및 3.3-5.5%이었고, 25(OH)D2는 3.8-4.2% 및 4.7-5.8%이었다. 최저정량한계농도는 25(OH)D3 및 25(OH)D2 각각 0.5와 1 ng/mL 이었다. 25(OH)D3는 0-120 ng/mL, 25(OH)D2는 0-90 ng/mL 범위에 걸쳐 모두 직선성이 잘 유지되었다[25(OH)D3, R2 =0.993; 25(OH)D2, R2 =0.998]. 우리나라 성인 집단의 총 25(OH)D의 평균 농도는 18.7 ng/mL로 미국평균 보다는 약간 낮은 분포를 보였고, 10ng/mL 미만의 결핍 비율도 8.1%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결론: PTAD 유도체화와 UPLC-MS/MS를 이용한 25(OH)D3 및25(OH)D2에 대한 본 검사법은 우수한 검사수행능을 보여 임상 검사실에서 비타민 D의 일상적인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5G 네트워크에서 D2D 시스템을 위한 액세스 제어

        김석규(Seog-Gyu Kim),김재현(Jae-Hyu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5G 무선 네트워크 D2D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두 가지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들을 비교해 보고 효과적인 액세스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현재 5G D2D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제어 기법이 표준 규격에 제정 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두 가지 액세스 제어 기법들이 가능하다. 하나의 방식으로는 UE-to-Network Relay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고,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는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다. 전자의 경우는 UE-to-Network Relay가 액세스 제어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는 Remote UE가 액세스 제어 검사를 직접 수행하는 방식이다. 실험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는 5G 무선 네트워크 D2D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 방안으로써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을 최종 제안한다. Remote UE 기반의 액세스 제어기법은 UE-to-Network Relay 기반의 액세스 제어 기법이 비하여, 신호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고, 서로 액세스 제어 기능들이 다른 경우 보다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compare two access control mechanisms for D2D(Device-to-Device) systems in 5G wireless networks and propose an effective access control for 5G D2D networks. Currently, there is no specified access control for 5G D2D networks but there can be two access control approaches for 5G D2D networks. One is the UE-to-Network Relay based access control and the other is the Remote UE(User Equipment) based access control. The former is a UE-to-Network Relay carries out the access control check for 5G D2D networks but the latter is a Remote UE performs the access control check for 5G D2D networks. Through simulation and evaluation, we finally propose the Remote UE based access control for D2D systems in 5G wireless networks. The proposed approach minimizes signalling overhead between the UE-to-Network Relay and the Remote UE and more efficiently performs the access control check, when the access control functionalities are different from the UE-to-Network Relay in 5G D2D networks.

      • KCI등재

        2.5D와 3D 입체동영상 시청자의 뇌파 반응 비교 연구

        김석희,김달영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1

        Purpose : This work was performed to compare visual perception of the 2.5D and 3D motion pictures. Methods : We measured brain wave intensities of ten subjects watching the 2D, 2.5D, and 3D motion pictures by the EEG. Time-averaged relative intensiti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t γ- and α-frequency bands. Results : Compared to the EEG intensity of 2D motion pictures, those of both 3D and 2.5D increased at γ-frequency band. However, the EEG intensity of 2.5D decreased at α-frequency band while that of 3D remained as unchanged. Conclusions : This result implies that visual perception of the 2.5D motion pictures in brain is not just same to that of 3D motion pictures. 목 적 : 본 연구는 2.5D와 3D 동영상에 대한 시각 인지과정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 10명의 피검자들이 2D, 2.5D, 3D 동영상을 관람하는 동안 뇌파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감마(γ)파와 알파(α)파의 평균상대강도를 계산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2D 동영상을 시청할 때와 비교하면, γ파의 경우는 3D와 2.5D 동영상을 시청할 때 모두 강도가 증가하였지만, α파의 경우는 2.5D 동영상을 시청할 때 강도가 감소하는데 반하여 3D 동영상을 시청할 때는 강도의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는 2.5D 동영상의 시각 인지과정이 3D 동영상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KCI등재

