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연고주의 담론과 유교와의 무관련성 연구

        장현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1

        Confucianism has been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Korean Society. Recently some scholars in fields such as Asian Studies, Political Economy and Sociology have emphasized that Confucianism can be attributed to core factors including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Some Sociologists wish to call your particular attention to Korean network society as an affectional relationship. They think the 'network-oriented' nature of Korean society came from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can understand it as a form of reducing 'transaction cost' for the entire Korean society, and steer industrialized Korea to prosperity. Some people say that conceptualized 'Confucian Democracy' or 'Confucian Capitalism'. It proved to be true? We know that Korean traditional society is very different from the West where society is ordered around individual values, but have a rich contents of community. Confucian values will be more esteemed and treasured by people as they became harder maintain, as it becomes impossible economically to practice those virtues. Confucianism not be connected with Capitalism. Network is extremely important for Human beings(not only Korean) because it is through building and maintaining ties that they order their world and pursue their goals. It is also an important means to build trust. As we all know, filial piety, discipline, work ethic, and meritocracy are not only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but also can be found in other cultures, they were shared and practiced in the U.S. during the forties and fifties, for example. To be sure, their opinion had the effect of booting public`s awareness of Confucianism. However, their overemphasize came to the detriment of serious and balanced inquiry into the history, logic, and ideals of this traditional Confucianism. There is not an indissolubl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Korean discourse of nepotism or the network societ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task of modernizing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need not lead to conservative conclusions, and need to develop normative arguments which would explain why certain values should continue to remain influential and why others should not. 유교는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유용한 틀이다. 최근 일부 학자들은 한국의 정치·경제·사회 현상을 설명하면서 유교의 역할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몇몇 사회학자들은 현대 한국의 경제성장 요인을 분석하면서 핵심 동력으로서 유교적 인간관계를 언급하고, 그것을 연고주의로 풀어내어 이른바 거래비용을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필자는 근래 한국사회의 연고주의가 원래 유교의 취지와 아무 관련이 없으며, 소위 유교민주주의니 유교자본주의니 하는 최근의 한국사회 담론들 또한 유가사상의 본질과는 관련이 없음을 밝히려 한다. 연고주의 담론이 왜 등장했으며 그것이 유교의 본질에 반하고 있다는 논지에서 출발하여, 한국 근대사회 연고주의 담론의 여러 문제와 병폐들을 지적하고, 유교는 원래 반연고주의를 본질로 함을 강조한 뒤 다음 두 가지로 결론을 이끌고자 한다. 첫째 한국사회 연고주의가 유교 전통에서 유래한 유용한 사회자본으로서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불철저한 유교인식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시민사회의 발전이 바른 길임을 천명하고자 한다. 둘째 [연고주의 ← 가족주의 ←유교]라는 도식으로 유교가 연고주의의 원산지라고 설명하는 방식이 근거가 없음을 밝히고, 거기서 나아가 연고주의가 전통 유가사상에 배치되며, 유가사상의 현대화는 연고주의 탈피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아시아와 유럽의 문화적 가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의 상이한 가치를 심도 있게 상호 비교·고찰함으로써 유럽연합과 미래의 동아시아 FTA의 가능성을 21세기의 키워드인 ‘문화’라는 공통분모에서 찾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사려 된다. 2006년에 인도네시아의 부통령 칼라(Jusuf Kalla)는 동아시아 정상회담에서 이른바 ‘아시아적 가치’를 동아시아 FTA와 동아시아 공동체와 연결시킨 바 있다. 그가 정의하는 아시아적 가치는 ‘경쟁’이 아니라, ‘협동’체제에 있음을 누누이 강조했다. 비록 1997~1998년 아시아의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타격을 받기는 했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적가치라 불리는, 한중일 삼국의 공통된 문화분모들을 모색하고 규명하는 데 있다. 아시아적 가치는 다양한 전통적 문화콘텐츠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아시아적 가치를 역설적으로 ‘비(非)유럽적 가치’라칭할 수도 있으리라. 중동의 이슬람주의, 인도의 힌두이즘, 동남아의 불교사상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종교와 문화요소들이 아시아적 가치라는 기치아래 집단 동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동아시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관련하여, ‘유교적 가치들’에 집중되어 있다. 이른바 신유교주의 시대가 도래한 셈이다. 본 연구는 영미의 ‘제 1세계’와 소비에트 블록을 형성하는 ‘제 2세계’의 경제모델들과 비교하여, 아시아 제 3세계 국가의 경제모델을 문화적으로 설명하는 데 있다. 허만 칸은 동아시아의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유교문화와 연결시킨 장본인이다. 칸의 신 유교주의 가설에 따르면,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공통적인 문화의 깊은 근원을 갖고 있다. 