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기화상 환자에서 견관절 절단부 재건을 위한 상지 근피부 유리피판술의 증례 보고

        이준협,이태섭,나민화,이동은,Lee, Jun-Hyup,Lee, Tae-Seop,Na, Min-Wha,Lee, Dong-Eun 대한미세수술학회 2001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0 No.1

        The pedicled fillet flap concep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both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for the treatment of difficult wounds. However, in case of complete extremity amputation in eletrical burn patient, the transfer of pedicled flaps from the amputated part is not possible. In such instances, we have designed total arm musculocutaneous free-fillet flaps from the amputated limb to provide wound coverage, when replantation of the amputated part was contraindicated. now we present such a case. This technique allows immediate wound coverage without the morbidity of an additional donor site. The flap provides the ideal combination of large surface area, muscle bulk, and long vascular pedicle. It can be dissected rapidly to minimize ischemic time and could therefore be applicable to traumatic forequarter amputations.

      • KCI등재

        EQ‐5D로 측정된 소득 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분해

        이준협,윤병준,정형선 한국보건사회학회 200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6

        집중지수는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종합지표인 EQ-5D를 이용한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고, EQ-5D의 6개 건강영역별(기능악화 영역 포함)로 건강불평등에의 기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EQ-5D 자료와 EQ-5D를 이용한 243개 건강상태에 대한 건강가치 추계 자료(강은정 등, 2006)이며,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24,169명이다. 소득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크기는 0.035이었다. 이는 건강이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EQ-5D의 6개 건강영역별 집중지수의 크기는 0.0106(기능악화 영역)에서 0.0014(운동능력)까지 건강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EQ-5D의 6개 개별 건강영역이 소득계층별 전체 건강불평등에의 기여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EQ-5D의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에의 기여도를 보았을 때, 기능악화 영역(30.3%)과 통증/불편감(29.8%)의 기여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불안/우울 17.2%, 일상활동이 14.4%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능력과 자기관리의 건강불평등 기여도는 각각 3.9%, 4.4%에 지나지 않았다.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시행시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의 기여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어, 건강불평등이 큰 건강영역 중심으로 건강불평등 해소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widely used as a measure of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asur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in the overall index of the EQ-5D which is o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as well as the contributions from each of its 6 dimensions included dimension of dysfunction. The study used data(N=24,169) collected from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survey of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as a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and a health value set for the 243 health status of EQ-5D which estimated by Kang et al.(2006). Regarding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overall health concentration index was 0.035, indicating that health is concentrated among higher income groups. The concentration indices for 6 dimensions of the EQ-5D scales varied with each dimension, which was ranged from 0.0106 for dysfunction to 0.0014 for mo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each dimension of the EQ-5D scales did not contribute equally to the overall health inequality. Pain/discomfort and dysfunction contributed 29.8% and 30.3%, respectively, to the total health inequality, which are contrasted with small contributions of mobility(3.9%) or self-care(4.4%). The study implied that these results should be taking into account in policy deliber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among South Korean.

      • 한반도 르네상스 구현을 위한 VIP리포트 : 체감경제고통지수 조사 결과

        이준협,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2015 VIP Report Vol.608 No.-

        ■ 체감경제고통지수의 정의 및 산출방식소비 주체인 국민의 체감경제고통은 소비심리와 관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소비활동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현대경제연구원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체감물가 상승률 + 체감실업률 - 체감소득 증가율 + 체감의무지출 증가율 - 체감문화여가지출 증가율``로 정의된다. 경제고통지수가 1p상승한다는 것은 국민경제 차원에서 일자리가 26.5만 개 감소한다는 것, 혹은 모든 가구의 소득증가율이 1%p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 체감경제고통지수와 실적경제고통지수 비교 2015년 1분기에 체감경제고통지수는 19.5p로, 정부 공식 통계치로 산출한 ``실적경제고통지수`` -1.6p보다 21.1p나 높은 수준이다. 특히 실업률이 괴리를 견인했다. 정부가 발표한 실업률이 1월 기준 3.8%에 불과한 반면,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실업률은 14.1%로 10.3%p나 더 높았다. 뒤를 이어 의무지출증가율 격차는 3.4%, 소득증가율 격차는 3.1%, 물가상승률 격차는 2.5%, 문화여가지출증가율 격차는 1.8%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청년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40.6p로 전체 평균 19.5p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청년의 체감실업률이 37.5%에 달했기 때문이다. 반면 30대와 40대의 체감경제고통지수는 각각 10.3p, 11.3p로 낮은 수준이고, 50대 이상도 17.2p로 전체 평균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저소득층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34.2p로 매우 높았는데, 체감실업률(26.7%)과 체감물가상승률(4.0%)이 타 계층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한편 중산층은 교육비, 주거비 등의 의무지출 부담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현재 체감경제고통이 가장 큰 사람은 "서울에 사는 20대 저소득층여성"이고, 체감경제고통이 가장 작은 사람은 "영남지역에 사는 30대 고소득층남성"으로 대표된다. ■ ``현재 체감경제고통지수``와 ``전망 체감경제고통지수`` 비교 국민들은 1년 후의 경제고통이 현재보다 크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년 후의 경제고통을 나타내는 ``전망 체감경제고통지수``는 9.8p로, ``현재 체감경제고통지수`` 19.5p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가장 큰 이유는 전망 체감실업률이 6.0%로 현재 체감실업률 14.1%보다 8.1%나 낮기 때문이다. 그만큼 고용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을 뜻한다. 물가, 소득 등 다른 요소도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사점 국민의 체감경제고통을 완화시킬 대책이 요구된다. 첫째, 청년층과 50대 이상, 저소득층의 체감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일자리의 질 향상 및 고용여건 개선이 긴급하다. 이는 가장 확실한 소득향상대책이 될 것이다. 둘째, 교육비, 주거비 등 의무지출의 부담을 완화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여가지출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체감물가와 실제물가의 괴리는 통화정책 운용의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격차를 최소화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alternative medicine products on thyroid function level in posttotal thyroidectomy patients: A pilot study

        이준협,정유승,이영돈 대한종양외과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13 No.1

        Purpose: Although many Koreans consume traditional alternative remedial products to alleviate symptoms of fatigue,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ir effect on thyroid function levels in thyroidectomized patients on levothyroxine replac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alternative remedies on thyroid function levels in post total thyroidectomy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from a single tertiary referral center was performed on patients who received total thyroidectomy from 2010 to 2015 and became euthyroid postoperatively. Gender, age, body mass index, preoperative thyroid function test results, interval to first hypothyroidism occurrence, recurrence of hypothyroidism, number and types of alternative remedy were evaluated. Results: Postoperative hypothyroidism occurred among 174 out of 917 patients (18.9%) and 100 (57.5%) of them had a history of alternative medication usage. The first episode of hypothyroidism occurred at median of 38.5 months after operation in the 100 patients. Six of the 100 patients received an increased dosage of levothyroxine due to severe hypothyroidism but the rest received the same dose and were requested not to consume alternative products. All patients recovered to euthyroid status afterwards. Thirty-three patients subsequently experienced recurrence even after being restricted from consuming alternative remedial products. Apart from thyroiditis on pathology reports (P=0.001), there were no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current hypothyroidism. Conclusion: This pilot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le role of consumption patterns of traditional alternative remedial products in thyroidectomized patients under hormone supplement in restoring euthyroid status without levothyroxine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