        의복패턴을 위한 2.5D 맵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주리,정석태,정성태,Kim, Ju-Ri,Joung, Suck-Tae,Jung, Sung-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논문에서 구현한 2.5D 맵핑(mapping) 시스템은 다양한 질감과 패턴에 따른 패션 의상의 모델 사진 이미지를 그대로 살려 외각선 영역 위에 드레이핑(draping)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고, 직접 샘플이나 시제품을 제작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만으로 의상 작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원단 디자인과 최종 제품의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원단과 모델 사진 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쉽고 빠르게 드레이핑함으로써 패션 업계의 경쟁력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2.5D 맵핑 시스템은 보다 자연스러운 드레이핑을 위하여 메쉬 워프 알고리즘 모듈, 명암 추출과 적용 모듈, 맵핑 영역 추출 모듈, 메쉬 생성과 변형 모듈, 2.5D 맵핑 모듈로 구성하여 구현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는 2.5D 맵핑 시스템의 구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3D 의복 기술과 3D 인체 구현 기술을 접목한 3D 패션 디자인 시스템을 연구하여 2.5D 맵핑 기술의 표현 한계를 극복할 계획이다. 2.5D Mapping system that embody in this paper can make new design by doing draping to live various texture and model picture image of fashion clothes by pattern, and can confirm clothes work to simulation without producing direction sample or product directly. Also, the system can support function that can forecast fabric design and state of end article exactly, and the system can bring competitive power elevation of fashion industry and cost-cutting effect by doing draping using database of fabric and model picture image. 2.5D Mapping system composed and embodied by mesh warp algorithm module, light and shade extraction and application module, mapping path extraction module, mesh creation and transformation module, and 2.5D mapping module for more natural draping. Future work plans to study 3D fashion design system that graft together 3D clothes technology and 3D human body embodiment technology to do based on embodiment technology of 2.5D mapping system and overcomes expression limit of 2.5D mapping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일 지역에서의 EQ-5D를 이용한 고혈압 · 당뇨병 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삶의 질 평가

        이중정(Jung Jeung Lee),이혜진(Hye Jin Lee),박은진(Eun Jin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4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EQ-5D를 이용한 삶의 질 측정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에게 적용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2년 3월부터 12월까지 교육정보센터의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이수한 490명 중 교육 전, 후 EQ-5D 평가를 모두 실시한 68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비교하였다. 교육 전 대상자들의 삶의 질 지표는 성별, 연령, 대구시 등록관리사업에 등록한 등록군에 따라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교육 전, 후 대상자들의 EQ-5D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남성(P<0.05), 여성(p<0.001), 65세 미만군(p<0.001), 65세 이상군(p<0.01), 고혈압군(p<0.001), 당뇨병군(p<0.01), 등록군(p<0.05), 미등록군(p<0.001)이었다. 교육이수 후 EQ-5D 5개 하위 차원별 문제 호소 응답 비율은 ‘다소’ 혹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통증/불편감’ 36.8%, ‘불안/우울’ 26.5%, ‘운동능력’ 22.1%, ‘일상활동’ 7.4%의 순이었고, 교육 전, 후의 EQ-5D 5개 하위 차원별 문제 호소 응답비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운동능력’의 경우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일상활동’의 경우 고혈압군, 당뇨병군, 정상군, 미등록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교육 전보다 교육이수 후 EQ-5D 하위 차원별 문제 호소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통증/불편감’의 경우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불안/우울’은 남성,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EQ-5D 하위 차원별문제 호소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교육정보센터의 단계별 교육프로그램등 센터와 병의원에 시행하는 교육은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추후 성별, 연령을 고려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프로그램을 통해 합병증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an education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patients. Methods: To evaluate patients’ quality of life, EQ-5D was used and an organized survey was conducted via calls and interviews for hypertension, diabetes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KHyDDI(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Initiative) education center or 70 clinics through out the nation. Results: The subjects included 537 patients, 320 of who were in the clinic education and 217 of who were in the education center program. Sixty eight of the subjects went through the EQ-5D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In the EQ-5D index distribution of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001) with higher points among males. Regarding 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aged over 65 years and under 65(p<0.001), with higher points in the group under the age of 65. Further, the EQ-5D 5 scope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education(p<0.05). Conclusion: Therefore, the KHyDDI staged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could contribute to the complications of the disease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by considering both gender an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