세계 시장체제에서 이러한 문화적 유산은 성공적인 경제활동 내지 비즈니스전략을 위한 비교우위를 형성해왔다. 허만 칸의 추종자들은 유교적 가치가 근대 아시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상응한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폈다. 이러한 문화적 가설을 가지고 본 연구는 아시아적 가치를 심층적으로 재조명할 것이다. 즉 국가주의와 정치적 리더십에 있어서 리더의 인성중심주의, 가족주의, 자기 극기, 교육에 대한 강조, 세속주의, 근면, 사회적 복종과 합일, 협동과 조화 등 아시아적 가치로 정의되는 문화적 요소들을 유럽적 가치와 비교고찰할것이다. 17세기 프랑스의 현인이며, 저명한 사상가·철학자인 몽테뉴가 언급한대로 ‘비교가 능사’는 아니다(Comparaison n`est pas raison). 실제로 이질적이며 상이한 사회 문화적, 역사적 콘텍스트에서 성장 발전한 아시아와 유럽적 가치를 비교한다는 일 자체가 무모하고 불가능한 시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아버지 장 모네가 강조한 대로 경제 통합에서도 문화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다. 즉 경제적 이해관계나 득실만을 가지고 성공적인 경제통합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지면상의 이유로 본 연구는 첫째 프로테스탄트/유교주의적 윤리 내지 이데올로기의 비교, 둘째로 두 개의 상이한 가치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물론 아시아적 가치에 연구의 우위를 두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문화적 가치나 정체성이 유럽연합과 동아시아 경제협력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될 지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혹자는 동아시아의 FTA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동아시아 경제에 전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할 것이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통적인 문화 분모를 찾으면서 한중일 삼국이 상호 협력한다면, 무역마찰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문화와 관련된 신종 일자리도 대량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공중선’과 공통된 유대감을 가져오는 제도를 창출한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동아시아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만일 필요하다면 문화가치를 창출하거나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mpare Asian & European values. It is very useful to find cultural common denominators called ‘Asian values`` among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for the future of East Asian FTA. In 2006 Indonesian Vice President Jusuf Kalla linked the concepts of Asian values with the proposed East Asian Free Trade Agreement and East Asian Community arising from the East Asia Summit. He defined Asian values as placing emphasis on co-operation over competition. Asian values contain various contents. Maybe, we can consider them as ‘non-European values`` which comprehend Islamism in the Middle East, Indian Hinduism, and Buddhism in Southeast Asia. However, a recent scholarly research is concentrated on ‘Confucian values`` in close relation with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First attempt to explain the economic model of these ‘Third World`` countries, in parallel with those of American and European ``First World`` countries and Soviet-bloc ‘Second World`` countries began at the end of 1970s. It is Herman Kahn who contributes to link East Asian dynamic growth with Confucian culture. Kahn`s neo-Confucian hypothesis is that the countries of East Asia have common cultural roots going far back into history, and that under the world-market conditions of the past 30 years this cultural inheritance has constituted a competitive advantage for successful business activity. Herman Kahn`s follower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are ‘the modern day Asian Protestant ethics.`` With this cultural hypothesis adopted, we will reexamine Asian values such as statism or centralism of personalities in political leadership, familism, self-restraint, insistence on education, secularism, diligence, social obedience and unity, cooperation and harmony, etc., in comparison with European values. According to Montaigne, “comparaison n’est pas raison. In effect, there can be no comparison between two heterogeneous Asian/European values, respectively cultivated in a different socio-cultural, or historical context. Thus, on account of limit space, we will focus our attention first on Protestant/Confucian ethics; second on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wo disparate values in giving priority to so-called ‘East Asian values``; and finally on the perspective on two cultural identities and their role in European Union and in 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in wider and looser sense. According to Lee, a ‘formal regional integration in the form of a preferential trading bloc`` in East Asia is neither feasible nor beneficial to the region. As a way of bringing about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East Asian regio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hould create institutions that would provide ‘regional public goods.`` Why not create cultural values, if necessary?

      • KCI등재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의 유교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남궁선혜,김현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for the confucian value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The subjects were 40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2 colleges, which are located in J and D city. The questionnaire was used by Kang(2012) was used. It included 29 items consisted of two categories. First category was the virtuous completion(belief, conscience, ethic, sincerity, responsibility, endeavor attitude diligence, generous ming, self-reflection, modesty, discretion in speaking and acting, liberality, faith, courtesy, reciprocity, integrity, harmony, principle, education, simplicity, filial piety, an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Second category was the confucian value(formality of rituals, attendance at common rites, orthodoxy of a family line, ancestral rites, traditions, respect and obedience to the old, and just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nfucian value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was important. To put it concretely, they perceived that the confucian value related the virtuous completion was important, but the confucian value related social order was commonplace. They received that the confucian value related the virtuous completion was more important than the confucian value related social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for the confucian value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according to there gra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artment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의 유교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교적 가치를 반영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J시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409명이었다. 강혜원(2012)이 사용한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인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덕함양과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사회질서와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덕함양 관련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식차이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이 높고, 대인관계가 좋고, 그리고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유교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 유교적 가치에 관한 9년 주기(2012-2020) 인식 비교 연구

        김현정(Hyun-Jung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0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 유교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9년 주기 인식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높은 교직헌신도를 갖춘 예비유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2012년 J시에 위치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수집했던 자료와 동일 학교, 동일학과에 2020년 현재 재학하고 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유교적 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유교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2012년과 2020년 모두 예비유아교사들의 학과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유교적 가치의 중요성 인식은 2012년 ‘보통정도’ 의 인식에서 2020년 ‘중요하다’의 인식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유교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있어 도덕함양 관련 가치를 사회질서 관련 가치보다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은 동일하였으나 도덕함양관련 가치 중요성 인식의 경우 2012년 ‘보통정도’에서 2020년 ‘중요하다’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2012년과 2020년의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 유교적 가치 29개 항목에 대한 중요 인식 순위도 변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ine-year change in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onfucian values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and to find out the Confucian values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of 2020. To this end, 215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the college located in J city and 187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he same school were used to find out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onfucian values by using the tool for measuring Confucian values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nfucian valu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ject satisfac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oth 2012 and 2020. Second,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fucian valu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it as normal in 2012, but in 202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tatistically changed. In 2012 and 2020, Korean traditional values also changed the ranking of important perceptions of the 29 Items of Confucian values as Korean traditional values.

      • KCI등재

        공맹사상과 유교자본주의

        양창삼(Chang Sam Yang) 한국경영사학회 1999 經營史學 Vol.20 No.-

        In most of Asian history, Korea, China and Japan are the societies that have been under the strongest Confucian influences. The Confucianism was not merely a religious foundations of spiritual culture of these countries; it w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principle that dominated and directed education, politics and other spheres of practical life. The Asian business world is not an exception. Since the financial difficulties in some Asian countries, so called “IMF situations” broke out, the Westerners criticized the Asian value so severely. Most of the criticisms went to the Confucian practices in those countries. Chaebul monopolizing, dictatorial push, bribery, all kinds of abnormal behaviors were considered as the products of the Confucian business activities. Max Weber studied the Confucian society, specially China and concluded there was no transformational power. Even the Chinese government led the “Down with the Confucianism” movement on May 4, 1919 because there was no sign of the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as long as the Confucian formal rituals prevailed. Now the Asian culture under the Confucianism faced the harsh criticisms. This thesis intends to explore the main points of the Confucian thoughts and expectations. After the through review on the Confucian writings and critics, I found the Confucian’s strong desire of the social transformation, eagerness of virtual witness, and normal business practice. I could hardly see the Asian value the westerners criticized so badly. This thesis found a big gap between the Confucian thoughts and our social practices. The thoughts are ideal, but Asian business practices are not met the standard. The Westerners looked at our practices, not thoughts. All we have to do is to find an right way the Confucian stresses so long and put more effort to practice it. To transform our society, we have to set up new Korean value which will be the spiritual heritage of all mankind, not limited by the Confucian thoughts.

      • KCI등재

        조선후기 유학자들의 불교관 -승려 문집의 서문을 중심으로-

        박해당(Park Hae-da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조선 후기에는 많은 승려들의 문집이 간행되었는데, 이들 문집에는 대체로 당시 유학자들의 서문이 붙어있으며, 전 시대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 서문들 가운데 상당수는 불교와 불교인에 대해 직접 언급하고 있는데, 그내용이 대체로 비슷하다. 이처럼 조선 후기 전반에 걸쳐 비슷한 견해가 두루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은 그 시대 유교인들의 보편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선 후기 불교계의 상황을 살펴보면, 첫째 조선왕조의 시작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온 불교탄압정책이 계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고, 둘째, 한문을 읽고 쓸 수 있는 승려들의 증가와 더불어 사대부들과 승려들의 개인적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이중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집 서문에 나타나는 유학자들의 불교와 불교인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를 허무적멸에 빠져 유교적인 인륜을 저버리는 가르침으로 비하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불교를 연구나 대화의 대상이 아니라 일방적인 비난과 배척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승려가 개인적으로 임금에 대한 충성이나 부모에 대한 효도 같은 유교적인 덕목을 잘 실천하였을 경우, ‘겉은 불교인이지만 속은 유교인’이라는 식으로 칭찬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불교적인 가치를 부정하고 오직 유교적인 가치만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아가 더 심하게는 승려들이 불교에 몸담게된 것을 안타까워하는, 매우 불교모독적인 발언까지도 서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은 유교의 진리성과 존재성만을 인정할 뿐 다른 사상의 존재 자체를 용납하지 않는 극히 배타적인 유교절대주의의 입장에서 불교와 불교인들을 바라보고 있었다고 하겠다. 조선후기의 유학자들의 이러한 불교관은 기본적으로 맹자 이후 동중서 한유 성리학을 거치면서 점점 더 강화되어 나타난 이단배척의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렇지만 유교적인 세속권력의 탄압 아래 놓여 있던 조선불교계가 불교적인 정체성 위에 이에 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임금에 대한 충성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앞세우는 등 국가주의적이고 유교적인 불교로 변모한 것또한 주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요컨대 조선 후기의 유학자들은 단지 정치/경제/사회적인 관점에서만 불교를 폄하하고 배척했던 것이 아니라 의식의 가장 깊은 곳에서부터 불교를 하나의 독립적인 사상전통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였으며, 그 바탕에는 모든 인간을 유교적 인간으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당위적인 유교절대주의적 사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Large number of literary collections of Buddhist monks were published during late-Joseon period. These collections usually have a preface written by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hese collection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and evenly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Among those prefaces, much mention about Buddhism and Buddhists directly, having similar contents. The fact that similar opinion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is uniformly recorded throughout late-Joseon period, may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general viewpoint of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oward Buddhism and Buddhists. Circumstances of Buddhist community during late-Joseon period were double-sided with these two movements happening simultaneously. First, oppressive policies against Buddhism which were launched with the foundation of Joseon state were in progress. Second, with increasing number of Buddhist monks who could read and write classical Chinese, personal communication among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were active and widespread. Amidst such circumstances, opinions of Confucian scholars about Buddhism and Buddhist recorded in those prefaces are as following. First, they downgrade Buddhism as a teaching which negates Confucian morality, absorbed in nihil and annihilation. From this viewpoint, they thought of Buddhism as an object of one-sided criticism and expulsion, not something to be researched or talked about. Second, in the cases when the monk personally practiced Confucian virt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or filial piety toward his parents, they praise the monk as “outwardly Buddhist but inwardly Confucian.” This is fundamentally denying Buddhist values and approving Confucian values only. Moreover, some of the Confucian scholars speak of blasphemous comments toward Buddhism as they lament the monks to have become a part of Buddhist community. Therefor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only approved of the verity and existence of Confucianism but did not tolerate the existence of another thoughts or teachings. Thus they looked upon Buddhism and Buddhists from the extremely exclusive stance of this absolute Confucianism. Viewpoint of these Confucian scholars towards Buddhism were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exclusive consciousness toward heresy which was gradually reinforc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beginning from thoughts of Mencius, then passed down to Dong Zhongshu, Han Yu, culminating in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fact that Buddhist community oppressed by secular powers could not stand against but transformed itself as nationalistic Confucian Buddhism promoting Confucian values such as a loyalty toward the king may be another element which fostered such viewpoint. In short, the Confucian scholars of late-Joseon period did not only downgrade and expel Buddhism from the aspect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ut denied to approve of Buddhism as an independent tradition of thinking from their deepest level of conscience. This may be concluded that in the basis of this viewpoint there was absolute Confucian paradigm which advocate that all men should be Confucian and nothing else.

      • KCI등재

        유교중심적 ‘아시아적 가치’ 논쟁의 한계와 동아시아적 대안가치의 모색

        김정호(Kim Jung Ho)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된 소위 ‘아시아적 가치’ 논쟁은 기본적으로 아시아적 가치를 유교적 가치와 동일시하는 유교중심적 특징을 지닌 것이었다. 이 논문은 그러한 유교중심적 특성이 유교의 본질에 대한 해명, 유교와 민주주의적 기본가치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유교적 전통이 동아시아 발전에 미친 긍정적 영향에 대한 경험적 실증 문제 등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묵학 및 노장학적 전통의 가치체계 분석을 통해 서구적 전통과도 다르고 유교중심적 한계도 극복할 수 있는 동아시아적 대안가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묵학적 전통을 통해서는 사회구성원 간의 정치적 소통, 정치지도자 및 관료들의 솔선수범과 강한 실천적 책임의식, 기능적 동등성에 기초한 능력본위의 배분의식, 사회적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의식 등 이른바 묵학적 상동정치(常同政治)에 함축된 가치체계가 제시되었다. 또한 생산과 절용ㆍ절제의 식화도(殖貨道)와 ‘상대방과 상대방의 것을 나와 내 것처럼 인식하는’ 겸애(兼愛)의 실천적 가치구조가 유용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노장학적 전통을 통해서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자연계 개체의 가치와 생존방식을 존중하는 개체관과 절대적ㆍ고정적 가치관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대관, 인간계 뿐 아니라 자연계 모든 개체 사이의 조화와 상호협력의 공동체의식을 바람직한 대안적 가치체계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the limits of Confucianism-centered ‘Asian values’ debate since 1990s, and presenting East Asian alternative value system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values and the Western liberal ones. The author criticizes the problems of the debate in that it has only focused on Confucianism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other cultural traditions in East Asia, and the Confucianism-centered approach has shown its fundamental limits not to persuasively answer some core ques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onfucianism, the relation between democratic values such as rule by law and human rights and Confucianism, and more importantly, the presentation of empirical proof about its positive effects on modernity and democracy in East Asia. And then centering on the Mohist and Taoist thoughts and their meaning a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values in East Asia, the anti-Confucian traditions in East Asia, which values freedom of individuals, functional and relative equality among them, and communitarian consciousness, is described.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summarizes values such as the reciprocal respect for individuality and the relative viewpoint that emphasizes relative equality in the relations among individuals drawn from the East Asian traditions, and points out that they must to be new values necessary for a better world.

      • KCI등재후보

        한·중·일 대학생들의 유교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황승연,김주희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oftentimes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their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ets. This is because they share homogeneity and differences in common by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Confucian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perientially how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perceive Confucianism, and, further, what difference there is in their attitude in life. With this aim, the study demonstrates how their attitude in life is different by country throug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conforming to the meaning and the Oryun(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of Confucianism, which w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three countries in-depth, who have different appearances despite being under the same cultural sphere. As a result of a cross-tabulation of Confucian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ives of collegians in the three countries, these students in China thought highly of perfect virtue and moderation as a result of viewing Confucianism as their value and answered that they saw an affirmativ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ose in Korea assumed that filial piety and courtesy were important because they perceived Confucianism to be the code of conduct. They agreed to the positive aspect of Confucianism in today’s society, yet Confucianism bears a negative aspect involving an oppressive side. Meanwhile, those in Japan perceived Confucianism as a sort of religion, attached importance to perfect virtue and courtesy, and steered a middle course in their evaluations of Confucianism. When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untry, male and female, hierarchy, and friends, which is emphasized in the Oryun (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by country, China has preserved the traditional inheritance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They showed higher loyalty for a country, but negatively perceived a hierarchical culture. Korea displayed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particularly based on filial piety and did not feel uncomfortable with a greeting culture by taking a bow. They were having a solid relationship with friend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age, but they appeared most equity-orien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Japan revealed a higher awareness of a religious service, which is probably because of family-ism. Also, they sympathized with traditional role-sharing between the sex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although the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ey reflected the influence differently by country in their daily lives. 한·중·일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언제나 비교대상이 되곤 하는데 이는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동질성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의 젊은 세대들이 유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상생활에서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교의 의미 및 오륜(五倫)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생활태도가 국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줌으로 같은 문화권이지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삼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삼국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유교의식과 생활태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중국은 유교를 가치관으로 보고 인(仁), 중용(中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은 행위규범으로 유교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효(孝), 예의(禮義)를 중요한 항목으로 여기고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만 사람을 억압하는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비해 일본은 유교를 종교라고 인식하고 인(仁), 예의(禮義)가 중요시하고 있었고, 유교에 대한 평가에서는 중도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오륜(五倫)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모, 국가, 남녀, 서열, 친구관계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전통적 상속문화가 가장 많이 남아 있었고, 국가에 대한 충(忠)이 높았지만 서열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다. 한국은 효(孝)를 중심으로 한 부양의식이 높았고, 인사하는 문화에 대한 거부가 없으며, 연령 동질성을 바탕으로 강한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남녀관계에서는 가장 평등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가장 낮았지만, 남녀 관계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적인 남녀 분업이 남아있다. 이것으로 보아 한·중·일 젊은 세대들도 유교 가치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국가별로 다르게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투고논문 : 한,중,일 대학생들의 유교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황승연 ( Seung Yeon Hwang ),강주희 ( Ju Hee Kang )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한·중·일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언제나 비교대상이 되곤 하는데 이는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동질성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의 젊은 세대들이 유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상생활에서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교의 의미 및 오륜(五倫)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생활태도가 국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줌으로 같은 문화권이지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삼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삼국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유교의식과 생활태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중국은 유교를 가치관으로 보고 인(仁), 중용(中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은 행위규범으로 유교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효(孝), 예의(禮義)를 중요한 항목으로 여기고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만 사람을 억압하는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비해 일본은 유교를 종교라고 인식하고 인(仁), 예의(禮義)가 중요시하고 있었고, 유교에 대한 평가에서는 중도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오륜(五倫)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모, 국가, 남녀, 서열, 친구관계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전통적 상속문화가 가장 많이 남아 있었고, 국가에 대한 충(忠)이 높았지만 서열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다. 한국은 효(孝)를 중심으로 한 부양의식이 높았고, 인사하는 문화에 대한 거부가 없으며, 연령 동질성을 바탕으로 강한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남녀관계에서는 가장 평등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가장 낮았지만, 남녀 관계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적인 남녀 분업이 남아있다. 이것으로 보아 한·중·일 젊은 세대들도 유교 가치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국가별로 다르게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oftentimes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their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ets. This is because they share homogeneity and differences in common by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Confucian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perientially how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perceive Confucianism, and, further, what difference there is in their attitude in life. With this aim, the study demonstrates how their attitude in life is different by country throug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conforming to the meaning and the Oryun(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of Confucianism, which w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three countries in-depth, who have different appearances despite being under the same cultural sphere. As a result of a cross-tabulation of Confucian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ives of collegians in the three countries, these students in China thought highly of perfect virtue and moderation as a result of viewing Confucianism as their value and answered that they saw an affirmativ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ose in Korea assumed that filial piety and courtesy were important because they perceived Confucianism to be the code of conduct. They agreed to the positive aspect of Confucianism in today`s society, yet Confucianism bears a negative aspect involving an oppressive side. Meanwhile, those in Japan perceived Confucianism as a sort of religion, attached importance to perfect virtue and courtesy, and steered a middle course in their evaluations of Confucianism. When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untry, male and female, hierarchy, and friends, which is emphasized in the Oryun (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by country, China has preserved the traditional inheritance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They showed higher loyalty for a country, but negatively perceived a hierarchical culture. Korea displayed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particularly based on filial piety and did not feel uncomfortable with a greeting culture by taking a bow. They were having a solid relationship with friend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age, but they appeared most equity-orien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Japan revealed a higher awareness of a religious service, which is probably because of family-ism. Also, they sympathized with traditional role-sharing between the sex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although the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ey reflected the influence differently by country in their daily lives.

      • KCI등재

        개정된 가치묘사질문지(PVQ-R) 한국판 타당도 연구

        최정원,이영호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rtrait Values Questionnaire-Revised(PVQ-R) measuring the basic human values based on the refined theory by Schwartz (Schwartz et al., 2012). The PVQ-R, the Schwartz's Value Survey(SVS), and the Confucian Values Scale were administered by 559 undergraduates. According to the result, adequ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were shown in the reliability for the 19 value scales. Multidimensional scaling of the individual items and also of the scale means confirmed the circular structure of the 19 values and the four hierarchical values structure, respective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pplied separately to each of the four higher order values revealed an adequate model fit statistics for the hierarchical factor model of the higher order value.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of the PVQ-R in comparison with the SVS generally support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mparison of the priority in value obtained from this study to the data from 10 countries(Schwartz et al., 2012) revealed that the mean ratings from the Korean sample were generally lower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being smaller; however, the value orders were mostly in agreement. In general, Confucian valu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transcendence and negatively with self-enhancement and openness to chang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findings from this study and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Schwartz의 개정된 가치 이론(2012)에 근거하여 보편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정된 가치묘사질문지(PVQ-R) 한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5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PVQ-R, Schwartz의 가치조사질문지(SVS) 및 유교가치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개 가치 척도는 적절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 수준을 보였다. 각 척도의 점수와 각 문항 점수를 다차원 척도 분석한 결과, 개정된 가치 이론에서 가정한 19개 가치의 원형 구조 배열이 확인되었으며, 4개의 상위 가치 구조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4개의 상위 가치 별로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상위 가치의 위계적 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중다특질-중다방법 분석을 통한 PVQ-R과 SVS의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가 전반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가치우선성의 순위를 Schwartz 등의 10개국 자료(2012)와 비교한 결과, 국내 자료의 평균치가 전반적으로 낮고 점수간 차이가 근소하였으나 순위 배열은 대체로 일치하였다. 유교가치는 일반적으로 자기초월 가치 및 보수 가치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고양 가치 및 변화에 대한 개방성 가치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